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토침대 매트의 제조방법

申请号 KR1020090117493 申请日 2009-12-01 公开(公告)号 KR1020110060992A 公开(公告)日 2011-06-09
申请人 이창수; 发明人 이창수;
摘要 PURPOS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cher bed mat is provided to prevent generation of a crack on the surface thereof and to improve the function of yellow soil and herb. CONSTITU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cher bed mat comprises: a step(S1) of obtaining a mixture by mixing yellow soil, herb, hardwood charcoal, water, and salt; a step(S2) of installing a heating wire in a groove of a rectangular frame in which a groove of the constant depth is formed; a step(S3) of laminating the mixture in the groove of the frame; a step(S4) of laminating hemp cloth on the upper side of the mixture laminated in the groove of the frame; a step(S5) of applying constant pressure to the hemp cloth; a step(S6) of plastering the upper side of the mixture; and a step(S7) of drying the plastered mixture using the heating wire.
权利要求
  • a) 황토, 허브, 참숯, 물 및 소금을 배합하여 배합물을 얻는 단계와;
    b) 내부에 일정깊이의 홈이 형성된 사각형상의 프레임의 상기 홈에 전열선을 구비하는 단계와;
    c) 상기 전열선이 구비된 상기 프레임의 홈에 상기 a) 단계를 통해 얻어진 상기 배합물을 적층시키는 단계와;
    d) 상기 c) 단계를 통해 상기 프레임의 홈에 적층된 상기 배합물의 상부면에 삼베를 적층시키는 단계와;
    e) 상기 d) 단계를 통해 상기 배합물의 상부면에 적층된 상태의 삼베에 일정압력을 가하는 단계와;
    f) 상기 e) 단계를 통해 일정 압력이 가해진 상기 배합물의 상부면을 미장처리하는 단계와;
    g) 상기 f) 단계를 통해 상부면이 미장처리된 상기 배합물을 상기 전열선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침대 매트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배합물은 황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3.5~4.5중량부, 허브 2.0~2.5중량부, 참숯 2.0~2.5중량부 및 소금 1.0~1.3중량부를 배합하여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침대 매트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상기 허브는 40~45℃의 온도로 24~35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말 상태로 분쇄한 것을 이용하고,
    상기 참숯은 분말 상태로 분쇄한 것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침대 매트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의 배합물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40~60℃의 온도가 된 상기 전열선을 이용하여 10~12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침대 매트의 제조방법.
  • 说明书全文

    황토침대 매트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LOESS BED MATTE}

    본 발명은 황토, 허브, 참숯, 물 및 소금이 배합되기 때문에 허브가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여 허브와 황토의 기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삼베가 적층되어 강도가 보다 향상됨은 물론, 표면에 크랙이 발생할 우려가 없는 황토침대 매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황토에는 여러 종류의 황토 효소들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황토 효소의 주성분은 카탈라아제, 디페놀 옥시디아제, 사카라제, 프로테아제의 4가지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효소들은 각각 독소제거, 분해력, 비료요소, 정화작용의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황토는 원적외선 발산과 음이온 방출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현대 생활에 있어 여러 가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유익한 물질로 인정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익한 작용이 있는 황토를 이용한 황토침대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황토침대는 대게, 순수한 황토만을 이용하여 제작된 것이기 때문에 제습효과와 탈취효과 등은 기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황토에서 발산되는 원적외선의 양이 미약하여 효과적으로 건강을 증진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황토를 난방시키는 발열체는 주로 절열선을 이용하여 황토를 가열시키기 때문에 전열선에서 발산되는 유해한 전자파로 인해 인체의 건강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황토판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황토분말을 건조시키는 단계; 형틀상에 마직물, 건조된 황토분말 및 마직물을 순서대로 층상으로 배치하고 200t/cm 2 이상의 압력으로 압축 성형하는 단계; 압축 성형된 황토판넬을 약 20~60℃에서 12시간 이상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판넬의 제조방법(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1997-0018704호)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황토판넬의 제조방법은 상기 형틀상에 마직물, 건조된 황토분말 및 마직물을 순서대로 층상으로 배치한 다음 압축 성형한 후 건조시키기 때문에 강도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표면에 크랙이 발생할 우려가 다분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황토, 허브, 참숯, 물 및 소금이 배합되기 때문에 허브가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여 허브와 황토의 기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삼베가 적층되어 강도가 보다 향상됨은 물론, 표면에 크랙이 발생할 우려가 없는 황토침대 매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황토, 허브, 참숯, 물 및 소금을 배합하여 배합물을 얻는 단계와; b) 내부에 일정깊이의 홈이 형성된 사각형상의 프레임의 상기 홈에 전열선을 구비하는 단계와; c) 상기 전열선이 구비된 상기 프레임의 홈에 상기 a) 단계를 통해 얻어진 상기 배합물을 적층시키는 단계와; d) 상기 c) 단계를 통해 상기 프레임의 홈에 적층된 상기 배합물의 상부면에 삼베를 적층시키는 단계와; e) 상기 d) 단계를 통해 상기 배합물의 상부면에 적층된 상태의 삼베에 일정압력을 가하는 단계와; f) 상기 e) 단계를 통해 일정 압력이 가해진 상기 배합물의 상부면을 미장처리하는 단계와; g) 상기 f) 단계를 통해 상부면이 미장처리된 상기 배합물을 상기 전열선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침대 매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a) 단계의 배합물은 황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3.5~4.5중량부, 허브 2.0~2.5중량부, 참숯 2.0~2.5중량부 및 소금 1.0~1.3중량부를 배합하여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a) 단계의 상기 허브는 40~45℃의 온도로 24~35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말 상태로 분쇄한 것을 이용하고, 상기 참숯은 분말 상태로 분쇄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g) 단계의 배합물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40~60℃의 온도가 된 상기 전열선을 이용하여 10~12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황토침대 매트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황토침대 매트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황토침대 매트의 제조방법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a) 황토, 허브, 참숯, 물 및 소금을 배합하여 배합물(10)을 얻는 단계(S1)와; b) 내부에 일정깊이의 홈(210)이 형성된 사각형상의 프레임(20)의 상기 홈(210)에 전열 선(30)을 구비하는 단계(S2)와; c) 상기 전열선(30)이 구비된 상기 프레임(20)의 홈(210)에 상기 a) 단계(S1)를 통해 얻어진 상기 배합물(10)을 적층시키는 단계(S3)와; d) 상기 c) 단계(S3)를 통해 상기 프레임(20)의 홈(210)에 적층된 상기 배합물(10)의 상부면에 삼베(40)를 적층시키는 단계(S4)와; e) 상기 d) 단계(S4)를 통해 삼베(40)가 적층된 상태의 상기 배합물(10)의 상부면에 일정압력을 가하는 단계(S5)와; f) 상기 e) 단계(S5)를 통해 일정 압력이 가해진 상기 배합물(10)의 상부면을 미장처리하는 단계(S6)와; g) 상기 f) 단계(S6)를 통해 상부면이 미장처리된 상기 배합물(10)을 상기 전열선(30)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단계(S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a) 단계(S1)는 황토, 허브, 참숯, 물 및 소금을 배합하여 배합물(도 4의 10)을 얻기 위한 것이다.

    상기 황토는 동식물의 성장에 반드시 필요한 원적외선을 다량 방출할 뿐만 아니라 공기 중의 비타민이라 일컬어지는 음이온을 다량 방출한다.

    따라서, 상기 황토에서 방출하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인체에 흡수될 경우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노화를 방지함은 물론, 산성화된 체질을 알카리성으로 바꾸고,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신진대사를 왕성하게 해주는 효능이 있다.

    그리고, 상기 황토에는 카라타제라는 활성효모가 다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노화의 원인인 활성산소 및 과산화지질을 환원시키고, 분해시키며 체내 유해물질을 분해하여 피부미용에도 좋은 효능이 있다.

    상기 허브는 보통 향기를 통해서 치료를 하게 되는데, 이때 코를 통해서 흡수된 상기 허브의 향이 인체의 코의 점막을 통해 직접적으로 뇌로 전달되어 뇌를 직접 자극하기 때문에 다른 종류의 약보다 빠른 효능이 있다.

    상기와 같은 효능이 있는 상기 허브는 라벤데(Lavender), 라임블러섬 (Lime Blossom), 레몬그라스 (Lemongrass), 레몬밤 (Lemonbalm), 로즈마리 (Rosemary) 및 오렌지 플라워 (Orange Flower) 등이 있으며, 각 종류별로 다양한 효능이 있다.

    상기 참숯은 사물을 오랫동안 유지하는 힘, 복원력이 뛰어나며 무한정으로 전자를 공급할 수 있는 산화방지 및 환원작용을 하는 효능이 있다.

    그리고, 산성물질을 중화시켜 알칼리성이 높아지면 피로회복과 각종 피부질환에 좋은 산성 물질의 알칼리화시키는 효능이 있다.

    또한, 물질을 따뜻하게 하는 힘을 방사하여 인체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돕는 원적외선 방출 효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익한 성분은 유지하고, 유해 바이러스 등에 항균작용을 하거나 체외로 배출시키는 항균 및 해독 효능이 있다..

    아울러, 주위의 습도조절을 조절해주는 습도 조절 효능이 있으며, 오염된 공기와 물을 정화시키는 여과 효능이 있다.

    그리고, 원적외선을 지속적으로 방출하여 환부나 병든 세포를 복원시키는 효능이 있으며, 부패균의 발생을 억제해서 냄새의 근원을 없애고 그 악취를 흡착하는 냄새 제거 효능이 있다.

    여기서, 상기 a) 단계(S1)의 배합물(10)은 황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3.5~4.5중량부, 허브 2.0~2.5중량부, 참숯 2.0~2.5중량부 및 소금 1.0~1.3중량부를 배합하여 얻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황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물 3.5중량부 미만, 허브 2.0중량부 미만, 참숯 2.0중량부 미만, 소금 1.0중량부 미만 배합될 경우 상기 배합물(10)의 농도가 기준치 농도 보다 약해지게 됨으로써, 상기 허브의 향이 원활하게 발산되지 못하고, 상기 배합물(10)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황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물 4.5중량부 초과, 허브 2.5중량부 초과, 참숯 2.5중량부 초과, 소금 1.3중량부 초과 배합될 경우 상기 허브의 향이 진해지게 되어 사용자가 거부감을 느끼게 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허브가 부패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허브와 황토의 기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a) 단계(S1)의 배합물(10)은 황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3.5~4.5중량부, 허브 2.0~2.5중량부, 참숯 2.0~2.5중량부 및 소금 1.0~1.3중량부를 배합하여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a) 단계(S1)의 상기 허브는 40~45℃의 온도로 설정된 건조기를 이용하여 24~35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 상태로 분쇄한 것을 이용하고, 상기 참숯은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 상태로 분쇄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허브를 40℃ 미만의 온도로 24시간 미만 건조시킬 경우 상기 허 브의 건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허브에 함유된 수분이 용이하게 제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허브를 45℃ 초과의 온도로 35시간 초과 건조시킬 경우 상기 허브의 향이 모두 증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허브와 상기 황토의 기능을 보다 더욱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a) 단계(S1)의 상기 허브는 40~45℃의 온도로 24~35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말 상태로 분쇄한 것을 이용하고, 상기 참숯은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 상태로 분쇄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프레임(20)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프레임(20)의 홈(210)에 전열선(30)을 구비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b) 단계(S2)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일정깊이의 홈(210)이 형성된 사각형상의 상기 프레임(20)의 홈(210)에 철과 크로뮴의 합금, 니켈과 크로뮴의 합금 등의 전열선(30)을 구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전열선(30)으로 철과 크로뮴의 합금, 니켈과 크로뮴의 합금 등을 사용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산하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프레임(20)의 홈(210)에 배합물(10)을 적층시키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c) 단계(S3)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열선(30)이 구비된 상기 프레임(20)의 홈(210)에 상기 a) 단계(S1)를 통해 얻어진 상기 배합물(10)을 적층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전열선(30)은 상기 프레임(20)의 홈(210)의 바닥면과 상기 배합물(10)의 하부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배합물(10)의 하부의 내측으로 수용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좋다.

    이는 상기 배합물(10)의 후술되는 g) 단계를 통해 건조될 때, 보다 원활하게 건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는 배합물(10)의 상부면에 삼베(40)를 적층시키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d) 단계(S4)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c) 단계(S3)를 통해 상기 프레임(20)의 홈(210)에 적층된 상기 배합물(10)의 상부면에 삼베(40)를 적층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삼베(40)는 식물 중 가장 강한 기를 지니고 있고, 삼베(40)의 섬유질은 속이 비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수분을 빨리 흡수하고 배출하며 통기성이 좋다.

    또한, 상기 삼베(40)는 항균성과 항독성 등 사기를 물리치는 효능이 있어 곰팡이를 억제시키며, 방음성과 원적외선 방출 자외선 차단 등의 효능이 있다.

    도 6은 배합물(10)의 상부면에 적층된 상태의 삼베(40)에 일정 압력을 가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태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e) 단계(S5)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d) 단계(S4)를 통해 상기 배합물(10)의 상부면에 적층된 상태의 상기 삼베(40)에 사용자가 쇠브러쉬 등을 이용하여 상기 배합물(10)이 상기 삼베(40)의 상측방향으로 솟아오를 수 있도록 일정 압력을 가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미장처리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f) 단계(S6)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e) 단계(S5)를 통해 일정 압력이 가해진 상기 배합물(10)의 상부면을 작업자가 미장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g) 단계(S7)는 상기 f) 단계(S6)를 통해 상부면이 미장처리된 상기 배합물(10)을 상기 전열선(30)을 이용하여 건조시키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g) 단계(S7)의 배합물(10)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 아 40~60℃의 온도가 된 상기 전열선(30)을 이용하여 10~12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배합물(10)을 40℃ 미만의 온도로 10시간 미만 건조시킬 경우 상기 배합물(10)에 함유되어 있는 습기가 제대로 증발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배합물(10)에 곰팡이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배합물(10)을 60℃ 초과의 온도로 12시간 초과 건조시킬 경우 상기 허브의 향이 약해질 뿐만 아니라 상기 배합물(10)의 표면에 크랙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배합물(10)의 표면에 크랙이 발생할 우려를 보다 더욱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g) 단계(S7)의 배합물(10)을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40~60℃의 온도가 된 전열선(30)을 이용하여 10~12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것이 좋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배합물(10)이 황토, 허브, 참숯, 물 및 소금이 배합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허브가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여 허브와 황토의 기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배합물(10)의 상부면에 상기 삼베(40)가 적층됨으로써, 상기 배합물(10)과 상기 삼베(40)의 결합력이 향상됨으로 인해 강도가 보다 향상되어 상기 배합물(10)의 표면에 크랙이 발생할 우려가 없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배합물(10)이 상기 프레임(20)의 홈(210)에 적층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20)의 홈(210)에 구비된 상기 전열선(30)에 의해 건조되기 때문에 상기 배합물(10)을 건조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비를 구비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우리 나라의 전통 구들장과 같은 기능을 갖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배합물이 황토, 허브, 참숯, 물 및 소금이 배합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허브가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여 허브와 황토의 기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배합물의 상부면에 삼베가 적층됨으로써, 상기 배합물과 상기 삼베의 결합력이 향상됨으로 인해 강도가 보다 향상되어 상기 배합물의 표면에 크랙이 발생할 우려가 없고, 아울러 상기 배합물이 프레임의 홈에 적층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의 홈에 구비된 전열선에 의해 건조되기 때문에 상기 배합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비를 구비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우리 나라의 전통 구들장과 같은 기능을 갖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a) 단계의 배합물은 황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3.5~4.5중량부, 허브 2.0~2.5중량부, 참숯 2.0~2.5중량부 및 소금 1.0~1.3중량부를 배합하여 얻기 때문에 허브가 부패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허브와 황토의 기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a) 단계의 상기 허브는 40~45℃의 온도로 24~35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말 상태로 분쇄한 것을 이용하고, 상기 참숯은 분말 상태로 분쇄한 것을 이용하기 때문에 상기 허브와 상기 황토의 기능을 보다 더욱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g) 단계의 배합물을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40~60℃의 온도가 된 전열선을 이용하여 10~12시간 동안 건조시키기 때문에 상기 배합물의 표면에 크랙이 발생할 우려를 보다 더욱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황토침대 매트의 제조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실시예 1]

    황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3.5중량부, 40℃의 온도로 24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말 상태로 분쇄한 허브 2.0중량부, 분말 상태로 분쇄한 참숯 2.0중량부 및 소금 1.0중량부를 배합하여 배합물을 얻었다.

    그리고, 내부에 일정깊이의 홈이 형성된 사각형상의 프레임의 홈에 전열선을 구비한 후 상기 배합물을 상기 프레임의 홈에 적층시켰다.

    그 다음, 상기 프레임의 홈에 적층된 상기 배합물의 상부면에 삼베를 적층한 후 쇠브러쉬를 이용하여 상기 배합물의 상부면에 일정 압력을 가했다.

    그리고, 일정 압력이 가해진 상기 배합물의 상부면을 미장처리한 후 상기 전열선에 외부 전원의 전원을 공급하여 40~60℃의 온도가 되도록 한 다음, 10시간 동 안 건조시켜 실시예 1의 황토침대 매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황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4.5중량부, 45℃의 온도로 35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말 상태로 분쇄한 허브 2.5중량부, 분말 상태로 분쇄한 참숯 2.5중량부 및 소금 1.3중량부를 배합하여 배합물을 얻었다.

    그리고, 내부에 일정깊이의 홈이 형성된 사각형상의 프레임의 홈에 전열선을 구비한 후 상기 배합물을 상기 프레임의 홈에 적층시켰다.

    그 다음, 상기 프레임의 홈에 적층된 상기 배합물의 상부면에 삼베를 적층한 후 쇠브러쉬를 이용하여 상기 배합물의 상부면에 일정 압력을 가했다.

    그리고, 일정 압력이 가해진 상기 배합물의 상부면을 미장처리한 후 상기 전열선에 외부 전원의 전원을 공급하여 40~60℃의 온도가 되도록 한 다음, 12시간 동안 건조시켜 실시예 2의 황토침대 매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달리 소금을 배합하지 않고, 비교예 1인 황토침대 매트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의 황토침대 매트에 대하여 휨강도 및 표면 크랙발생 여부를 측정하였다.

    이때, 각 측정은 상기 실시예 1, 2의 황토침대 매트 20개와 상기 비교예 1의 황토침대 매트 20개를 대상으로 실시했다.

    휨강도시험에 대한 평가는 휨강도측정기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황토침대 매트의 평균 휨강도를 측정했고,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표 1] 휨강도시험에 대한 측정결과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평균 휨강도 178kgf 179kgf 143kgf

    이와 같이 상기 실시예 1, 2의 황토침대 매트의 평균 휨강도가 178kgf 이상인 것으로 높게 측정되었고, 상기 비교예 1의 황토침대 매트의 평균 휨강도가 143kgf인 것으로 낮게 측정되었다.

    이는 상기 실시예 1, 2의 황토침대 매트의 배합물은 황토, 물, 허브, 참숯 및 소금을 배합하여 얻었고, 상기 배합물의 상부면에 삼베를 적층한 후 쇠브러쉬를 이용하여 일정 압력을 가한 다음, 미장처리하여 건조시켰기 때문에 상기 배합물과 상기 삼베의 결합력이 향상됨으로써, 평균 휨강도가 높게 측정된 것으로 사료된다.

    표면 크랙발생 여부에 관한 평가는 일본의 MITUTOYO사(社)의 SD-150P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의 황토침대 매트의 표면 크랙발생 여부를 측정했고,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

    [표 2] 표면 크랙발생 여부에 대한 측정결과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표면
    크랙발생 여부

    0 in/ft

    0 in/ft

    11 in/ft

    이와 같이 상기 실시예 1, 2의 황토침대 매트의 표면 크랙발생 여부가 모두 0 in/ft 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상기 비교예 1의 황토침대 매트의 표면 크랙발생 여부는 11 in/fr 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는 상기 실시예 1, 2의 황토침대 매트의 배합물은 황토, 물, 허브, 참숯 및 소금을 배합하여 얻었고, 상기 배합물의 상부면에 삼베를 적층한 후 쇠브러쉬를 이용하여 일정 압력을 가한 다음, 미장처리하여 건조시켰기 때문에 상기 배합물과 상기 삼베의 결합력이 향상됨으로써, 표면 크랙발생 여부가 모두 0 in/ft 인 것으로 측정된 것으로 사료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황토침대 매트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프레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프레임의 홈에 전열선을 구비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프레임의 홈에 배합물을 적층시키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단면도이고,

    도 5는 배합물의 상부면에 삼베를 적층시키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배합물의 상부면에 적층된 상태의 삼베에 일정 압력을 가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태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미장처리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배합물, 20; 프레임,

    210; 홈, 30; 전열선,

    40; 삼베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