튜브형 보조의자

申请号 KR2020000019837 申请日 2000-07-11 公开(公告)号 KR200204859Y1 公开(公告)日 2000-12-01
申请人 (주) 투비컴; 发明人 진명산;
摘要 본 고안은 튜브형 보조의자에 관한 것으로, 경기장 관람석과 같은 야외 관람석 의자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튜브형으로 등받이가 구비되어 장시간 관람시의 불편함을 줄이고, 큐방을 부착하여 미끄럼을 방지한 튜브형 보조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기장 관람석 의자는 등받이가 없는 경우가 전체좌석의 절반이넘고, 플라스틱 재질로 딱딱하여, 장시간 관람시 불편한 단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등받이부와 방석부로 구성되며, 상기 등받이부와 방석부에는 쿠션조절홀이 있어, 쿠션량을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등받이부에는 착탈이 가능한 허리지지봉이 구비되어, 등받이가 없는 관람석의자에 적용시 등받이부를 지탱해주며, 상기 등받이부와 방석부의 연결부에는 허리받침부가 부착되어 사용자가 앉았을 때 안정감있게 해주고, 상기 방석부의 뒷면에는 큐방이 부착되어 있어 관람석 의자에 효과적으로 밀착되는 튜브형 보조의자를 제공한다.
즉, 본 고안의 튜브형 보조의자에 의하면, 경기 관람시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관람석 의자와의 착탈이 용이하고 휴대, 보관이 간편하며, 튜브형태로 되어 있어서, 물놀이 기구나 구조용 튜브로도 응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权利要求
  • 튜브재질로,
    공기유입부(14)와 접착부(16)와 상기 접착부(16)상에 형성된 후면부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쿠션 조절홀(10)로 구성되는 전면부와, 나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허리지지봉(5)과 상기 허리지지봉(5)을 끼우는 허리지지봉 삽입구(13)가 양쪽으로 구성되어 있는 후면부로 구성된 등받이부(4)와;
    상기 등받이부(4)의 전면부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면서, 후면부에 공기주입구(22)와 다수개의 큐방(26)이 부착된 방석부(6)와;
    상기 등받이부(4)와 방석부(6)의 연결지점에 위치하는 접힘부(12)와;
    상기 등받이부(4)와 방석부(6)의 각각의 전체길이의 접힘부(12)로부터 2/3지점에 상기 쿠션조절홀(10)보다 바깥쪽으로 비스듬하게 부착되며, 상기 부착지점에 연결고리가 형성된 광고문구 또는 캐릭터 등을 프린트하는 허리받침부(8)
    를 포함하는 튜브형 보조의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쿠션 조절홀(10)에 끼워 쿠션량을 조절하는 나무재질의 쿠션조절핀셋(11)을 포함하는 튜브형 보조의자.
  • 说明书全文

    튜브형 보조의자{Spare chair of tube type}

    본 고안은 튜브형 보조의자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경기장 관람석과 같은 야외 관람석 의자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튜브방식으로 등받이가 구비되고, 미끄럼을 방지하는 큐방이 부착되어 장시간 관람시의 불편함을 줄이면서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튜브형 보조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기장 관람석 의자는 내빈석, 기자석, 일반석이 혼재된 층에는 등받이 일체형 의자가 설치되어 있고, 일반석 위주의 층일 경우에는 등받이가 없는 의자로만 구성되어 있어, 상기 등받이가 없는 관람석은 전체좌석의 50%정도를 차지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경기장 내의 좌석은 플라스틱 재질로 딱딱하여 장시간 관람시 관람객에게 불편함을 주며, 또한 대인원이 이용하기 때문에 청결상태가 안좋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 관람석 의자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장시간 관람시에도 불편함을 주지 않으며, 등받이가 없는 관람석 의자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허리지지봉을 포함하는 등받이가 구비되며, 관람석의자와 효과적으로 밀착되도록 큐방이 부착된 관람석 의자용 보조의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튜브형 보조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튜브형 보조의자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튜브형 보조의자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튜브형 보조의자의 배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튜브형 보조의자를 휴대시 접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튜브형 보조의자 4 : 등받이부

    6 : 방석부 8 : 허리받침부

    10 : 쿠션조절홀 11 : 쿠션조절핀셋

    12 : 접힘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튜브재질로, 공기유입부(14)와 접착부(16)와 상기 접착부(16)상에 형성된 후면부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쿠션 조절홀(10)로 구성되는 전면부와, 나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허리지지봉(5)과 상기 허리지지봉(5)을 끼우는 허리지지봉 삽입구(13)가 양쪽으로 구성되어 있는 후면부로 구성된 등받이부(4)와; 상기 등받이부(4)의 전면부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면서, 후면부에 공기주입구(22)와 다수개의 큐방(26)이 부착된 방석부(6)와; 상기 등받이부(4)와 방석부(6)의 연결지점에 위치하는 접힘부(12)와; 상기 등받이부(4)와 방석부(6)의 각각의 전체길이의 접힘부(12)로부터 2/3지점에 상기 쿠션조절홀(10)보다 바깥쪽으로 비스듬하게 부착되며, 상기 부착지점에 연결고리가 형성된 광고문구 또는 캐릭터 등을 프린트하는 허리받침부(8)를 포함하는 튜브형 보조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튜브형 보조의자는 상기 한쌍의 쿠션 조절홀(10)에 끼워 쿠션량을 조절하는 나무재질의 쿠션조절핀셋(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튜브형 보조의자의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튜브형 보조의자(1)는 크게 등받이부(4), 방석부(6), 허리받침부(8)로 구성되며, 상기 등받이부(4)와 방석부(6)는 접힘부(12)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등받이부(4)와 방석부(6)에는 각각 접힘부(12)와 근접한 위치에서 지름 3cm가량의 쿠션조절홀(10)이 다수개 형성되고, 목재재질의 쿠션조절핀셋(11)으로 상기 같은 행의 쿠션조절홀(10)을 압착하여 사용자가 쿠션량을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허리받침부(8)는 상기 등받이부(4)와 방석부(6)를 기울인 상태에서 양쪽에 비스듬하게 부착되는데, 이때 허리받침부(8)가 등받이부(4)와 방석부(6)에 부착되는 지점은, 접힘부(12)를 기준으로 각각의 전체길이의 약 2/3지점이 된다.

    상기 허리받침부(8)의 부착방식은 고주파 처리방식으로 한다.

    상기 허리받침부(8)의 양끝단에는 휴대시 등받이부(4)와 방석부(6)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고리(3)가 형성되어 있어, 휴대시 접은 상태에서 양끝단의 연결고리(3)를 서로 연결하게 된다.

    상기 연결고리(3)로는 여러가지 형태가 가능하나, 그중 똑딱 단추형태로 양쪽에 하나씩 형성하는게 바람직하다.

    또한 미도시되었지만, 상기 등받이부(4)와 방석부(6)의 뒷면에는 각각 허리지지봉 삽입구 및 큐방과 공기주입구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2, 3, 4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는 본 고안의 튜브형 보조의자의 측면도로서, 본 고안의 허리받침부와 등받이부의 뒷면에 부착하는 허리지지봉을 중심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튜브형 보조의자는 상기 등받이부(4)와 방석부(6)는 공기가 주입된 쿠션상태이고, 상기 등받이부(4)와 방석부(6)에 비스듬하게 부착된 허리받침부(8)는 별도의 공기주입없이 평면적으로 구성되어, 상기 허리받침부(8)와 접힘부(12)사이는 빈공간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 있듯이, 본 고안의 튜브형 보조의자(1)의 주용도는 경기장과 같이 대인원을 수용하는 야외관람석의 보조기능을 하는 의자로서, 상기 야외관람석의자중 상당수는 등받이가 없는 의자로 구성된다.

    원내의 도면은 본 고안의 튜브형 보조의자(1)에 삽입된 허리지지봉(5)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즉, 본 고안의 튜브형 보조의자(1)를 등받이가 없는 관람석 의자에 적용시, 상기 등받이부(4)의 뒷면의 별도의 삽입구에 허리지지봉(5)을 끼우는 것이다.

    즉, 상기 등받이부(4)에 허리지지봉(5)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허리지지봉(5)이 등받이부(4)를 안정되게 지탱해주므로 사용자가 장시간 경기관람시에도 피로감을 줄일 수 있는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허리지지봉(5)으로는 나무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가벼우면서도 견고성이 있는 재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튜브형 보조의자(1)의 허리지지봉(5)은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에 적용시에는 삽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튜브형 보조의자의 평면도이다.

    상기 각 구성요소의 정확한 설명을 위해, 허리받침부는 따로 분리하여 도시하였다.

    상기 튜브형 보조의자(1)의 재질은, 공기주입 상태에서 최대 90kg까지의 하중을 견딜 수 있어야 하며, 쉽게 훼손되거나 터지지 않으며, 열전도율이 낮고, 정전기 발생이 적으며, 가격이 저렴해야 한다.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재질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수지(High Density PolyEth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수지발포제,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 등과 같은 합성수지를 들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튜브형 보조의자(1)는 상기 제시한 합성수지 중에서 선택된 재질을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접힘부(12), 등받이부(4), 방석부(6)로 고주파처리로 영역을 나뉘며, 상기 접힘부(12)를 기준으로 상, 하로 나뉘어 상부를 등받이부(4)로 하고, 하부를 방석부(6)로 하며, 상기 등받이부(4)와 방석부(6)에는 각각 10cmm가량의 공기유입부(14)가 세로방향으로 세개 형성되어있으며, 상기 공기유입부(14) 사이사이에는 공기유입이 차단된 접착부(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방석부(6)에 공기 주입시, 상기 접힘부(12)를 통해서 상기 등받이부(4)로도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접힘부(12)에는 상기 방석부(6)와 상기 등받이부(4)의 각각의 공기유입부(14)와 연결되는 부분에 일정간격 공기유입통로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부(4) 및 방석부(6)의 접착부(16)에는 각각 후면부를 관통하는 다수 개의 쿠션조절홀(10)이 형성되고,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쿠션조절홀(10)은 2행 2열로 등받이부(4)와 방석부(6)의 접힘부와 근접한 위치에 각각 4개씩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서로 같은 행의 2개의 쿠션조절홀(10)에 목재재질의 쿠션조절핀셋(11)을 끼우므로써, 상기 쿠션조절핀셋(11)이 공기유입부(14)를 가로지르며 쿠션조절홀(10)에 끼워지므로 쿠션량을 조절할 수 있다.

    원안의 도면은 절단선 A-A'에 따른 상기 튜브형 보조의자(1)의 단면도로서, 상기 튜브형 보조의자(1)에 공기를 주입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공기유입부(14)와 접착부(16)가 번갈아가며 구성되어, 올록볼록한 면이 형성된다.

    상기 접착부(16)를 형성하는 것은 공기주입시 공기가 고르게 분포하도록 하며, 상기 접착부(16)와 공기유입부(14)가 번갈아가며 구성되므로써, 상기 등받이부(4) 및 방석부(6)의 올록볼록한 면이 사용자가 장시간 이용시에도 쉽게 피로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높여주는 것이다.

    상기 허리받침부(8)는 상기 일체형의 등받이부(4) 및 방석부(6)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등받이부(4)와 방석부(6) 접힘부(12)로부터 각각 길이의 2/3지점에서 등받이부(4)와 방석부(5)의 간격(d 1 )은 상기 허리받침부(8)에 표시한 양끝단 점선간의 간격(d 2 )에 비해 일정간격 더 넓도록 구성하여야 하는데, 이는 실제로 상기 허리받침부(8)를 상기 등받이부(4)와 방석부(6)에 부착시 비스듬하게 형성하기 위해서이다.

    본 고안의 튜브형 보조의자는 일체형으로 공기유입부(14)와 접착부(16)로 각각 구성된 등받이부(4), 방석부(6)를 형성하고, 상기 접착부(16)에는 쿠션조절홀(10) 및 쿠션조절핀셋(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등받이부(4)와 방석부(6)의 연결부위에 공기유입이 자유로운 접힘부(12)의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허리받침부(8)가 부착되는 상기 등받이부(4)와 방석부(6)간의 간격(d 1 )은 상기 등받이(4)와 방석부(6)의 각각 바깥쪽 쿠션조절홀(11)간의 간격(d 3 )보다 넓게 함으로써, 상기 허리받침부(8)을 부착했을때, 상기 허리받침부(8)가 쿠션조절홀(10), 쿠션조절핀셋(11)을 가려, 외관상으로 상기 튜브형 보조의자의 모양을 심플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허리받침부(8)의 커버에는 별도의 광고문구 등을 프린트하거나 캐릭터 등을 기입할 수 있는 광고면으로 적극 활용하여, 경기장 운영주들이 본 고안의 튜브형 보조의자로 인해 광고수익을 얻을 수 있는 사업성 가치성도 가진다.

    도 4는 본 고안의 튜브형 보조의자의 배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특히 등받이부 뒷면에 형성하는 허리지지봉 삽입구와 방석부의 뒷면에 부착하는 큐방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부(4)의 후면부에는 허리지지봉 삽입구(13)가 형성되며,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등받이부(4)의 후면부에 양쪽에 하나씩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허리지지봉 삽입구(13)는 상기 튜브형 보조의자(1)와 같은 재질로 허리지지봉(5)을 삽입했을 때, 상기 허리지지봉(5)이 빠지지 않도록 허리지지봉(5)의 지름과 같은 마치 주머니같은 형상으로 상기 등받이부(4)에 고주파처리되어 부착된다.

    상기 튜브형 보조의자(1)와 별도로 표시한 허리지지봉(5)은 상기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등받이부(4)의 양쪽 허리지지봉 삽입구(13)로 아래에서 위로 끼워넣는 방식으로 한다.

    이때, 상기 허리지지봉 삽입구(13)는 허리지지봉(5)의 길이보다 일정길이 짧게 형성하여, 허리지지봉(5)을 삽입했을 때, 허리지지봉(5)이 외부로 일정길이 노출되어, 상기 허리지지봉(5)의 튜브형 보조의자(1)에서의 탈착이 간편하도록 한다.

    상기 방석부(6)의 후면부에는 다수개의 큐방(26)과, 공기주입구(22)이 형성되는데, 상기 큐방(26)의 부착위치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방석부(6)의 양끝 모서리부에 근접한 위치 및 접힘부(12)에 가까운 중앙지점에 삼각형을 이루도록 부착하여 미끄럼 방지를 최대한 방지한다.

    상기 큐방(26)은 고무재질의 바킹으로서, 플라스틱재질의 관람석의자에 미끄러지지 않게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여, 특히 어린아이들이 의자에서 미끄러져 다치는 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공기주입구(22)의 위치는 등받이부(4)에 형성해도 무관하나, 상기 공기주입구(22)를 통해 공기가 상기 접힘부(12)를 통해 등받이부(4)나 혹은 방석부(6)로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되도록 별도의 연결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큐방(26) 및 공기주입구(22)의 부착은 고주파 처리방식으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튜브형 보조의자를 휴대시 접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본 고안의 튜브형 보조의자는 휴대시에는, 상기 튜브형 보조의자로부터 공기를 빼내 부피를 줄여서 손쉽게 보관할 수 있다.

    즉, 상기 순서도를 통해서 본 고안의 튜브형 보조의자를 휴대시 효과적으로 접는 방법에 대하여 간략하게 1, 2, 3단계에 나눠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제 1단계(I)방법은, 일단, 상기 튜브형 보조의자(1)로부터 공기를 빼내 부피를 줄인 후, 상기 튜브형 보조의자(1)의 허리받침부(8)가 상기 등받이부(4) 및 방석부(6)와 부착되는 지점(B)을 휴대시 바깥쪽으로 꺽는 것이다.

    이때, 상기 튜브형 보조의자에서 허리지지봉(미도시)은 분리된 상태이다.

    제 2 단계(II)는, 본 고안의 튜브형 보조의자(1)의 부착지점(B)을 바깥쪽으로 꺽고, 접힘부(12)를 화살표방향으로 허리받침부(8)쪽으로 밀어서 허리받침부(8)가 외부면이 되도록 한다.

    제 3 단계(III)는, 본 고안의 튜브형 보조의자(1)가 허리받침부(8)를 외부로 하여 반으로 접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외부면을 형성하는 허리받침부(8)의 부착지점(B)에는 연결고리(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고리(3)는 여러가지 스타일로 형성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기로는 똑딱 단추 스타일로, 양 부착지점(B) 중앙지점에 각각 하나씩 형성하여, 휴대시 두 지점을 연결하여 휴대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허리받침부를 외부면으로 하여 튜브형 보조의자를 휴대하므로, 상기 튜브형 보조의자의 바깥면에 돌출되어 형성되어있는 허리지지봉 삽입구, 큐방, 공기주입구 등이 내부면으로 되어, 휴대시 불편함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받이 뒷면에 삽입하는 허리지지봉은 휴대시 상기 튜브형 보조의자에서 분리하여, 내부에 끼워 휴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튜브형 보조의자는 보조의자로서의 기능 뿐 아니라, 광고선전용품으로도 이용가능하고, 공기의 주입을 맘대로 조절할 수 있어, 휴대시에는 적은 부피로 휴대간편하게 할 수 있고, 또 상기 본 고안의 튜브형 보조의자는 응원도구나 경기관람중 우천시 우산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또한, 재질이나 제작공정이 복잡하지 않아, 저렴한 가격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상기 잇점은 경기장 운영주를 상대로 대량 납품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