首页 / 专利库 / 电脑安全 / 鉴别 / 生物特征认证 / 생물학적 특성을 이용한 인증방법을 통한 전자화폐의 인증적립 결제 시스템과 전자상거래 클리어 시스템

생물학적 특성을 이용한 인증방법을 통한 전자화폐의 인증적립 결제 시스템과 전자상거래 클리어 시스템

阅读:88发布:2022-10-27

专利汇可以提供생물학적 특성을 이용한 인증방법을 통한 전자화폐의 인증적립 결제 시스템과 전자상거래 클리어 시스템专利检索,专利查询,专利分析的服务。并且PURPOSE: A sanction system for depositing an electronic money certification by 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 e-commerce clear system, is provided to equip a mileage system on an electronic circuit by use of biological characteristics to output or transfer a user's money which reversed on the electronic circuit such as credit or bankbook. CONSTITUTION: A sanction system for depositing an electronic money certification by 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 e-commerce clear system, under a precondition inputted in a center for authentication existed biological characteristics to a particular person on an electronic circuit, deals an electronic money safely as a server recognizes and authenticates the biological characteristics in a database, via a wire phone, a private terminal, or cellular phone by making an authentication device as fingerprints, voices, pupils, a DNA, and components in blood.,下面是생물학적 특성을 이용한 인증방법을 통한 전자화폐의 인증적립 결제 시스템과 전자상거래 클리어 시스템专利的具体信息内容。

  • 전자화폐의 거래에서 특정인을 인증하는 방법에 관하여, 특정인에 대한 생물학적인 특성이 미리 전자회로상에 존재하는 인증을 위한 센터에 미리 입력이 되어 있다는 전제하에,
    가) 지문을 인증의 수단으로,
    나) 음성을 인증의 수단으로,
    다) 동공을 인증의 수단으로,
    라) 홍체를 인증의 수단으로,
    마) 안면골격을 인증의 수단으로,
    바) 혈중성분을 인증의 수단으로,
    사) DNA를 인증의 수단으로,
    특정인이 PC, 이동통신단말기, 유선전화, 전용 단말기 등을 통하여 자신에 대한 인증을 요구할 경우 미리 서버가 DB에 있는 특정인에 대한 생물학적인 특성을 확인하여 인증토록 함으로써 가장 안전하게 전자화폐의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한 방법
  • 청구항 1항과 관련하여, 제시된 인증의 수단 즉 지문, 음성, 동공, 홍체, 안면골격, 혈중성분, DNA 등은 복사의 가능성과 강제에 의한 생물학적 특성의 입력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 할 수 없는 바, 그러한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하여,
    가) 지문을 인증의 수단으로 할 경우 검지 장치에 부가하여 체온이 일정 한도 내에 있는가를 확인하는 장치 상비해둠으로써 복사에 의한 인증을 방지하는 수단을 만들어 둔 방법과,
    나) 음성을 인증의 수단으로 사용할 경우 입력된 성문을 미리 준비된 성문과 비교하는 방법에 부가하여 입력된 음성이 미리 준비된 음성과 같은 패턴과 특성으로 요구된 문자(이름, 계좌번호 등)를 발음하고 있는가를 확인하는 방법을 통하여 음성의 복사에 의한 인증을 방지하도록 한 방법과,
    다) 나)항과 관련하여 반드시 해당 날짜를 음성으로 입력하도록 하고 이때 미리 저장이 되어 있는 성문과 입력된 음성의 성문이 같고 해당 날짜가 맞아야 인증이 되도록 한 방법과,
    라) 이상의 방법에 의한 확인이 모두 충족이 되어야만 인증되도록 한 방법과,
    마) 청구항 1항의 여러 인증 수단들이 하나로 사용이 되는 것이 아니라 두 가지로 사용되도록 하여 부당한 방법에 의한 인증을 차단토록 한 방법을 통하여,
    가장 안전한 전자화폐의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한 방법
  • 청구항 1항과 관련하여 각각의 생물학적 특성의 인증을 위한 장치에 검지의 수단을 부가하는 비경제적인 방법을 지양하고 미리 서버와 연결이 되어 있는 DB를 만들어 두고, 그 DB에 가입자들의 생물학적인 특성을 입력하여 둠으로써 가입자들이 인증을 원할 때 PC, 이동통신단말기, 유선전화, 전용단말기 등 생물학적인 특성을 전달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통하여 자신의 생물학적인 특성을 입력하였을 경우 인증이 되도록 편리한 전자화폐 거래의 인증방법을 구현한 방법
  • 전자화폐의 거래에 있어 거래 당사자의 생물학적인 특성이 인증의 수단뿐만이 아니라 그 자체가 마치 신용카드나 혹은 통장과 같은 역할을 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만듦으로써 분실이나 혹은 강제적인 찬탈에 의한 자금의 유실이 불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가장 편리한 전자화폐의 거래 방법을 만든 수단 및 절차
  • 청구항 4항과 관련하여 4항의 사항은 on-line과 off-line에서 모두 거래가 가능한 바, 즉 인터넷이나 혹은 전산망을 통한 거래는 물론 전용단말기, PC가 상비된 상점 등에서도 거래가 가능하고 또 이동통신단말기나 유선전화를 통하여서도 거래가 가능한 바, 이와 같은 거래가 가능하도록 만든 시스템을 구축한 수단 및 절차
  • 청구항 5항과 관련하여, PC를 사용할 경우
    가) 해당 PC에 전용브라우저를 설치 되도록 하고,
    나) 그 전용브라우저를 통한 인증과 적립과 결제가 가능하도록 하고,
    다) 서버의 푸쉬에 의해 거래 내역이 전용브라우저에 나타나도록 하는 방법을 통하여,
    인터넷에 있어서 가장 효율적인 전자화폐의 거래 시스템을 만든 방법
  • 청구항 5항과 관련하여,
    가) off-line에서 전자화폐의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일반인들이 자유롭게 자금을 인출하거나 이체하거나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EMCDS ATM을 만들어 두고,
    나) 그 EMCDS ATM에 생물학적인 특성을 검지하는 수단과 거래에 필요한 처치를 하는 장치들을 만들어 두고 서버에 접속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수단 등을 만들어 두어 off-line에서도 전자화폐의 거래가 가능하도록 만든 방법
  • 청구항 5항과 관련하여,
    가) 이동통신망의 문자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표시 수단이 본 발명의 거래의 표시 수단이 되도록 하고,
    나) 이동통신망의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표시 수단이 본 발명의 거래의 표시 수단이 되도록 하고,
    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종 조작키가 본 발명의 거래에 필요한 처치의 수단이 되도록 하고,
    라) 이동통신 시스템의 음성신호 송신 및 수신의 방법이 본 발명의 거래에서 필요한 인증을 위한 수단이 되도록 하고,
    마) 라)항의 수단이 본 발명의 거래를 확인 하는 수단이 되도록 한 방법을 통하여,
    이동통신망이 전자화폐의 거래의 수단이 되도록 한 방법
  • 청구항 5항과 관련하여,
    가) 유선전화의 조작키가 본 발명의 거래에 필요한 처치를 수행하는 수단이 되도록 하고,
    나) 유선전화의 송수신 시스템이 본 발명의 거래에 필요한 인증의 수단이 되도록 하고,
    다) 유선전화의 송수신 시스템이 본 발명의 거래를 확인하는 수단이 되도록 한 방법을 통하여,
    유선전화망이 전자화폐의 거래의 수단이 될 수 있도록 한 방법
  • 청구항 6항과 관련하여 PC를 통한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모든 절차 및 설계
  • 청구항 7항과 관련하여 EMCDS ATM를 통한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모든 절차 및 설계
  • 청구항 8항과 관련하여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모든 절차 및 설계
  • 청구항 9항과 관련하여 유선전화를 통한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모든 절차 및 설계
  • 청구항 8항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의한 거래에 이미 특허가 청구된 '복수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일 기저 확인 시스템(접수번호 1-1-99-5255516-43, 출원일자 1999.07.13)이 부가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바, 그와 관련된 절차 및 설계
  • 본 발명은 기존의 금융기관 및 신용카드 회사들의 온라인 시스템과 연결이 되어 구현될 수 있는 바 그와 관련된 수단 및 절차
  • 본 발명은 전자상거래와 관련하여 기존의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점들의 시스템과 연결이 되어 구현이 될 수 있는 바 그와 관련된 수단 및 절차
  • 전자상거래에서 자금의 적립과 이체와 결제를 함에 있어 각각의 금융기관이나 전자상거래 상점들 간의 자금거래를 통합적으로 운용하는 방법에 관하여,
    가) 본 발명의 WAITING 시스템이 모든 금융기관 및 전자상거래 상점이 예치하고 있거나 혹은 이체받은 자금의 사용권을 대기 시켜두는 장치가 되도록 하고,
    나) 모든 금융기관과 전자상거래 상점의 시스템을 본 발명의 시스템에 연결하여 두고,
    다) 본 발명의 시스템이 각각의 금융기관 및 전자상거래 상점과 고객간의 거래에 있어 관문(GATEWAY)으로 작용되도록 하고,
    라) 본 발명의 시스템이 다)항의 거래에 있어 청산시스템(클리어 시스템)이 되도록 하고
    마) 본 발명의 시스템이 금융기관의 역할을 하지 아니하고 다만 거래를 인증하는 수단이 되도록 하고,
    바) 본 발명의 시스템이 각각의 기관들이 처리하여야 할 회계상의 입금과 출금 수치를 상쇄해주는 기능을 하도록 하는 방법을 통하여,
    전자상거래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배가시킴은 물론 모든 금융기관 및 전자상거래 관련 상점들간의 거래가 통합적으로 운용이 되도록 한 방법
  • 인터넷 및 비인터넷상의 모든 거래가 통합적으로 운용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가) 인터넷과 비인터넷을 연결하는 EMCDS 서비스 센터를 상비해두고
    나) 인터넷과 비인터넷으로 들어오는 인증에 대한 모든 요청을 처리하는 인증센터를 상비해두고,
    다) 인터넷과 비인터넷을 통하여 들어오는 거래 요청을 처리하는 적립센터를 상비해두고
    라) 인터넷상의 모든 거래 관련 서버들이 본 발명의 시스템과 연결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접속을 하는 비인터넷상의 모든 거래 관련 요청들이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하여 해당 관련 서버들에 전달이 되도록 하는 방법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한 거래가 인터넷과 비인터넷을 가리지 않고 자유롭게, 제한없이 통합적으로 운용이 될 수 있도록 한 모든 절차와 수단 및 방법
  • 고객의 개인 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밀번호에 의한 인증을 지양하고 고객의 신용에 관련한 정보 및 개인 정보가 본 발명의 시스템에 기록·저장되지 않도록 하고, 즉 1차 예치기관인 금융기관이나 신용카드회사들에 고객의 신용에 대한 정보 및 개인 정보가 머무르게 하고 또한 신용에 관한 정보 및 개인 정보를 요구하는 온라인상의 상점들의 요구가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한 결재로써 불필요하도록 만든 방법을 통하여 고객의 정보의 유출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도록 한 방법
  • 온라인상의 거래에 있어 거래 후에 발생하는 분쟁을 방지하는 방법에 관련하여,
    가)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자상거래를 하고자 하는 전자상거래 상점들을 인증하는 제도를 만들고,
    나) 가)항에 관련된 전자상거래 상점들이 고객이 거래에 하자가 있음을 밝힐 경우 그에 대한 조치(대금 반환 및 배상)를 하도록 하는 약정을 만들어 두고,
    다) WAITING 시스템을 두어 나)항에 대한 안전책을 준비해두는 방법을 통하여
    온라인상의 거래에 있어 발생할 수 있는 분쟁을 미연에 방지하거나 또는 사후 처리가 가능하도록 만든 방법
  •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한 거래가 보다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의 비용이 스폰서 광고에 의해 지불이 되도록 서버의 푸쉬에 의한 광고와 배너 광고를 채택하고,
    나) 가)항의 광고들이 가장 효율적으로 분류한 방법과 자동으로 입력이 되도록 한 방법과,
    다) 저장이 되도록 한 방법과 ,
    라) 배분이 되어 사용이 되도록 한 방법에 대한,
    모든 절차와 수단
  •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과 관련하여 전자화폐의 거래에 필요한 고객의 정보와 계좌에 대한 정보와 거래에 관련된 정보가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한 방법
  • 본 발명의 시스템과 관련하여 제안된 가장 바람직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모델를 구성한 방법
  • 음성신호의 효율적인 검증방법과 관련하여 전체의 패턴을 인식토록 하고, 각 부분의 패턴을 인식토록 하고, 각 부분의 특이점을 인식토록 하고, 이렇게 인식된 음성신호가 표준의 음성신호에 대해 근사값을 가질 경우 인증을 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성문에 의한 인증방법만을 사용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비효율성과 오류의 가능성을 현저하게 약화시킨 가장 안전하고 경제적인 검증방법을 제시한 방법
  • 본 발명의 실시와 관련하여,
    가) 계좌를 개설하는 과정의 절차 및 방법에 대한 설계와,
    나) 자금을 적립하는 과정의 절차 및 방법에 대한 설계와,
    다) 이체 및 결제를 하는 과정에 대한 절차 및 방법에 대한 설계와,
    라) 거래를 확인(이용자에 의한 확인과 본 발명의 시스템의 자동 통보에 의한 확인)하는 과정의 절차 및 방법에 대한 설계
  • 说明书全文

    생물학적 특성을 이용한 인증방법을 통한 전자화폐의 인증 적립 결제 시스템과 전자상거래 클리어 시스템{Electronic money certification, deposit, sanction system using an authenticating method employing biological traits and electronic commerce clear system}

    본 발명은 인터넷-PC NETWORK를 이용하여 전자화폐를 만들고 그것을 적립하여 두는 시스템과 그 결제를 해주는 시스템, 그리고 그와 같은 과정을 인증하여 주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방법에서 해결하지 못하였던 몇 가지의 중요한 요건을 해결함으로써 앞으로 더욱 규모와 역할이 커져갈 전자상거래시장에서 가장 안정적이며 효율성이 높은 전자 화폐의 거래 모델을 만들고자 한다.

    지금까지 전자 화폐의 거래에서 지속적으로 문제가 되어 왔던 사항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 완벽하게 안전한 인증방법이 있는가?

    2. ID나 PASSWORD가 도용 당할 위험은 없는가?

    3. on-line 상의 거래와 off-line 상의 거래가 유기적이고 통합적으로 운용이 되는가?

    4. 고객의 개인정보가 유출되지는 않는가.

    5. 거래가 완료된 후 사후에 거래에 하자가 발생할 경우 처리 방법이 있는가?

    6. on-line 상에서 거래를 하는, 금융기관 및 인터넷 상점들의 전자상거래에 통합 시스템이 존재하는가?

    상기의 문제점들을 완전히 해결하는 방법은 지금 현재로서는 제기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들을 고안하여 전자상거래에 적용을 시키고자한다.

    1. 어떤 방법으로도 침해되지 않는 인증방법을 만들기 위하여 고객의 경우 생물학적 특성(목소리, 지문, 동공, 홍체, 안면골격, DNA, 근적외선 측정에 의한 혈중성분 농도 측정 등)을 인증방법의 조건으로 사용한다. 회사(또는 인터넷 상점)의 경우에는 사전에 본 발명의 실시를 구현하는 EMCDS의 인증서를 교부 받아야 한다.

    2. 상점(혹은 회사)의 경우에는 WAITING 시스템을 적용한다. 이 WAITING 시스템은 다른 말로는 A leaving unredeemed 제도 또는 A fixed deposit 제도라고 말할 수 있는데. 이것은 본 발명의 실시를 구현하는 EMCDS 센터에 계좌를 개설해 두어야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제도로서 만약 하자가 발생을 할 경우에는 해당 상점(또는 회사)은 약정에 의해 문제가 된 거래대금을 반환해야 한다.

    3. ID나 PASSWORD를 사용하기는 하지만 그것만으로 거래가 이루어지지는 않도록 한다. 반드시 고객의 생물학적 특성이 확인되어야 거래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 보다 편리하게는 PASSWORD를 없애고 고객의 생물학적인 특성으로 그것을 대신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고객은 자신의 성명(ID)을 대고 자신의 생물학적 특성을 절차에 따라 검지 수단을 통하여 입력을 시키면 된다.

    4. on-line과 off-line에서 모두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본 발명은 on-line이나 off-line에서의 기존의 수단들, 즉 전자머니가 저장이 된 전자카드라든가 머니CD, 신용카드, 현금카드, 통장 등을 대체할 수 있는 수단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 방법은 앞서 밝힌 바가 있는 고객의 생물학적인 특성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고객의 목소리를 인증의 수단으로 할 경우 고객의 목소리는 인증의 수단이기도 하지만 마치 전자카드나 혹은 신용카드, 통장 등과 같은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신용카드나 통장은 그것 자체가 현금(또는 사용할 수 있는 신용)인 것이 아니라 현금(또는 신용)이 정해진 어떤 곳, 즉 은행이나 신용카드회사에 적립이 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또한 그것 자체가 인증의 수단인 바, 고객의 목소리 역시 마찬가지로 두 가지의 수단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고객이 본 발명의 실시를 구현하는 EMCDS에 일정한 금액을 적립하고 있을 경우 고객은 자신의 목소리로 자신이 EMCDS에 일정한 금액을 적립하고 있음을 증명할 수 있고 아무런 물질적인 수단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적립된 적립금을 사용할 수 있다. 곧 고객은 on-line의 거래에서 자신의 목소리로 EMCDS의 인증을 받아 전자 상거래를 할 수 있으며, 또한 off-line에서도 (물론 검지 수단이 상비된 곳이라는 전제하에) 상점이나 은행 또는 EMCDS ATM에서 물건을 사거나 돈을 인출하거나 할 수 있다. 고객의 생물학적 수단을 인증방법 및 거래의 매개체로 사용한다면 on-line과 off-line의 경계는 실질적으로 거의 존재하지 않게 된다.

    5. 본 발명의 시스템은 고객의 개인 정보를 요구하지 않는다. 사실 현재 고객의 입장에서 대단히 불쾌하고 또 상당한 정도의 피해를 볼 요인이 되는 것이 바로 고객의 개인 정보의 유출이다. 금융기관들이 고객에 대한 개인 정보를 필요로 하게 된 것은 만약에 있을 수도 있는 금융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특히 신용카드사의 경우는 고객에 대한 정보는 필수 불가결하다. 하지만 만약 고객이 일정한 금액을 이미 예치하고 있고 그렇게 예치된 한도 내에서 자금을 인출하여 사용을 한다면 세금 부가의 문제만 제외한다면 금융기관이 사실상 고객에 대한 세세한 정보를 반드시 알아야 할 필요는 없다. 그 예가 바로 스위스 은행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구현하는 EMCDS는 금융기관이 아니라, WAITING 시스템(또는 A leaving unredeemed system 또는 A fixed deposit system)이다. 따라서 EMCDS는 여러 금융기관이 가지고 있는 고객의 예금을 일시적으로 전자회로상에 대기 시켜둘 뿐 어떤 금융적인 사업도 하지 않는다. 즉, 예치금에 대한 대부나, 예치금에 의한 2차적인 신용거래, 이자 지불 따위의 업무를 하지 않는다. 물론 전자회로상에 대기시켜둔 고객의 예치금에도 분명히 이자가 발생한다. 하지만 이것은 1차적으로 예금을 받은 금융기관들이 지불하는 것으로 EMCDS는 그것을 중계할 뿐이다(또는 EMCDS의 적립금이 예치된 은행이 고객에게 이자를 지급한다). 따라서 고객에 대한 자세한 개인 정보는 1차 예치 기관인 금융기관에 기록이 될 뿐 EMCDS는 고객에 대한 개인정보를 기록하지 않는다. EMCDS는 고객의 성명과 고객의 생물학적인 특성 그리고 고객이 적립한 전자화폐에 대한 DB만을 관리할 뿐이다. 이로써 고객은 전자상거래에서 물건을 살 경우 생물학적 특성으로 EMCDS에 인증을 받고 자신의 적립금을 자신의 전자계좌에서 상대편의 전자계좌로 이체시키기만 하면 된다. 어떤 개인 정보도 입력을 할 필요가 없다.

    6. 전자상거래에서 거래 사고의 대부분은 범의가 없는 고객에 의해 발생한다기보다는 인터넷 상점에 의해 발생을 한다. 왜냐하면 인터넷 상점은 얼마든지 고객을 속일 수단을 사실상 가지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인터넷상점이 on-line상에 화상으로 상품을 표시하여 놓은 경우 고객이 그 화상을 확인하고 그 상품을 사려한다면 고객은 신용카드 번호와 고객의 정보를 입력하고 자신의 신용이 해당 인터넷 상점으로 이체가 됨을 승인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행위는 사실상 고객의 돈이 해당 인터넷 상점에 건네진 것과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고객은 off-line상에서 해당 상품을 확인하기 전까지는 자신이 지불한 돈에 상응하는 가치가 자신에게 전해진 것인지를 확인할 방법이 전혀 없다. 다행이 고객이 원한 정도의 가치를 가진 상품이 고객에게 전달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상품에 문제가 있을 수도 있으며, 아예 상품이 전해지지 않을 수도 있다. 또 다른 문제로는 타인이 고객의 신용카드 번호와 고객의 개인정보를 알아내어 무단으로 사용하는 불상사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인터넷 상점은 그 사실을 확인할 방법이 없다. 이때에는 책임 소재조차 분명치가 않다. 물론 해당 고객은 전혀 책임이 없다. 하지만 피해는 고스란히 해당 고객이 지게 된다. 피해를 막을 방법이 사실상 없는 것이다. 고객이 피해를 보지 않으려면 고객은 자신이 그와 같은 거래를 한 바가 없다는 것을 증명하여야 하는데 그것은 쉽지 않다. 본 발명에 의한 거래에는 그와 같은 문제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원천적으로 타인이 다른 사람의 적립금을 대신 사용할 수가 없다. 인증을 받아야 하는데 인증방법이 해당 고객의 생물학적 특성이므로 어떤 방법을 사용하여도 그것은 거의 불가능하다(물론 완전히 불가능하지는 않다. 하지만 불가능하도록 하는 여러 가지의 수단을 본 EMCDS 시스템은 상비를 해두고 있다). 물론 본 EMCDS 의 인증 방법으로도 인터넷 상점의 부당한 행위(하자 상품 판매, 사기 매매, 허위 매매)를 막을 수는 없다. 이와 같은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EMCDS 시스템은 거래상점인증제를 두고자 한다. 이와 같은 거래상점인증제의 핵심은 대고객에 대해 문제가 있을 시에 배상 책임을 진다는 약정을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고객은 본 EMCDS에서 인증을 받은 거래상점과 거래를 할 경우 안심을 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를 구현하는 EMCDS 시스템의 WAITING 시스템 역시 대고객 배상책임의 안전판 역할을 한다. 왜냐하면 고객이 이체시킨 고객의 전자화폐는 거래 상점의 은행 계좌나 혹은 금고로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EMCDS 내에 있는 해당 거래상점의 EMCDS 계좌로 이체가 된다. 따라서 본 EMCDS가 물품 거래에 관하여 일정한 기간(고객이 상품을 확인할 수 있는 정도의) 동안 해당 거래 대금의 인출이 지연이 되도록 하는 방법을 채택할 경우 거래 사고에 의한 고객과 거래 상점과의 분쟁 확률은 상당 정도로 낮아질 수 있다. 대금 지불이 지연이 되고 있으므로 고객은 자신에게 배달이 된 상품이 문제가 있을 경우 자신이 이체시킨 대금의 완전한 지불(인출)을 정지시켜달라는 요청을 하여 대금을 반환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EMCDS의 WAITING 시스템이 거래대금 인출을 지연하는 방법을 채택하지 않는다 해도 문제를 발생시킨 거래 상점에게 책임을 물을 방법은 또 있다. 그것은 본 발명의 EMCDS가 문제가 있을 경우 책임을 진다는 약정을 거래 상점들에게 받아 놓았기 때문에 상점들은 문제가 발생을 하고 책임을 져야 할 경우에는 법률적인 책임을 질 수밖에 없다. 만약 책임을 지지 않는다면 법률적인 처벌과 함께 거래 중지가 된다. 이와 같은 EMCDS의 거래 시스템에 대해 정부의 보증이 있게 된다면 현재 발생하고 있는 전자상거래상의 분쟁들이나 불법 행위들은 상당부분 감소하게 될 것이다.

    7. EMCDS는 모든 거래 행위의 최상위에 존재하는 통합적 시스템이라기보다는 각종 거래 시스템들이 안전하게 운용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관문(GATEWAY)이다. 즉 각기 다른 체계와 방법을 가진 거래 시스템을 연결하는 수단이다. 통합 시스템은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전자상거래의 수단으로써의 통합 시스템이라는 것은 off-line 상의 의미처럼 최상위 시스템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일테면 전자상거래에 있어 통합시스템은 이동통신망에서 각기 다른 신호체계 및 운용 방법을 가진 각각의 이동통신회사들의 통신 시스템을 연결하는 외부연결 교환기(GATEWAY MSC)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 현재 전자상거래에서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기구는 없다. 각자 개별적으로 거래를 할뿐이다. 따라서 책임의 소재도 분명치 않고 투명한 거래는 완전히 불가능에 가깝다. 향후 전자상거래가 세계 자본 시장의 거래와 일반인들의 일상적인 상행위 모두에 있어 가장 중요한 수단이 되기 위해서는 투명한 거래의 방법은 반드시 모색이 되어야 한다. 이는 과세를 위한 것이 아니라 전자상거래가 공동체의 안녕을 해치는 수단으로 악용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EMCDS 시스템은 투명한 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조건으로 작용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EMCDS 시스템이 고객의 적립금에 대해 어떤 정보도 요구치 않는 것은 본 발명의 시스템이 일종의 관문(GATEWAY) 역할을 하기 때문이지 스위스 은행처럼 고객의 불법적인 자금을 은폐하는 수단의 역할을 하기 위함이 아니다. 본 발명의 관문적인 성격은 전자상거래를 보다 활성화시키는 긍정적인 작용을 하기 위한 것이다. 또 본 EMCDS는 국제금융거래에서 각기 다른 나라에 있는 금융기관간의 거래(회사들간의 거래도 금융기관을 통하여 이루어진다)를 인증하여 주는 유로클리어사 같은 역할을 전자상거래가 이루어지는 전자네트워크에서 할 수 있다. 주지하다시피 국제금융거래에 있어 유로클리어사는 은행간의 글로백스 시스템에 의한 전자 거래나 또는 로이터 통신망을 통한 전자 거래를 인증함으로써 국제 금융 거래에 있어 발생할 수 있는 금융사고를 방지하고 또 국제 금융기관간의 효율적인 신용거래를 가능하게 역할을 담당한다. 또 유로 클리어사의 인증 업무는 사실상 국제금융거래에서 신용거래에 의해 발생하는 중복이 되거나 불필요한 회계 과정을 상쇄해주는 기능을 하기도 한다. 즉 각각의 금융기관들간의 수신 회계 수치와 발신 회계 수치를 통합적으로 처리를 하여 그 차액만이 최종적으로 처리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EMCDS 역시 상기에 언급한 것과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다. 그렇다면 EMCDS는 정부가 관할해야하는 것은 아닐까하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유로클리어사나 혹은 글로백스를 관장하는 CME나 모두 정부가 관장하는 기구는 아니다. 즉 국경 없이 이루어지는 거래를 인증하고 또 회계를 상쇄시키는 기구가 어느 한 국가의 정부기관에 의해 관장될 수는 없다. 결국 민간기구가 맡을 수밖에 없다. 이러한 성격의 기구는 주로 서구의 민간기구가 맡아 왔지만 만약 본 EMCDS가 아시아권에서 전자상거래의 안전과 효율성을 높이는 최적의 시스템이 된다면 본 EMCDS는 규모와 역할이 향후 계속해서 커져갈 세계 전자상거래시장의 회계 인증 및 청산 시스템이 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화폐 인증적립결제시스템(EMCDS SYSTEM)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EMCDS 시스템에 의한 전자 거래의 개념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본 발명의 EMCDS 시스템의 이용방법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4는 고정통신망을 이용한 본 발명의 EMCDS 시스템의 이용방법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5는 인터넷망을 이용한 본 발명의 EMCDS 시스템의 이용방법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EMCDS 응용프로그램이 내재되어 있는 PC의 외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EMCDS ATM의 외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EMCDS 응용프로그램이 내재되어 있는 PC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있어 EMCDS 시스템에 고객의 생물학적인 특성을 입력시키는 과정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있어 EMCDS 시스템에 고객의 생물학적인 특성을 입력시키는 과정에 대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은 EMCDS 시스템에 의한 ATM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고객의 생물학적 특성 인지처리부의 내부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이 구현되는 EMCDS 전용브라우저의 외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이 구현이 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EMCDS 시스템의 전체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EMCDS 시스템에서 회원 가입 및 응용프로그램 설치 단계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EMVDS 사이트에 대한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EMCDS 회원 가입 신청화면이다.

    도 19는 EMCDS 회원의 생물학적인 특성을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EMCDS 서비스 가입완료 화면이다.

    도 21은 EMCDS 스폰서 광고주 가입 신청 화면이다.

    도 22는 EMCDS 스폰서 광고 등록 신청 화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있어 EMCDS 시스템에 고객의 계좌를 개설하는 과정에 대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 화폐 적립 플로우차트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전자 거래 플로우차트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전자 거래 플로우차트이다.

    도 27은 EMCDS 시스템에서 EMCDS 서버의 푸쉬에 의한 서비스의 순서도이다.

    도 28은 EMCDS 시스템의 스폰서 광고 데이터베이스화에 대한 상세한 흐름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EMCDS 서버 내에 기록·저장되는 고객의 데이터 베이스 구성도이다.

    도 30은 EMCDS DB 데이터베이스 관리 모델을 예시한 것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신호 비교의 예이다.

    본 발명에 대한 세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우선 완벽한 인증방법으로 고객의 생물학적인 특성을 이용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현재 이용 가능한 생물학적인 특성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 지문

    2. 목소리

    3. 동공

    4. 홍체

    5. 안면골격 형태

    7. DNA

    8. 혈중성분

    이와 같은 생물학적인 특성을 어떤 특정 자연인에 대한 인증 조건으로 할 수 있음은 이미 과학적으로 증명이 되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생물학적인 특성을 인증 방법에 어떻게 적용을 시킬 것인가, 또 만약에 있을지도 모르는 오류 또는 고의적인 사고를 어떻게 방지할 것인가가 생물학적 특성을 전자상거래에 있어 고객을 인증하는 방법으로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핵심적인 사항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핵심적인 사항을 다루고자 한다.

    우선 지문을 인증방법으로 택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지문을 인식하는 기술은 이미 증명이 되었으므로 생략한다. 지금 현재 지문을 복사하여 타인이 어떤 자연인에 대한 인증을 대리하는 수단은 발견이 되지 않았다. 하지만 그것이 완전히 불가능하다는 것 역시 증명이 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지문의 복제가 가능하다는 전제하에 그것을 막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ID와 PASSWORD와 지문이 미리 EMCDS DB에 준비되어 있다는 전제하에,

    1. ID를 요구한다(확인한다).

    2. PASSWORD를 요구한다(확인한다).

    3. 지문을 요구한다(검지장치가 지문을 인식한다)

    4. 손가락의 체온이 일정한 한도 내에 있는가를 검지장치가 확인한다.

    5. 앞의 사항이 충족되면 인증을 한다.

    충족되지 않으면 재차 앞의 사항을 요구하고 그래도 충족되지 않으면 인증을 거부한다.

    이때 2항은 편리를 위해 생략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4항은 모든 검지장치에 원천적으로 장착이 되어 있어 복제된 지문이 사용이 될 경우에 그것을 원천적으로 거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지문에 의한 인증 방법은 또 다른 생물학적 특성을 이용한 인증 방법과 함께 사용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목소리에 의한 인증 방법이 지문에 의한 인증 방법과 함께 사용이 될 수도 있는데 이렇게 되면 타인에 의한 인증 도용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게 된다.

    목소리에 의한 인증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목소리를 인식하는 방법은 이미 과학적으로 증명이 되었음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지금 현재 목소리를 복사하는 것은 얼마든지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목소리를 인증 방법으로 택하는데 있어 타인에 의한 대리가 불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을 채택하고자 한다.

    ID와 PASSWORD와 일정한 패턴의 목소리가 EMCDS의 DB에 준비가 되어 있다는 전제하에,

    1. ID를 요구한다(확인한다).

    2. PASSWORD를 요구한다(확인한다).

    3. 목소리를 요구한다(준비된 목소리와 동일한 목소리인지를 확인한다).

    1) 성함을 말씀해주십시오.

    2) 계좌번호를 말씀하여 주십시오.

    3) 오늘 날짜를 말씀하여 주십시오.

    4. 이상의 사항이 충족이 되면 인증을 한다.

    이때 편리를 위해 2항은 생략이 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1항과 3항만으로도 충분히 타인에 의한 인증 대리를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 이유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목소리를 인증의 수단으로 택함에 있어 기존의 음성인식 기술만을 사용하지 않고 적극적인 인증의 방법을 추가적으로 택하고 있다. 그것은 도 31에 자세히 설명이 되어 있다. 본 발명은 1차적으로 검지장치에 입력된 입력자의 목소리 신호가 미리 입력된 표준 신호와 동일한 성문을 가지고 있는가를 우선 판별하고 2차적으로 입력된 신호가 표준신호와 전체적으로 동일한 패턴으로 발음이 되고 있는가, 액센트의 위치가 동일한가, 발음의 특이성이 동일한가 등을 판별한다. 이때 근사값을 가져야만 인증이 된다. 1)항 2)항 3)항은 모두 1차 판별 기준에 의해 검증이 되며 1)항과 2)항은 다시 2차 판별 기준에 의해 검증이 되고 3)항은 해당 날짜를 명확히 입력해야만 검증이 된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타인이 인증을 대리할 방법은 전혀 없다. 녹음이 된 경우는 신호의 차이를 판별하여 녹음된 신호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 녹음의 경우에는 3)항을 충족시키기가 그리 쉽지 않고 또 1)항과 2)항의 경우에도 해당 자연인이 기억하고 있는 패턴으로 발음이 되어야만 해당 자연인이 완전하게 협력을 하지 않는 한 녹음에 의한 인증은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타인이 범의를 가지고 어떤 자연인의 계좌에서 돈을 인출하려면 해당 자연인을 검지장치 앞에 데려와야 하고 적극적인 협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동공이나 홍체에 의한 인증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동공 및 홍체를 어떤 특정인을 인증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은 이미 과학적으로 검증이 된 사항임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ID와 PASSWORD와 동공 및 홍체의 패턴에 관한 정보가 EMCDS의 DB에 준비가 되어 있다는 전제하에,

    1. ID를 요구한다(확인한다).

    2. PASSWORD를 요구한다(확인한다).

    3. 동공 및 홍체를 검지한다(확인한다).

    4. 정상적인 검지 상태인지를 확인한다.

    5. 이상의 사항이 충족이 되면 인증을 한다.

    이때도 역시 2항의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4항은 동공이나 홍체를 검지하는데 있어 파라미터 변수들, 즉 동공의 주름상태나 홍체의 수축 및 이완의 형태 등이 일반적으로 동작을 하고 있는가 등을 확인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3항의 과정이 두 번 반복이 될 경우 4항에 의해 확인이 된 상태는 미세한 차이가 있어야 한다. 만약 미세한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정상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EMCDS는 이 경우 인증을 거부한다.

    안면골격 형태를 이용한 인증의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안면골격의 형태가 특정인을 확인하는 요소가 될 수 있음은 이미 과학적으로 증명이 되었음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ID와 PASSWORD와 안면골격의 형태에 관한 정보가 EMCDS의 DB에 준비가 되어 있다는 전제하에,

    1. ID를 요구한다(확인한다).

    2. PASSWORD를 요구한다(확인한다).

    3. 안면골격의 형태를 검지한다(확인한다).

    4. 정상적인 검지 상태인지를 확인한다.

    5. 이상의 사항이 충족이 되면 인증을 한다.

    이때 역시 2항의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4항의 과정은 안면골격이 3항에 의해 두 번 반복해서 측정이 될 때에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미세한 차이점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DNA에 의한 인증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NA가 특정인을 확인하는 수단이 될 수 있음은 이미 과학적으로 증명이 된 사항임으로 설명은 생략한다.

    ID와 PASSWORD와 특정인의 DNA에 관한 정보가 EMCDS의 DB에 준비가 되어 있다는 전제하에,

    1. ID를 요구한다(확인한다).

    2. PASSWORD를 요구한다(확인한다).

    3. DNA 정보를 읽는다(확인한다).

    4. 정상적인 검지 상태임을 확인한다.

    5. 이상의 사항이 충족이 되면 인증을 한다,

    이때 역시 2항의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3항의 과정은 DNA 정보를 읽을 수 있는 적절한 장치가 사용이 될 것이다. 또 4항의 과정은 DNA 정보를 제공하는 대상자가 생물학적으로 일반적인 동작을 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그밖에 근적외선 검지기에 의한 혈중성분농도무혈측정에 의해 특정인을 인증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 경우에 측정이 되는 것은 혈액 속에 있는 물의 양과 글루코오스의 양, 헤모글로빈의 양, 콜레스테롤의 양, 혈청알부민의 양, 알코올의 양, 그리고 피부와 지방과 근육의 상태 등이다. 그런데 주지하다시피 이와 같은 성분들은 대상자가 어떤 생물학적인 상태에 있느냐에 따라 그 측정치가 매번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피부와 지방과 근육의 상태를 제외하고는 근적외선을 이용한 혈중성분농도무혈측정기에 의한 다른 성분의 측정치는 특정인을 인증하는 수단으로 사용이 되기 곤란하다. 또 피부와 지방과 근육의 상태 역시 장기간에 걸쳐서는 항상 똑같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므로 피부와 지방과 근육의 상태를 특정인을 인증하는 수단으로 사용을 하려면 해당 특정인이 계속적으로 인증 확인 절차를 받는다는 전제하에 상태의 변화에 의한 오차가 계속적으로 수정이 되어야 한다. 하지만 근적외선을 이용한 혈중성분농도무혈측정기는 그 성능이 높아지게 되면 특정인의 DNA나 그밖에 변화가 없는 고착적인 생물학적 정보를 측정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내용이 적용이 되는 본 발명의 수단 및 방법을 도면을 통해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화폐 인증 적립 결제 시스템(EMCDS SYSTEM)의 구성도이다. 도면에 잘 나타나 있듯이 본 발명의 EMCDS는 on-line과 off-line에서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우선 인터넷상에서는 EMCDS인증센터(12) 서버(12)가 준비되고 또 EMCDS적립센터(15)의 서버(16) 역시 준비가 되며 이 두 개의 서버는 병렬로 연결이 되어 작동이 된다. 그리고 EMCDS인증센터의 서버 내에는 EMCDS인증회원의 정보 DB(13)와 EMCDS인증내용 DB(14)가 준비되는데 이중 EMCDS인증회원 정보는 EMCDS인증회원에 대한 일반 정보를, EMCDS인증내용은 회원들의 생물학적 특성에 대한 정보 등이 저장이 된다. 또 EMCDS적립센터의 서버에는 EMCDS적립금 DB(17)와 EMCDS광고 DB(18)이 준비되는데 EMCDS적립금 DB는 회원들이 적립한 전자화폐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이며, EMCDS광고 DB는 본 발명의 EMCDS 시스템에서 사용되어지는 광고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이 되는데 이 EMCDS광고 DB는 EMCDS인증회원정보와 연계가 되어 회원들의 EMCDS전용브라우저에 광고를 푸쉬하고 광고에 대한 수수료를 회원의 계좌에 캐쉬백을 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은 EMCDS서비스센터(11)는 인터넷(15)을 통하여 인터넷 상점과 금융기관과 연결이 되며, 또 은행의 현금인출기처럼 설치되어 있는 EMCDS ATM과도 연결이 되고 인터넷에 접속을 하는 PC와도 연결이 된다. 이때 PC는 EMCDS의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되어 도 11에 표시된 것과 같은 EMCDS 전용 브라우저가 있어야 한다. 어쨌든 클라이언트는 금융기관이나 EMCDS ATM이나 PC를 통하여 본 발명의 EMCDS 시스템에 접속을 하여 인증을 받을 수 있으며 자유롭게 전자화폐를 적립하고 이체하고 결제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EMCDS 시스템은 비인터넷 환경에서도 작동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EMCDS 시스템은 이동통신망이나 고정통신망(29)과 연결이 되어 핸드폰(27)이나 혹은 유선전화로(29)도 전자상거래를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 경우에는 목소리를 통한 인증방법이 사용되게 되며 차후에 유선전화나 이동통신단말기가 다른 생물학적인 특성을 검지하는 수단을 갖추게 될 경우에는 다른 인증방법 역시 가능하다. 비인터넷 환경 즉 유선전화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전자상거래를 할 경우에는 물론 현금의 인출은 불가능하겠지만 사용자의 전자계좌에서 다른 사람의 전자계좌(상인)로 이체는 얼마든지 가능하기 때문에 소비자와 판매자가 본 발명의 EMCDS 전자 계좌를 가지고 있으면 off-line상의 어떠한 거래에도 본 발명의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소비자는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이체 사실을 확인할 수 있고 또 판매자가 가지고 있는 본 EMCDS 시스템의 접속 수단을 통하여서도 이체 사실을 확인 할 수 있다. 판매자는 자신의 PC나 혹은 유선전화 또는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신용카드 승인기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 전용 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자신의 계좌에 소비자의 전자화폐가 입금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on-line이나 off-line이나 상관이 없이 앞으로는 EMCDS에 계좌를 가지고 있기만 하면 모든 거래가, 현금이나 카드나 혹은 직불카드나 혹은 전자머니카드, 전자머니가 적림이 된 CD 등의 수단이 없이도 가능하게 된다. 즉 그야말로 아무런 수단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모든 거래가 가능한 세계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물론 현실적인 이유로 해서 당분간은 앞서 밝힌 기존의 수단들이 상당 기간 사용이 되겠지만 본 발명의 실시가 제대로 구현이 된다면 교통카드나 신분을 나타내는 용도로 사용이 되는 최소한의 카드 정도를 제외하고는 어떤 적립결제 수단도 직접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게 되는 것이다. 오로지 발전된 커뮤니케이션의 수단만을 가지고 있거나 혹은 그러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에 접속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이 되어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은 것이 가능하게 되면 지금까지 문제가 되었던 많은 사항들이 즉시에 개선이 될 것이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외부 EMCDS서비스센터는 본 발명의 EMCDS서비스센터와 연결이 되어 각 통신망과의 연결을 해주는 수위칭센터를 의미하며, 그밖에 홈위치등록기, 교환국/방문자위치등록기, 제어국/기지국 등은 이동통신망의 수단이고, Gateway교환국은 이동통신망과 고정통신망을 연결하는 관문장치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EMCDS 시스템에 의한 전자거래의 개념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고객이 금융기관을 통하여 EMCDS 시스템에 접속을 하거나 또는 EMCDS ATM 및 EMCDS 단말기, EMCDS 응용프로그램이 내장된 PC 등을 통하여 EMCDS 시스템에 접속을 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가에서 사까지의 과정은 은행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그 과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진다.

    가. 고객이 금융기관을 통하여 자신의 자금이나 신용을 EMCDS 시스템에 이체하여 줄 것을 요구한다.

    나. 금융기관이 고객의 요구에 따라 EMCDS 시스템에 고객의 자금을 이체시킨다.

    다. 고객이 EMCDS ATM이 설치된 상점 또는 EMCDS 프로그램이 설치된 PC가 있는 상점 또는 EMCDS에 계좌를 가지고 있는 인터넷 상점에 접속을 하여 물건 구입의사를 밝힌다.

    라. 해당 상점에 설치된 EMCDS ATM(또는 EMCDS 전용브라우저)를 통하여 고객의 생물학적 특성을 입력하여 인증을 요청한다.

    마. EMCDS 시스템이 고객을 인증한다.

    바. 고객이 EMCDS 시스템에 자신의 계좌의 자금을 해당 상점의 계좌로 이체시켜줄 것을 요청한다.

    사. EMCDS 시스템이 고객의 요청을 받아들여 고객의 자금을 해당 상점의 계좌로 이체시킨다.

    이상과 같은 과정이 이루어지면 고객과 해당 상점간의 상거래는 종료된다. 그런데 본 발명은 고객이 본 EMCDS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신이 은행에 가지고 있는 자금을 EMCDS 시스템으로 이동을 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a에서 d까지의 과정이 바로 그와 같은 과정의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a. EMCDS ATM, EMCDS 프로그램이 내장된 PC 등을 통하여 EMCDS 시스템에 접속을 하여 회원 인증을 요청하고 아울러 자신의 금융기관 계좌에 자금을 EMCDS 시스템에 적립시키라는 요청을 한다.

    b. EMCDS ATM, EMCDS 전용브라우저가 a항의 사항을 EMCDS 시스템의 서버에 전달한다.

    c. EMCDS 시스템의 서버가 고객의 요청이 있음을 해당 금융기관에 알린다.

    d. 해당 금융기관이 고객의 요청을 수락하여 자신들에게 예치되어 있던 고객의 자금에 대한 사용권을 EMCDS 시스템에 이체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주의를 기울여 이해해야 할 점이 있다. 이미 밝혔듯이 본 EMCDS 시스템은 명백하게는 금융기관이 아니다. 금융기관의 관문 역할을 하는 전자회로상의 인증적립결제시스템인 것이다. 따라서 EMCDS 시스템은 사실상 고객의 자금을 이체 받는 것이 아니라 고객의 자금에 대한 사용권을 전자회로상에 적립하여 두는 시스템이다. 왜 본 EMCDS 시스템이 온라인상의 금융기관 역할을 하지 않는가에 대해 부연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1. off-line상의 금융기관들이 on-line상에 자신들의 금융기관을 모두 설립하고 있는 마당에 추가적으로 금융기관을 설립할 필요가 없다.

    2. EMCDS는 on-line에 설립이 되어 있는 모든 금융기관들과 인터넷상점들 및 회사들간에 전자상거래가 효율적이며 최적의 상태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만들어지는 것이다.

    3. 그런데 2항과 같은 목적을 가진 기구가 금융기관의 역할을 한다면 그것은 전자상거래시장에 가장 거대한 금융기관을 설립하자는 것이 되는데 그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아니 대단히 나쁜 결과를 낳게 된다. (EMCDS뿐만 아니라) 금융기관들 중 어느 한 기관이 전자상거래시장에서 독점적 지배력을 행사하는 것은 너무도 위험하다. EMCDS는 전자상거래시장을 로크인하거나 또는 사실상 지배하려는 의도로 설립이 되어서는 안 된다. 시장이 보다 최적의 상태로 활발히 발전하도록 하는 관문의 역할과 기술의 표준화와 회계의 표준화를 주도하는 역할을 하여야 한다.

    아무튼 이와 같은 이유로 해서 본 EMCDS 시스템은 고객이 각각의 금융기관에 예치해둔 자금의 사용권을 전자회로상에 적립시켜두는 역할을 할뿐 금융기관의 역할은 하지 않는다. 따라서 금융기관들은 기존의 수탁업무를 계속적으로 할 수 있다. 즉 고객의 예금을 유치하고 대출을 하고 지불준비금을 준비해두며 투자행위를 할 수 있다. 다만 고객의 예금 총액 중 본 EMCDS에 사용권이 이체된 자금에 대해서는 별도의 규정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EMCDS에 사용권이 이체된 고객의 자금은 그것이 사용이 되지 않는 한은 해당 금융기관의 예금으로 간주하여 처리를 하고 사용이 된 경우에는 즉시 인출로 처리를 하도록 하는 등의 규정이 필요하다.

    도 3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EMCDS 시스템의 이용방법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고객은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off-line상의 상점에서 물건을 살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EMCDS 시스템이 거래 시스템으로 공인이 되어 있는 상태라면 해당 상점이 EMCDS에 계좌를 가지고 있든, 없든 상관없이 거래가 가능하다.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a. EMCDS 가입고객이 상점에 가서 상품의 구입의사를 밝힌다.

    b. 고객이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을 인증받고 자신의 계좌에 있는 적립금을 해당 상점의 계좌로 이체시켜줄 것을 요청한다.

    c. 고객의 인증정보와 요청사항을 EMCDS 시스템에 전달한다.

    d. 유를 확인하여 고객을 인증하고 해당 고객의 잔고를 확인하여 요청된 금액이 잔고에 있음이 확인이 되면 고객이 요청한 해당 상점의 계좌로 고객의 적립금을 이체토록 명령한다.

    e. 고객의 적립금의 이체를 실행시킨다.

    f. 고객의 EMCDS 계좌의 적립금이 해당 상점의 EMCDS 계좌로 이체된다.

    g. 변경된 데이터가 DB에 기록되어 저장이 된다.

    h. 변경된 데이터가 통보된다.

    I. 변경된 정보, 즉 이체 사실이 고지된다.

    j. 변경된 정보, 즉 이체 사실이 해당 상점에 통보된다.

    k. 고객에게 상품을 내어 주어 거래를 완료시킨다.

    상기의 과정은 원웨이로 그 순서가 표시되어 있으나 실제적으로는 고객의 이동통신단말기나 상점의 통신수단 모두에게 동시적으로 통보가 된다. 즉 고객은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이체 사실을 확인 받을 수 있고 상점은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통신수단에 의해 이체 사실을 통보 받을 수 있으며 사실상 어느 한쪽의 통신 수단만으로도 고객의 인증과 고객 자금의 이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만약 해당 상점이 본 EMCDS 시스템에 가임을 하지 않은 상점이라면(계좌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그 경우에는 해당 상점이 거래를 하는 은행 계좌에 고객의 적립금을 이체시키면 된다. 본 EMCDS 시스템이 보다 편리하게 모든 사람에게 이용이 되려면 보다 많은 사람들이 본 발명의 EMCDS에 가입이 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EMCDS는 무료로 이용되고 모든 은행들에 대해 개방적일 필요가 있다.

    도 4는 고정통신망을 이용한 EMCDS 시스템의 이용방법에 대한 개략도이다. 이미 앞서 약간 설명이 되었지만 본 EMCDS 시스템 서비스는 고객이든 상점이든간에 통신수단을 하나라도 가지고 있다면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다. 즉 고객이나 상점이 모두 EMCDS 시스템에 가입이 되어 있다면 고객은 어떤 수단도 필요 없이 해당 상점에 가서 상품을 구입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상점에는 EMCDS 전용단말기 또는 EMCDS 전용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있는 PC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물론 EMCDS 전용단말기나 EMCDS 전용브라우저가 설치된 PC에는 고객의 생물학적인 특성을 인식하는 검지 수단이 있어야 한다. 여기서 말하는 검지 수단은 상당한 정도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인증방법 중 목소리 인증을 예로 들면 EMCDS 전용단말기나 EMCDS 전용브라우저 장착 PC에 마이크 장치가 바로 검지 수단이다. 고객이 마이크를 통해서 입력한 목소리는 통신망 또는 인터넷을 통하여 서버로 전달이 되어 인증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EMCDS 시스템을 실행시키는 데에는 서버 프로그래밍 및 응용프로그램 개발 DB 구축 외에 가입자들이 추가적으로 부담하여야 할 비용은 거의 없다. 어쨌든 본 발명의 실시는 고정통신망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그 과정은 도 3의 과정과 사실상 통일하다.

    a. 구매 요청을 한다.

    b. EMCDS 시스템에 고객에 대한 인증 및 이체(결재) 승인을 요청한다.

    c. EMCDS가 고객 인증 및 이체(결재)를 승인한다.

    d. 고객의 EMCDS 계좌의 적립금을 상점의 EMCDS 계좌로 이체하도록 명령한다.

    e. 고객의 EMCDS 계좌의 적립금이 상점의 EMCDS 계좌로 이체된다.

    f. 이체 사실이 기록·저장이 되며 통보된다.

    g. 이체 사실에 대한 정보가 전송이 된다.

    h. 상품을 고객에게 내어준다.

    도 5는 인터넷을 이용한 EMCDS 시스템의 이용방법에 대한 개략도이다. 인터넷을 이용한 EMCDS 서비스 역시 도 3이나 도 4의 설명에서 적시한 방법과 개념은 비슷하다. 고객과 인터넷상점이 모두 EMCDS에 계좌를 가지고 있다면 고객은 인터넷을 통하여 해당 인터넷상점에 접속을 하여 상품을 구입하고 본 EMCDS 시스템을 이용하여 대금을 지불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서비스가 기존의 거래보다 훨씬 안정적이며 효율적인데 그 이유는 이미 자세히 설명을 한 바 있다. 즉 인터넷 거래에 의한 문제들을 상당 정도 개선을 할 수가 있다. 아무튼 인터넷을 이용한 거래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a. 고객이 EMCDS 전용브라우저가 있는 pc를 통하여 해당 인터넷상점의 서버에 접속을 하여 상품구입 요청을 한다.

    b. 해당 상점이 지불 요청을 한다.

    c. EMCDS에 고객의 인증 및 이체를 요청한다.

    d. 고객을 인증한 후 이체를 명령한다.

    e. 이체가 된다.

    f. 이체사실이 확인된다.

    g. 이체 사실이 통보된다.

    h. 거래 성사가 통보된다(상품이 배송이 된다).

    이상과 같은 과정에서 인터넷상점에 의한 고의적인 허수거래나 또는 배달된 상품에 하자가 발생하는 경우에 어떻게 그것을 처리하는가에 대한 설명은 이미 자세히 앞에서 했으므로 생략을 한다.

    도 6은 EMCDS프로그램이 내재되어 있는 PC의 외부도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마이크는 음성인지의 수단이며 카메라는 동공 및 홍체와 안면골격형태 등을 측정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물론 카메라의 경우에는 보다 세밀하게 검지하는 수단이 될 수 있도록 개선이 되어야 할 것이다. 지문검지기는 지문을 인지하는 수단이며, 근적외선검지기는 기타 생물학적인 특성을 검지하는 수단이다. 그런데 각각의 장치는 보다 개선된 형태가 될수록 보다 정밀한 측정(인증)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렇지만 지금 현재로써 가장 편리한 수단은 마이크에 의한 음성인증이다. 왜냐하면 다른 장치들은 그 자체가 상당한 수준의 장치가 되어야 하지만 음성인증의 경우에는 EMCDS의 서버가 제대로 잘 구축이 되어 있다면 지금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이 되고 있는 PC로도 충분히 기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음성인증의 방법에 대한 설명은 앞서 자세하게 하였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EMCDS도 7은 EMCDS ATM의 외부도이다. 이 EMCDS ATM은 off-line상에서 은행의 현금인출기와 비슷한 기능을 하기도 하지만 상점들에 설치된 EMCDS전용단말기로 이해해도 상관이 없다. 만약 EMCDS전용단말기가 만들어진다면 EMCDS ATM과 비슷한 기능을 가진 장치가 될 것이다. 아무튼 EMCDS ATM은 외부에 고객의 동공 및 홍체와 안면골격의 형태를 파악하는 용도로 사용이 될 수 있는 EMCDS ATM용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으며, 지문검지기와 근적외선검지기와 음성검지용 마이크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검지 수단은 본 EMCDS ATM이 어떤 생물학적 특성을 인증의 수단으로 사용을 하느냐에 따라 하나 혹은 둘 정도로 축소되어 설치될 것이다. 본 EMCDS ATM에는 일반적으로 금융기관의 ATM에 설치되어 있는 수단들인 액정화면과 자판 및 명세표처리부와 카드삽입구, 안내표시부, 현금인출구, 고객대기 검지기 등이 설치되며 스피커도 설치되게 되는데 이 중 현금인출구는 상점용의 경우에는 생략이 되고, IC카드 삽입구는 만약의 경우 본 EMCDS 시스템이 카드를 병행해서 사용할 경우에 필요한 것으로 생략이 될 수 있으며 스피커는 안내 메시지를 송출하기 위한 수단이고, 안내표시부는 절차가 진행되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램프이며, 고객감지기는 일반적인 용도로는 말 그대로 고객의 대기 상태를 감지하는 수단이지만 인증의 수단으로 고객의 생물학적인 특성을 검지하고자 할 때 고객의 상태가 정상적인 상태인지를 파악하는 수단으로 이용이 될 수도 있다. 액정화면에는 위치검출회로에 의한 태블릿이 설치될 수 있으며 그렇게 될 경우 고객은 자판과 병행하여 또는 자판을 대신하여 자신이 원하는 처치를 액정화면에 표시된 태블릿에 나타난 아이콘을 터치하여 처리할 수 있다.

    도 8은 PC에 내재되게되는 EMCDS 프로그램의 구성도이다. PC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하여 본 EMCDS센터에 접속을 하여 가입신청을 하게 되면 사용자는 응용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게 되는데 그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게 되면 EMCDS 프로그램이 작동을 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EMCDS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한다면 도 8과 같은 구성으로 작동이 된다. 이때 표시부에는 EMCDS 전용브라우저가 나타나 있게 되는데 자판을 이용하거나 혹은 전용브라우저에 나타나 있는 아이콘을 클릭하여 원하는 처치를 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나 있는 여러 가지의 장치들은 일반적인 PC의 구조를 타나내는 것들이다. 다만 특이한 점으로는 사용자의 PC가 EMCDS시스템에 접속을 하여 있을 경우에는 EMCDS전용브라우저에 EMCDS 센터가 제공하는 광고가 푸쉬될 수 있다는 점이다. 만약 사용자의 PC가 상점에서 사용이 되고 있다면 해당 상점의 PC는 EMCDS 전용브라우저가 온라인에 접속이 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데 이럴 경우 푸쉬되는 광고의 양은 상당한 정도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 EMCDS 시스템의 푸쉬광고 시스템은 상당한 정도의 수익구조모델이 될 수 있다.

    도 9는 사용자의 PC나 혹은 전용단말기가 본 발명에 있어 고객의 생물학적인 특성을 입력시켜 EMCDS시스템으로 송출하는 과정에 대한 구성도이다.

    각각의 생물학적인 특성은, 동공이나 홍체, 안면골격의 경우 카메라를 통하여 인식이 된 다음 해당 검지기를 통하여 신호로 바뀌어 외부접속부를 통하여 EMCDS시스템으로 전송이 되고, 음성의 경우에는 마이크를 통하여 인식이 되어 음성검지기를 통하여 신호로 바뀌어 전송이 되며, 지문의 경우에는 반사광수광기를 통하여 측정이 되어 지문검지기를 통하여 신호로 바뀌어 전송이 되고, 기타 생물학적인 특성들도 근적외선산란광수광기 등을 통하여 적외선검지기에 의해 신호로 바뀌어 전송이 된다. 이미 설명을 한 바가 있듯이 이와 같은 수단들은 하나 혹은 둘 정도가 채택이 되어 사용이 된다. 또 인식수단과 연결이 되어 있는 검지기들은 그 자체가 하나의 인증 수단이 될 수도 있고 또는 단순히 검지된 내용을 EMCDS 시스템에 전송하는 중간단계의 과정일 수도 있다. 어떤 인증방법을 택하느냐 또는 어떤 수단과 절차를 통하느냐는 경제적인 요인과 편리성에 의해 결정이 될 것이다. 가급적이면 본 EMCDS 시스템 자체에 검증의 수단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현재 연구개발이 되고 있는 인증 방법들은 대개가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커뮤니케이션 장치에 사용자의 생물학적인 특성을 검지하고 인증하는 수단을 상비하고자 하는데 이와 같은 방법은 앞서 설명을 하였듯이 개인을 인증하는 작은 성과밖에는 얻지 못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수단처럼 특정인을 인증하는 수단이자 곧 고객의 생물학적인 특성 자체가 크레딧이 되는 광역적이고 혁신적인 결과는 얻을 수가 없다. 본 발명의 특징은 이미 검증이 된 생물학적인 특성에 의한 인증방법을 전자상거래에 새롭게 적용시켰다는 것이라기보다는 특정인의 생물학적인 특성이 전자상거래 일반에서 모든 절차의 인증수단임과 동시에 그 자체가 모든 자연인의 크레딧이 되도록 하였다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있어 EMCDS 시스템에 고객의 생물학적인 특성을 입력시키는 과정에 대한 구조도로 도 9의 검지 과정과 신호 생성의 과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 것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각각의 검지기를 통하여 인지된 내용들은 아날로그전기신호로 전환이 되고 증폭과정을 거쳐 디지털신호로 전환이 된 다음 수치 판독 및 분석의 과정을 거쳐 데이터로 저장이 되고 EMCDS시스템으로 전송이 된다.

    도 11은 EMCDS시스템에 의한 ATM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안내표시부, 음성안내부, 인지처리부, 명세표처리부, 인지 R/W 등이 상비되며 일반적으로 컴퓨터 장치가 가지고 있는 장치들인 주제어부, 전원부, 프로그램, 기억부, 송수신부와 액정화면과 자판 등이 있다. 송신부는 본 EMCDS ATM 장치에 입력된 정보와 사용자의 처치 등을 EMCDS 서버로 전송을 하고 EMCDS 센터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12는 도 11의 EMCDS 시스템에 의한 ATM장치의 고객의 생물학적인 특성 인지처리부의 내부 개념도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음성인증방법이 사용이 될 경우에는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을 수신하여 리드부를 통하여 리드라이터에 의해 데이터를 읽도록 하여 통신부를 통하여 그 정보를 EMCDS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지문, 홍체, 동공, 안면골격 또는 그밖에 DNA 등과 같은 생물학적인 특성에 대한 인지 역시 마찬가지의 절차가 있다.

    도 13은 일반적으로 편리하게 사용이 될(또는 가장 많이 사용이 될) 본 EMCDS 프로그램이 설치된 PC의 바탕화면에 나타나게 되는 EMCDS전용브라우저를 나타낸 그림이다.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전용브라우저는 막대 형태(BAR 형태)(A)와 확장된 형태(B)의 두 가지의 모습을 가질 수 있는데, 막대 형태(A)는 온라인에 연결이 되어 있는 상태로써 현재 상태에서는 처치가 수행되고 있지 않을 때의 전용브라우저의 모습이고. 확장 형태(B)는 처치가 수행이 되고 있을 때의 전용브라우저의 모습이다. 전용브라우저가 필요한 까닭은 물론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일반적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이트접속에 의해 실행이 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그러할 경우 다른 웹사이트의 서비스와 비슷한 형태를 갖게 되어 본 발명의 EMCDS 서비스의 용도가 분명치 않아 보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서비스를 나타내는 개성있고 간편한 전용브라우저가 필요하다. 본 EMCDS 전용브라우저를 도면과 같이 만든 이유는 본 전용브라우저가 모든 인터넷 서비스와 구분되어 오로지 전자거래를 하기 위해 열어 놓은 일종의 사용자의 지갑(또는 전자통장)으로 사용자들에게 인식되도록 하고 편리하게 사용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의 EMCDS 전용브라우저는 전자회로상에 항시적으로 준비를 해둔, 사용자가 PC 네트워크에서 항시적으로 휴대하고 다니는 일종의 사이버 지갑과 같은 기능을 한다. 때문에 막대 형태의 지갑은 항시적으로 바탕화면의 어딘가에 준비가 될 필요가 있고 항시적으로 바탕화면의 최상단에 표시될 필요가 있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막대형태의 전용브라우저의 하단 부분에는 계속해서 스폰서 광고주들의 광고가 뜨게 되는데, 이와 같은 광고가 뜨지 않도록 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장치가 무료로 사용이 되도록 할 경우에는 본 발명의 사업화를 위한 수익구조를 만들기 위하여 푸쉬광고가 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푸쉬 광고는 대상자를 광고의 목적에 맞도록 선별할 수 있고 반대로 사용자들이 원하는 광고를 적극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며 또 광고의 시청 수치를 간단하게 측정할 수도 있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광고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광고창은 광고뿐만 아니라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의 전달 수단으로도 이용할 수 있다. (A)의 막대 브라우저에는 본 EMCDS서비스센터로 이동을 할 수 있는 ????HOME 아이콘과 처치가 가능한 형태로 확장을 해주는 확장 아이콘, 사용자의 생물학적인 특성의 입력을 시도하는 아이콘, 서비스센터에 요청 또는 질의를 요청할 때 사용하는 질의 아이콘, 명세서를 볼 수 있도록 하는 아이콘, 다운로드 아이콘 등이 표시된다. (B)는 막대형태로 바탕화면에 표시되어 있던 전용브라우저가 처치가 가능한 형태로 확장이 된 모습이다. 확장이 된 전용브라우저에는 막대 브라우저에 표시된 아이콘들 말고도 금액 입력과 처치를 선택하는 아이콘들과 각종 처리를 선택하는 아이콘, 그리고 사용자 계좌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등이 추가로 표시되며, 대개의 브라우저에 표시되는 일반적인 명령막대도 표시된다.

    도 14는 본 발명이 구현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이동통신단말기의 액정화면은 본 발명의 실시에서는 사용자 계좌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수단이 된다. 그밖에 이동통신단말기의 각종 버튼은 사용자가 금액을 표시하거나 혹은 처치를 선택하는 용도로 사용이 된다. 또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할 경우에 본 EMCDS 시스템의 인증 수단은 당연하게 목소리가 최우선적으로 선택이 된다. 물론 이동통신단말기가 차후에 다른 검지수단을 상비하게 되면 다른 인증수단을 택할 수도 있다. 목소리를 이용한 인증 절차에 관하여서는 이미 자세히 설명을 하였다. 이동통신을 이용한 본 EMCDS 서비스의 효용성은 매우 뛰어나다. 본 발명의 실시가 일반화 될 경우 사용자들이 가지고 다니는 이동통신단말기는 통신수단의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 자체가 on-line과 off-line상의 모든 상행위를 할 수 있는 수단이 되며 또 사용자의 신분을 인증 받는 일종의 크레딧 카드 역할까지 하게 되고, 자신의 계좌에 자금을 적립하거나 또는 타인의 계좌로 자신의 자금을 이체하거나 또는 각종 결제를 처리하는 수단의 역할을 하게 된다. 향후에는 결국 모든 사람들은 항시적으로 휴대하고 다니는 커뮤니케이션의 수단, 즉 이동통신단말기만 가지고 있게 되면 일상의 많은 부분의 일들을 처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가 더욱 매혹적인 이유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이동성, 항시성, 보편성, 편의성 등을 가지고 있으며 또 가장 많은 사용자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장점은 향후의 전자상거래의 발전 방향을 크게 향상시키는 요인이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본 EMCDS 시스템에 동일기저·동일위치 자동확인장치(국제특허출원번호 PCT/KR00/00032)가 본 EMCDS 서비스는 사용자들의 처치에 의한 서비스 말고도 자동으로 시스템이 사용자와 본 EMCDS 서비스의 처치와의 상관관계를 자동으로 파악하여 본 서비스를 실행하게 된다. 즉 사용자와 본 서비스가 쌍방향으로 커뮤니케이션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든, 이동통신단말기가 꺼져 있든, 켜져 있든 상관없이 중단 없는 서비스를 받을 수가 있다. 동일기저·동일위치 자동확인장치(국제특허출원번호 PCT/KR00/00032)는 각각의 사용자(고객과 상점)들간의 동일기저를 자동으로 파악을 할 뿐 아니라 각각의 사용자들과 본 EMCDS 시스템 사이의 상관관계를 자동으로 파악하여 연결시켜주는 장치이며 또 사용자의 위치를 자동으로 파악하여 가장 가까운 상점이나 혹은 고객 또는 EMCDS 서비스 장치를 연결시켜주는 장치이다. 어쨌든 이동통신망이 본 EMCDS 서버와 연결이 되고 또 본 EMCDS 서버가 인터넷에서 작동이 되며, 또 곳곳에 본 EMCDS 단말기가 있게 되면 바야흐로 on-line과 off-line에 상관없이 모든 거래가 전자회로상에서 처리가 되는 세상이 되며 사용자들은 아무런 물리적인 증빙자료도 필요 없이 원하는 거래를 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EMCDS 시스템의 전체 흐름도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먼저 본 시스템과 금융기관과의 연결망이 구축이 되고 EMCDS에 가입을 한 상점들에 대한 등록과 DB가 구축이 되고 광고 DB가 구축이 된 상태(S1)에서 EMCDS 회원가입 및 생물학적 특성에 대한 DB가 구축이 됨으로써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사용자들은 회원가입 시 응용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해당 PC에 설치를 하여야 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S2). 본 발명에 의한 EMCDS 회원의 전자상거래는 이와 같은 과정(S1→S2)을 마쳐야만 가능해진다. EMCDS에 의한 전자상거래에서는 광고가 수반이 될 수 있다. 인터넷 상점 역시 본 서비스에 가입을 함으로써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 off-line상의 모든 상점들 역시 본 서비스에 가입을 함으로써 EMCDS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서비스는 on-line과 off-line에서 모두 가능하다(S3). EMCDS 회원이 본 서비스를 받게 되면 본 EMCDS 시스템은 스폰서 광고를 검색하여 사용자의 EMCDS 브라우저로 전송을 하며(S4) 사용자가 전자상거래를 요청하면 먼저 인증이 이루어지고 이후로 적립 및 이체, 결제가 이루어진다(S5).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인증 적립 이체 결재 작업이 완료되면 EMCDS 시스템에 의한 고객의 전자상거래는 완료되며 on-line과 off-line상의 회원 및 상점에 거래의 결과가 통보된다(S6).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EMCDS 시스템에서 회원가입 및 응용프로그램의 설치 단계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EMCDS 서버에 접속을 하게되면(A1) 본 EMCDS 센터 사이트가 뜨게 되는데 인터넷 접속자가 본 EMCDS의 회원으로 가입을 가려면 우선 회원 약관에 동의를 하여야 한다 만약 접속자가 약관에 동의를 하면(A2→A3) 회원에 가입을 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이 뜬다. 회원으로 가입을 하는데 필요한 정보는 성명과 주민등록번호 성별 주소지 연락하는데 필요한 전화번호와 E_mail 그리고 원하는 ID 등이며 그밖에 금융기관들이 필요로 하는 신용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는 요구하지 않는다. 다만 필수적으로 회원의 고유의 생물학적인 특성에 관한 정보의 입력을 요구한다. 또 원하는 서비스의 종류와 캐쉬백 등의 부가적인 서비스 신청 유무 등의 입력을 요구한다(A4). 이상과 같은 과정을 마치게 되면 입력 완료(A5)가 표시되고 가입을 확인하는 화면(A6)이 표시된다. 이 화면에는 응용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라는 안내문이 표시되는데(A7) 회원 가입자는 필수적으로 이 응용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A8) 자신의 PC에 설치하여야 한다(A9).

    도 17은 본 발명의 EMCDS 사이트에 대한 예시화면이다. 이 화면에는 서비스 이용에 관한 안내와 회원 약관 등이 표시되며 회원가입 신청 아이콘과 스폰서 광고 등록 신청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EMCDS 회원 가입신청 화면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이 화면에는 회원 가입을 하는데 필요한 일반적인 회원 정보들과 원하는 서비스의 종류와 전자화폐의 적립 방법 스폰서 광고의 허가 유무 등을 입력하거나 선택을 하도록 되어 있다. 회원 가입을 원하는 접속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가 EMCDS 전자화폐 적립 계좌 개설인지, EMCDS 가입 상점 등록인지 등을 선택하여야 한다. 금융기관들은 EMCDS 연결 금융기관 신청을 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는 본 사이트를 통하지 않고 직접적인 계약을 통하여 해당 금융기관과 EMCDS 시스템이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전자화폐 적립 계좌 개설을 선택하면 본 EMCDS DB에 고객의 계좌가 개설이 되며 계좌 번호가 회원에게 알려진다. EMCDS 가입상점 등록을 선택하면 해당 상점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이 뜨며 이 화면에서 가입하려는 상점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입력하면 해당 상점에 대한 계좌가 EMCDS DB에 개설이 되며 해당 상점의 계좌 번호가 가입 점주에게 알려지고 또 해당 상점에 대한 정보가 본 EMCDS센터의 사이트에 자세히 소개가 된다. 가입 상점들은 본 EMCDS 서비스에 가입을 함으로써 전자상거래를 할 수 있으며 또 상점에 대한 홍보를 하는 효과까지 부가적으로 얻을 수 있다.

    도 19는 EMCDS 시스템에 고객의 생물학적인 특성을 입력하는 화면으로 생물학적인 특성 정보로 목소리를 입력하는 순서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면에 나타나 있듯이 목소리의 경우에는 임시 전용브라우저가 생성이 되어 생물학적인 특성을 입력하는 과정을 안내하는데 접속자는 이 임시 브라우저의 안내에 따라 자신의 목소리를 입력하면 된다.

    각 특성을 입력하는 과정은 대략 다음과 같다.

    목소리의 경우 :

    1. 안내문과 안내 음성 : 녹음 버튼을 누른 다음 성명을 마이크에 대고 천천히 말씀해주십시오.

    2. 입력자 : 홍길동

    3. 안내문과 안내 음성 : 버튼을 누르고 ID를 말씀해주십시오.

    4. 입력자 : ghildong

    5. 안내문과 안내 음성 : 버튼을 누르고 패스워드를 말씀해주십시오.

    6. 입력자 : 12397

    7. 안내문과 안내 음성 : 회원님의 표준발음이 입력이 되었습니다.

    지문의 경우 :

    1. 안내문과 안내 음성 : 성명을 입력하여주십시오.

    2. 입력자 : 홍길동

    3. 안내문과 안내 음성 : ID를 입력해주십시오.

    4. 입력자 : ghildong

    5. 안내문과 안내 음성 : 패스워드를 입력해주십시오.

    6. 입력자 : 12397

    7. 안내문과 안내 음성 : 엄지손가락을 검지기에 3초간 대주십시오.

    8. 입력자 지문을 검지기에 댄다.

    9. 안내문과 안내 음성 : 회원님의 지문 정보가 입력이 되었습니다.

    동공(홍체)의 경우 :

    1. 안내문과 안내 음성 : 성명을 입력하여주십시오.

    2. 입력자 : 홍길동

    3. 안내문과 안내 음성 : ID를 입력해주십시오.

    4. 입력자 : ghildong

    5. 안내문과 안내 음성 : 패스워드를 입력해주십시오.

    6. 입력자 : 12397

    7. 안내문과 안내 음성 : 눈을 카메라 렌즈에 3㎝ 간격으로 대고 3초간 기다려 주십시오.

    8. 입력자가 실행을 한다.

    9. 안내문과 안내 음성 : 회원님의 동공(홍체) 정보가 입력이 되었습니다.

    안면골격의 경우 :

    1. 안내문과 안내 음성 : 성명을 입력하여주십시오.

    2. 입력자 : 홍길동

    3. 안내문과 안내 음성 : ID를 입력해주십시오.

    4. 입력자 : ghildong

    5. 안내문과 안내 음성 : 패스워드를 입력해주십시오.

    6. 입력자 : 12397

    7. 안내문과 안내 음성 : 얼굴을 카메라 렌즈에 30㎝ 간격으로 대고 3초간 기다려 주십시오.

    8. 입력자가 실행을 한다.

    9. 안내문과 안내 음성 : 회원님의 얼굴 정보가 입력이 되었습니다.

    기타 근적외선 검지기의 사용 경우 :

    1. 안내문과 안내 음성 : 성명을 입력하여주십시오.

    2. 입력자 : 홍길동

    3. 안내문과 안내 음성 : ID를 입력해주십시오.

    4. 입력자 : ghildong

    5. 안내문과 안내 음성 : 패스워드를 입력해주십시오.

    6. 입력자 : 12397

    7. 안내문과 안내 음성 : 회원님의 손바닥을 검지기에 3초간 대주십시오.

    8. 입력자가 실행을 한다.

    9. 안내문과 안내 음성 : 회원님의 고유 특성 정보가 입력이 되었습니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입력이 된 회원의 생물학적인 특성은 EMCDS 회원을 입증하는 인증 정보로 사용이 되는데 이에 따라 회원의 목소리는 자신을 증명하는 수단이자 EMCDS 서비스 시스템에 적립이 된 자신의 적립금을 이용할 수 있는 통장이나 카드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도 20은 EMCDS 서비스 가입 완료 화면이다. 도 20의 화면은 도 19의 과정이 완료된 후 나타나게 되는데 이 화면에서 가입 회원들은 응용프로그램을 다운 받아 자신의 PC에 설치를 하여야 하고 EMCDS전용브라우저가 바탕화면에 나타나도록 하여야 한다. 만약 가입을 원하지 않는다면 이 화면에서 취소를 누르면 된다.

    도 21은 EMCDS 서비스의 스폰서 광고주로 가입을 원하는 클라이언트들이 이용하는 가입 신청화면이다. 이 화면은 최초로 본 EMCDS 서비스와 광고를 계약할 때 사용이 될 수 있다. 직접적인 계약이 필요한 경우에는 본 화면에 의한 가입을 생략해도 좋다. 간편하게 광고를 하기 원하는 가입 희망자들은 본 화면을 통하여 광고주로 등록을 하면 된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광고주 가입 신청 시 입력사항으로는 일반적인 사항, 즉 회사명, 회원사 ID, PASSWORD, 사업자번호, 사업자 주소, 전화번호, E-mail, 홈페이지 등이 있으며, 보내고자 하는 광고의 종류와 보내고자 하는 광고의 형식, 보내고자 하는 광고의 방식, 보내고자하는 광고의 영역 등을 선택하여야 한다. 보내고자 하는 광고의 종류에는 단순정보전달 광고, 이벤트 & 광고, 마일리지적립광고, 즉석상품구매 광고 등이 있을 수 있고, 광고의 형식은 문자 광고와 이미지 광고로 나누어지며, 광고의 방식은 푸쉬광고와 배너광고로 나누어진다. 보내고자 하는 광고의 영역은 상품의 종류에 따라 선택하면 된다.

    도 22는 광고주 회원으로 가입을 한 광고주가 스폰서 광고를 등록 신청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화면에서 광고주 회원은 해당 회사의 스폰서·광고주 ID를 입력하고 PASSWORD를 입력한 한 다음 문자 광고의 경우에는 입력창을 통하여 해당 문자를 입력하면 되는데 만약 이미지 광고, 동영상 광고인 경우에는 웹마스터에게 해당 광고의 파일을 전송하여 광고를 신청한다. 그밖에 광고의 종류, 광고의 형식, 광고의 방식, 광고의 영역 등은 해당 란을 선택을 하면 되고 광고의 계약기간은 입력을 하면 된다. 물론 이와 같은 처치는 직접적인 연락을 통해서 해도 상관이 없다.

    이상 사이트화면에 대한 설명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도 23은 본 발명에 있어 EMCDS 시스템에 고객의 계좌를 개설하는 과정에 대한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가입을 원하는 사람들은 EMCDS 전용단말기나 혹은 EMCDS ATM 혹은 EMCDS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PC를 통하여 본 EMCDS 시스템에 자신의 계좌를 개설할 수 있다―이동통신단말기나 혹은 유선전화기를 통하여서도 가능하다. 또 기존의 고객 역시 복수 계좌의 개설이 가능하다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EMCDS ATM 혹은 EMCDS 프로그램이 가동 중인 상태에서(B1, B2) 이용자가 EMCDS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EMCDS ATM의 앞에 서고나 혹은 EMCDS 전용브라우저를 확장시키면 EMCDS 프로그램은 초기화면을 표시하고(B3) EMCDS모드로 전환이 된다(B4). 이때 이용자들은 모드의 여러 절차에 대한 처치를 통하여 EMCDS 센터의 DB에 자신의 고객카드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받게 되는데(B5) 만약 EMCDS의 DB에 고객의 카드가 있을 경우에는 현재의 일시에서 필요한 처치를 할 수 있는 모드로 전환이 되고(B6) 고객의 카드가 있지 않을 경우에는 새로운 고객으로 등록하는 절차를 따라 자신의 정보를 입력하여야 한다(B10). B6의 과정에서 이용자들은 현재 일시에서 자신이 받고자 하는 서비스에 대한 처치를 본 시스템에 요구를 하게 되는데 이때 처치사항이 있을 경우(B7) 본 시스템은 고객의 요구사항을 처리(B8)하고 고객의 계좌의 정보를 수행하게된다(B9). B10의 과정에서 신규로 본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이용자들은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게 되는데 이렇게 입력된 신고객의 정보는 본 EMCDS 센터의 DB에 입력 저장이 되고(B11) 고객의 승인(B12)이 있게 되면 본 EMCDS 시스템은 신고객을 본 서비스의 가입자로 등록시키고 신고객의 특성을 산출하고 신고객의 특성을 기억하여 저장을 하고 설정 모드의 초기화면을 표시하여 고객이 거래를 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B13→B16)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화폐의 적립과정에 대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고객이 본 발명의 EMCDS 계좌에 자신의 자금(정확하게는 금융기관에 예치된 자금에 대한 사용권)을 적립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EMCDS ATM이나 혹은 EMCDS 전용 단말기 또는 EMCDS 프로그램이 내장된 PC를 통하여 원하는 처치를 할 수 있다. 물론 이동통신단말기나 혹은 일반 유선전화기로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화폐의 적립과정을 EMCDS ATM을 사용하는 예로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PC를 사용한 과정 역시 이와 거의 유사하다.

    고객은 EMCDS ATM이 가동 중인 상태(C1) 또는 EMCDS 프로그램이 가동 중인 상태(C2)에서 EMCDS 시스템에 접속을 요구하는 처치를 하고(C3) 이에 따라 EMCDS 시스템에 접속이 되면 EMCDS ATM의 검지기에 자신의 생물학적인 특성을 입력시키고(C5) EMCDS ATM은 고객의 생물학적인 특성을 검지하고(C6) EMCDS 시스템은 그것을 전송 받아 인지한다(C7). 이때 C3의 과정에서 ID와 비밀번호 역시 입력을 하여야 하는데 비밀 번호는 생략이 될 수도 있다(C4). 아무튼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입력이 된 고객의 생물학적인 특성은 조회과정을 통하여 인증을 받게 되는데(C8) 이때 조회의 과정에서 인증을 받지 못하면(C9) 다시 앞의 과정을 반복하여야 하고 반복을 하지 않게 되면 EMCDS ATM은 대기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인증을 받은 고객은 EMCDS 시스템을 통하여 다른 금융기관들에게 본 EMCDS 전자 계좌에 자신의 자금에 대한 사용권을 이체 시켜달라는 요구를 하거나 혹은 자신의 계좌의 자금을 다른 계좌로 이체시키라는 요청을 하게된다(C10). EMCDS ATM을 통한 다른 금융기관의 예금에 대한 이체의 요구(C11)는 은행전산망을 통하여 해당 은행에 통보가 된다(C15). 물론 폰뱅킹을 통하여 해당 은행에게 본 EMCDS 계좌로의 자금의 이동을 요구할 수도 있고(C12) 은행의 ATM을 통한 이체를 할 수도 있으며(C13) 직접 본 서비스를 실행하는 센터에 적립금을 입금을 하거나 지로를 통하여 이체를 할 수도 있다(C14). 아무튼 EMCDS ATM을 통한 이체의 요구를 받은 해당 금융기관은 고객의 카드를 확인하고 비밀전호를 확인하고 잔고를 확인하고 이체 요구를 확인하고 한도액 내인지를 확인하고 이와 같은 과정에 문제가 없으면 승인을 하여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고객의 자금(정확하게는 사용권, 이하는 모두 편리하게 자금으로 표현함. 사용권에 대한 규정은 이미 한 바가 있다, 즉 사용권은 전자회로상에 존재를 하지만 사용이 되기 전까지는 해당 금융기관에 해당 자금이 있는 것으로 간주를 한다, 다시 말해서 본 EMCDS는 각각의 금융기관들이 공동으로 개설을 해놓은 전자회로상의 적립시스템으로 이해를 해도 좋다)을 EMCDS 계좌로 이체를 시킨다(C16→C22). C16에서 C22까지의 과정은 해당 은행의 처리 과정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다 마치게 되면 해당 고객의 계좌에는 원하는 전자화폐가 적립된다(C23). 이상과 같은 과정과 절차는 다른 수단, 즉 PC나 이동통신단말기 등을 이용한 전자화폐의 적립 방법에도 그래도 적용이 된다.

    도 2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거래에 대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 도면 역시 EMCDS ATM을 통한 과정을 예로 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상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먼저 본 EMCDS에 고객의 전자화폐가 적립이 되어 있어야 한다. 고객의 전자화폐가 본 EMCDS 시스템에 적립이 되어 있다면(D1) 고객은 EMCDS ATM이나 혹은 PC, 전용 단말기, 이동통신단말기, 유선전화를 이용하여 EMCDS 거래를 시작할 수 있다(D2). 우선 고객은 EMCDS ATM 장치를 통하여 EMCDS 시스템에 접속을 하여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자신의 생물학적인 특성을 입력한다(D3→D5). 그러면 EMCDS ATM은 검지기를 통하여 고객의 생물학적인 특성을 검지하고 입력된 정보들을 EMCDS 시스템으로 전송을 한다(D6). EMCDS 시스템은 입력된 정보와 고객의 생물학적인 특성을 인지하여 해당 고객을 조회하고 해당 고객이 맞으면 인증을 하는데 만약 해당 고객이 아닌 경우에는 인증을 거부한다(D7→D9). 앞의 과정에 의한 인증의 과정이 끝이 나면 EMCDS 시스템은 고객의 구좌를 확인하여 잔고를 확인하고 한도액을 표시한다(D10→D11). 고객은 자신이 원하는 사항을 한도액의 범위 내에서 EMCDS 시스템에게 요청을 하고 EMCDS 시스템은 그것을 인지하고 확인/정정을 요청한다(D12→D14).

    도 26은 도 25에서 계속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의 과정은 EMCDS 센터의 서버에서 이루어지는 과정들이다. 고객의 요청에 대하여 본 EMCDS 센터의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고객의 요구를 실행한다.

    1. 해당 고객의 계좌 정보가 기록이 된 EMCDS 카드를 읽는다(D15).

    2. 해당 고객의 정보가 기록된 고객카드를 읽는다(D16).

    3. 고객의 요청에 따라 EMCDS 카드를 갱신한다(D17).

    4. 고객의 요청에 따라(혹은 매개변수의 변동을 수용하여) 고객카드를 갱신한다(D18).

    5. EMCDS 카드와 고객카드를 상관관계를 다시 조정한다. 또는 고객의 EMCDS 카드와 이체되는 EMCDS 카드를 조회한다(D19). (만약 조회가 되지 않는다면 승인을 거부한다)(D20)

    6. 이체 및 결제를 실행한다(D21).

    7. EMCDS 전체 계좌 정보를 갱신한다(D22).

    8. 고객 전체의 정보를 갱신한다(D23).

    9. 거래명세표를 발행한다―또는 표시한다(D24).

    10. 샘플링을 검출한다(D25).

    11. 호스트회선을 단선한다(D26).

    이와 같은 과정이 종료되면 해당 EMCDS ATM은 대기상태로 전환이 되게 된다. 다른 거래 수단, 즉 PC, 이동통신단말기, 전용 단말기, 유선전화 등에 의한 거래의 과정 역시 EMCDS ATM에 의한 거래의 과정과 마찬가지이다.

    도 27은 EMCDS 시스템에 의한 고객정보의 전달에 관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 과정은 고객의 요청이 아니라 본 EMCDS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전달이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어떤 고객이 상점에서 물건을 사기 위해 해당 상점의 계좌에 이체를 요구하거나 혹은 어떤 목적을 위해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자금을 이체시키려 할 때 본 EMCDS 시스템이 그 요청을 받아들여 작업을 수행했다면 그렇게 수행된 작업은 즉각적으로 해당 상점이나 해당되는 타인에게 알려져야 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고객이 직접 본 EMCDS 센터에 접속을 하여 변경된 정보를 알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본 EMCDS 시스템이 변경된 정보를 즉각적으로 해당자에게 통보를 하는 것이 좋다. 도 27은 그 과정에 대한 것이다. 이때 변경 사실을 통보하는 신호는 해당자의 PC의 전용브라우저에 전송이 될 수도 있고 혹은 E-mai을 통하여 통보가 될 수도 있으며 해당자의 이동통신단말기나 유선전화를 통하여 통보될 수도 있다. 어떤 수단을 택하느냐는 고객의 선택에 따른다. 통보 수단은 둘 이상일 수도 있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EMCDS의 푸쉬에 의한 정보변경 통보 서비스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수행이 된다.

    1. EMCDS, 고객에게 고객의 EMCDS 계좌정보의 변경 내용을 문자 메시지로 전송한다(E1).

    2. 고객, EMCDS의 문자메시지를 수신한다(E2).

    3. EMCDS에 접속을 하겠는가?(E3) (YES을 선택하면)

    4. EMCDS, EMCDS 정보변경 내용을 보다 자세히 음성으로 전송한다(E4).

    5. 고객, 음성메시지를 수신한다(E5).

    6. 반복해서 듣겠는가?(E6) (만약 YES을 선택하면 E4→E6 과정 반복. NO을 선택하면 종료된다)

    도 28은 EMCDS 시스템의 스폰서 광고 데이터 베이스에 대한 상세한 흐름도이다. 이 도면은 이미 설명한 바가 있는 도 21과 도 22에 대한 플로우 차트이다. 먼저 스폰서 광고주와 광고에 대한 DB가 준비가 되어 있다는 전제하에 스폰서 광고주가 본 EMCDS 시스템에 접속을 하여 자신의 ID와 비밀전호를 입력을 하면 본 EMCDS 시스템은 해당 스폰서 광고주가 등록된 광고주인지 아닌지를 묻는다(혹은 조회한다). 이때 해당 광고주가 등록된 광고주가 아니라면 스폰서 광고주로 등록하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 (F1→F3) 어쨌든 이와 같은 과정을 마치게 되면 본 EMCDS 시스템은 등록할 광고의 종류를 선택하도록 하고 그렇게 선택된 광고가 어떤 영역에 해당하는지, 광고의 형식은 무엇인지, 광고의 방식은 무엇인지를 선택하도록 하며 문자 광고일 경우 광고문을 입력하도록 한다. 물론 이미지 광고 일 경우에는 제작된 이미지 파일을 본 EMCDS의 관리자에게 전송하거나 혹은 미리 제작이 되어 있는 이미지 광고 샘플을 선택한다. (F4→F8) 광고의 종류에는 이미 설명을 하였듯이 정보전달 광고, 마일리지 광고, 이벤트 광고, 즉석구매 광고가 있으며, 광고의 형식에는 문자 광고와 이미지 광고가 있고, 광고의 방식에는 푸쉬방고와 배너광고가 있다. 마일리지 광고를 선택할 때에는 마일리지의 조건이 입력이 되어야 한다(F9). 또 즉석구매 광고의 경우에는 추가적인 선택이 필요한데 우선 광고 상품 DB와 광고 DB가 연동이 되는 것인지가 결정이 되어야 하고 연동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품에 대한 세부정보가 추가적으로 등록이 되어야 한다(F10→F11). 이와 같은 과정이 등록이 되면 또 결재수단을 결정하여야 하는데 온라인일 경우에는 계좌번호 및 예금주를 입력하도록 하는 추가적인 절차를 준비해두어야 하고, 신용카드인 경우에는 카드 결재시스템에 연결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물론 해당 광고주가 본 EMCDS에 계좌를 가지고 있고 또 구매자 역시 본 EMCDS에 계좌를 가지고 있다면 대단히 편리할 것이다(F12→F14). 이와 같은 과정이 모두 끝이 나면 본 EMCDS 시스템은 광고 등록 일시를 기록하여 저장하고 입력된 광고들을 광고 종류별, 영역별, 광고주별, 마일리지별, 이벤트별, 등록일시별로 분류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을 하게 된다(F15→F16).

    도 29는 본 발명의 EMCDS 서버 내에 기록·저장이 되는 고객의 정보 구성도이다. 고객의 정보는 대략 다음과 같이 구분이 되어 저장이 된다.

    EMCDS 고객 정보 :

    1. 거래분류번호

    2. 고객번호(ID)

    3. 비밀번호

    4. 고객 성명

    5. 고객의 생물학적 특성 정보

    EMCDS 계좌 정보 :

    6. 구좌번호

    7. EMCDS 영업점 번호

    8. 전자머니 잔고

    9. 거래 금액 정보

    10. 거래일·시간

    기타 고객에 대한 정보들, 즉 고객이 스폰서 광고를 요청하였는지 등은 따로이 DB를 만들어 그 안에 고객의 번호를 기록하여 두는 방식으로 관리를 한다.

    도 30은 바람직한 EMCDS DB 데이터 관리의 모델을 제시한 도면이다. 이 도면에 대한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도 30은 본 발명에 있어 가장 효율적인 EMCDS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을 예시한 것으로 부가서비스에 있어 가장 바람직한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 모델인 단문서비스데이터관리시스템에 본 발명의 장치인 EMCDS서비스운용프로그램과 EMCDS DB를 결합한 것이다. 도 30이 예시한 데이터베이스관리 시스템의 구조는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 이용자가 어디에 있든 언제이든 관계없이 EMCDS서비스센터가 전송하는 문자 및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게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도 30이 예시한 메시지의 전달 방식은 EMCDS서비스센터의 메시지가 언제 어디서나 정확히 전달됨을 보장하여야 함으로 도 30의 예시는 이용자가 서비스가 불가능한 영역에 존재하거나 또는 단말기의 전원이 off상태에 있어 EMCDS 메시지의 수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해당 이용자에게 전달되어야 될 EMCDS 메시지들이 유실되지 않도록 하는 데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또 도 30의 예시는 EMCDS 메시지들이 특정 시점 혹은 일정기간 지연된 시점에 해당이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는 시간-기반의 서비스 역시 가능하도록 하는 데에도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도 30에 예시된 방식은 객체 지향적인 단문서비스센터의 기본기능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들을 차용하고, EMCDS회화서비스센터의 커널 역할을 수행하는 EMCDS서비스 응용 프로그램과, 상기의 EMCDS서비스센터를 운용 및 보전하는 운용보전 응용 프로그램과, EMCDS 단문의 문자 및 음성 메시지 수신을 처리하는 호제어 응용프로그램 및 상기의 EMCDS회화서비스와 관련된 모든 신호정합기능을 수행하는 신호정합 응용 프로그램으로 구분하여 관리한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EMCDS서비스센터에서 관리대상이 되는 데이터들을 그 특성에 따라 이용자에게 순차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대기시켜야 하는 실시간 데이터와 추후 또는 제공의 필요성이 현재로써는 없는 비실시간 데이터로 분리하여 데이터 관리스킴을 별도로 운영하되, 실시간 데이터들은 주메모리에 상주시키고, 운용중 디스크입출력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응용프로그램을 구현하여 비실시간 데이터의 관리스킴과 분리를 하여 운용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방법은 만약에 발생할지도 모르는 접속량 증가에 따른 시스템상의 메모리 부하상태를 회피하는 수단이기도 하다.

    단문서비스DB관리기법을 차용한 EMCDS서비스센터의 기본기능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들을 EMCDS서비스 응용 프로그램과 시스템의 운용보전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그리고 호제어 응용프로그램과 신호정합 응용 프로그램으로 구분하여 관리한다. EMCDS서비스응용프로그램은(101) EMCDS회화서비스센터의 커널 역할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EMCDS DB로부터 제공받은 해당 이용자에게 제공이 되어져야할 실시간 메시지를 이용자의 단말기에 전송할 수 없거나 이용자의 단말기가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인 경우 그 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였다가 해당 단말기가 수신 가능한 상태가 되었음을 통보 받았을 때에 전송한다. 호제어 응용 프로그램(102)은 EMCDS서비스센터가 이용자에게 EMCDS의 메시지를 보내고자 할 때에 입증계호 및 모사 착신호를 설정하고 안내방송 송출 및 DTMF신호를 활용한 단문메시지 수신을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운용보전 응용 프로그램(103)은 과금 및 통계와 같이 단문서비스 센터의 운용을 위한 기능들과 센터의 신뢰도와 효율성을 유지하기 위한 자원 및 보전관리 기능들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으로 기본적으로는 호스팅 회사의 권역에서 관리될 수 있는 것이나 일부의 역할은 EMCDS서비스센터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신호정합 응용 프로그램(104)은 EMCDS서비스센터와 이용자의 단말기 사이에 EMCDS서비스센터와 EMCDS서비스서버나 혹은 EMCDS DB 사이에 EMCDS서비스와 관련된 모든 신호정합 기능을 수행한다. EMCDS서비스센터의 데이터베이스시스템은 Object Design 사에서 개발된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인ObjectStore(105)를 기반으로 구축되는데, 주지하다시피 ObjectStore(105)는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를 지원한다. 디스크(107) 상의 물리적인 데이터를 관리하고 데이터를 요구한 클라이언트 프로세스들을 조정 및 중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서버(106)의 프로세스이다. 또한 이것은 로킹 테이블 유지, 데드록 탐지, 체크포인팅, 버퍼관리 및 라이선스 관리 등을 제공한다. 네트워크 상에서 서버를 액세스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시스템은 클라이언트(108)로 이것은 단문서비스 센터의 기능을 수행하는 각종 소프트웨어 블록들이 수행되는 환경이다. 본 발명은 단문서비스 센터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 영구적인 데이터들을 위한 데이터베이스가 응용 소프트웨어 특성별로 다수 구현되어 서버에 저장되고 다수의 클라이언트들이 용도별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이러한 구성은 각각의 응용 소프트웨어의 관리 대상이 되는 데이터나 트랜잭션들의 유형이 실행되어야 할 기능들에 의존함으로 각각의 데이터베이스마다 관리스킴이 독립적이도록 하고 만족해야 할 성능의 목표가 서로 다르게 한다. 이와 같은 방식은 한정된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최적의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서로 다른 관리체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매우 효과적이다. 앞서 설명이 있었듯이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관리 대상이 되는 데이터들을 이용자들에게 즉각적으로 제공이 되어져야 하는 실시간 데이터와 즉각적으로 제공될 필요가 없는 비실시간 데이터로 구분하여 실시간 데이터들은 주 메모리에 저장하고 비실시간 데이터들은 디스크 기반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실시간 데이터 관리를 위한 성능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EMCDS서비스응용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 사이에 라이브러리 형태를 갖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응용 프로그램(109)을 두어 실시간 데이터들의 주 메모리 상주를 관리한다. 주지하듯이 정보통신분야에서 호 처리나 위치 정보관리와 같은 실시간 응용 처리에 주 메모리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것은 일반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 역시 EMCDS서비스센터가 해당 이용자들의 단말기의 메시지 수신불능 상태가 해제됨 통보를 받게 되면 즉시에 해당 이용자에게 제공되기로 약정이 되어 있는 EMCDS 메시지들을 신속하게 검색하여 전달하기 위해 주 메모리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고자 한다. EMCDS서비스센터의 데이터베이스 응용 프로그램은 인터페이스 모듈(110), 클러스터링 모듈(111), 세그먼트 관리모듈(112), 액세스모듈(113), 이벤트관리모듈(114)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를 구현하는 EMCDS 시스템에 있어 EMCDS서비스센터의 구성 요소인 데이터베이스의 관리 및 운용은 대단히 중요하다. EMCDS DB에 기록된 이용자 정보가 이용자에게 EMCDS 서비스를 시행하도록 요구하는 명령을 내리거나 혹은 이용자에 의해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이 변경이 되어 이용자들에게 그 내용이 통보되어야 할 경우 본 발명의 장치는 이용자가 메시지 수신 상태인지를 확인하여야 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이 되어 있는 모든 메시지 유형 중에 해당 이용자에 서비스해야할 메시지 그룹 검색해야 하며, 해당 이용자에게 보내져야 할 변경된 데이터 정보를 검색해야 하고, 또한 효율적인 데이터관리와 실시간 데이터 검색을 모든 이용자에게 적용이 될 수 있도록 시행해야 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이와 같은 일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최적합한 데이터베이스구조가 구축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는 가장 효과적인 객체지향 데이터 기법을 이용한 데이터관리시스템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음으로 해서 연결이 가능한 이용자번호, EMCDS DB 내의 발신 대기상대에 있는 이용자 번호, 발신 대기 이용자에 제공되어질 순차적인 메시지 ID, 순차적인 메시지의 공급시간 등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해질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EMCDS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의 구성요소에는 문자 및 음성서비스메시지가 종류별로 정의된 메시지 버퍼들과 EMCDS DB에 저장된 이용자들의 설정에 의해 그룹화시켜 놓은 메시지 버퍼들의 그룹과, 또는 이용자들의 요청에 의해 그룹화하여 대기시켜 놓은 메시지 버퍼들의 그룹과, 메시지 버퍼들을 내장하고 있는 클러스터들과, 메시지그룹의 주소와 해당 이용자들의 각종 단말기의 번호를 함께 저장하고 있는 이용자 메시지 버퍼와, 이용자들에게 수준에 따라 단계적으로 제공되어지도록 준비된 메시지 버퍼의 그룹들이 필요하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신호 비교의 예이다. 음성을 특정인을 인증하는 수단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두 가지의 측면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그 하나는 입력된 음성신호의 성문(파형의 고유성)이 미리 입력이 되어 있는 해당인의 고유의 성문(파형의 고유성)과 동일한가를 파악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입력된 음성신호의 패턴이 해당 특정인이 자신임을 추후에 확인할 수 있도록 미리 입력하여 놓은 음성신호의 패턴과 근사값을 가지고 있는가를 파악하는 것이다. 첫 번째의 고려사항은 의문의 여지없이 같아야 한다. 왜냐하면 모든 사람은 각각 다른 고유의 성문(파형의 고유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동일인이라면 반드시 같은 성문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첫 번째의 고려 사항만으로 인증을 요청한 사람이 인증의 대상이 되는 표본 대상자와 같은 사람이라도 단정 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음성신호는 복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EMCDS 시스템은 2차적으로 인증을 요청한 사람이 표본 대상자와 동일인임을 파악하는 수단을 준비하고자 한다. 즉, 1차적인 요건이 충족이 된다는 전제하에 인증을 요청한 사람은 표본 대상자가 미리 입력을 하여 놓은 패턴과 동일하게, 발음과 동일하게, 액센트와 동일하게 본 EMCDS가 요구하는 음성을 입력하여야 한다. 도 31은 미리 입력이 되어 있는 표본 음성 신호와 입력된 신호를 비교하는 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A)는 표본신호이다. (B), (C), (D), (E)는 입력된 신호이다. (B)의 신호는 패턴과 발음과 액센트가 허용 한계 내의 근사값을 가졌으므로 동일인의 음성신호로 인정이 되었다. (C)는 발음이 지극히 불량하여, (D)는 액센트의 위치가 틀려서, (E)는 패턴과 발음과 액센트가 모두 달라서 동일인의 음성신호로 인정받지 못했다.

    이상과 같은 측정 방법은 1차적인 측정 방법인 성문의 비교에 의한 측정을 보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1차적인 측정 방법을 원 표본신호 입력자의 녹음이 된 음성으로 통과를 한다 해도 표본신호 입력자의 절대적인 협력이 있지 않는 한 2차적인 본 측정 방법을 통과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설령 표본 입력자를 강제하여 본 EMCDS 시스템이 요구하는 음성신호를 입력한다 해도 표본 신호 입력자의 우호적인 협력이 없이는 인증받기는 곤란하다. 게다가 본 EMCDS 시스템은 이미 설명을 하였듯이 또 다른 검증의 수단, 즉 날짜를 반드시 음성으로 입력하도록 하기까지 하고 있다. 성문을 같게 하고 때때로 질문의 순서를 바꾸어 동일한 패턴과 동일한 발음과 동일 한 액센트로 음성을 입력하도록 하고 또 인증을 요구한 날짜를 반드시 음성으로 입력하도록 하는 본 EMCDS 인증 시스템을 통과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본 EMCDS의 인증 방법은 ID와 비밀번호로 인증을 하는 것보다 훨씬 안정적이다. ID나 비밀번호를 요구하지 않는다면(요구하지 않아도 사실상 아무 문제가 없다) 지금까지 나온 방법 중에 가장 간편한 방법이다. 본 발명이 음성인식번역기술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오류가 많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방식은 불필요하게 음석인식번역장치를 사용하여 내리는 평가보다 훨씬 간결할 뿐만 아니라 정확하다. 현재 모든 음성신호에 대해 반응토록 만들어져 있는 음성인식번역프로그램의 인식률은 완전하지 못할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음성인식번역프로그램을 본 발명의 장치에 적용을 할 경우 이용자들이 입력하는 음성신호를 모든 음성신호 중에 하나로 간주하여 평가를 하게되는 음성인식번역프로그램은 오류를 범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에 음성인식번역프로그램을 사용하면 그만큼 평가가 잘못 내려질 확률이 높다. 이용자들의 음성신호를 미리 준비되어 있는 표본신호와 비교하는 방법은 지금 현재로써는 가장 정확하여 효율적인 방법이다. 보다 정확도가 높은 음성인식장치가 있을 경우 본 발명의 이용자 평가 방법은 그것을 사용토록 할 수 있다. 동일인의 음성을 판별하는 수단으로써 본 발명의 장치가 제시한 측정 방법만큼 평가의 정확성을 가지는 것도 별로 없다. 왜냐하면 본 발명의 장치가 채택한 측정 방법이 어떻게 보면 대단히 조악한 방법 같지만, 사실인즉 그것은 매우 현실적인 측정방법, 즉 현대에 와서 가장 그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이른바 복잡성을 측량하는 수단을 본 발명이 채택하고 있기 때문이다. 복잡성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지금까지 제시된 최선의 계산법은 측정하고자 하는 극히 혼란스러운 문제의 각각의 요소들을 모두 계산하지 않고―그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계산하고자 하는 문제에 나타나 있는 전체의 패턴과 각 부분의 패턴 그리고 연결성, 특이성 등을 파악하는 것이다. 그러한 견지에서 본 발명이 채택하고 있는 성문의 비교와 음성신호의 비교값 산출을 통한 동일인 인증 방법은 지금 현재로써는 완벽한 번역 인식 장치가 아니라는 전제하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가 구현이 되면 현재 날로 규모와 범위가 커져가는 전자상거래는 획기적인 방향으로 발전이 되게 되며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던 전통적인 오프라인상의 거래와도 통합적으로 아무런 장애없이 연결이 되어 모든 거래가 일원화되게 된다. 즉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가 사실상 없어지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전자상거래는 물론 오프라인 거래에서도 마찬가지로 문제가 되었던 여러 가지의 불안정적인 요인들, 즉 전자상거래에 있어서는 인증의 안정성에 관한 문제, 고객의 정보의 유출에 관한 문제, 거래 하자에 관한 문제, 거래방식의 비표준화에 따른 문제, 비통합성에 관련된 문제, 과세누락에 관련된 문제, 불법자금의 거래에 관련된 문제, 비효율성에 관한 문제 등과, 오프라인 거래에 있어서는 불필요한 절차에 관련된 비효율성, 보관방법의 비효율성, 비용의 비효율성 등의 문제들이 일거에 제거되거나 현저하게 감소하게 된다. 현재 전자상거래에 의한 자금의 유통이 비약적으로 급증하고 있는 추세로 보아 전자상거래 및 오프라인의 거래에 대한 방식과 기준을 새롭게 정의하고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모색하는 것은 매우 급박한 일이다. 본 발명은 그와 같은 필요에 의해 제안된 것으로 어느 한 개인이나 어던 특정 집단 또는 어느 한 나라에 의해 독점되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그와 같이 되면 본 발명의 실현이 더디어질 뿐만 아니라 결국은 완전한 거래 방식을 도출하는 것이 불가능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필요한 최소의 절차와 최소의 비용만을 사용(또는 요구)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이 모든 사람, 모든 기관, 모든 국가에 차등이 없이 공유되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채택하고 있는 인증의 방법과 적립의 방법과 결제의 방법과 청산의 방법 등은 지금까지 제시된 거래에 관련된 기술과 절차와 방식 등을 통합적으로 재결합하고 그것에 창의적인 제안들을 부가하여 발전적인 형태로 만든 것으로 가장 안전하며 가장 효율적이며 가장 총체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高效检索全球专利

    专利汇是专利免费检索,专利查询,专利分析-国家发明专利查询检索分析平台,是提供专利分析,专利查询,专利检索等数据服务功能的知识产权数据服务商。

    我们的产品包含105个国家的1.26亿组数据,免费查、免费专利分析。

    申请试用

    分析报告

    专利汇分析报告产品可以对行业情报数据进行梳理分析,涉及维度包括行业专利基本状况分析、地域分析、技术分析、发明人分析、申请人分析、专利权人分析、失效分析、核心专利分析、法律分析、研发重点分析、企业专利处境分析、技术处境分析、专利寿命分析、企业定位分析、引证分析等超过60个分析角度,系统通过AI智能系统对图表进行解读,只需1分钟,一键生成行业专利分析报告。

    申请试用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