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dding using green tea

申请号 KR20060009095 申请日 2006-04-06 公开(公告)号 KR200419381Y1 公开(公告)日 2006-06-19
申请人 发明人
摘要 본 고안에서는 베개나 방석의 쿠션부재 또는 이불이나 요 같은 침구의 내부에 다수개의 구획된 수납공간을 마련하고, 각각의 수납공간에 티백(Tea bag)에 포장된 형태의 녹차티백 또는 포장되지 않은 입자형태의 녹차를 넣을 수 있도록 하여 휴식시 또는 수면시 장시간 베고있거나 누워 있어도 머리에 부담이 없으면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침구류에서 발산되는 땀냄새와 곰팡이냄새 등을 제거하고,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녹차를 이용한 침구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녹차를 이용한 침구는 쿠션부재와, 상기 쿠션부재를 감싸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침구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재상에는 각각 정해진 크기로 구획되는 다수개의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쿠션부재상에 형성되는 각 수납공간에는 티백에 포장된 형태의 녹차티백 또는 포장되지 않은 입자형태의 녹차가 수납되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침구, 녹차, 수납공간, 수면
权利要求
  • 정해진 형상으로 만들어진 쿠션부재와, 상기 쿠션부재를 감싸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침구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재상에는 각각 정해진 크기로 구획되는 다수개의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쿠션부재상에 형성되는 각 수납공간에는 티백(Tea bag)에 포장된 형태의 녹차티백이 수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차를 이용한 침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재상에 형성되는 각 수납공간에는 포장되지 않은 입자형태의 녹차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차를 이용한 침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구는 베개나 방석 또는 이불이나 요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차를 이용한 침구.
  • 说明书全文

    녹차를 이용한 침구{BEDDING USING GREEN TEA}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녹차를 이용한 침구의 일예로서 베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베개의 요부 확대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녹차를 이용한 침구의 일예로서 베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녹차를 이용한 침구의 일예로서 베개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녹차를 이용한 침구의 다른 예로서 방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녹차를 이용한 침구의 또 다른 예로서 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쿠션부재 14 : 커버

    16,16',16'' : 수납공간 18 : 녹차티백

    22 : 방석 24 : 요.

    본 고안은 녹차를 이용한 침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개나 방석 의 쿠션부재 또는 이불이나 요 같은 침구의 내부에 다수개의 구획된 수납공간을 마련하고, 각각의 수납공간에 티백(Tea bag)에 포장된 형태의 녹차티백 또는 포장되지 않은 입자형태의 녹차를 넣을 수 있도록 하여 휴식시 또는 수면시 장시간 베고있거나 누워 있어도 머리에 부담이 없으면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침구류에서 발산되는 땀냄새와 곰팡이냄새 등을 제거하고,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녹차를 이용한 침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루 24시간중에서 대략 1/3의 비중을 차지하는 수면현상은 신체의 피로회복이라는 의미에서 매우 중요한 것은 물론, 이와 같은 단순한 피로회복을 위한 휴식기능이외에도 낮 동안에 섭취한 음식물을 소화·흡수하여 몸에 필요한 피와 살로 바꾸어가는 등의 신체내에서의 원활한 신진대사 활동과, 신체기능의 회복, 에너지의 절약, 뇌기능의 조정 등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생리현상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람의 일상에서 매우 중요한 생리현상인 수면은 오랜시간 동안 취하는 것보다 비교적 짧은 시간이라도 편안한 상태에서 깊이 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편안한 휴식과 깊은 수면을 취할 있도록 하기 위한 도구로서 베개나 방석 또는 이불이나 요 등의 침구류가 이용되어 왔다.

    상기한 바와 같이 편안한 휴식과 깊은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침구류중에서도 베개는 수면을 취하거나 누운 상태에서 휴식을 취할 때 목과 머리의 뒷부분을 받쳐주는 것은 물론, 수면상태에서 머리와 목척추 및 허리척추를 정상적인 상태로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베개의 높낮이나 쿠션상태에서 따라 수면의 질이 달라짐에 따라 수면시 베개의 기능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 알려진다.

    또, 요나 이불은 누워서 휴식을 취하거나 수면을 취할 때 실내바닥이나 침대에 깔거나 또는 사용자가 덮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베개는 통상적으로 원통형이나 타원형 또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쿠션부재와, 상기 쿠션부재의 외표면에 씌워져 쿠션부재를 감싸주는 베개커버로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은 통상적인 베개를 구성하는 쿠션부재로는 헝겊을 원통형으로 제작한 뒤 내부에 왕겨나 메밀껍질 등의 베개속을 채워 넣고 봉하였으며, 흰색의 무명 호청을 베개커버로 하여 쿠션부재의 겉을 감싸도록 하였다.

    또,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는 베개의 경우 쿠션부재가 사용시 목척추(경추)가 정상적인 형태인 "C"자 형태를 이루도록 앞부분이 높고 뒷부분으로 갈수록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지나 내부에는 별도의 배개속이 채워지는 것이 아니라 쿠션부재 자체가 쿠션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이외에 별다른 기능이 수반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 요나 이불의 경우 역시 내부에 가벼우면서도 보온성이 뛰어난 솜이나 오리털 등으로 채워지는 속부분과 상기 속부분의 외부에 씌워지는 겉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녹차는 차나무로부터 채취한 어린잎을 저압의 증기에서 30초 전후 증 제하고, 조유기 내에서 100℃ 전후의 열풍을 보내어 건조시킨 다음 유념기에서 압박과 유념을 되풀이 하며, 중유기 내에서 60℃ 전후의 열풍에서 가압·건조시킨 후 수분이 60% 정도가 되면 찻잎을 정유기 속에서 가압하여 유념시키고 70℃ 이하의 온도에서 건조시켜 수분을 5% 이하로 낮춰주는 한편, 이것을 적당량 배합·정형하여 수분이 3∼4% 될 때까지 건조시키고, 건조가 끝난 차는 체로 쳐서 분리하거나 절단기에 넣어 마무리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녹차의 주요 성분은 카페인을 주로 하는푸린염기·타닌산·단백질·아미노산·아미드, 탄수화물로서 당(糖)·덱스트린·녹말·셀룰로오스·펙틴, 식물색소로서 이취(異臭)를 흡수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는 취엽록소·카로티노이드·플라보놀유도체·안토시안, 그 밖에 정유(精油)·납질·수지류(俊脂類)·유기산·효소·비타민·무기성분등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한 성분중에서도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피로회복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카페인과, 수렴(收斂)작용과 지혈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타닌산과, 상쾌한 맛을 부여하는 아미노산 및 향기를 발산하며 기분이 좋아지게 할 뿐 아니라 잠을 부르는 작용을 하는 정유성분이 차의 품질과 맛에 관계가 깊은 것으로 알려진다.

    이와 같은 녹차에 함유된 유용한 성분에 의하여 녹차가 마음을 차분하게 하고, 소취작용 등을 하는 것으로 알려짐에 따라 최근 녹차를 이용한 음료나 기타 식품 등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녹차를 음료나 기타 식품에 적용하는 이외에 다른 용도에 적용하고자 하는 노력은 활발하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자는 티백(Tea bag)에 포장된 형태의 녹차티백 또는 포장 되지 않은 입자형태의 녹차를 베개나 방석의 쿠션부재 또는 이불이나 요의 내부에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녹차의 적용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베개나 방석의 쿠션부재 또는 이불이나 요 같은 침구의 내부에 다수개의 구획된 수납공간을 마련하고, 각각의 수납공간에 티백(Tea bag)에 포장된 형태의 녹차티백 또는 포장되지 않은 입자형태의 녹차를 넣을 수 있도록 하여 휴식시 또는 수면시 장시간 베고있거나 누워 있어도 머리에 부담이 없으면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침구류에서 발산되는 땀냄새와 곰팡이냄새 등을 제거하고,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녹차를 이용한 침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정해진 형상으로 만들어진 쿠션부재와, 상기 쿠션부재를 감싸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침구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재상에는 각각 정해진 크기로 구획되는 다수개의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쿠션부재상에 형성되는 각 수납공간에는 티백(Tea bag)에 포장된 형태의 녹차티백이 수납되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에서 상기 쿠션부재상에 형성되는 각 수납공간에는 포장되지 않은 입자형태의 녹차가 수용된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에서 상기 침구는 베개나 방석 또는 이불이나 요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녹차를 이용한 침구의 일예로서 베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베개의 요부 확대 측단면도이다.

    또,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녹차를 이용한 침구의 일예로서 베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녹차를 이용한 침구의 일예로서 베개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녹차를 이용한 침구의 다른 예로서 방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녹차를 이용한 침구의 또 다른 예로서 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녹차를 이용한 침구(10)는 휴식시 또는 수면시 장시간 베고있거나 누워 있어도 머리에 부담이 없으면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동시에 침구에서 발산되는 땀냄새와 곰팡이냄새 등을 제거하고,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녹차를 이용한 침구(10)의 하나인 베개는 기본적으로 목부분이 닿는 부위가 높고 머리부분이 닿는 부분이 낮아 베개를 사용할 때 경추부분이 정상적인 "C"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쿠션부재(12)와, 상기 쿠션부재(12)를 감싸는 커버(14)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서 상기 쿠션부재(12)상에는 사용시 머리 또는 목부위를 받쳐주는 부위인 윗쪽 부분에 각각 정해진 크기로 구획되는 다수개의 수납공간(16)이 형성되 고, 상기 쿠션부재(12)상에 형성되는 각 수납공간(16)에는 녹차가 수용된 녹차티백(18)이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본 고안에서 상기 쿠션부재(12)상에 형성되는 각 수납공간(16)에는 티백으로 포장된 형태가 아닌 입자형태의 녹차가 채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티백형태로 포장된 녹차티백(18) 또는 포장되지 않은 입자형태의 녹차가 쿠션부재(12)상의 수납공간(16)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쿠션부재(12)의 외부에는 지퍼(20)에 의하여 개폐되는 별도의 커버(14)가 감싸여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베개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석(22)과 요(또는 이불:24)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녹차티백(18)이나 입자형태의 녹차를 방석(22)이나 요(24)에 적용하는 경우 또한 베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쿠션부재의 내부에 다수개의 구획된 수납공간(16')(16'')를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수납공간(16')(16'') 내부에 녹차티백(18) 또는 입자형태의 녹차를 넣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을 요(24) 또는 이불에 적용하는 경우에 상기한 수납공간(16'')은 사용방향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머리부분으로부터 가슴부위에 이르는 부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침구를(10)를 베개나 방석(22) 요(또는 이불:24)구성하는 쿠션부재(12)를 감싸고 있는 커버(14)상에 마련된 지퍼(20)를 개방하 여 쿠션부재(12)상에 형성된 수납공간(14)이 드러나게 한 상태에서 티백에 포장된 형태의 녹차티백(18)이나 포장되지 않은 입자형태의 녹차를 상기 각 수납공간(16)(16')(16'')에 수납시킨다.

    그런 다음, 다시 커버(14)로 쿠션부재(12)를 감싼 후 지퍼(20)를 닫으면 녹차티백(18) 또는 입자형태의 녹차의 수납이 완료된다.

    본 고안에서 쿠션부재(12)상에 마련된 수납공간(16)이 다수개로 구획되어 있기 때문에 베개나 방석 또는 요를 이동시키거나 엎어 놓더라도 각 수납공간(16)에 수용된 녹차티백이나 입자형태의 녹차가 한데 뭉치거나 흩어지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누워서 휴식을 취하거나 수면을 취하기 위하여 침구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쿠션부재(12)상의 각 수납공간(16)(16')(16'')에 수납된 녹차티백(18) 또는 입자형태의 녹차로부터 녹차 특유의 향이 발산됨에 따라 마음이 차분하게 진정되는 것은 물론,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피로회복이 빨라진다.

    또, 녹차에 함유되어 잠을 부르는 작용을 하는 정유성분의 작용에 의하여 기분이 좋아지면서 빨리 잠을 이룰 수 있고, 깊은 수면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종래의 베개에 비하여 신진대사 활동과, 신체기능의 회복, 에너지의 절약, 뇌기능의 조정 작용이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또, 녹차에 함유된 타닌산과 엽록소의 탈취작용에 의하여 베개에서 발산되는 땀냄새와 곰팡이 냄새등이 제거됨에 따라 쾌적한 휴식 및 수면을 취할 수 있게 되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통상적인 침구를 구성하는 쿠션부재의 내부 또는 표면에 마련된 다수개의 구획된 수납공간에 녹차티백 또는 입자형태의 녹차가 수용됨에 따라 휴식 및 수면을 위하여 사용할 때 녹차향의 진정작용에 의하여 마음이 차분해지고, 빨리 잠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 깊은 수면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녹차에 함유된 엽록소와 타닌산의 탈취작용에 의하여 베개로부터 발산되는 땀냄새나 곰팡이 냄새가 제거됨에 따라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녹차가 음료나 식품이외에 베개를 포함한 침구류에 폭넓게 응용될 수 있음에 따라 녹차 생산농가의 소득증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자립도를 높이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