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table and foldable pedestal

申请号 KR20090003610 申请日 2009-03-30 公开(公告)号 KR20100009845U 公开(公告)日 2010-10-08
申请人 发明人
摘要 본 고안은 좌대를 구성하는 골조와 상판을 절첩가능하게 구성하여 접은 상태로 휴대하고, 펼친 상태에서 좌대로 사용토록 함은 물론 일측 지주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경사진 부위에서 사용하기 적당하도록 한 휴대용 절첩식 좌대에 관한 것으로, 4개의 지주 중 일측의 2개의 지주 상부에는 고정부재가 각각 고정되면서 하부에는 절첩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각각 끼워지고, 다른 2개의 지주 상하부에는 절첩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각각 끼워지며, 각 지주의 사이와 각 지주의 대각방향 중앙부 상하 위치에는 연결부재가 각각 구비되고, 각 고정부재, 각 절첩부재, 각 연결부재에는 지지대가 회전가능하게 각각 고정되면서 고정부재와 연결부재의 사이, 연결부재와 절첩부재의 사이, 각 지주 사이에 구비된 연결부재와 각 지주의 대각방향 중앙부에 구비된 연결부재의 사이에는 지지대가 "X"자 형태로 절첩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각 지지대가 접히거나 각 지지대가 펼쳐지도록 구성된 골조; 및 중간부가 분할된 상태로 서로 맞대어지고, 상기 분할된 각 부위가 서로 접힐 수 있도록 그 접촉부위 사이에는 다수의 경첩이 고정되며, 테두리는 골조의 각 지주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이루어지되, 일측의 2군데 모서리부위에는 지주 중 각 절첩부재가 슬라이딩가능하게 각각 끼워진 2개의 지주가 통과되도록 관통홀이 각각 형성된 상판으로 구성한 것이다.
权利要求
  • 4개의 지주(110) 중 일측의 2개의 지주(110) 상부에는 고정부재(121)가 각각 고정되면서 하부에는 절첩부재(12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각각 끼워지고, 다른 2개의 지주(110) 상하부에는 절첩부재(12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각각 끼워지며, 상기 각 지주(110)의 사이와 상기 각 지주(110)의 대각방향 중앙부 상하 위치에는 연결부재(123)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각 고정부재(121), 상기 각 절첩부재(122), 상기 각 연결부재(123)에는 지지대(124)가 회전가능하게 각각 고정되면서 상기 고정부재(121)와 연결부재(123)의 사이, 상기 연결부재(123)와 절첩부재(122)의 사이, 상기 각 지주(110) 사이에 구비된 연결부재(123)와 상기 각 지주(110)의 대각방향 중앙부에 구비된 연결부재(123)의 사이에는 상기 지지대(124)가 "X"자 형태로 절첩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상기 각 지지대(124)가 접히거� � 상기 각 지지대(124)가 펼쳐지도록 구성된 골조(100); 및
    중간부가 분할된 상태로 서로 맞대어지고, 상기 분할된 각 부위가 서로 접힐 수 있도록 그 접촉부위 사이에는 다수의 경첩(201)이 고정되며, 테두리는 상기 골조(100)의 각 지주(1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이루어지되, 일측의 2군데 모서리부위에는 상기 지주(110) 중 상기 각 절첩부재(122)가 슬라이딩가능하게 각각 끼워진 2개의 지주(110)가 통과되도록 관통홀(202)이 각각 형성된 상판(200)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절첩식 좌대.
  • 说明书全文

    휴대용 절첩식 좌대{Potable and foldable pedestal}

    본 고안은 휴대용 절첩식 좌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대를 구성하는 골조와 상판을 절첩가능하게 구성하여 접은 상태로 휴대하고, 펼친 상태에서 좌대로 사용토록 함은 물론 일측 지주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경사진 부위에서 사용하기 적당하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낚시와 같은 레저활동을 할 때에는 장시간 앉아 있어야 하므로 편안한 낚시를 위해 휴대용 의자를 휴대하게 되는데, 이러한 휴대용 의자의 경우에는 평지에서는 상관없으나 낚시의 포인트들은 대부분 물 근접부위가 경사져 있게 마련이므로 경사진 부위에서 편안하게 낚시를 즐기는데 한계가 있다.

    물론, 경사진 부위에 고정식의 좌대를 설치한 곳도 있으나, 이러한 장소는 업자들이 미리 선점하여 좌대사용료를 받고 있으며, 이러한 장소 이외의 경사진 장소에서는 대부분 서서 낚시를 하고 있는 형편이다.

    또한, 계곡에 놀러갔을 경우에도 계곡의 특성상 평탄한 일부 장소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경사져있어 편안하게 앉아있기조차 어려우며, 대부분 평탄한 장소를 찾아 헤매기 마련이었다.

    이를 감안하여 종래에도 휴대용 낚시좌대가 여러건 공개된 바 있으나, 대부분의 휴대용 낚시좌대는 부피를 줄이는 구조가 슬라이드식이어서 부피를 1/2 정도로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는 있으나 그 부피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좌대는 완전히 펼친 후의 좌대 크기 역시 작아질 수밖에 없어 여러사람이 같이 사용하기에 적당하지 않은 단점이 있게 된다. 즉, 혼자서 즐기는 낚시용으로밖에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좌대를 구성하는 골조와 상판을 절첩가능하게 구성하여 최소한의 부피로 접은 상태에서 휴대하고, 펼친 상태에서 넓은 크기의 좌대로 사용토록 함은 물론 일측 지주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경사진 부위에서 사용하기 적당하도록 한 휴대용 절첩식 좌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지주의 사이에 지지대가 "X"자 형상으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어 접은 상태에서 휴대하고, 펼친 상태에서 상판을 얹어 좌대로 사용토록 하되, 일측 지주는 각 지지대 연결부위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하여 좌대를 펼치고자 하는 경사도에 따라 원하는 길이만큼 그 높이를 조절하여 경사면에서 사용하기 적당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측면상 "X"자 형상으로 지지대가 지주의 사이에 연결되어 골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골조를 접을 경우 그 부피가 1/4이하로 줄어들 수 있으며, 상판은 1/2의 부피로 줄어들지만 부피가 줄어든 상판을 세울 경우 상판의 폭 역시 1/10이하로 줄어들 수 있어 좌대를 접어서 휴대할 때 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며, 이와 같이 좌대의 부피가 줄어들게 되면 차량 등에 휴대가 가능한 정도로 제작하더라도 이를 펼쳤을 때 그 넓이가 굉장히 넓어지게 되어 여러명이 같이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개인용으로 작게 만들 경우 접은 상태의 부피가 현저히 작아지게 되어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골조의 2개의 지주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므로 경사진 부위에 펼쳐놓았을 때 상판을 편평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이러한 구조의 좌대는 낚시용이나, 계곡 등 경사진 장소에 사용하기 적당해지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좌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좌대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좌대의 설치상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좌대의 접은 상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절첩식 좌대는 골조(100)와 상판(200)으로 이루어진다.

    4개의 지주(110) 중 일측의 2개의 지주(110) 상부에는 고정부재(121)가 각각 고정되면서 하부에는 절첩부재(12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각각 끼워지고, 다른 2개의 지주(110) 상하부에는 절첩부재(12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각각 끼워지며, 각 지주(110)의 사이와 각 지주(110)의 대각방향 중앙부 상하 위치에는 연결부재(123)가 각각 구비되고, 각 고정부재(121), 각 절첩부재(122), 각 연결부재(123)에는 지지대(124)가 회전가능하게 각각 고정되면서 고정부재(121)와 연결부재(123)의 사이, 연결부재(123)와 절첩부재(122)의 사이, 각 지주(110) 사이에 구비된 연결부재(123)와 각 지주(110)의 대각방향 중앙부에 구비된 연결부재(123)의 사이에는 지지대(124)가 "X"자 형태로 절첩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각 지지대(124)가 접히거나 각 지지대(124)가 펼쳐지도록 골조(100)가 구성된다.

    또한, 상판(200)은 중간부가 분할된 상태로 서로 맞대어지고, 상기 분할된 각 부위가 서로 접힐 수 있도록 그 접촉부위 사이에는 다수의 경첩(201)이 고정되며, 테두리는 골조(100)의 각 지주(1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이루어지되, 일측의 2군데 모서리부위에는 지주(110) 중 각 절첩부재(122)가 슬라이딩가능하게 각각 끼워진 2개의 지주(110)가 통과되도록 관통홀(202)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각 지주(110)는 2중관식으로 구성되어 외관(111)의 내부에 내관(112)이 삽탈가능하게 끼워지고, 내관(112)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봉(113)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판(200)의 관통홀(202)에 끼워지는 각 지주(110)의 상단부에 스토퍼를 구비하여 골조(100)를 접을 때 절첩부재(122)가 지주(110)의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절첩식 좌대를 접어 차량의 트렁크와 같은 장소에 싣고 야외로 나가게 되며, 접혀진 상태의 골조(100)와 상판(200)을 꺼내어 먼저 골조(100)를 펼치게 되는데, 슬라이딩 가능한 각각의 지주(110)를 펼치고자 하는 장소에 경사도에 맞게 길이조정을 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지주(110) 상부의 절첩부재(122)와 길이조정이 되지 지주(110)의 고정부재(121) 높이를 수평으로 맞추고, 그 위에 상판(200)을 펴서 얹게 된다.

    그러면, 슬라이딩 가능한 지주(110)에 끼워진 하부측 절첩부재(122)로부터 지주(110) 하단부까지의 길이는 길이조정이 되지 않는 지주(110)의 하부측 절첩부재(122)로부터 지주(110)의 하단부까지의 길이보다 짧게 되지만 상방향으로 높게 인출되므로 상판(200)의 관통홀(202)을 통해 지주(110)의 상부를 통과시켜주면 되며, 상판(200)의 테두리가 하방향으로 인출되어 있으므로 4개의 지주(110) 상부에 위치한 고정부재(121) 또는 절첩부재(122)가 상판(200)의 4군데 모서리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판(200)에 앉거나 짐을 올려놓게 되면 상판(200)이 하방향으로 눌리면서 골조(100)를 하방향으로 압박하게 되고, 골조(100)의 각 지지대(124)는 측면상 "X"자 형상을 이루고 있어 골조(100)에 압력이 가해지면 펴지려는 성질을 갖게 되므로 골조(100)와 상판(200)이 타이트하게 지지되어 슬라이딩 가능한 지주(110)에 별도의 스토퍼없이도 절첩부재(122)가 슬라이딩하지 않고 조절된 위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각 지주(110)는 2중관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경사도가 클 경우 2중관을 이루는 외관(111)으로부터 내관(112)을 더 빼내거나 더 집어넣어 경사도를 맞출 수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좌판을 펼치고자 하는 장소의 경사도에 맞게 골조(100)를 설치하고, 그 위에 상판(200)을 얹게 되면 상판(200)이 수평을 유지하게 되며, 그 위에서 낚시를 즐기거나 여러명이 앉아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것이다.

    펼쳐져있던 좌대를 다시 접어줄 때에는 펼칠 때와는 반대로 상판(200)을 들어내어 접어주고, 골조(100)를 들어내어 상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있던 지주(110)를 원래의 위치로 내려준 후 그대로 접어주면 측면상 "X"자 형상의 지지대(124)가 서로 접히면서 최소한의 부피로 줄어들게 되며, 이러한 상태로 차량의 트렁크 등에 수납한 상태로 이동하면 되는 것이다.

    물론, 지주(110)를 이루는 2중관식 중 외관(111)으로부터 내관(112)을 빼낸 경우에는 골조(100)를 접어줄 때 내관(112)을 집어넣어 원래의 상태가 되도록 해야 함은 자명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절첩식 좌대의 골조(100)와 상판(200)은 그 재질을 한정하지는 않지만 사람이 상판(200)에 앉았을 때 버틸 수 있는 정도의 강성과 함께 휴대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무게를 가져야 하므로 알루미늄재질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좌대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좌대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좌대의 설치상태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좌대의 접은 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골조 110 : 지주

    111 : 외관 112 : 내관

    113 : 길이조절봉 121 : 고정부재

    122 : 절첩부재 123 : 연결부재

    124 : 지지대 200 : 상판

    201 : 경첩 202 : 관통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