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기발산 침대

申请号 KR2020060012263 申请日 2006-05-09 公开(公告)号 KR200423974Y1 公开(公告)日 2006-08-14
申请人 한상관; 发明人 한상관;
摘要 본 고안은 취침공간 주위에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여기에 향 발산물질을 수납하고, 수납공간과 취침공간의 사이에 통공을 형성하여 향 발산물질로부터 취침공간 측으로 향기가 발산되도록 한 향기발산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침대의 프레임을 전체적으로 4각의 통 형상으로 구성하고, 프레임의 테두리에는 다수의 수납서랍을 삽탈 가능하게 구비하여 여기에 향 발산물질을 수납하며, 각 수납서랍의 안쪽에 형성되는 4각 공간이 취침공간을 이루도록 하면서 각 수납서랍과 취침공간의 사이 측벽과 수납서랍의 측벽 또는 바닥부에는 각 수납서랍과 취침공간이 통하도록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고, 프레임의 전후단부에는 각각 천으로 된 개폐문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여서 된 것으로, 이와 같이 하면 향 발산물질로부터 발산되는 향기가 취침공간 내측으로 유입되어 취침중인 사용자의 호흡기를 통해 몸속으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숙면을 도와주고 사용자의 건강을 유지시켜주게 되는 것이다.
침대, 수납서랍, 프레임, 통공
权利要求
  • 프레임(110)을 전체적으로 4각의 통 형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프레임(110)의 테두리에는 다수의 수납서랍(120)을 삽탈 가능하게 구비하여 여기에 향 발산물질(121)을 수납하며, 상기 각 수납서랍(120)의 안쪽에 형성되는 4각 공간이 취침공간(130)을 이루도록 하면서 상기 각 수납서랍(120)과 상기 취침공간(130)의 사이 측벽과 상기 수납서랍(120)의 측벽 또는 바닥부에는 상기 각 수납서랍(120)과 상기 취침공간(130)이 통하도록 다수의 통공(131)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110)의 전후단부에는 각각 천으로 된 개폐문(141)(142)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발산 침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0)의 하부 각 코너부에는 각각 캐스터(150)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발산 침대.
  • 说明书全文

    향기발산 침대{Fragrance emission b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향기발산 침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향기발산침대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향기발산 침대의 측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침대 110 : 프레임

    120 : 수납서랍 121 : 향 발산물질

    130 : 취침공간 131 : 통공

    132 : 매트 141,142 : 개폐문

    143 : 벨크로 매직테이프 150 : 캐스터

    본 고안은 향기발산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침대의 취침공간 주위에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여기에 향 발산물질을 수납하고, 수납공간과 취침공간의 사이에 통공을 형성하여 향 발산물질로부터 취침공간 측으로 향기가 발산되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침대는 사람이 누워 잘 수 있도록 만든 가구의 일종으로 서, 다리를 갖는 프레임에 매트리스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그런데, 일반적인 침대는 누워서 자는 것 이외에는 별다른 기능이 없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현시대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침대를 이루는 프레임 및 매트리스의 무게가 매우 무거워 침대를 가정주부의 혼자 힘으로 다른 장소로 옮기기 어려운 단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4각의 통 형상으로 된 취침공간의 주위에 다수의 수납서랍을 구비하면서 취침공간과 수납서랍의 사이에 통공을 형성하여 취침 중 향 발산물질로부터 발산되는 향기가 취침공간 측으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인체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는 향기발산 침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견지로는, 프레임의 하부 각 코너부에는 각각 캐스터를 설치하여 침대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향기발산 침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향기발산침대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향기발산 침대의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향기발산 침대(100)는 그 프레임(110)을 전체적으로 4각의 통 형상으로 구성하고, 프레임(110)의 테두리에는 다수의 수납서랍(120)을 삽탈 가능하게 구비하여 여기에 국화 분쇄물과 같은 향 발산물질(121)을 수납하며, 각 수납서랍(120)의 안쪽에 형성되는 4각 공간이 취침공 간(130)을 이루도록 하면서 각 수납서랍(120)과 취침공간(130)의 사이 측벽과 수납서랍(120)의 측벽 또는 바닥부에는 각 수납서랍(120)과 취침공간(130)이 서로 통하도록 다수의 통공(131)을 형성하고, 프레임(110)의 전후단부에는 각각 천으로 된 개폐문(141)(142)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이때, 개폐문(141)(142)을 프레임(11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은 벨크로 매직테이프(143), 지퍼, 단추 등 어떠한 것이든 적용가능하며, 도면상에는 개폐문(141)(142)이 벨크로 매직테이프(143)에 의해 프레임(11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예로 하여 도시하였다. 또한, 취침공간(130)에는 이불을 깔 수도 있고,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매트 또는 옥매트 등과 같은 매트(132)를 깔고 그 위에서 취침을 하면 될 것이다.

    아울러, 침대(100)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110)의 하부 각 코너부에는 각각 캐스터(150)를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향기발산 침대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먼저, 개폐문(141)(142)을 떼어낸 상태에서 취침공간(130)의 바닥부에 이불 또는 매트(132)를 깔고 각 수납서랍(120)에 국화분쇄물과 같은 향발산물질(121)을 수납한 상태에서 취침공간(130)으로 들어가 개폐문(141)(142)을 닫고 취침을 취하게 된다. 각 수납서랍(120)과 취침공간(130)의 사이에는 통공(131)이 형성되어 있어 향발산물질(121)로부터 발산되는 향기가 통공(131)을 통해 취침공간(130)으로 유입되고, 취침공간(130)이 4각의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전후에 각각 개폐문(141)(142)이 막히게 되므로 향기가 취침공간(130)이 외부로 쉽게 빠져나가지 않고 오래도록 취침공간(130) 내에 머무르게 되며, 이러한 향기가 취침중인 사용자의 호흡기를 통해 사용자의 몸속으로 유입되어 숙면을 도와줌은 물론 사용자의 신체를 더욱 건강하게 유지시켜주게 된다.

    한편, 침대(100)의 프레임(110)을 잡고 힘을 주면 프레임(110)이 그 하부 코너부에 설치된 캐스터(150)에 의해 원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어 주부 혼자의 힘만으로도 침대(100)의 위치를 쉽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4각의 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취침공간의 주위에 향 발산물질이 수납되는 다수의 수납서랍이 삽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취침공간과 각 수납서랍의 사이에 통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므로 향 발산물질로부터 발산되는 향기가 취침공간 내측으로 유입되어 취침중인 사용자의 호흡기를 통해 몸속으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숙면을 도와주고 사용자의 건강을 유지시켜주게 되며, 침대 하부의 각 코너부에 캐스터가 각각 설치되므로 작은 힘으로도 침대를 원하는 위치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