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 함유 산 그룹 및 광개시제 그룹으로 작용화된 라텍스 |
|||||||||||||||||||||||||||||||||||||||||||||||||||||||||||||||||||||||||||||||||||||||||||||||||||||||||||||||||||||||||||||||||||||||||||
申请号 | KR20170078781 | 申请日 | 2017-06-21 | 公开(公告)号 | KR20180008284A | 公开(公告)日 | 2018-01-24 | ||||||||||||||||||||||||||||||||||||||||||||||||||||||||||||||||||||||||||||||||||||||||||||||||||||||||||||||||||||||||||||||||||||
申请人 | DOW GLOBAL TECHNOLOGIES LLC; ROHM & HAAS; | 发明人 | BELOWICH MATTHEW; KOBACK MEGHAN; STRACKE JORDAN; TANZER JOSEPH; | ||||||||||||||||||||||||||||||||||||||||||||||||||||||||||||||||||||||||||||||||||||||||||||||||||||||||||||||||||||||||||||||||||||||||
摘要 | 본발명은인 함유산 모노머(phosphorus acid monomer) 또는이의염의구조단위및 광개시제모노머의구조단위를포함하는폴리머입자의안정한수성분산액을포함하는조성물이다. 본원에기술된라텍스를함유한페인트의광택유지는, 라텍스입자에화학적으로결합된광개시제를가지지않은페인트에비해현저하게개선된다. | ||||||||||||||||||||||||||||||||||||||||||||||||||||||||||||||||||||||||||||||||||||||||||||||||||||||||||||||||||||||||||||||||||||||||||
权利要求 | 인 함유 산 모노머(phosphorus acid monomer) 또는 이의 염의 구조 단위 및 광개시제 모노머의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머 입자의 안정한 수성 분산액을 포함하며, 상기 인 함유 산 모노머 또는 이의 염의 구조 단위의 농도가 상기 폴리머 입자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2 내지 5 중량%의 범위이며, 그리고 상기 광개시제 모노머의 구조 단위의 농도가 상기 폴리머 입자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5 내지 10 중량%의 범위인,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 함유 산 모노머 또는 이의 염이 포스포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이의 염인, 조성물.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입자가 상기 폴리머 입자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5 내지 3 중량%의 포스포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이의 염의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조성물.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 모노머가 하기 화학식 중 어느 하나를 갖는, 조성물: 또는 상기 식에서, j는 0, 1, 2, 또는 3이며; k는 0, 1, 또는 2이며; 각 R 1 및 R 2 는 독립적으로 C 1 -C 6 -알킬, CF 3 , OH, NH 2 , COOH, 또는 COOCH 3 이거나; R 1 및 R 2 는 이러한 것들과 결합되는 탄소 원자와 함께, 브릿징(bridging) S, O, NH, 또는 N-CH 3 기를 형성하며; 각 R 3 은 독립적으로 CF 3 , C 1 -C 6 -알킬, -OC 1 -C 6 -알킬, -COO-C 1 -C 6 -알킬, 할로, CN, COOH, 또는 OH이며; X는 C 1 -C 6 -알킬이며; Y는 적어도 하나의 O, N, 또는 S 헤테로원자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유기 탄화수소-함유 라디칼이며, 상기 라디칼은 아크릴, 메타크릴, 스티렌, 또는 비닐 에스테르 모노머로 공중합 가능한 불포화된 치환체를 추가로 포함하며; 그리고 Z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작용화된 기이다.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 모노머가 2-히드록시-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 2-벤조일벤조에이트; 2-(((4-벤조일페녹시)카보닐)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아크릴로일옥시)-3-((9-옥소-9H-티옥산텐-2-일)옥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2-(2-(4-벤조일-2,5-디메틸페녹시)에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4-(4-클로로벤조일)벤조에이트; 및 4-벤조일페닐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입자가 상기 폴리머 입자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8 내지 2 중량%의 포스포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구조 단위, 및 0.2 내지 5 중량%의 광개시제 모노머의 구조 단위를 포함하며, 상기 광개시제 모노머가 2-히드록시-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 2-벤조일벤조에이트인, 조성물.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입자가 40 내지 50 중량%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스티렌의 구조 단위; 15 내지 25 중량%의 부틸 아크릴레이트의 구조 단위, 23 내지 33 중량%의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의 구조 단위; 0.05 내지 2 중량%의 메타크릴산 또는 이의 염의 구조 단위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입자가 상기 폴리머 입자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5 중량%의 우레이도 메타크릴레이트의 구조 단위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
||||||||||||||||||||||||||||||||||||||||||||||||||||||||||||||||||||||||||||||||||||||||||||||||||||||||||||||||||||||||||||||||||||||||||
说明书全文 |
|
단계 | 물질 | Wt (g) | Wt (g) | Wt (g) |
그라인드 | ||||
물 | 50.00 | 49.96 | 50.0 | |
TAMOL™ 165A 분산제 | 4.20 | 4.20 | 4.20 | |
FoamStar A34 소포제 | 1.00 | 1.00 | 1.00 | |
Ti-Pure R-746 티탄 디옥사이드 | 237.43 | 237.43 | 237.40 | |
ROCIMA™ 63 살생물제 | 11.00 | 11.00 | 11.00 | |
강하(Let-Down) | ||||
실시예 1 라텍스 | 534.05 | |||
실시예 2 라텍스 | 568.43 | |||
비교예 1 라텍스 | 542.72 | |||
옵티필름 인헨서 400 융착제 | 9.13 | 9.20 | 9.23 | |
텍사놀 에스테르 알코올 융착제 | 6.98 | 7.03 | 7.06 | |
암모니아 (수중 28%) | 0.40 | 0.40 | 0.50 | |
ACRYSOL™ RM-3000 증점제 | 11.08 | 11.57 | 13.00 | |
ACRYSOL™ RM-8W 증점제 | 0.97 | 2.84 | 1.00 | |
물 | 134.75 | 100.22 | 126.92 | |
전체 | 1001.00 | 1003.29 | 1004.05 |
TAMOL, ROCIMA, 및 ACRYSOL 모두는 The Dow Chemical Company 또는 이의 계열회사의 상표이다.
QUV 측정
실험 페인트를 기판 상에 코팅시키고, 하기 절차를 이용하여 촉진 내후성 시험(accelerated weathering test)으로 처리하였다. 촉진 내후성을 ASTM-D 4587(Standard Practice for Fluorescent UV-Condensation Exposures of Paint and Related Coatings)에 따라 QUV 기기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60℃에서 8시간의 UV 노출(0.89 W/m 2 ) 이후 50℃에서 4시간의 암 응축(dark condensation)으로 이루어진 사이클을 수행하였다. 배합물을 크로메이트 처리된 알루미늄 패널 상에 코팅하고(15 mil 두께), QUV 노출을 개시하기 전에 조절된 환경의 방(25℃, 50% RH)에서 7일 동안 경화시켰다. 광택을 500, 1500, 및 2000시간 간격의 QUV 노출에서 BYK Gardner micro-TRI-광택 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60°광택의 변화에 대한 결과는 표 2에 나타냈다. 이러한 표에서, △ 60 Ex. 1은 실시예 1 라텍스를 포함한 페인트로부터 제조된 코팅에 대한 60°광택의 변화를 지칭하는 것이며, △ 60 Ex. 2는 실시예 2 라텍스를 포함한 페인트로부터 제조된 코팅에 대한 60°광택의 변화를 지칭하는 것이며, △ 60 Comp. Ex. 1은 비교예 1 라텍스를 포함한 페인트로부터 제조된 코팅에 대한 60°광택의 변화를 지칭하는 것이다.
표 2 - QUV 촉진 내후에서 60°광택 단위의 변화
데이타는 화학적으로 결합된 벤조페논 기로 작용화된 라텍스를 함유한 페인트로부터 제조된 것과 비교하여 자유 벤조페논을 포함한 페인트로부터 유도된 코팅에 대한 2000h에 광택의 현저한 손실을 나타낸다. 결과는 라텍스의 제1 단계에서 PEM 및 광개시제를 공중합하는 것의 장점을 추가로 나타낸다.
실시예 3 - 2-단계 라텍스의 제조: 제1 단계에서 광개시제 모노머, 인 함유 산 모노머, 및 우레이도 메타크릴레이트 첨가
탈이온수(139 g), Disponil FES-993 계면활성제(28.2 g, 30% 활성),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158.8 g), 부틸 아크릴레이트(96.4 g), 메틸 메타크릴레이트(230.2 g), 포스포에틸 메타크릴레이트(39.2 g, 60% 활성), 메타크릴산(4.7 g), 및 2-히드록시-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 2-벤조일벤조에이트(72.6 g, 54% 활성)를 혼합함으로써 제1 모노머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패들 교반기, 온도계, 질소 유입구, 및 환류 콘덴서가 장착된 5-L, 4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탈이온수(931 g) 및 Disponil FES-32 계면활성제(11.9 g, 30% 활성)를 첨가하였다. 플라스크의 내용물을 N 2 하에서 82℃까지 가열시키고, 교반을 개시하였다. 이후에 소정 부분의 제1 모노머 에멀젼(116.1 g)을 첨가한 후에 탈이온수(32 g)로 세정하였다. 탈이온수(26 g) 중에 용해된 암모늄 퍼설페이트(4.0 g)의 용액을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이후에, 탈이온수(15.0 g), Disponil FES-993 계면활성제(3.0 g, 30% 활성), 및 우레이도 메타크릴레이트(39.2 g, 50% 활성)의 용액을 이후에, 제1 모노머 에멀젼에 첨가하였다. 최대 발열이 관찰된 후에, 온도를 85℃에서 유지시키면서 나머지 제1 모노머 에멀젼을 30분에 걸쳐 일정한 속도로 첨가하였다. 동시에, 30%의 탈이온수(118 g) 중 암모늄 퍼설페이트(3.7 g)의 개시제 용액을 30분에 걸쳐 별도로 첨가하였다. 제1 모노머 에멀젼을 공급한 직후에, 제1 모노머 에멀젼을 함유한 플라스크를 탈이온수(15 g)로 세정하였으며, 개시제 용액의 첨가를 중지시켰다. 반응 함유물을 85℃에서 15분 동안 유지시켰다. 한편, 탈이온수(398 g), Disponil FES-32 계면활성제(39.4 g, 30% 활성),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370.4 g), 부틸 아크릴레이트(221.2 g), 메틸 메타크릴레이트(769.4 g), 메타크릴산(11.0 g), 및 암모늄 히드록사이드(14.4 g 29% 활성)를 혼합함으로써 제2 모노머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15분 유지 후에, 온도를 85℃에서 유지시키면서 제2 모노머 에멀젼 및 잔부의 개시제 용액을 80분에 걸쳐 연속적으로 그리고 별도로 첨가하였다. 공급을 완료한 직후에, 모노머 에멀젼 탱크 및 개시제 용액을 탈이온수(30 g)로 세정하였다. 플라스크의 내용물을 75℃까지 냉각시키고, 촉매/활성제 쌍을 플라스크에 첨가하여 잔부 모노머를 감소시켰다. 폴리머를 암모늄 히드록사이드(29% 활성)로 pH 9.0까지 중화시켰다. Brookhaven BI 90 Plus 입자 분석기를 이용한 측정된 입자 크기는 110 내지 130 nm이었으며, 고체 함량은 51%이었다.
실시예 4 - 2-단계 라텍스의 제조: 제1 단계에서 광개시제 모노머 및 인 함유 산 모노머 첨가
우레이도 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2-단계 폴리머를 본질적으로 실시예 3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제1 단계 대 제2 단계의 w/w 단계 비는 30:70이다.
제1 단계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노머의 상대적 w/w 양은 27.0 2-EHA/16.4 BA/39.2 MMA/6.7 PEM (60% 활성)/6.7 2-히드록시-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 2-벤조일벤조에이트/0.8 MAA이었으며, 제2 단계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노머의 상대적 w/w 양은 27.0 2-EHA/16.12 BA/56.08 MMA/ 0.8 MAA이었다.
먼지 픽업 내성 측정(Dirt Pick-up Resistance Measurements)
Y-반사율에 의해 측정한 바와 같이, 먼지 픽업 내성에 대한 우레이도 메타크릴레이트로 라텍스를 작용화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추가 실험을 수행하였다. 제2 단계 모노머 에멀젼이 우레이도 메타크릴레이트를 함유하지 않는다는 것을 제외하고 라텍스를 실질적으로 실시예 1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페인트 조성물을 표 3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으며, 기판을 실시예 1의 라텍스를 함유한 페인트로 그리고 우레이도 메타크릴레이트로 작용화되지 않은 유사한 라텍스를 함유한 것으로 코팅하였다. 페인트 배합물을 5-mil 어플리케이터(applicator)로 크로메이트-처리된 알루미늄 패널 위에 드로잉하고, 조절된 환경 방(25℃, 50% RH)에서 밤새 건조시켰다. 이후에, 패널을 6일 동안 45°각에서 외측 남향 배치시켰다. 외부 노출 후에, 초기 Y-반사율 측정을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샘플을 폭스 박스(fox box)에서 1.5시간 동안 배치시키고, 이후에, 두들겨서 건조시켰다. 갈색 철 옥사이드 슬러리를 브러시 적용하였고, 4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가림망(cheese cloth)으로 문지르면서 흐르는 온수 하에서 세척하였다. 건조 후에, 최종 Y-반사율 값을 측정하였다. 보유 Y-반사율은 최종 Y 반사율을 초기 Y-반사율로 나누고 100% 곱하여진 것과 동일하다. Y-반사율 측정을 BYK Gardner 칼라-가이드(BYK Gardner color-guide 45/0 meter) 45/0 미터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물(250 g) 및 TAMOL™ 731A 분산제(0.1 g) 중에 Davis Colors 641 갈색 철 옥사이드(125 g)를 분산시킴으로써 갈색 철 옥사이드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보유 Y 반사율은 실시예 1 라텍스를 함유한 페인트의 경우에 95.7%이었으며, 우레이도 메타크릴레이트로 작용화되지 않은 라텍스를 함유한 페인트의 경우에 93.2%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3에 나타낸 결과는, 폴리머 라텍스에 우레이도 메타크릴레이트의 포함이 먼지 픽업 내성에 대한 양호한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표 3 - 0 VOC 페인트 배합물
물질 | Wt (g) | Wt (g) |
물 | 67.36 | 67.19 |
Ti-Pure R-746 티탄 디옥사이드 | 129.19 | 129.19 |
실시예 1 라텍스 | 285.63 | |
우레이도 메타크릴레이트가 없는 실시예 1 라텍스 | 285.46 | |
BYK-348 계면활성제 | 1.10 | 1.10 |
로돌린 643 소포제 | 1.50 | 1.50 |
옵티필름 인헨서 400 융착제 | 11.67 | 11.67 |
암모니아 (수중 28%) | 0.70 | 0.52 |
ACRYSOL™ RM-2020NPR 증점제 | 9.00 | 9.00 |
ACRYSOL™ RM-8W 증점제 | 0.70 | 0.70 |
물 | 0.30 | 0.48 |
전체 | 507.15 | 506.8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