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해시 반송용 매트리스 커버

申请号 KR1020087018694 申请日 2007-07-26 公开(公告)号 KR1020090038839A 公开(公告)日 2009-04-21
申请人 파라마운트 베드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다나카마코토; 니시무라아키라; 모리유미코; 안도우,유타카; 가네코,고이치;
摘要 An ordinary mattress normally used by a person having difficulty in taking refuge by oneself such as a person having difficulty in walking and a bedridden parson can be utilized as one component of a stretcher by attaching a mattress cover, and a person lying thereon can be safely transported to a safe place and evacuated. A mattress cover for disaster time transportation in which the cover attached to the mattress by an attaching part and covering the mattress is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orners of the mattress, with grip portions, and one end of each of a plurality of securing belts stretch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ttached mattress is secur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side edge of the mattress.
权利要求
  • 장착부에 의해 매트리스에 장착하여 피복하는 커버에, 매트리스의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는 곳에 파지부를 설치함과 아울러 장착한 매트리스의 폭 방향으로 가설하는 복수 개의 고정용 벨트의 일단부를 매트리스의 길이의 측연에 대응하는 곳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시 반송용 매트리스 커버.
  • 장착부에 의해 매트리스에 장착하여 피복하는 커버에, 매트리스의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는 곳에 파지부를 설치함과 아울러 장착한 매트리스의 폭 방향으로 가설하는 복수 개의 고정용 벨트의 일단부를 매트리스의 길이의 측연에 대응하는 곳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시 반송용 매트리스 커버.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커버에는 매트리스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대응하는 표면측에 폭 방향에 걸친 포켓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시 반송용 매트리스 커버.
  • 제 3 항에 있어서, 포켓부는 커버의 표면측에 포재의 측연부와 저연부를 봉제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시 반송용 매트리스 커버.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커버에는 매트리스의 길이의 측연에 대응하 는 곳에 고정용 벨트 격납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시 반송용 매트리스 커버.
  • 제 5 항에 있어서, 격납부를 개폐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시 반송용 매트리스 커버.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쌍을 이루는 고정용 벨트의 선단측에, 대응하는 연결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시 반송용 매트리스 커버.
  • 제 7 항에 있어서, 대응하는 연결 부재는 쌍을 이루는 암부재와 수부재로 이루어지는 버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시 반송용 매트리스 커버.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커버에는 이면에 마찰 저감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시 반송용 매트리스 커버.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파지부는 벨트재를 루프형으로 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시 반송용 매트리스 커버.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장착부는 매트리스의 폭 방향 단연에 대응하는 커버의 부위에 설치하고, 패스너에 의해 개폐 가능한 개구의 구성으로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시 반송용 매트리스 커버.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장착부는 커버의 표면측에 설치하고,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을 따른 이음매를 갖는 개구의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시 반송용 매트리스 커버.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장착부는 커버의 표면측에 설치하고, 주연에 장착한 고무재의 탄성에 의해 개구가 축소되는 신축 가능한 개구의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시 반송용 매트리스 커버.
  • 说明书全文

    재해시 반송용 매트리스 커버{MATTRESS COVER FOR DISASTER TIME TRANSPORTATION}

    본 발명은 주로 병원, 기타 의료 시설, 고령자의 간병 시설 등에 있어서 고령자나 환자 등이 사용하고 있는 일반적인 매트리스에 재해시의 환자 등의 반송 기능을 갖게 하기 위한 재해시 반송용 매트리스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병원, 기타 의료 시설, 노인의 간병 시설 등에 있어서, 화재나 지진 등의 재해가 발생한 경우, 보행이 어려운 사람이나 병으로 몸져 누운 사람들, 자력으로 피난하기가 어려운 사람에 대하여 종래에는 들것을 이용하여 다른 사람의 손에 의해 반송하여 피난시키는 것이 많이 행해지고 있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가 정지해 있는 경우에는 계단으로 반송하게 된다.

    이러한 피난 작업에 있어서는, 들것을 보관 장소에서 가져오는 작업과, 대상자를 사용하고 있는 베드에서 들것으로 옮겨 태우는 작업과, 옮겨 태운 대상자를 반송하는 작업이 필요하며, 일반적으로는 한 사람의 대상자를 피난시키는 데 2∼4명의 인력이 필요해진다.

    이러한 피난 작업을 적은 인력으로 신속하게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예컨대 특허 문헌 1에는 쿠션성을 갖는 매트리스에 의해 구성한 들것이 제안되어 있 다. 즉, 특허 문헌 1의 들것은, 쿠션성을 갖는 굴곡 가능한 매트리스의 양 길이의 가장자리에 설치한 통형상의 유지부에 숄더 벨트를 삽통함과 아울러, 매트리스의 길이의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양 길이의 가장자리의 각각의 유지부로부터 인출한 쌍을 이루는 숄더 벨트를 접속하여 루프형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양 길이의 가장자리의 단부에 일단부를 고정한 복수 개의 고정용 벨트를 매트리스의 폭 방향으로 배치하고, 대향한 고정용 벨트의 타단부에 연결 부재로서 버클을 고정한 구성으로 하였다.

    이상의 구성의 들것은, 특허 문헌 1에 따르면, 컴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작업성이 양호하고, 용이하게 사람을 들어낼 수 있고, 또한 쿠션성을 갖기 때문에 사람을 날라서 그대로 지면 등에 대기시켜도 편안하게 잘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다른 예로서, 특허 문헌 2에는, 통상적으로는 취침용 매트로 사용할 수 있고, 지진 등 재해 발생의 비상시에는 들것으로 사용 가능한 매트 세트가 기재되어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특허 문헌 3에는, 매트 위에 인체를 눕힌 채 다른 베드로의 이동이나 욕실 등으로의 운반을 할 수 있는 간병용 매트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실공평 6-21466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 9-122177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개 2002-102295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전술한 특허 문헌 1의 들것은 매트리스를 이용하여 구성한 것이기는 하나, 들것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 사람이 반듯하게 눕는(仰臥) 매트리스로서 사용하는 것은 전혀 상정하지 않았다. 즉, "컴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다"다는 점에서 들것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수납을 해 두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특허 문헌 2의 매트 세트는, 지진 등 재해 발생시에 있어서, 체육관 등으로 긴급 피난을 한 사람들의 취침용 매트로서, 그리고 들것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은 접은 상태에서 보관해 두는 것이다.

    이들 매트리스 등을 만일 들것으로서 사용하지 않을 때, 소위 통상의 매트리스로서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는, 매트리스의 외측에 숄더 벨트나 고정용 벨트, 그 이외의 것이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이 방해가 되고, 통상의 매트리스로서 사용하고 있는 환자나 노인 등이 베드를 뜰 때 등에 걸려 넘어지는 등의 위험성이 있는 것 이외에, 사용하는 베드가 전동 베드인 경우에는 바닥의 승강이나 기복의 동작에 있어서 기구 부재에 끼이거나 하여 그들의 동작을 방해하거나, 매트리스를 손상하는 등의 문제가 고려되며, 결국 통상의 매트리스로서 사용할 수는 없다.

    또한 특허 문헌 3의 간병용 매트는 매트 위에 인체를 눕힌 채 다른 베드로의 이동이나 욕실 등으로의 운반을 할 수 있고, 또한 환자들을 필요에 따라 매트에 눕힌 채 입욕하는 것이 가능한 특수한 매트로서, 통상의 매트리스로서 사용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통상 사용하고 있는 매트리스를 재해시의 환자들의 반송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장착부에 의해 매트리스에 장착하여 피복하는 커버에, 매트리스의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는 곳에 파지부를 설치함과 아울러 장착한 매트리스의 폭 방향으로 가설하는 복수 개의 고정용 벨트의 일단부를 매트리스의 길이의 측연에 대응하는 곳에 고정한 재해시 반송용 매트리스 커버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장착부에 의해 매트리스에 장착하여 피복하는 커버에, 매트리스의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는 곳에 파지부를 설치함과 아울러 장착한 매트리스의 폭 방향으로 가설하는 복수 개의 고정용 벨트의 일단부를 매트리스의 길이의 측연에 대응하는 곳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재해시 반송용 매트리스 커버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커버에는 매트리스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대응하는 표면측에 폭 방향에 걸친 포켓부를 설치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이 포켓부는 커버의 표면측에 포재의 측연부와 저연부를 봉제하여 구성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커버에는 매트리스의 길이의 측연에 대응하는 곳에 고정용 벨트 격납부를 설치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이 격납부를 개폐 가능하게 구성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쌍을 이루는 고정용 벨트의 선단측에, 대응하는 연결 부재를 설치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이 연결 부재는 쌍을 이루는 암부재와 수부재로 이루어지는 버클로 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커버에는 이면에 마찰 저감 부재를 설치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파지부는 벨트재를 루프형으로 하여 구성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장착부는 매트리스의 폭 방향 단연에 대응하는 커버의 부위에 설치하고, 패스너에 의해 개폐 가능한 개구의 구성으로 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장착부는 커버의 표면측에 설치하고,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을 따른 이음매를 갖는 개구의 구성으로 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장착부는 커버의 표면측에 설치하고, 주연에 장착한 고무재의 탄성에 의해 개구가 축소되는 신축 가능한 개구의 구성으로 할 것을 제안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재해시 반송용 매트리스 커버는, 병원, 기타 의료 시설, 고령자의 간병 시설 등에 있어서, 화재나 지진 등의 재해가 발생한 경우, 환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매트리스를 장착부를 통하여 넣어 매트리스 커버 내에 장착하고 피복한다. 이어서 매트리스를 장착한 매트리스 커버 위에 환자 등의 반송 대상자를 눕히고, 고정용 벨트를 매트리스의 폭 방향으로 가설하여 조임으로써 반송 대상자를 매트리스 위에 지지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 있어서 간호사 등이 파지부를 잡고 매트리스 커버에 의해 매트리스를 이동함으로써 매트리스 위에 지지되어 있는 환자 등을 안전하게 안전한 장소까지 반송할 수 있다.

    매트리스 커버에 의한 매트리스의 이동은 충분한 인력이 있는 경우에는 여러명이서 행할 수 있음은 당연하나, 사람수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한 사람의 간호사 등이 적당한 곳의 파지부, 예컨대 매트리스 위에 지지되어 있는 반송 대상자의 머리측의 파지부를 잡고 매트리스를 질질 끌어 이동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반송될 때, 반송 대상자는 매트리스의 충전물 위에 위치하므로 질질 끌어 이동할 때 바닥에 단차 등의 장해가 있어도 그 때의 충격이 충전물에 흡수되기 때문에 반송 대상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는다.

    이 때, 커버에는 매트리스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대응하는 표면측에 폭 방향에 걸친 포켓부를 설치하면, 반송 대상자의 족부를 포켓부에 삽입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반송함으로써 반송 대상자가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통상시, 즉 미사용시에는 매트리스 커버만을 적당한 곳에 보관해 두면 되므로 보관 스페이스는 작고, 또한 매트리스는 통상의 것이므로 전혀 문제가 없이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 있어서, 고정용 벨트는 일단부를 매트리스 커버에 고정해 둘 수 있고, 이 경우, 매트리스의 길이의 측연에 대응하는 곳에 고정용 벨트 격납부를 설치하면, 미사용시에 있어서 고정용 벨트를 방해가 되지 않도록 격납부에 격납하여 보관할 수 있다. 격납부는 개폐 가능하게 함으로써 격납시의 낙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용 벨트는 일단부를 매트리스 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매트리스 커버의 보관시의 접힌 형태를 간소화하여 보관의 합리화를 도모할 수 있다.

    고정용 벨트는 쌍을 이루는 고정용 벨트의 선단측에 예컨대 버클 등과 같이 대응하는 연결 부재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면, 매트리스의 폭 방향으로의 가설이 용이하다.

    또한 매트리스 커버의 이면에 마찰 저감 부재를 설치하면 질질 끌어 이동할 때의 마찰 저항을 저감하고, 반송을 가벼운 노동력으로 행할 수 있다.

    파지부는 벨트재를 루프형으로 한 구성으로 하면, 여기에 손목을 통과시켜 잡거나 단순히 파지부를 움켜쥐기만 하여도 되어, 잡기 쉽고 힘을 가하기 쉬우며, 또한 방해가 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매트리스에 매트리스 커버를 장착할 때, 매트리스를 매트리스 커버에 삽입하기 위한 장착부는, 매트리스의 폭 방향 단연에 대응하는 커버의 부위에 설치하고, 패스너에 의해 개폐 가능한 개구의 구성으로 하거나, 또는 장착부는 커버의 표면측에 설치하고,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을 따른 이음매를 갖는 개구의 구성으로 하거나, 또는 장착부는 커버의 표면측에 설치하고, 주연에 장착한 고무재의 탄성에 의해 개구가 축소되는 신축 가능한 개구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 커버의 제1 실시 형태의 외관을 보인 사시 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매트리스 커버에 장착하는 매트리스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장착 도중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매트리스 커버를 매트리스에 장착한 상태를 일부 잘라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잘린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고정용 벨트의 격납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고정용 벨트를 매트리스의 폭 방향으로 가설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매트리스 커버에 의한 반송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 커버의 제2 실시 형태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 커버의 제2 실시 형태의 매트리스 장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 커버의 제3 실시 형태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 커버에 사용하는 마찰 저감 부재를 도시한 요부 바닥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 커버에 사용하는 마찰 저감 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재해시 반송용 매트리스 커버,

    2… 장착부,

    3… 매트리스,

    4… 패스너,

    5… 파지부,

    6a, 6b… 고정용 벨트,

    7a, 7b… 격납부,

    8… 패스너,

    9a… 연결 부재(수부재),

    9b… 연결 부재(암부재),

    10… 포켓부,

    11… 손잡이,

    12… 반송 대상자(환자 등),

    13… 간호사 등,

    14… 이음매,

    15… 마찰 저감 부재,

    16… 구면 지지체,

    17… 구체,

    다음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 커버의 제1 실시 형태의 구성과 동작을 보인 설명도이다.

    도면에서 부호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해시 반송용 매트리스 커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매트리스 커버(1)는 포재나 시트재에 의해 구성한 편평 직육면체 형상의 자루 형상체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장착부(2)에 의해 매트리스(3)에 장착하여 피복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장착부(2)는 매트리스(3)의 폭 방향 단연에 대응하는 곳에 설치하고, 패스너(4)에 의해 개폐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매트리스 커버(1)에는 매트리스(3)의 네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는 곳에 파지부(5)를 설치하였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파지부(5)는 벨트재를 루프형으로 하여 구성하였다. 도 1, 도 3, 도 4에 있어서는, 깊숙한 안쪽의 파지부(5)가 가려져 있기 때문에 부호만을 도시하였다.

    더욱이 매트리스 커버(1)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한 매트리스(3)의 양쪽의 길이의 측연에 위치하는 곳에 각각 복수 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각의 길이의 측연마다 2개의 고정용 벨트(6a, 6b)를 간격을 두고 그들의 일단부를 고정하여 설치하였으며, 그리고 이들 2개의 고정용 벨트(6a, 6b)를 격납하는 개폐 가능한 격납부(7a, 7b)를 설치하였다. 격납부(7a, 7b)는 슬라이드 패스너 등의 패스너(8)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 이외에, 무수한 루프와 후크의 걸어 맞춤에 의해 개구부를 개폐 가능한 면 패스너나 호크 등의 적당한 잠금쇠를 사용하여 개폐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있어서는, 매트리스(3)의 일측의 길이의 측연측 부재를 첨자(a)에 의해 표시하고, 타측의 길이의 측연측 부재를 첨자(b)에 의해 표시하였다. 또한 도면의 깊숙이 안쪽에 가려져 있는 고정용 벨트(6b)나 격납부(7b)는 부호만을 표시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고정용 벨트(6a, 6b)의 타단부에는 연결 부재(9a, 9b)를 고정하고, 이 연결 부재(9a, 9b)에 의해 매트리스 커버(1)의 폭 방향으로 대향해 있는 각각의 벌의 2개의 고정용 벨트(6a, 6b)를 접속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용 벨트(6a, 6b) 중 어느 하나, 이 경우, 고정용 벨트(6a)는 연결 부재(9a)에 대하여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하였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연결 부재(9a, 9b)는 쌍을 이루는 수부재(9a)와 암부재(9b)의 끼워맞춤에 있어서 걸어맞춤편의 탄성적 걸어맞춤에 의해 체결하는 버클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이 수부재(9a) 측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용 벨트(6a)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하였다. 이 버클의 구성이나 길이 조절 동작은 자명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수부재(9a)에 있어서 고정용 벨트(6a)의 길이는 미리 적절한 길이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수부재(9a)는 암부재(9b)와 마찬가지로 소정 길이의 고정용 벨트(6a)의 타단부에 길이 조절할 수 없도록 고정할 수도 있다. 즉, 수부재(9a)와 암부재(9b)는 어느 일측에 있어서 고정용 벨트(6a, 6b)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어느 쪽도 길이를 조절할 수 없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더욱이 매트리스 커버(1)에는 매트리스(3)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대응하는 표면측에 폭 방향에 걸친 포켓부(10)를 설치하였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포켓부(10)는, 도 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재의 측연부(10a)와 저연부(10b)를 봉제하여 구성하였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부호 11은 통상의 매트리스에 설치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운반용 손잡이이며, 이 손잡이(11)에 의해 매트리스 커버(1)에 장착한 매트리스(3)를 운반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병원, 기타 의료 시설, 고령자의 간병 시설 등에 있어서, 화재나 지진 등의 재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환자 등의 반송 대상자(12)가 사용하고 있는 매트리스(3)를 장착부(2)를 통하여 넣어 매트리스 커버(1) 내에 장착하고, 피복한다. 이어서 매트리스(3)를 장착한 매트리스 커버(1) 상에 반송 대상자(12)를 눕히고, 족부를 포켓부(10)에 넣음과 아울러, 고정용 벨트(6a, 6b)를 매트리스(3)의 폭 방향으로 가설하여 조임으로써 반송 대상자를 매트리스(3) 상에 지지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간호사 등이 파지부(5)를 잡고 매트리스 커버(1)에 의해 매트리스(3)를 이동함으로써 매트리스(3) 상에 지지되어 있는 환자 등의 반송 대상자(12)를 안전하게 안전한 장소까지 반송할 수 있다.

    매트리스 커버(1)에 의한 매트리스(3)의 이동은 충분한 인력이 있는 경우에는 여러명이서 행할 수 있음은 당연하나, 사람 수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사람의 간호사 등(13)이 적당한 곳의 파지부(5), 예컨대 매트리스 상에 지지되어 있는 반송 대상자(12)의 머리측의 2개의 파지부(5)를 잡고 매트리스 커버(1)에 의해 매트리스(3)를 질질 끌어 이동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반송될 때, 반송 대상자(12)는 매트리스(3)의 충전물 위에 위치하므로, 질질 끌어 이동할 때 바닥에 단차 등의 장해가 있어도 그 때의 충격이 충전물에 흡수되기 때문에 반송 대상자(12)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는다.

    그리고 반송에 있어서, 반송 대상자(12)는 고정용 벨트(6a, 6b)에 의해 지지됨과 아울러, 포켓부(10)에 삽입한 족부가 지지되므로,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서는, 통상시 즉 미사용시에는 매트리스 커버(1)만을 적당한 곳에 보관해 두면 되므로, 보관 스페이스는 작고, 또한 매트리스(3)는 통상의 것이므로 전혀 문제가 없이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 있어서, 고정용 벨트(6a, 6b)는 일단부를 매트리스 커버(1)에 고정해 둘 수 있고, 이 경우, 매트리스(3)의 길이의 측연에 대응하는 곳에 격납부(7a, 7b)를 설치하였으므로, 미사용시에 있어서 고정용 벨트(6a, 6b)가 방해되지 않도록 격납부(7a, 7b)에 격납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 이외에, 고정용 벨트(6a, 6b)는 일단부를 매트리스 커버(1)의 동일한 곳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매트리스 커버(1)는 고정용 볼트(6a, 6b)를 제거한 상태에서 접을 수 있고, 보관 형태를 간소화하여 보관의 합리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음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 커버의 제2 실시 형태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고, 또한 도 10은 매트리스의 장착 도중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장착부(2)는 매트리스 커버(1)의 표면측에 설치하고, 길이 방향(또는 폭 방향)을 따른 이음매(14)를 갖는 개구의 구성으로 하였다. 그 밖의 구성 요소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음매(14)를 개방하여 매트리스(3)를 매트리스 커버(1) 내에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매트리스(3) 전체를 이음매(14)를 통하여 매트리스 커버(1) 내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음매(14)에 의해 2분할되는 매트리스 커버(1)의 표면측 포재의 어느 일측은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먼저 타측에 매트리스(3)를 삽입하고, 이어서 일측을 개방한 상태에서 매트리스(3) 전체를 장착한 후, 일측을 폐쇄하고, 이 상태에 있어서 타측과의 사이에 구성한 면 패스너 등의 패스너(도시 생략)에 의해 결합하여 장착 상태로 할 수 있다.

    이 이외에, 도 9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음매(14)를 매트리스 커버(1)의 표면측의 단연 근방에 구성하면, 일측을 개폐 가능하게 구성할 필요는 없다.

    다음,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 커버의 제3 실시 형태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장착부(2)는 매트리스 커버(1)의 표면측에 설치하고, 주연에 장착한 고무재(15)의 탄성에 의해 개구가 축소되는 신축 가능한 구성으로 하였다. 그 이외의 구성 요소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대응하는 구 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 구성에서는, 고무재(15)의 탄성에 저항하여 개구를 확대하고, 이 상태에서 매트리스(3)를 원 터치로 매트리스 커버(1) 내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도 9∼도 11에 있어서는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이들 제2,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적당한 구성에 의해 포켓부(10)를 구성할 수도 있고, 또한 이들을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 커버(1)의 포켓부(10)는 패스너 등의 적당한 고정 부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 커버의 제4 실시 형태를 보인 요부 확대도이며, 이 도면은 매트리스 커버(1)의 이면측, 즉 매트리스 커버(1)를 질질 끌 때 바닥면과 접촉하는 측의 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매트리스 커버(1)의 이면측의 단연 근방에 불소 수지 등을 미끄럼면으로서 구성한 평판형의 마찰 저감 부재(15)를 설치하였다.

    다음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 커버의 제5 실시 형태를 보인 요부 확대도이며, 이 도면은 매트리스 커버(1)의 이면측, 즉 매트리스 커버(1)를 질질 끌 때 바닥면과 접촉하는 측의 면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매트리스 커버(1)의 이면측의 단연 근방에 구면 지지체(16)에 구체(17)를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구성한 차륜을 마찰 저감 부재(15)로서 사용하였다.

    이상의 제4, 제5 실시 형태와 같이, 매트리스 커버(1)의 이면에 마찰 저감 부재(15)를 설치하면, 질질 끌어 이동할 때의 마찰 저항을 저감하고, 반송을 가벼 운 노동력으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으므로, 통상시에는 보행이 어려운 사람이나 병으로 몸져 누운 사람들, 자력으로 피난하기가 어려운 사람 등이 사용하고 있는 통상의 매트리스를 재해 발생시에는 매트리스 커버를 장착함으로써 들것의 일 구성 요소로서 이용할 수 있고, 안전하게, 그 위에 누워 있는 사람을 안전한 장소까지 반송하여 피난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재해시의 들것으로서의 사용을 한 사람의 간호사 등도 안전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매트리스의 쿠션성을 제공하는 충전물에 의해 질질 끌어 움직일 때의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할 수 있어 환자 등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는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