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트

申请号 KR1020137001164 申请日 2011-07-01 公开(公告)号 KR1020130040226A 公开(公告)日 2013-04-23
申请人 스플라이스드 아이피 리미티드; 发明人 루카스제임스;
摘要 본 시트는 시트 쿠션(12), 지지 구조체(15) 및 등받이(14)를 포함하며, 사용시 시트 쿠션(12)에 중량이 가해지면 그 시트 쿠션(12)은 지지 구조체에 대해 실질적으로 하방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시트 쿠션(12)의 실질적인 하향 운동으로 인해 등받이(14)가 실질적으로 상방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움직이게 되며, 지지 구조체에 대한 시트 쿠션(12)의 상부 표면의 각방향은 시트 쿠션(12)의 실질적인 하향 운동 중에 변하지 않는다.
权利要求
  • 시트 쿠션, 지지 구조체 및 등받이를 포함하는 시트로서, 사용시 상기 시트 쿠션에 중량이 가해지면 그 시트 쿠션은 상기 지지 구조체에 대해 실질적으로 하방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시트 쿠션의 실질적인 하향 운동으로 인해 등받이가 실질적으로 상방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움직이게 되며, 상기 지지 구조체에 대한 시트 쿠션의 상부 표면의 각방향(angular orientation)은 시트 쿠션의 실질적인 하향 운동 중에 변하지 않는 시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의 등 지지 표면에 대한 시트 쿠션의 상부 표면의 각방향은 시트 쿠션의 실질적인 하향 운동 중에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는 시트.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쿠션과 듣받이는 등받이의 상부 가장자리가 시트 쿠션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있게 되는 제 1 위치와 등받이가 시트 쿠션의 높이의 위에 있게 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도록 되어 있는 시트.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체는 팔걸이를 포함하고, 등받이는 등받이의 상부 가장자리가 상기 팔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있게 되는 제 1 위치와 등받이가 팔걸이의 높이의 위에 있게 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도록 되어 있는 시트.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쿠션은 상기 제 1 위치에서 팔걸이의 높이의 아래에 위치되는 시트.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링크가 시트 쿠션의 운동을 배가시켜 주며, 그 시트 쿠션의 운동으로 인해 등받이가 더 크게 움직이게 되는 시트.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체에 대한 시트 쿠션 및 등받이의 위치를 잠그기 위한 잠금부가 제공되어 있는 시트.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쿠션은 상방으로 편향되는 시트.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가스 스프링에 의해 편향되는 시트.
  • 제 2 항, 3 항 또는 제 4 항을 인용하는 경우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쿠션은 사용되지 않을 때 상기 제 1 위치로 편향되는 시트.
  •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쿠션은 캐리지에 설치되고, 이 캐리지는 지지 구조체에 대해 움직일 수 있는 시트.
  • 제 11 항에 있어서,
    안내 부재가 지지 구조체에 대한 상기 캐리지의 운동을 안내하는 시트.
  •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캐리지에 대해 움직일 수 있는 시트.
  •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는 등받이의 운동을 안내하기 위해 캐리지의 내부에 설치되는 시트.
  • 제 14 항에 있어서,
    트롤리가 등받이에 설치되어 사용시 상기 안내 부재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 시트.
  • 제 15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구동 부재가 캐리지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지지 구조체의 선회점 위로 연장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트롤리와 연결되어 그를 구동시키게 되는 시트.
  • 제 4 항을 인용하는 경우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는 등받이의 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팔걸이의 내부에 설치되는 시트.
  • 제 17 항에 있어서,
    안내 롤러 및 등받이 지지판이 사용 중에 각 안내 부재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 시트.
  • 본 명세서에서 실질적으로 첨부 도면의 도 1 ~ 7, 8a ~ 9c 및 10 및 11 을 참조하여 설명되어 있고 또한 이들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시트.
  • 说明书全文

    시트{SEAT}

    본 발명은 시트에 관한 것이다.

    가정용 또는 상업용으로 사용되는 조절형 시트가 제공되는 것이 잘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시트에서 시트 쿠션은 특정 기울기나 높이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등받이 조절, 예컨대 등받이를 경사지게 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점들 모두는 의자의 인간공학적인 설계, 특히 의자에 않은 상이한 형상의 사람의 편안함을 지향한 것이다.

    이들 조절은 시트에 사람이 앉아 있지 않는 상황, 예컨대 테이블, 데스크 또는 다른 작업 표면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상황에 시트를 어떻게 적합하게 만들거나 맞게 하는지의 문제는 다루고 있지 않다. 또한, 상기 조절은 의자에 앉거나 의자에서 일어서는 과정에서의 편안함을 개선하는 것과 관련된 문제도 다루고 있지 않다. 또한 상기 조절은 상이한 상황을 위해 상이한 종류의 착석을 제공하기 위해 단일 설계의 의자나 시트를 제공하는 점에 있어서 시트 기능성의 문제도 다루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를 줄이거나 없앨 수 있는 개선된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 쿠션, 지지 구조체 및 등받이를 포함하는 시트가 제공되며, 사용시 상기 시트 쿠션에 중량이 가해지면 그 시트 쿠션은 상기 지지 구조체에 대해 실질적으로 하방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시트 쿠션의 실질적인 하향 운동으로 인해 등받이가 실질적으로 상방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움직이게 되며, 상기 지지 구조체에 대한 시트 쿠션의 상부 표면의 각방향(angular orientation)은 시트 쿠션의 실질적인 하향 운동 중에 변하지 않는다.

    상기 시트는 시트 쿠션이 하방으로 최종 착석 위치까지 움직일 수 있으므로 유리하다. 다시 말해, 시트는 착석 중에 다른 시트 보다 높은 위치에서 사용자를 지지하게 되며 또한 하방으로 움직일 때 사용자를 어느 정도 지지하면서 하방으로 움직이게 된다.

    추가적으로, 사용자는 시트 쿠션이 착석에 적합한 위치에 항상 있게 될 것임에 대해 안심하게 되며 또한 시트의 사용은 즉시 직관적이다.

    상기 등받이의 등 지지 표면에 대한 시트 쿠션의 상부 표면의 각방향은 시트 쿠션의 실질적인 하향 운동 중에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시트 쿠션과 듣받이는 등받이의 상부 가장자리가 시트 쿠션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있게 되는 제 1 위치와 등받이가 시트 쿠션의 높이의 위에 있게 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유리하게도, 상기 시트는 테이블, 데스크, 작업 표면 등의 아래에 쉽게 넣어질 수 있다. 그래서, 어떤 상황에서 어지럽힘 및 발 걸리기의 위험이 줄어드는 이점이 얻어진다. 또한, 시트는 전통적인 벤치 시트 처럼 벤치 테이블에 접근하기 위해 딛고 오를 수 있는 긴 벤치 시트를 형성하기 위해 다른 유사한 시트에 인접하여 위치되거나 또는 그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일단 착석되면 그러한 벤치 시트는 각 사용자에게 자체의 개인용 등받이를 제공하게 된다.

    다른 이점으로서, 예컨대 걸상(stool) 처럼 예컨데 테이블에 접근하기 위해먼저 시트에 앉을 때 뒤쪽에서 그 시트에 접근하여 시트의 양쪽에서 시트를 양 다리로 걸쳐 있을 수 있다. 일단 착석하면 등받이가 자동적으로 세워지게 된다.

    또 다른 이점으로서, 휴지시의 시트 높이는 표준적인 시트 높이 보다 전형적으로 약 15% 더 높다. 따라서, 사용자가 시트 상에 앉기 위해 움직여야 할 거리가 더 작게 되며, 일단 시트에 앉으면 사용자는 최종 착석 높이까지 부드럽게 내려가게 된다. 이는 움직임이 제한된 사람에게 도움이 된다.

    상기 시트는 또한 의자 및 걸상 둘다의 이점을 주며, 또한 두 상태 사이의 천이는 사용자가 앉는 것 외에는 그 사용자로부터의 어떠한 외력이나 조작도 없이 일어나게 된다.

    상기 지지 구조체는 팔걸이를 포함할 수 있고, 등받이는 등받이의 상부 가장자리가 상기 팔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있게 되는 제 1 위치와 등받이가 팔걸이의 높이의 위에 있게 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상기 시트 쿠션은 상기 제 1 위치에서 팔걸이의 높이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링크가 시트 쿠션의 운동을 배가시켜 줄 수 있으며, 그 시트 쿠션의 운동으로 인해 등받이가 더 크게 움직이게 된다. 시트는 등받이의 상향 운동이 시트 쿠션의 하향 운동에 대해 예컨대 4:1의 비로 증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등받이는 시트 쿠션이 움직이는 거리의 네배로 상방으로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 구조체에 대한 시트 쿠션 및 등받이의 위치를 잠그기 위한 잠금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시트 쿠션은 예컨대 가스 스프링에 의해 상방으로 편향될 수 있다.

    상기 시트 쿠션은 캐리지에 설치될 수 있고, 이 캐리지는 지지 구조체에 대해 움직일 수 있다.

    안내 부재가 지지 구조체에 대한 상기 캐리지의 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등받이는 캐리지에 대해 움직일 수 있고 또한 상기 안내 부재는 등받이의 운동을 안내하기 위해 캐리지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트롤리가 등받이에 설치되어 사용시 상기 안내 부재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구동 부재가 캐리지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지지 구조체의 선회점 위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트롤리와 연결되어 그를 구동시킬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상기 안내 부재는 등받이의 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팔걸이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안내 롤러 및 등받이 지지판이 사용 중에 각 안내 부재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가 쉽게 움직일 수 있도록 그 시트에 이동용 바퀴가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시트에는 회전 장치가 제공될 수도 있다. 통상적인 시트 처럼, 개인의 편안함을 위해 요구되는 인간공학적인 조절을 제공하기 위해 시트 쿠션과 등받이는 또한 독립적으로 캐리지에 대해 조절될 수 있다. 이들 조절은 시트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시트 쿠션과 등받이 사이의 링크는 다른 장치, 예컨대 유압, 공압, 전기적 장치 또는 대안적인 기계적인 기어 및 풀리 장치로도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해 또한 본 발명이 어떻게 실시될 수 있는지를 보다 명확히 보여 주기 위해, 이제 첨부 도면을 예시적으로 참조하도록 한다.

    도 1 은 시트의 제 1 실시 형태의 개략적인 사시 측면도로, 기부의 측면 패널이 제거되어 있고 시트는 작동 또는 개방 위치에 있다.
    도 2 는 도 1 의 시트의 개략적인 사시 측면도로, 시트는 비작동 위치에 있다.
    도 3 은 비작동 또는 폐쇄 위치에 있는 도 1 의 시트의 측면도이다.
    도 4 는 작동 또는 개방 위치에 있는 도 1 의 시트의 측면도이다.
    도 5 는 비작동 또는 폐쇄 위치에 있는 도 1 의 시트의 기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 는 비작동 위치 또는 폐쇄 위치에 있는 도 1 의 시트의 기구를 상방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7 은 비작동 위치에 있는 도 1 의 시트를 후방에서 본 개략적인 사시도로, 측면 패널이 위치되어 있다.
    도 8a 는 제 1 또는 폐쇄 위치에 있는 시트의 제 2 실시 형태의 개략적인 측면도로, 가스 스프링을 제외한 내부 기구가 나타나 있다.
    도 8b 는 부분 개방 위치에 있는 도 8a 의 시트를 나타낸다.
    도 8c 는 제 2 또는 완전 개방 위치에 있는 도 8a 의 시트를 나타낸다.
    도 9a 는 제 1 또는 폐쇄 위치에 있는 도 8a 의 시트의 정면도이다.
    도 9b 는 부분 개방 위치에 있는 도 8a 의 시트의 정면도이다.
    도 9c 는 제 2 또는 완전 개방 위치에 있는 도 8a 의 시트의 정면도이다.
    도 10 은 시트의 제 3 실시 형태의 개략적인 사시 측면도로, 캐리지의 측면 패널은 제거되어 있고 시트는 비작동 또는 폐쇄 위치에 있다.
    도 11 은 작동 또는 개방 위치에 있는 도 10 의 시트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2 를 참조하면, 시트의 제 1 실시 형태는 전체적으로 "10"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 시트(10)는 시트 쿠션(12), 등받이(14), 제 1 및 2 측면 구조체(16, 18)를 포함하는 지지 구조체(15), 그리고 상기 제 1 및 2 구조체(16, 18) 사이에 설치되는 캐리지(20)를 포함한다. 이 캐리지(20)는 도 5 에서 전체적으로 "22" 로 표시되어 있는 기구를 실질적으로 수용하며, 그 기구는 쿠션(12)이 지지 구조체(16, 18)에 대해 실질적으로 하방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해주며 또한 쿠션이 하방으로 움직일 때 등받이(14)를 실질적으로 수직 상방으로 구동시키게 된다.

    특히 도 3 및 4 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 구조체의 각 측면 구조체(16, 18)는 수평 부재(24)를 포함하며, 이 수평 부재는 그의 양 단부에 있는 다리부(26)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떨어져 지지된다. 실질적으로 역 "V"형의 부재(28)가 수평 부재(28)에 설치되어 그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지지판(30, 32)이 수평 부재(24) 및 역 V형 부재(28)의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한쌍의 오목한 롤러(34, 36)가 각 지지판(30, 32)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롤러(34, 36)는 베어링 주위로 회전한다.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관형 안내 부재(38)가 상기 롤러 사이에서 안내되며, 또한 도 5 및 6 에서도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롤러(34, 36) 사이에서 자유롭게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측면 구조체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연결 부재(31)(각 수평 부재(24)의 내측에 부착됨)에 의해 설치판(30)의 후방측에 함께 연결된다.

    상기 캐리지(20)는 후방벽(40), 전방벽(42), 상부벽(44) 및 하부벽(46)을 갖는다. 전방벽(42)과 후방벽(40)은 정상에서 바닥쪽으로 안쪽으로 경사져 있으며, 따라서 그 캐리지의 측면 형상은 사다리꼴이다. 각각의 관형 부재(38)가 캐리지(20)에 설치되어 있고 양 단부에서 상부벽(44) 및 하부벽(46)에 각각 부착된다. 시트 쿠션(12)은 상부벽(44)의 상부 표면에 부착된다. 이렇게 해서, 캐리지(20) 및 시트 큐션(12) 둘다는 지지 구조체(15)에서 상하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가스 스프링(가스 지주(48)라고도 함)이 지지 구조체에 대한 캐리지(20)의 운동을 제어하기 위해 제공되어 있다. 상기 가스 지주의 일 단부는 연결 부재(31)에 설치되고 다른 단부는 캐리지(20)의 상부벽(44)의 저부에 연결된다. 아래에서 더 설명하겠지만, 캐리지(20)가 지지 구조체에 대해 하방으로 눌리면 가스 지주가 압축되는데, 하지만 캐리지에서 하중이 제거되면 가스 지주는 연장되어 캐리지를 상방으로 밀게 된다.

    한쌍의 안내 부재(50)가 후방벽(40)에 평행하게, 즉 수직에 대해 약 10°의 각도로 경사져서 캐리지(20)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안내 부재(50)들은 서로 떨어져 있고, 그들의 양 단부에서 캐리지(20)의 상하부벽(44, 46)에 연결되어 있다. 안내 부재(50)를 따른 슬라이딩 운동을 위한 트롤리(52)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트롤리는 등받이(14)의 상하 방향 운동을 위해 그 등받이(14)에 부착되어 있다. 도 6 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듯이, 트롤리의 각 측에 한 세트식 해서 두 세트의 오목한 안내 롤러(54)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 롤러는 안내 부재(50) 상에서 회전하고 그 안내 부재에 의해 안내된다. 각 세트의 안내 롤러(54)는 안내 부재(50)의 각 측에 설치되는 두개의 롤러를 포함한다. 도 3 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듯이, 상기 트롤리의 구조판(56)이 캐리지(20)의 후방벽(40)에 있는 관통 슬롯(58)을 통과해 있으며, 등받이(14)에 연결되어 있다. 안내 롤러(54)는 상기 구조판(56)의 외측 가장자리에 설치된다.

    아래에서 더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기 트롤리(52)의 중심부는 구조판(56)의 내측 가장자리에 설치 및 저널링되어 있으며, 그리 하여 트롤리의 중심부가 회전할 수 있다. 서로 평행하게 떨어져 배치되는 두개의 지지판(59)이 트롤리의 중심 영역을 형성하며, 그 지지판(59)들은 함께 연결되어 두쌍의 오목한 롤러(60)를 지지한다. 롤러 쌍들은 구동 부재(62)를 수용하여 지지하기 위해 서로 앞뒤로 배치된다. 특히 도 5 를 참조하면, 십자가형 지지 구조체(64)가 측면 구조체(16, 18)의 역 V형 부재(28) 사이에서 시트(10)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 서로 평행하게 떨어져 배치되는 두개의 지지판(66)이 상기 십자가형 지지 구조체(64)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있다. 한쌍의 오목한 안내 롤러(68)가 두개의 작은 판(7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지지판(66)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된다. 롤러(68)는 구동 부재(62)를 위한 중심 지지 및 선회점을 제공한다.

    구동 부재(62)의 일 단부는 실질적으로 캐리지(20)의 전방벽(42)의 중심부에서 그 전방벽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구동 부재(62)는 오목한 한쌍의 롤러(68)를 통과하여 상기 십자가형 지지 구조체(64)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된다. 구동 부재의 타 단부는 트롤리(52)의 두쌍의 롤러(60) 사이를 지난다.

    사용시, 시트(10)의 휴지 위치는 도 2, 3, 5 및 7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다. 가스 지주(48)는 연장 위치에 있으며 캐리지(20)는 지지 구조체(15) 상에서 완전히 상승되어 있다. 등받이(14)는 캐리지(20) 및 시트 쿠션(12)과 실질적으로 같은 폭과 높이며 캐리지(20)의 후방벽(40)의 뒤에 있다. 등받이의 상부 가장자리는 시트 쿠션의 상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있다. 이 위치에서, 트롤리(52)는 안내 부재(50)에서 운동의 하측 끝에 있다. 구동 부재(62)는 캐리지(20)의 전방벽(42)에 대한 선회 연결부에서부터 롤러(68)를 통과하여 트롤리(52)의 두쌍의 롤러(60) 안으로 하방으로 각져 있다. 롤러(68, 60)는 구동 부재(62)의 위치에 따라 그 구동 부재와 정렬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화살표(A)로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시트 위에 사람이 앉아서 시트 쿠션(12)에 하향력이 가해지면, 캐리지와 시트 쿠션은 가스 지주(48)의 상향 저항에 대항하여 하방으로 움직이게 된다. 캐리지(20)와 시트 쿠션(12)은 안내 부재(38)에 의해 안내되면서 실질적으로 수직 하방으로 움직인다. 지지 구조체(15)에 대한 시트 쿠션(12)의 상부 표면(72)의 각방향(angular orientation)은 상기한 운동 중에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는다. 캐리지가 하방으로 움직임에 따라, 캐리지의 전방벽에 선회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구동 부재(62)의 단부 역시 하방으로 움직이고 구동 부재는 롤러(68)에 지탱되면서 선회하게 된다. 구동 부재(62)의 다른 단부는 레버 처럼 상방으로 힘을 받게 되고 안내 부재(50)에 있는 트롤리(52)에 상방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등받이(14)는 화살표(B)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트롤리(52)와 함께 상방으로 움직이고, 캐리지(20)의 후방부에 대한 등받이의 방향은 변하지 않는데, 왜냐하면 안내 부재(50)는 캐리지의 후방벽(40)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기 때문이다. 또한, 등받이(14)의 등 지지 표면(74)에 대한 시트 쿠션(12)의 상부 표면(72)의 각방향은 시트 쿠션의 하향 운동 및 이와 동시적인 등받이의 상향 운동 중에 역시 변하지 않는다. 등받이(14)의 등 지지 표면(74)은 시트(10)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게 된다. 운동 중에 트롤리에 대한 구동 부재(62)의 각위치가 변함에 따라, 트롤리의 중심부는 상기 구조판(56)에서 회전하고 두쌍의 롤러(60)는 구동 부재와 스스로 정렬된다. 구동 부재(62)의 길이는, 운동 전체에 걸쳐 트롤리(52)와 계속 결합하도록 충분히 길게 되어 있으되 운동 중에 캐리지의 후방벽(40)에 걸리지 않도록 충분히 짧게 되어 있다.

    캐리지(20)가 바닥 바로 위의 위치(즉, 바닥 위 대략 12.5 mm의 위치)에 도달하면, 운동은 완료되고 시트는 도 1 및 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동 또는 개방 위치에 있게 되고, 이때 등받이(14)의 대부분은 시트 쿠션(12)의 위쪽에 위치되는데, 예컨대, 대략 455 mm의 높이를 갖는 시트의 경우 등받이의 약 355 mm가 시트 쿠션 위쪽에 있게 된다. 이 위치에서, 트롤리(52)는 캐리지(20)의 상부벽(44)의 저부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운동을 되돌리기 위해, 예컨대 사람이 서 있음으로 해써 단순히 하중을 시트에서 제거하며, 가스 지주는 캐리지를 상방으로 밀어 구동 부재(62)가 등받이를 하방으로 지레식으로 움직이게 하거나 힘을 준다. 등받이(14)의 무게는 상기 운동을 돕는다. 가스 지주(48)는 감쇠 효과를 가지며, 운동 중의 덜커덩 거림을 없애 주고 또한 운동의 속도를 제어한다. 선택적으로, 예컨대 캐리지를 지지 구조체에 잠금시켜 시트 쿠션(12)에 대한 등받이의 위치를 잠금시키기 위한 잠금부가 제공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가스 지주는 예컨대 시트의 전방에 있는 버튼, 레버 또는 스위치로 잠금될 수 있다.

    시트(10)의 제 1 실시 형태의 대안적인 구성에서, 측면 지지 구조체는 다른 심미감을 주기 위해 솔리드 패널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상기 측면 지지 구조체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 기둥으로 대체될 수 있는데, 이 기둥은 캐리지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게 된다. 가스 지주는 필요하다면 상기 기둥들 중의 하나의 내부에 들어 있을 수 있다.

    시트의 다른 실시 형태가 도 8a ~ 9c 에서 "110"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 시트(110)의 작동은 시트 쿠션(112)에 가해지는 하향 압력에 의해 등받이(114)의 자동적인 상향 운동이 일어난다는 점에서 시트(10)의 제 1 실시 형태의 작동과 유사하다. 그러나, 상기 시트(110)는 시트 쿠션(112)의 양쪽에서 고정 팔걸이(111)를 포함하는데, 이 팔걸이는 도 8a 및 9a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폐쇄 위치에서 시트 쿠션 보다 높게 된다. 팔걸이는 지지 구조체를 형성한다. 또한, 시트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등받이(114)의 정상부는 팔걸이(111)의 정상부와 같은 높이에 있게 된다. 등받이(112)를 움직이게 하기 위한 기구는 두 팔걸이 안에 위치되며, 안내 부재(150)가 팔걸이(111) 안에 위치된다. 또한 팔걸이 내부에는 하나의 중앙 구동 부재가 아닌 두개의 구동 부재(162)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구성품들은 유사하다. 제 2 실시 형태의 이점은, 팔걸이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추가 높이(예컨대, 약 150 mm)는 등받이가 더 이동할 수 있고 그래서 사용자를 위한 더 많은 양의 등 지지를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제 1 실시 형태는 시트의 상부 표면이 폐쇄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라는 이점을 갖는다.

    시트의 또 다른 실시 형태가 도 10 및 11 에서 "210"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 시트는 시트 쿠션(212), 등받이(214), 스템(stem)/기부 유닛(216)의 형태로 제공되는 지지 구조체, 및 운동 기구를 포함하는 캐리지(218)를 포함한다. 캐리지(218)는 상기 스템/기부 유닛(216)에 설치된다.

    상기 캐리지(218)는 수직으로부터 대략 10°벗어나 배향되어 있는 편향 유닛(220)을 수용한다. 이 편향 유닛(220)은 기다란 슬라이더부(222) 및 몸체부(224)를 포함하고, 기다란 슬라이더부는 몸체부(224) 내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수용된다. 슬라이더부(222)의 일 단부(226)는 시트 쿠션(212)의 하부 표면에 연결되어 있고 슬라이더부(222)의 다른 단부(228)는 캐리지(218)의 하부벽(230)에 연결되어 있다. 편향 유닛(220)은 도 10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트 쿠션(212)을 상부의 비작동 위치로 편향시키게 된다.

    편향 유닛(220)의 몸체부(224)는 상시 스템/기부 유닛(216)과 정렬되어 그에 연결되어 있다. 슬라이드-벨트 고정부(232), 즉 슬라이더부(222)와 제 1 치붙이 구동 벨트(234) 간의 연결부가 몸체부(224)에 있어서 스템/기부 유닛(216)의 반대측에 제공되어 있다. 제 1 치붙이 구동 벨트(234) 및 제 2 치붙이 구동 벨트(236)는 슬라이더부(222)를 치붙이 풀리(240)를 통해 제 1 스텝업 기어 코그(cog; 238)에 연결한다. 제 1 스텝업 기어 코그(238)는 제 2 스텝업 기어 코그(242)와 맞물리게 되며, 이 제 2 스텝업 기어 코그는 다른 치붙이 풀리(248)를 통해 제 3 치붙이 구동 벨트(244)와 제 4 치붙이 구동 벨트(246)를 구동한다. 제 4 치붙이 구동 벨트(246)는 다른 슬라이-벨트 고정부(250)에 연결되어 있고, 이 고정부는 선형 가이드(254) 주위에서 슬라이딩가능한 슬라이더 유닛(252)에 연결되어 있다. 선형 가이드(254)의 일 단부(256)는 시트 쿠션(212)의 하부 표면에 연결되어 있고 선형 가이드(254)의 다른 단부(258)는 캐리지(218)의 하부벽(230)에 연결되어 있다. 선형 가이드(254)는 상기 편향 유닛(220)의 슬라이더부(222)와 평행하다. 등받이(214)는 선형 가이드(254)에 인접하여 그와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고 슬라이더 유닛(252)에 의해 선형 가이드(254)를 따라 상하로 구동된다.

    상기 시트(210)는 전술한 실시 형태와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하는데, 주된 차이점은, 시트 쿠션과 등받이 사이의 상대 운동은 치붙이 구동 벨트(234, 236, 244, 246) 및 두개의 치붙이 풀리(240, 248)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는 것이다. 등받이(214)의 수직 방향 운동은 슬라이더 유닛(252)이 사용 중인 시트 쿠션(212)의 하부 표면에 접촉함으로써 제한되게 된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처럼, 언급해야 할 중요한 사항으로서, 수평,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스템/기부 유닛(216)에 대한 시트 쿠션(212)의 각도는 시트(210)가 개방 위치에 있든 폐쇄 위치에 있든 상관 없이 동일하다는 라는 것이다.

    상기 시트(10, 110, 210)는 폐쇄 또는 비작동 위치에서 잠금되어 걸상(stool)으로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개방 또는 작동 위치에서 잠금되어 의자로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적응성이 있고 다기능적이다. 또한, 비잠금 상태에 있을 때, 사용자가 앉으면 등받이는 사용을 위해 자동적으로 올라오고 사용작 일어서면 폐쇄된 걸상형 위치로 되돌아 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될 때, 상기 시트는 의자가 항상 실내에 있는 시각적 효과 없이 의자로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시트의 폭은 예컨대 한 사람, 두 사람 또는 세 사람을 위해 가정용 또는 상업용으로 적합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의자는 예컨대 리셉션 구역에서 참신한 물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큰 식당 및 거주 공간에서 크기의 이점 및 넣어질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