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목매트가 구비된 침대

申请号 KR2020030035135 申请日 2003-11-10 公开(公告)号 KR200341993Y1 公开(公告)日 2004-02-14
申请人 염 열; 发明人 염열;
摘要 본 고안은 침대의 매트 부분을 원목으로 하여 자연상태를 느끼면서 숙면 또는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침대 프레임의 내부에 다수개의 원적외선방사알갱이와 열판을 더 구비하여 겨울에 온기를 느낄 수 있고 원적외선방사알갱이로부터 발산되는 원적외선 효과까지도 얻을 수 있도록 한 원목매트가 구비된 침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인 원목매트가 구비된 침대는, 바닥부와 이 바닥부의 측면에 일측이 결합된 측면부들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부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열판(20)과; 상기 열판의 상단면에 다수개 적층되는 원적외선 방사알갱이(30)들과;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상부를 덮고 내측부에 다수개의 통기공(41)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형성되며 원목으로 형성된 매트(40)와; 상기 매트의 상단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열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 열판의 열을 조절하는 조절기(5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权利要求
  • 바닥부와 이 바닥부의 측면에 일측이 결합된 측면부들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부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열판(20)과;
    상기 열판의 상단면에 다수개 적층되는 원적외선 방사알갱이(30)들과;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상부를 덮고 내측부에 다수개의 통기공(41)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형성되며 원목으로 형성된 매트(40)와;
    상기 매트의 상단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열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 열판의 열을 조절하는 조절기(5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매트가 구비된 침대.
  • 바닥부와 이 바닥부의 측면에 일측이 결합된 측면부들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내측 수용부(11)에 내삽되고 바닥부에 열판(81)이 결합되며 4개의 벽면부(82)에 의해 사방이 막힌 수용구(80)와;
    상기 수용구(80)의 내측에 다수개 적층되는 원적외선방사알갱이(30)들과;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상부를 덮고 내측부에 다수개의 통기공(41)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형성되며 원목으로 형성된 매트(40)와;
    상기 매트의 상단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열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 열판의 열을 조절하는 조절기(5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매트가 구비된 침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수용부에 안착되는 4개의 격벽(61)들의 양측단이 서로 결합된 구획구(60)와;
    상기 구획구와 상기 프레임의 수용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14)에 수용되고 아로마 향 등과 같은 향이 발산되는 방향제 팩(7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매트가 구비된 침대.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방사알갱이(30)들은 박달나무를 일정시간 동안 고온으로 태워 얻어진 박달나무숯 이거나 또는 옥돌, 및 숯세라믹 등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알갱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매트가 구비된 침대.
  • 说明书全文

    원목매트가 구비된 침대{BED WITH LUMBER MET}

    본 고안은 사람이 누워 숙면을 취하거나 또는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이 눕는 공간인 매트를 원목으로 구성하여 자연 상태의 숙면 또는 휴식을 느낄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프레임의 내부에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원적외선방사알갱이들이 다수개 수용됨에 따라 숙면 또는 휴식을 취하면서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에 의해 원활한 신진대사가 이루어지도록 한 원목매트가 구비된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침대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단에 안착되는 매트리스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는 헤드보드로 이루어진다.

    상기 매트리스는 사용자가 누웠을 때, 인체에 미치는 영향 즉, 편안함 또는 불편함의 정도 그리고 바른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피로감을 회복시키는 정도를 직접적으로 결정하는 침대의 주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매트리스의 내부에 구성되는 스프링의 탄성과, 스프링의 배치 및 스프링의 종류에 따라 침대의 가격이 상승된다.

    이러한 매트리스는 사용자가 누웠을 때, 편안함과 안락함을 동시에 느낄 수있도록 함으로써, 숙면을 취하도록 하고 있으나 매트리스가 갖고 있는 쿠션에 의해 오히려 사용자의 척추가 S자 형상으로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되고 특히 성장하는 어린이에게는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매트리스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그 재질 자체에서 발산되는 물질에 의해 인체에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돌침대 또는 옥침대 등이 제안되고 있다.

    이들은, 사용자가 누워 숙면이나 휴식을 취하는 부분인 매트부분을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옥돌 등으로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쿠션재인 매트리스에 비해 매트 자체에 탄성력이 없음에 따라 종래 쿠션부재로 이루어진 매트리스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상기 옥돌 등으로부터 발산되는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인체의 신진대사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안한 휴식과 함께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경우 사용자가 눕는 매트가 옥돌 등과 같은 석(石)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매트 자체의 쿠션이 완전하게 사라짐으로써 사용자가 누울 경우 딱딱한 느낌이 들기 때문에, 장기간 동안 쿠션력을 지닌 매트리스 침대를 사용해 왔던 사용자들에게 오히려 반감을 불러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매트의 재질이 옥돌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그 중량이 무거워 예컨대 방안의 인테리어 효과를 다르게 연출하고자 할 때, 이 무거운 침대를 옮기는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매트의 재질이 차가운 옥돌 등과 같은 석(石) 재질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항상 일정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전원을 인가해야 하는 문제점과 함께, 자칫 잘못에 의해 추운 동절기에 전원을 켜지 않은 상태에서 잠을 잘 경우, 차가운 매트에 의해 사용자에게 구안와사(口眼蝸斜 : 안면에 일어나는 삼차 신경마비로 입과 눈이 한쪽으로 돌아가는 증세) 등과 같은 치명적인 문제점을 일으킬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종래 침대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침대의 매트 부분을 원목으로 하여 자연상태를 느끼면서 숙면 또는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침대 프레임의 내부에 다수개의 원적외선 방사알갱이와 열판을 더 구비하여 겨울에 온기를 느낄 수 있고 원적외선방사알갱이로부터 발산되는 원적외선 효과까지도 얻을 수 있도록 한 원목매트가 구비된 침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침대의 프레임 내부에 별도의 구획구를 더 구비하여 구획구의 바깥측과 상기 침대프레임의 내측벽과의 형성된 공간부에 아로마 향 등과 같은 인체에 유익한 향이 발산되는 방향제가 수용된 방향제팩을 더 구비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방향제팩으로부터 발산되는 향취를 통해 사용자의 숙면 또는 휴식이 더욱 편안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피로감이 사라질 수 있도록 한 원목매트가 구비된 침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원목매트가 구비된 침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원목매트가 구비된 침대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원목매트가 구비된 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원목매트가 구비된 침대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매트가 분리된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원목매트가 구비된 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1 : 바닥부

    12 : 측면부 13 : 수용부

    14 : 공간부 20 : 열판

    30 : 원적외선 방사알갱이 40 : 매트

    41 : 통기공 50 : 조절기

    60 : 구획구 61 : 격벽

    70 : 방향제 팩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고안인 원목매트가 구비된 침대는,

    바닥부와 이 바닥부의 측면에 일측이 결합된 측면부들로 이루어지고 내부에수용부가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부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열판과, 상기 열판의 상단면에 다수개 적층되는 원적외선방사알갱이들과,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상부를 덮고 내측부에 다수개의 통기공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형성되며 원목으로 형성된 매트와, 상기 매트의 상단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열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 열판의 열을 조절하는 조절기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수용부에 안착되고 4개의 격벽들의 양측단이 서로 결합된 구획구와; 상기 구획구와 상기 프레임의 수용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수용되고 아로마 향 등과 같은 향취가 발산되는 방향제 팩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열판의 상단면에 다수개 적층되는 원적외선방사알갱이들은 박달나무를 일정시간 동안 고온으로 태워 얻어진 박달나무숯 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원목매트가 구비된 침대는, 매트의 재질이 원목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자연상태를 그대로 느낄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나무의 쿠션에 의해 딱딱한 느낌을 주지 않으며 다수개 수용된 원적외선방사알갱이들에 의해 원적외선 효과 까지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인 원목매트가 구비된 침대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원목매트가 구비된 침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원목매트가 구비된 침대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고안인 원목매트가 구비된 침대는, 바닥부(11)와 이 바닥부(11)의 둘레면을 따라 입설된 측면부(12)와 내부에 수용부(13)을 갖고 상부가 개방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수용부(13)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열판(20)과, 상기 열판(20)의 상단면에 고르게 분포되는 다수개의 원적외선방사알갱이(30)들과, 상기 프레임(10)의 개방된 상부를 덮고 내측에 다수개의 통기공(41)들이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통공된 매트(40)와, 상기 매트(40)의 상단 일측에 끼움결합되고 상기열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 열판(20)에 열을 조절하는 수단인 조절기(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매트(40)는, 그 재질이 원목으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자연그대로의 느낌을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사용자가 누울 경우 원목 자체의 쿠션에 의해 딱딱한 느낌이 배제(排除)된다.

    상기 열판(20)의 상단면에 고르게 적층되는 원적외선방사알갱이(30)들은 자작나무과인 박달나무를 1000℃ 이상의 고온으로 일정시간 태워 얻어진 박달나무 숯이거나 또는 옥돌이거나 또는 숯세라믹일 수 있으며, 이외에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방사체들은 모두 적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원목매트가 구비된 침대는, 사용자가 조절기(50)를 이용하여 적절한 온도를 유지 시킨 상태에서, 상기 원목으로 형성된 매트(40)의 상단에 누워 휴식 또는 숙면을 취하게 되면, 상기 열판(20)의 열이 이 열판(20)의 상단에 다수개 분포된 원적외선방사알갱이(30)들을 데우고 되고, 데워진 원적외선방사알갱이(30)들로부터 발산되는 원적외선이 상기 매트(40)의 내측부에 다수개 통공된 통기공(41)들을 통해 밖으로 배출되어 이 매트(40)의 상단에 누운 사용자에게 쏘여짐으로써, 사용자는 원적외선 효과를 통해 원활한 신진대사의 효과를 얻으며 휴식 또는 숙면을 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열판(20)의 열에 의해 데워진 원적외선방사알갱이(30)들의 간접열이 상기 매트(40)와 이 매트(40)에 통공된 통기공(41)들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됨에 따라 추운 동절기에 사용시에도 온돌효과를 그대로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트(40)의 재질이 원목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연 그대로의 느낌을 얻을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인 원목매트가 구비된 침대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매트가 분리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내측 수용부(13)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열판(20)의 상단측에 4개의 격벽(61)들에 의해 형성된 구획구(60)를 더 적층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획구(60)가 내부에 적층됨에 따라 상기 구획구(60)의 격벽(61)들과 이 구획구(60)가 적층되는 상기 프레임(10)의 수용부(13)의 내벽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14)에 내부에 아로마, 쑥 등과 같이 인체에 유익한 향을 발산하는 물질이 수용된 방향제 팩(70)들이 다수개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아로마 또는 쑥 등과 같은 물질에서 발산되는 향에 의해 사용자는 신체의 피로감을 풀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숙면 또는 휴식을 취하는 동안 정신적으로 편안함과 안락함을 동시에 얻을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원목매트가 구비된 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구성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내측 수용부(11)에 안착되고 바닥부에 열판(81)이 결합되며, 4개의 벽면부(82)에 의해 사방이 막힌 수용구(80)와, 상기 수용구(80)의 내측에 분포 적층되는 다수개의 원적외선방사알갱이(30)들과, 상기 프레임(10)의 상단에 안착되는 원목으로 이루어진 매트(40)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원적외선방사알갱이(30)들이 수용되는 수용구(80)의 바닥부가 열판(81)의 결합에 의해 막히게 됨에 따라 부득히 한 경우 에컨대, 이사를 하거나 또는 방안의 가구배치를 다시하기 위해 침대를 분리할 때, 상기 수용구(80)를 드는 것에 의해 원적외선방사알갱이(30)들이 같이 옮겨지기 때문에,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인 원목매트가 구비된 침대는 도시하고 설명한 것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원목매트가 구비된 침대는, 매트의 재질이 원목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자연그대로의 느낌을 갖도록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에 수용된 원적외선방사알갱이들에 의해 원적외선 효과까지도 얻을 수 있으며 나무 자체의 쿠션에 의해 딱딱한 느낌이 배제되는 등 안락하고 편안한 숙면 또는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