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체 가능한 쿠션을 구비한 기능성 쿠션소파

申请号 KR1020170092964 申请日 2017-07-21 公开(公告)号 KR101820512B1 公开(公告)日 2018-01-19
申请人 주식회사 팔로모리빙; 发明人 김근옥;
摘要 본발명에따른교체가능한쿠션을구비한기능성쿠션소파는, 착석자의등부를지지하는등받이와둔부를지지하는좌판을구비한소파본체; 상기등받이및 상기좌판중 어느하나에장착되는것으로서, 친환경조성물을함유한것으로서, 쿠션감을제공하는쿠션폼과, 상기쿠션폼이내장되는수용부와상기수용부를개폐하는개폐부를포함하는쿠션커버를구비한쿠션;을포함하는것을특징으로한다.
权利要求
  • 교체 가능한 쿠션을 구비한 기능성 쿠션소파로서,
    착석자의 등부를 지지하는 등받이와 둔부를 지지하는 좌판을 구비한 소파본체;
    상기 등받이 및 상기 좌판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친환경 조성물을 함유한 상태로 쿠션감을 제공하는 쿠션폼과,
    상기 쿠션폼이 내장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쿠션커버를 구비한 쿠션;을 포함하되,
    상기 등받이는,
    상기 쿠션이 장착되는 영역의 테두리를 제외한 중앙영역을 이격시켜 상기 쿠션과 상기 등받이 사이에 장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공간이 외부와 유통될 수 있도록 테두리 일부가 개폐된 개폐구를 형성하고,
    상기 쿠션소파는,
    상기 장착공간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쿠션보다 작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쿠션과 상응하는 면적을 갖는 베이스보드와, 상기 베이스보드의 전면에서 상기 착석자의 허리가 위치하는 부위의 주변영역이 상기 쿠션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압력부를 구비한 누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쿠션소파.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파본체는,
    상기 좌판의 좌우 측면에서 각각 기립 연장되어 팔을 지지하는 팔걸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쿠션은,
    상기 팔걸이에 추가로 장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쿠션소파.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조성물은,
    활성탄, 카본, 황토, 편백, 제올라이트, 맥반석, 일라이트, 실리카, 고령토, 아민, 암모늄염, 테르펜(Terpene), 나린진(Naringin), 리모넨(limonene), 아디프산 디하이드라지드(ADH: Adipic Acid DiHydrazide), 바이오폴리올(biopolyol), 폴리 락틱애시드(PLA : Poly Lactic Ac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쿠션소파.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에 장착되는 상기 쿠션의 상기 수용부에는,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쿠션폼이 상하로 적층되고,
    상기 쿠션커버는,
    상면 둘레로부터 측면 내측을 따라 장착된 탄성재질의 누름밴드가 더 포함되어,
    상기 쿠션커버의 측면 일부를 상기 누름밴드가 위치한 상기 쿠션커버의 내측으로 접어 넣은 상태에서 상기 누름밴드를 통해 상기 쿠션커버의 표면을 눌러 상기 쿠션커버의 높이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쿠션소파.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쿠션소파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기 쿠션이 나란하게 상기 좌판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쿠션커버는,
    상면의 좌, 우측 가장자리 중앙부위에 관통 형성된 결착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좌판에는,
    이웃한 상기 쿠션의 사이마다 장착되는 것으로서,
    높이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 가능하게 장착된 탄성재질의 지지밴드와,
    상기 지지밴드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결착홈에 끼움 결합되는 결착부를 포함하는 고정걸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쿠션소파.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보드에서 상기 압력부의 주변 영역에는,
    상기 베이스보드의 표면에서 돌출된 상태에서 상하로 가로질러 연장된 것으로서, 일 측면에서 함입된 복수개의 거치홈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 장착면을 포함하는 가이드가 상기 압력부의 주변 좌우측에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장착면이 마주보도록 평행하게 장착되는 회전지지부와,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사이에서 양 단부가 각각 마주보는 상기 거치홈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는 복수의 회전바를 더 포함하여,
    상기 착석자의 등이 상기 베이스보드에 밀착된 상태로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회전바가 대응되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쿠션소파.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은,
    상기 회전바의 외주면 중앙부위를 따라 일정 간격마다 함입 형성된 고정 삽입부와,
    상기 고정 삽입부에 삽입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바보다 큰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복수개의 지압볼과, 신축성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복수개의 지압볼을 내장한 상태로 밀봉되는 밀봉팩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 삽입부의 체적보다 큰 체적을 가져 상기 회전바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압체와,
    신축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지압체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진 상태로 복수개의 상기 회전바의 전체 둘레를 가로질러 횡단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바의 표면과 마주보는 면의 좌우 테두리를 따라 일정 높이로 기립 연장된 이탈방지턱이 형성된 고정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쿠션소파.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폼은,
    상기 쿠션폼의 일 측으로부터 타 측을 향해 관통 연장된 수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 쿠션소파는,
    휨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되 내부에 제습제 또는 방향제 중 적어도 하나가 내장되는 보관공간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보관공간으로부터 표면에 이르기 까지 관통된 복수개의 공기유통공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탈취 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쿠션소파.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폼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수용홈의 좌우 측면으로부터 상기 쿠션폼의 좌우 측면에서 일정 간격마다 분기되어 관통 연장된 복수개의 유통 연장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쿠션소파.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커버는,
    상기 개폐부의 주변 영역에서 상기 수용홈과 마주보는 위치를 관통한 장착부가 더 형성되되,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장착부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진 상태에서 상기 장착부에 끼워진 상태로 테두리가 상기 장착부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고정소켓이 더 부착되고,
    상기 탈취 바와 상기 고정부의 사이에는,
    상기 탈취 바의 단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탈취 바의 단면을 가릴 수 있는 면적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 탈취 바로부터 흡수된 습기에 의해 색상이 변화하는 인디케이터가 내장된 안내부를 포함하는 교체 안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쿠션소파.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커버는,
    상기 개폐부의 주변 영역에서 상기 수용홈과 마주보는 위치를 관통한 장착부가 더 형성되되,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장착부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진 상태에서 상기 장착부에 끼워진 상태로 테두리가 상기 장착부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것으로서, 연장된 단면의 중앙부위가 함입되어 상기 탈취 바가 삽입 고정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고정소켓이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쿠션소파.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탈취 바는,
    일 단면의 중앙부위로부터 상기 보관공간까지 관통 연장된 관통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탈취 바와 상기 고정부의 사이에는,
    상기 관통홈에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관공간 내부의 습기를 흡수하는 감지바와,
    상기 감지바의 단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탈취 바의 단면을 가릴 수 있는 면적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 감지바에서 흡수된 습기에 의해 색상이 변화하는 인디케이터가 내장된 안내부를 포함하는 교체 안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쿠션소파.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공간에는,
    상기 보관공간의 내측에 위치하여 습기를 흡수함으로써 부피가 증가하는 신축성 재질의 흡습제로 구성되는 메인 흡습제와,
    상기 메인 흡습제의 표면을 둘러싸는 것으로서, 습기 흡수에 따른 부피변화가 없는 실리카겔로 구성되는 서브 흡습제로 구성되는 제습제가 내장되어,
    상기 메인 흡습제가 습기를 흡수하여 팽창되면서 상기 안내부 및 상기 고정부를 외측을 향해 밀어내어 볼록하게 돌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쿠션소파.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에 장착되는 상기 쿠션은,
    상기 등받이와 가까운 상기 쿠션커버의 내부 후방영역에 내장되는 쿠션폼으로서, 신축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제 1 폼과,
    상기 제 1 폼의 전방에 밀착되어 상기 쿠션커버의 내부 전방영역에 내장되는 쿠션폼으로서, 상기 제 1 폼보다 신축성이 낮은 재질로 형성되는 제 2 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쿠션소파.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폼 및 상기 제 2 폼은,
    상기 제 1 폼 및 상기 제 2 폼이 서로 마주보는 면의 표면에 일정 간격마다 돌기부와 함입부를 교대로 반복 형성한 돌기면을 더 구비하되,
    상기 돌기면의 표면에는,
    상기 친환경 조성물을 추가로 흡착시켜 방향층을 형성하여,
    상기 제 1 폼 및 상기 제 2 폼이 밀착된 상태에서 외부 압력에 의해 변형되면서 마찰이 발생됨에 따라 마찰열에 의해 상기 친환경 조성물이 공기 중에 섞여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쿠션소파.
  • 说明书全文

    교체 가능한 쿠션을 구비한 기능성 쿠션소파{Functional Cushion Sofa Having Changable Cushion}

    본 발명은 교체 가능한 쿠션을 구비한 기능성 쿠션소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등받이와 좌판이 형성된 소파본체에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쿠션이 장착되어 안정감있는 착석감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석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쿠션의 높이를 변경 또는 교체할 수 있고, 나아가, 쿠션에 습기흡수나 방향이 가능한 친환경 조성물을 포함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오랜 시간동안 착석하더라도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는 기능성 쿠션소파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소파는 앉을 수 있는 좌판과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로 구성되고, 등받이가 좌판과 일체로 연장된 것과 연장되지 않은 것으로 구분되어진다.

    본 발명은 등받이가 좌판과 일체로 연장된 소파에 있어서, 등받이와 좌판이 각각 보강판과 덮개판의 기능을 하면서 등받이와 좌판이 분리된 상태에서 간단한 조립에 의하여 결합되어지도록 하되, 등받이와 좌판에 탈착 가능한 쿠션를 적용하여 착석감을 높인 것이다.

    종래의 등받이와 좌판이 일체로 연장되어진 소파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등받이와 좌판이 일체로 형성되어진 보강판에 등받이 시트와 좌판의 시트를 결합시킨 후 덮개판으로 덮여지도록 하여 소파를 제조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보강판이 통상의 나무로 제작되어진 것을 사용하게 되므로 제작원가의 상승은 물론 이러한 보강판에 시트를 부착토록 한 후 보강판이 형성되어진 시트를 후방에서 덮개판이 결합함으로서 시트의 결합된 부분이 노출되어지지 않토록 하여 소파를 제작함으로 제작공정의 복잡화는 물론 하자보수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쿠션소파에 장착되어지는 쿠션는 고 반발 탄성을 지닌 탓에 쿠션소파에 인체가 지지 될 경우, 인간의 신체부위 중 허리, 허벅지, 종아리, 둔부 등이 쿠션에 묻히게 되며, 이로 인해 쿠션는 많이 압착되어진다.

    이러한 압착의 결과, 인체가 착석할 때 마다 쿠션가 압착되면서 내부에 보관되던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는데, 이 때 과도하게 습기가 차거나 제대로된 관리가 수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쿠션이 눌리는 것만으로도 악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악취는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함을 느끼게 할 뿐만 아니라, 피부가 쿠션소파의 표면에 직접 닿을 수도 있기 때문에 위생적으로도 매우 좋지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232228호에 "쿠션의자"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쿠션의자는 등받이 좌판을 덮개판과 보강판기능을 동시에 하도록 하고, 팔걸이를 이용하여 등받이와 좌판을 연결고정토록 함으로서 조립의 용이성은 물론 수리보수가 용이토록 한 쿠션의자의 구조를 제공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다만, 이러한 쿠션의자는 쿠션을 등받이와 좌판에 장착했다는 점만을 고려하였을 뿐 오염을 방지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고려되지 않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5-0029191호 “에어쿠션 내장 의자”에 따르면, 등받이 에어쿠션과 하부 에어쿠션을 각각 내장시킨 에어쿠션 내장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에어쿠션은 등받이 에어쿠션 공기 주입구로 하부 에어쿠션은 하부 에어쿠션 공기 주입구로 공기를 주입 배출시켜 에어쿠션의 부피를 조절시킬 수 있어 사용자에게 적절한 형태로 에어쿠션을 부피와 형상의 변화를 조절할 수 있는 소파를 제공하여 장시간 사용하여도 사용자에게 피로감을 주지 않는 에어쿠션을 내장시킨 인체 공학적으로 유용한 의자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

    이러한 의자 또한 쿠션을 등받이와 하부에 각각 장착했다는 점만을 고려하였을 뿐 오염을 방지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고려되지 않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등받이와 좌판이 형성된 소파본체에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교체 가능한 쿠션이 장착되어 안정감있는 착석감을 갖는 소파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석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쿠션의 높이를 변경 또는 교체가 가능토록 한 소파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쿠션폼의 교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쿠션폼에 친환경 조성물을 포함시켜 환경 친화적이고 안전한 쿠션소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친환경 조성물을 포함하는 구성의 추가로 사용자가 쿠션소파를 활용함에 있어 이물감이나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체 가능한 쿠션을 구비한 기능성 쿠션소파는, 착석자의 등부를 지지하는 등받이와 둔부를 지지하는 좌판을 구비한 소파본체; 상기 등받이 및 상기 좌판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친환경 조성물을 함유한 것으로서, 쿠션감을 제공하는 쿠션폼과, 상기 쿠션폼이 내장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쿠션커버를 구비한 쿠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소파본체는, 상기 좌판의 좌우 측면에서 각각 기립 연장되어 팔을 지지하는 팔걸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쿠션은, 상기 팔걸이에 추가로 장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친환경 조성물은, 활성탄, 카본, 황토, 편백, 제올라이트, 맥반석, 일라이트, 실리카, 고령토, 아민, 암모늄염, 테르펜(Terpene), 나린진(Naringin), 리모넨(limonene), 아디프산 디하이드라지드(ADH: Adipic Acid DiHydrazide), 바이오폴리올(biopolyol), 폴리 락틱애시드(PLA : Poly Lactic Ac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판에 장착되는 상기 쿠션은, 상기 수용부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기 쿠션폼이 상하로 적층된 결합체를 형성하여 삽입 가능하되, 상기 쿠션커버는, 상면 가장자리 둘레로부터 측면 내측을 따라 장착된 탄성재질의 누름밴드가 더 포함되어, 상기 쿠션커버의 측면 일부를 상기 누름밴드가 위치한 상기 쿠션커버의 내측으로 접어 넣은 상태에서 상기 누름밴드를 통해 표면을 눌러 상기 쿠션커버의 높이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체 가능한 쿠션을 구비한 기능성 쿠션소파에 의하면,

    1) 소파본체에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교체 가능한 쿠션이 장착되어 안정감있는 착석감을 갖는 소파를 제공하고,

    2) 착석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쿠션의 높이를 변경 또는 교체가 가능토록 한 소파를 제공하며,

    3) 쿠션폼에 친환경 조성물을 포함시켜 환경 친화적이고 안전한 쿠션소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4) 나아가 이러한 친환경 조성물을 포함하는 구성의 추가로 사용자가 쿠션소파를 활용함에 있어 이물감이나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능성 쿠션소파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능성 쿠션소파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능성 쿠션소파에서 쿠션폼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쿠션폼에 탈취 바를 적용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고정소켓을 통한 탈취 바와의 연계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탈취 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쿠션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조를 적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쿠션에 누름판을 적용한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누름판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팔걸이에 적용되는 쿠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능성 쿠션소파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기능성 쿠션소파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먼저, 기능성 쿠션소파의 기본 구성을 살펴보면, 착석자의 등부를 지지하는 등받이(110)와 둔부를 지지하는 좌판(120) 및 상기 좌판(120)의 좌우 측면에서 각각 기립 연장되어 팔을 지지하는 팔걸이(130)를 구비한 소파본체(100); 친환경 조성물(310)을 포함하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쿠션감을 제공하는 쿠션폼(230)과, 상기 쿠션폼(230)이 내장되는 수용부(211)와 상기 수용부(211)를 개폐하는 개폐부(212)가 구비된 쿠션커버(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등받이(110), 상기 좌판(120) 및 상기 팔걸이(130)에 각각 장착되는 쿠션(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소파본체(100)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나 나무와 같이 가볍고 가공이 용이하면서도 인체의 착석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지닌 재질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 때, 소파본체(100)는 등받이(110)와 좌판(120)의 2부위 혹은 등받이(110), 좌판(120), 팔걸이(130)의 3개의 부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착석자의 등부를 지지하는 등받이(110)와, 둔부를 지지하는 좌판(120), 좌판(120)의 좌우 측면에서 높이방향으로 기립 연장되어 팔을 지지하는 팔걸이(130)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 외에도 등받이(110)에는 등판의 형상에 굴곡을 주어 인체(특히 허리)의 S라인에 대응되도록 하는 요추받침대나 착석자의 머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헤드레스트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나아가 좌판(120)에는 필요에 따라 사무용 의자처럼 활용할 수 있도록 지면으로부터 좌판(120)을 지지하는 레그, 지면으로부터의 높낮이를 제어할 수 있는 실린더, 쿠션소파가 밀려 이동될 수 있도록 회전하는 바퀴를 포함하는 캐스터 등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쿠션(200)은 다음의 구성을 포함한다. 먼저, 쿠션폼(230)은 친환경 조성물(310)을 포함하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쿠션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쿠션폼(230)이 내장되는 수용부(211)와, 수용부(211)를 개폐하는 개폐부(212)가 구비된 쿠션커버(210)를 포함하여 쿠션(200)라고 할 수 있다. 이 쿠션(200)는 앞서 설명한 소파본체(100)의 등받이(110)나 좌판(120), 팔걸이(130) 등에 장착될 수 있으며, 쿠션(200)를 통해 기존의 단단하기만 하던 소파에 쿠션감을 제공함으로써 착석자가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쿠션폼(230)은 스폰지나 메모리폼, 소프트폼, 라텍스, 우레탄, 러버, 실리콘 등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형태가 특별하게 한정되지는 않으나, 이 쿠션폼(230)이 쿠션커버(210)의 수용부(211)에 삽입되는 것으로 쿠션(200)의 외형이 결정되므로, 직사각형 형태의 판 형상을 갖추는 것이 가장 기본적이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인체가 쿠션(200) 위에 위치하면, 인체의 무게에 의해 쿠션폼(230)이 눌리게 되는데, 이 때, 인체가 소파본체(100)에 직접 닿으면 쿠션감을 느끼지 못하게 되므로, 충분한 두께를 갖추어 인체의 무게에 의한 눌림에도 어느 정도 버틸 수 있는 구성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쿠션커버(210)의 경우, 쿠션폼(230)이 내장되는 수용부(211) 및 수용부(211)를 개폐하는 개폐부(21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쿠션커버(210)의 재질은 기본적으로는 천 등의 천연 직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인체가 직접 닿는 부위이며 오염가능성이 높아 별도의 방염코팅처리를 하거나 오염이 쉽게 발생되지 않는 합성 직물 등으로 제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보다 상세한 구성으로서, 쿠션커버(210)는 쿠션폼(230)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개폐부(212)의 구성을 갖출 수 있다. 즉, 입구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쿠션커버(210)의 둘레면 일 측을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절개선만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단순히 절개만 한다면 내부에 위치한 쿠션폼(230)이 작은 충격에도 개폐부(212)를 통과하여 이탈되어버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절개선이 노출되지 않도록 절개선의 상부를 덮는 별도의 커버(미도시)를 구비하거나 혹은 쿠션폼(230)의 올바른 장착을 위해서는 이러한 입구가 밀봉이 가능한 구성도 필요한 경우도 존재하므로, 지퍼레일과 지퍼슬라이드를 포함하는 지퍼구성이 장착되거나 단추, 벨크로 테이프 등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쿠션폼(230)은 쿠션커버(210)로부터(정확히는 수용부(211)에서) 필요에 따라 탈착 및 교체가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쿠션폼(230)은 지속적으로 인체의 무게에 의해 눌림을 받게 되는데, 초기에는 쿠션폼(230)이 원래의 부피로 빠르게 복귀할 수 있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이러한 복귀속도가 점차 느려지고 최대로 복귀하더라도 원래의 부피보다 모자라는 부피만을 갖게 된다. 더 나아가 계속되는 사용에 의해 쿠션폼(230)도 오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사용된 쿠션폼(230)은 교체를 통해 새로운 쿠션폼(230)으로 갈아주는 것이 쿠션소파의 사용감 및 청결도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등받이(110)와 좌판(120), 팔걸이(130)에 각각 장착되는 쿠션폼(230)은 각각의 장착위치마다 서로 다른 탄성을 갖는 쿠션폼(230)이 위치할 수 있다. 즉, 쿠션소파 전체를 놓고 본다면, 인체가 착석하였을 때, 둔부가 위치하는 좌판(120)에 장착되는 쿠션폼(230)은 되도록 수축이 용이하고 보다 부드러운 재질의 쿠션폼(230)이 위치하길 원할 것이며, 등받이(110)의 경우에는 탄성이 좌판(120)만큼 높을 필요가 없으며, 오히려 탄성이 낮아 쿠션(200)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 등이 배기지 않을 정도의 부드러움을 제공하면 허리의 굴곡과 같은 굴곡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등을 지지할 수 있어 착석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팔걸이(130)의 경우에도 과도한 수축 등의 탄성이 필요없는 부분이되, 일반적으로 팔걸이(130)를 사용하는 경우는 휴식을 취하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팔을 올려놓았을 때 소파본체(100)의 딱딱한 느낌이 아닌 부들부들한 느낌이나 약간의 탄력성을 제공하는 것만으로도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부분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부위별 특성에 따라 장착되는 쿠션(200)에서 쿠션폼(230)의 탄성이 달라지는 것이 올바른 구성이라 할 수 있겠다.

    또한, 쿠션폼(230)은 그 재질만으로는 충분한 쿠션감을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폼이나 소프트폼, 라텍스, 스폰지와 같은 재질은 마치 인체의 피부처럼 부들부들한 느낌을 주면서도 변형이 자유로워 인체가 가하는 압력에 따라 자유롭게 그 형태가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러버나 우레탄, 실리콘과 같은 재질의 경우에는 이러한 성질이 덜하므로 앞선 재질들보다는 쿠션감을 덜 느낄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쿠션감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이 있는데, 바로 내부에 수많은 기공을 형성하여 보다 부드럽게 변형되도록 유도하거나 혹은 표면을 요철구조로 형성하여 보다 쉬운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기공의 경우, 쿠션폼(230)에 압력이 가해졌을 때, 압력이 가해진 방향으로 쉽게 눌려 변형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므로 충격발생 시 충격의 흡수가 용이하여 진동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완충효과를 추가적으로 기대할 수 있으며, 표면에 요철구조를 형성하는 경우도 기공을 형성하는 경우보다는 덜하지만 어느 정도 형태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는 동일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능성 쿠션소파에서 쿠션폼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와 같이 쿠션폼(230)을 분리해보면, 쿠션폼(230)에는 도 3(c)와 같이 친환경 조성물(310)을 표면에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거나 도 3(b)와 같이 쿠션폼(230)에 친환경 조성물(310)을 포함시켜 쿠션폼(230)을 제조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친환경 조성물(310)은 쿠션폼(230)의 원료 자체가 인체의 피부에서 알러지를 발생시키는 특이체질을 가진 사용자를 위한 알러지 방지용도로 적용할 수도 있으며, 나아가 일반적으로 친환경 조성물(310)은 특유의 향이나 살균 등에 용이한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수 주 내지 수개월동안 연속 사용하더라도 이 친환경 조성물(310)에 의해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도록 한다. 이 때, 친환경소재의 예시로서, 활성탄이나 카본, 황토, 편백, 바이오폴리올, 폴리 락틱애시드 등을 꼽을 수 있는데, 활성탄이나 카본은 모두 탄소결정을 의미하며, 이러한 탄소결정은 흡착력이 뛰어나 공기가 통과하면서 이물질이나 향이 탄소결정에 들러붙어 깨끗한 공기만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황토 또한 이와 유사한 기능을 하며, 특히 황토는 입자가 매우 고와 작은 이물질도 쉽게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편백의 경우, 편백나무의 껍질이나 심재 등을 갈은 것으로서, 편백나무 자체는 항균물질인 피톤치드가 다수 함유되어있어 살균작용이 뛰어나고 고유의 향이 기분을 전환하거나 피로를 푸는 데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이오폴리올(biopolyol 또는 Natural Polyol)은 식물에서 추출된 기름으로 합성하는 성분을 의미하며, 바이오폴리올 자체를 활용하는 경우에는 냄새가 강하여 활용이 어렵지만, 다른 물질과 섞은 혼합물을 활용하게 되면 석유 기반의 폴리올에 비해 분자량이 작고 열안전성과 내산화성이 우수하여 보존제로서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폴리 락틱액시드(PLA : Poly Lactic Acid)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일종으로서, 플라스틱과 유사한 특징인 내열성, 투명성, 강도 등이 보장되는 물질이나 특정 환경에서 자연 분해가 가능하며 인체에 무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나아가 은의 활용도 고려할 수 있는데, 은은 일반적으로 나노사이즈의 입자로 잘게 부순 것을 도포하게 되며, 이러한 은나노 성분 역시 항균작용이 매우 강력하기 때문에 비교적 오랜 시간동안 세척하지 않고 사용하는 쿠션쇼파에 적용함으로써 청결을 유지할 수 있지만 은의 경우 다른 물질에 비해 비용이 높아지기 때문에 쉽게 고려되지는 않는 물질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친환경 조성물(310)로서, 맥반석, 일라이트, 실리카, 고령토, 아민, 암모늄염, 테르펜(Terpene), 나린진(Naringin), 리모넨(limonene), 아디프산 디하이드라지드(ADH: Adipic Acid DiHydrazide) 등이 더 고려될 수 있으며, 이들 역시도 방향성을 기본적으로 가지면서도 흡습기능을 자체적으로 갖추거나 혹은 별도의 흡습제와 함께 활용될 수 있는 것이므로 필요에 따라 고려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친환경 조성물(310)은 모두 자연에서 유래한 성분으로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러한 성분에 알레르기 반응이나 거부반응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다른 화학 합성물질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인체에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쿠션폼(230)의 폐기 시에도 화학 합성물질을 코팅하게 되면 잘 썩지 않고, 태울 경우에도 유독물질이 발생하지만, 상기한 친환경 조성물(310)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썩어 사라지거나 태우더라도 유해한 물질이 발생하지 않아 환경보호 면에서도 강점을 갖는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친환경 조성물(310)을 쿠션폼(230)의 표면에 도포하거나 쿠션폼(230)의 제조 시 쿠션폼(230)의 내부에 분포시키거나 쿠션폼(230)의 재료로서 포함하되, 사용되는 양은 친환경 조성물(310)이 과도하게 쿠션폼(230)에 포함되어 쿠션폼(230)의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을 정도라면 얼마든지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나아가, 친환경 조성물(310)을 쿠션폼(230)에 포함시키게 되면, 지속적으로 향이 방출되어 사용자의 땀이나 체취 등에 의해 쿠션(200)에서 퀴퀴한 냄새가 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다만, 앞선 설명과 같이 항균이나 청결을 위한 구성이라면 그 물성을 쉽게 잃지는 않지만, 향은 경우에 따라서는 몇 시간 이내에도 증발하여 버릴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물론 이러한 현상을 대응하기 위해 고농축 방향제(333)를 고체화시켜 쿠션폼(230)에 삽입하여 제조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에도 방향제(333)는 주변 상황에 따라 소비되는 속도가 달라질 수 있으며, 특히 빨래 등의 과정에서 방향제(333)의 양이나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따라서, 쿠션소파를 장기간 사용하려면, 방향제(333)를 쿠션폼(230)에 포함시키는 것으로 끝나는 방법보다는 교체가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교체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더 좋다고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쿠션폼에 탈취 바를 적용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고정소켓을 통한 탈취 바와의 연계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를 위해서 도 4(a)와 같이, 쿠션폼(230)은 쿠션폼(230)의 일 측으로부터 타 측을 향해 길이방향으로 관통 연장된 수용홈(320)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수용홈(320)의 단면은 원형이나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이 적용 가능하나 가장 바람직한 것은 쉽게 장착이 가능한 원형이라 할 수 있다. 이 수용홈(320)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제습제(333) 또는 방향제(333) 중 적어도 하나가 내장되는 보관공간(331)을 구비한 상태에서 보관공간(331)의 일 측으로부터 표면까지 관통 연장된 복수개의 공기유통공(332)이 형성되는 탈취 바(330)가 더 포함되는 것이다.

    즉 도 4(b)에 나타난 것처럼, 탈취 바(330)는 실리카겔 등의 제습제(333)나 방향제(333)가 보관공간(331)에 구비되되, 복수개의 공기유통공(332)에 의해 외부(쿠션폼(230))와 내부(보관공간(331)) 사이에서 공기가 유통되면서 흡습기능을 수행하거나 방향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제습제(333)와 방향제(333)는 상호 기능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동시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공기유통공(332)을 통해 외부로 제습제(333)나 방향제(333)가 유출되지 않도록 공기유통공(332)의 크기는 제습제(333)나 방향제(333)의 입자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제습제(333)나 방향제(333)의 경우에도 쉽게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액체나 너무 작은 입자를 갖는 가루형태를 배제하고 어느 정도 굵기가 있는 입자형태의 분말이나 덩어리, 혹은 휨성을 갖는 겔 형태를 갖는 것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탈취 바(330)는 쿠션폼(230)이 눌리거나 휘거나 접히는 등의 상황에서도 쿠션폼(230)과 함께 형태의 변형이 자유롭게 발생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져 유연하고 수축 및 연장이 비교적 자유로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여기에서 도 5(a)를 살펴보면, 추가적으로 쿠션커버(210)에는 (바람직하게는, 개폐부(212)의 주변 영역에서) 수용홈(320)과 마주보는 위치를 관통한 장착부(113)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장착부(113)에는 장착부(113)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진 상태에서 장착부(113)에 끼워지고, 테두리가 장착부(113)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고정부(341)를 포함하는 고정소켓(340)이 더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소켓(340)에 의해 쿠션커버(210)의 내외부가 투명하게 보여질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탈취 바(330)와 고정부(341)의 사이에 탈취 바(330)의 단면을 가릴 수 있는 면적을 갖는 것으로서, 탈취 바(330)와 직접 밀착되거나 혹은 탈취 바(330)의 내부 보관공간(331)까지 삽입되어 보관공간(331)의 습기를 흡수하는 감지바(351)의 단부와 밀착되는 것으로서, 탈취 바(330)로부터 직접 흡수된 습기 또는 감지바(351)로부터 흡수된 습기에 의해 색상이 변화하는 인디케이터가 내장된 안내부(352)를 포함하는 교체 안내장치(350)가 더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5(b)와 도 5(c)에 나타나듯이, 안내부(352)에는 인디케이터가 내장되며 이 인디케이터에 따라 탈취 바(330)로부터 직접 전달 혹은 감지바(351)로부터 전달받은 습기를 안내부(352)가 흡수하게 되면 색상이 변화되어 고정소켓(340)을 통해 외부에서 색상의 판단이 가능하여 교체시기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더욱 상세한 설명은 후술할 내용을 통해 진행하도록 하겠다.

    이러한 구성에서 쿠션폼(230)은 일반적으로 인체에 의해 눌렸을 때 변형이 용이하도록 내부에 복수개의 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러한 기공에 의해 수용홈(320)에 탈취 바(330)를 삽입시키기만 하더라도 습기의 이동이나 향기의 이동이 충분히 가능하지만, 이를 보다 효율적으로 하려면 다음의 구성이 더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다시 도 4(a)로 돌아가, 수용홈(320)의 좌 또는 우측면에 일정 간격마다 분기되어 쿠션폼(230)의 좌우 측면을 향해 관통 연장된 유통 연장홈(321)을 더 형성함으로써 이 유통 연장홈(321)을 통해 기존과 대비하여 좌우 측면에서도 추가로 습기를 흡수하거나 혹은 향기를 확산시키기 위한 통로를 더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통로의 형성으로 인해 기존의 기공과 대비하였을 때, 흡수 또는 확산속도를 더욱 빠르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추게 된다. 또한, 유통 연장홈(321)이 측면을 향해 수평된 형태로 연장되어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가 위치하는 상면으로 직접 연장되지 않으므로 과도한 향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다만, 필요에 따라서는 이렇게 수평방향으로만 형성되지 않고 다양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이러한 구성에서 다시 쿠션커버(210)의 구성을 고려하면 다음과 같은 추가구성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먼저, 쿠션커버(210)의 내부이자 수용부(211)에는 쿠션폼(230)이 내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쿠션폼(230)은 필연적으로 수용홈(320)과 마주보는 면을 갖추게 된다. 따라서, 이 위치에 탈취 바(33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 측이 함입된 고정소켓(340)이 더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탈취 바(330)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소켓(340)을 통해 쿠션폼(230)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휨 또는 접히는 상황에서도 탈취 바(330)가 과도하게 움직이는 것을 제한할 수 있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특히 계속해서 언급되듯이 쿠션폼(230)에는 기공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수용홈(320)과 별도로 유통 연장홈(321)의 구성도 갖출 수 있다. 또한, 쿠션폼(230) 자체가 누르는 힘에 의해 변형이 용이하기 때문에 쿠션폼(230)이 충격을 받거나 휨, 접힘 등이 발생한 상황에서 탈취 바(330)가 다른 구멍을 찾아 들어가거나 혹은 수용홈(320)의 측면을 새롭게 눌러 자체적으로 홈을 형성하여 끼워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고정소켓(340)을 통해 탈취 바(330)의 단부를 고정시켜 일정 위치에서 일정 방향으로 고정된 탈취 바(330)의 형태를 유지함에 따라 상기한 특수 상황이 발생할 확률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도 5를 참조하여, 이러한 고정소켓(340)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쿠션커버(210)는 개폐부(212)의 주변 영역에서 수용홈(320)과 마주보는 위치를 관통한 장착부(11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113)은 바람직하게는 개폐부(212)의 단면적과 동일하거나 혹은 개폐부(212)의 단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한다. 이 때, 장착부(113)에는 고정부(341)가 장착되게 되는데, 이 고정부(341)는 장착부(113)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진 상태에서 장착부(113)에 끼워진 상태로 테두리가 장착부(113)의 내주면에 압착 고정됨으로써 압착공이 뒤틀리는 상황에서도 쉽게 빠져버리지 않고 고정을 유지하는 고정부(341)와, 이 고정부(341)에서 수용홈(320)에 삽입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것으로서, 탈취 바(330)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연장된 단면의 중앙부위가 함입된 결합홈(342)로 구성되는 고정소켓(340)이 부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고정소켓(340)과 고정소켓(340)에 끼워지는 탈취 바(330)의 단부 표면에는 별도로 돌기나 함입부, 단차 등을 형성하여 보다 고정이 용이하도록 하는 구성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고정소켓(340)을 더욱 활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다음의 구성이 더 고려될 수 있다. 먼저, 고정소켓(340)에서 특히 고정부(341)를 투명 재질로 형성한다. 이러한 투명 재질의 대표적인 예는 유리나 플라스틱, 아크릴 등이 있으며, 이 고정부(341)는 쿠션커버(210)의 외부로 노출됨과 동시에 항상 매트리스에 장착되어있을 뿐더러 탈취 바(330)의 단부와 결합된 상태로 보관되기 때문에 충분한 강도 및 경도를 가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추가로 탈취 바(330)에는 탈취 바(330)의 일 단면 중앙부위로부터 보관공간(331)까지 관통 연장된 관통홈(334)이 더 형성되며, 이 관통홈(334)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탈취 바(330)와 고정부(341)의 사이에는 관통홈(334)에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보관공간(331) 내부의 습기를 흡수하는 감지바(351)와, 감지바(351)의 단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탈취 바(330)의 단면을 가릴 수 있는 면적을 갖는 것으로서, 감지바(351)에서 흡수된 습기에 의해 색상이 변화하는 인디케이터가 내장된 안내부(352)를 포함하는 교체 안내장치(3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5의 (b)와 (c)를 함께 참조하면, 먼저 감지바(351)의 경우, 보관공간(331)의 일 단부로부터 타 단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시켜 보관공간(331) 내부 전범위에서 습기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이 감지바(351)는 쉽게 말하면 안내부(352)에 내장된 인디케이터를 통해 습기의 고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보관공간(331) 내부의 습기를 전달하는 기능만 하면 되기 때문에, 보관공간(331)의 내부로 약간만 삽입되더라도 큰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는다. 다만, 이렇게 약간만 삽입된다면, 오로지 감지바(351)가 접촉된 위치의 수분만을 감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보관공간(331)을 전부 통과하도록 장착하는 것이 좋다. 이 때, 감지바(351)의 재질은 습기가 이동될 수 있거나 혹은 방향제(333)가 흡수되어 이동할 수 있는 재질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또, 안내부(352)에서 인디케이터의 경우 수분과 반응하면 색상이 변화하는 물질이 활용되는데, 대표적으로 염화코발트(CoCl 2 )를 들 수 있다. 이 염화코발트는 일반적인 경우 푸른색을 띄지만, 수분과 반응하면 붉은색으로 변색되는 특징이 있다. 이 외에도 무수 황산구리(CuSO 4 )는 일반적인 경우 흰색을 띄지만, 수분과 반응하면 푸른색을 띄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메틸 바이올렛(C 24 H 28 ClN 3 )은 일반적인 경우 노란색을 띄다가 수분과 반응하면 녹색을 띄는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인디케이터가 적용된 안내부(352)의 색상변화를 통해 보관공간(331) 내부의 습기가 과도하게 채워진 것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것처럼 고정소켓(340)을 통해 인디케이터의 색상변화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고정소켓(340)은 투명 재질로 형성되되 되도록 색상은 포함되지 않거나 인디케이터패드의 색상변화를 충분히 식별할 수 있는 색상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가 직접 고정소켓(340)을 자세하게 바라보면서 색상의 변화를 관찰하였을 때 제습제(333)의 수명을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이다. 다만, 사용자가 항상 고정소켓(340)을 주시하지는 않기 때문에 이를 더욱 확실하게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는 구성이 더 적용될 수 있다. 즉, 고정부(341)를 광투과성 뿐만 아니라 휨성까지 갖추도록 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탈취 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a)를 살펴보면, 보관공간(331)에는, 보관공간(331)의 내측에 위치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흡수하여 부피가 증가하는 신축성 재질의 흡습제로 구성되는 메인 흡습제(335)와, 이 메인 흡습제(335)의 표면을 둘라싸는 것으로서, 습기 흡수에 따른 부피변화가 거의 없는 실리카겔로 구성되는 서브 흡습제(336)로 구성되는 제습제(333)가 내장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즉, 실리카겔을 통해 1차적으로 습기를 흡수하되, 실리카겔이 수분을 흡수하는 한계치에 다다르게 되면, 실리카겔이 포함된 서브 흡습제(336)를 통과하여 메인 흡습제(335)에 습기가 흡수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메인 흡습제(335)는 벤토나이트(Bentonite)와 같은 성질을 갖는 물질이 적용될 수 있다. 벤토나이트는 응회암 또는 화산재와 같은 유리질 화산물질의 화학적 변질로 수반된 광물 또는 탈 유리화 작용에 의해 형성된 결정질 점토로서, 공기중의 수분(습기)을 흡수하여 결정물로 복원되려는 성질을 갖는다. 특히 벤토나이트의 경우 원래 부피의 5 내지 9배에 달하는 수분을 흡수할 만큼 흡습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수분의 흡수와 동시에 부피가 증가하는 성질을 갖는다. 이러한 벤토나이트를 보관공간(331)에 위치시키되, 벤토나이트가 습기를 흡수하게 되면 증가하는 부피에 의해 용이하게 안내부(352) 및 고정부(341)를 밀어낼 수 있도록 형태를 가공하여 위치시켜야 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이 준비되고, 서브 흡습제(336)의 실리카겔이 습기흡수의 한계에 다다르면, 도 6(b)와 같이 메인 흡습제(335)의 벤토나이트가 습기를 흡수하면서 부피가 증가하여 팽창되면서 안내부(352) 및 고정부(341)를 외측을 향해 점차 밀어내어 볼록하게 돌출시키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고정부(341)가 돌출된 것을 확인함과 동시에 안내부(352)에 포함된 인디케이터로부터 색상이 변화된 것을 동시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앞선 설명에서는 쿠션(200)의 내부 구조를 통해 방향 및 흡습이 어떠한 구조 및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가를 알아보았다. 이에 추가적으로 본원의 쿠션소파는 쿠션(200)의 교체가 가능한 것을 기본으로 하는 것으로서, 특히 이러한 교체를 활용하는 다음의 구성 및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쿠션소파는 일반적으로 착석하여 휴식을 취하는 용도로서 활용되는 것인데, 이 때 쿠션소파가 착석자에게 안정감 및 휴식감을 더욱 제공하려면 보다 신체에 적합한 구성을 갖출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좌판(120)과 등받이(110)에 장착되는 쿠션(200)은 하기할 내용과 같은 추가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쿠션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조를 적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좌판(120)의 경우, 항상 착석자의 둔부가 위치하게 되나 둔부 외에도 허벅지나 다리의 편안함을 제공하려면 좌판(120)에 장착된 쿠션(200)의 높이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 즉, 쿠션(200)의 높이가 높아 발이 지면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면 그만큼 쉽게 둔부와 허벅지에 피로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쿠션(200)은 내부에 쿠션폼(230)이 두 장 이상 상하로 적층된 쿠션폼(230) 결합체를 형성한 것이 수용부(211)에 장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a)에서 보이는 것처럼, 각각의 쿠션(200)마다 쿠션폼(230)의 개수를 조절하거나 높이가 다른 쿠션폼(230)을 넣어 쿠션(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 때 조절 가능한 쿠션(200)의 높이는 쿠션커버(210)의 측면 높이 한계 내에서 제어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만, 쿠션커버(21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의 쿠션폼(230) 결합체가 삽입된다면 문제가 없겠지만, 쿠션커버(210)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의 쿠션폼(230) 결합체가 삽입되는 경우에는 쿠션커버(210)가 늘어지거나 주저앉은 형태를 갖게된다. 이는 도 7(b)에서 보여지는 구성과 같이, 쿠션커버(210)의 측면을 접어주는 것으로 보정이 가능하며, 측면을 접은 상태를 유지 및 고정할 수 있도록 쿠션커버(210)의 상면 가장자리 둘레에서 측면 내측을 따라 일정한 높이와 면적을 갖는 탄성재질의 누름밴드(213)를 포함시킴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즉, 쿠션커버(210)의 측면을 접어서 누름밴드(213)가 위치한 내측으로 넣게 되면, 누름밴드(213)가 접힌 부분을 눌러 자연스럽게 누름밴드(213)에 의해 쿠션커버(210)가 접힌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단순히 접기만 해서는 착석자의 잦은 착석위치변화나 착석상태의 변화 등으로 접힌 부분이 풀려 다시 정돈치 못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먼저, 기능성 쿠션소파는 하나의 쿠션(200)만 장착되는 경우도 있겠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팔걸이(130) 등에 의해 쿠션커버(210)의 접힌 부분을 고정할 수 있어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좌판(120)상에 두 개 이상의 쿠션(200)이 나란하게 장착되는 경우(도 7(b)와 같이)에는 쿠션(200)과 쿠션(200)사이의 경우 충분한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을 확률이 높아 쿠션커버(210)의 고정을 위한 구성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쿠션커버(210)에는 상면의 좌측 및 우측 가장자리 중앙부위에 관통 형성된 결착홈(214)이 더 형성된다. 이 결착홈(214)에 끼움 결합 되는 것으로서, 좌판(120)에서 이웃한 쿠션(200) 사이마다 장착되는 고정걸이(1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다만, 고정걸이(140)는 쿠션커버(210)의 높이에 따라 그 길이가 변동될 수 있으면서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당길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에 따라 탄성재질의 지지밴드(141)를 통해 높이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하게 하고, 지지밴드(141)의 단부에 결착홈(214)에 끼움 결합되는 결착부(142)를 형성함으로써 쿠션커버(210)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걸이(140)를 통해 쿠션커버(210)의 상면을 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때, 결착홈(214)의 형태와 결착부(142)의 형태는 특별히 지정된 것은 없으나, 결착홈(214)으로부터 결착부(142)가 쉽게 이탈되지 않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도록 결착부(142)의 형태가 고려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쿠션에 누름판을 적용한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누름판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나아가, 등받이(110)의 경우에도 다음의 구성이 더 적용될 수 있다.

    등받이(110)에서 쿠션(200)이 장착되는 영역의 테두리를 제외한 중앙영역을 이격시켜 쿠션(200)과 등받이(110) 사이에 장착공간(111)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장착공간(111)이 외부와 유통될 수 있도록 등받이(110)의 테두리 일부가 개폐되도록 한 개폐구(112)가 더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 때, 쿠션소파는 쿠션(200)보다 작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장착공간(111)에 내장되는 누름판(15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누름판(150)은 쉽게 말해 쿠션(200)의 후방에서 쿠션(200)의 기능을 보조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것으로서, 쿠션(200)체와 상응하는 면적을 갖는 베이스보드(151)와, 이 베이스보드(151)의 전면 중 착석자의 허리와 대응되는 위치가 쿠션(200)을 향해 돌출된 압력부(15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은 인체공학적인 문제가 고려되는 것으로서, 등받이(110)의 경우, 둔부와 허리, 등판이 각각 돌출된 형태가 다르다. 특히 둔부와 등판의 경우는 돌출된 형태가 동일하거나 둔부가 좀 더 돌출된 경우가 많은데, 둔부가 더 돌출되더라도 등판을 좀 더 후방으로 기울여 등받이(110)를 향해 움직이게 되면 등판까지는 평면상태의 등받이(110) 형태로도 쉽게 지지가 가능하다. 하지만 허리부분은 다른 부위와 달리 후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데, 이러한 허리를 지지하기 위해 별도의 압력부(152)가 더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베이스보드(151) 구성에서 압력부(152)의 주변 영역에는 베이스보드(151)의 표면에서 돌출된 상태로 상하로 가로질러 연장된 가이드(153)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가이드(153)는 바람직하게는 두 개가 하나의 세트로 구성되며, 이러한 세트는 회전지지부(156)로 명명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가이드(153)는 압력부(152)의 주변 좌우측에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장착되는 것으로서 장착면(15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장착면(155)은, 일정 깊이로 함입된 복수개의 거치홈(154)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 면을 의미하며, 가이드(153)가 장착될 때, 이 장착면(155)이 서로 마주보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회전지지부(156) 사이에서 마주보는 거치홈(154)마다 탄성재질의 회전바(157)가 삽입된다. 회전바(157)는 거치홈(154)에 양 단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이러한 구조에 의해 착석자의 등이 누름판(150)에 밀착된 상태로 상하로 움직이게 되면, 이에 대응되어 회전바(157)가 회전됨으로써 착석자는 등이 마사지되는 시원한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만 회전바(157)가 회전지지부(156)에 장착되었을 때, 착석자의 등이 회전지지부(156)의 형태를 느끼지 못하도록 회전바(157)의 둘레는 거치홈(154)에 삽입되는 부위보다 반경이 커서 가이드(153)의 높이 이상으로 회전바(157)가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장 좋은 장착 형태라고 할 수 있겠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누름판(150)에는 회전바(157)의 외주면 중앙부위를 따라 일정 간격마다 함입 형성된 고정 삽입부(158)가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고정 삽입부(158)에는 바람직하게는 착석자의 등을 더욱 효과적으로 눌러줄 수 있도록 지압체(160)가 삽입될 수 있다. 지압체(160)는 삽입부의 체적보다 큰 체적을 가져, 삽입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삽입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그 구성은 회전바(157)보다 큰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복수개의 지압볼(162)이 신축성 재질의 밀봉팩(161) 내부에 내장된 상태에서 밀봉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러한 지압체(160)가 회전바(157)의 표면에 돌출되면, 착석자의 등은 먼저 지압체(160) 전체의 눌러주는 느낌을 받을 수 있되, 지압체(160)가 복수개의 지압볼(162)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착석자의 등의 형태에 대응되어 자유롭게 변형됨으로써 이질감을 최소화시킨 상태로 지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에 더 나아가, 착용자가 등을 정확히 상하로만 움직일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사선방향이나 좌우로도 움직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상하로 지속적으로 움직이더라도 과도한 힘이나 압력을 가하게 되면 자칫 고정 삽입부(158)로부터 지압체(160)가 이탈되어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신축성 재질의 고정밴드(170)가 이 복수개의 회전바(157) 둘레를 가로질러 횡단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고정밴드(170)에서 회전바(157)의 표면과 마주보는 면에는, 좌우 테두리를 따라 일정 높이로 기립 연장된 이탈방지턱(171)이 형성되어, 단순히 평면상의 고정밴드(170)가 탄성을 통해 지압체(160)를 둘러싸는 경우보다 효과적으로 지압체(160)의 위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뿐더러, 고정밴드(170) 및 이탈방지턱(171)에 의해 착석자의 등이 지압체(160)로부터 느낄 수 있는 이질감을 한 번 더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팔걸이에 적용되는 쿠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나아가, 팔걸이(130)에도 쿠션(200)가 장착될 수 있다. 다만 팔걸이(130)는 등받이(110)나 좌판(120)과 달리 팔걸이(130)에 쿠션(200)가 얹혀지는 형태로 장착된다. 팔의 특성 상 팔걸이(130)와 닿는 부위는 별다른 특성 없이 부드러움을 유지하더라도 팔이 상당한 안정감을 느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 쿠션(200)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접착제나 열 융착 등의 방법으로 팔걸이(130)에 장착되는 것이 좋은데, 팔걸이(130)의 경우 팔이 움직이면서 다양한 방향에서 쉴 새 없이 외력이 가해지는 부분이기 때문에 단단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가장 좋은 결합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탈착식으로서 벨크로테잎 방식이나 암수 결합구조, 걸쇠구조 등을 적용할 수도 있으며 이는 충분한 고정력을 제공하는 것이 보장되는 경우에 선택될 수 있는 구성이라 하겠다.

    이러한 팔걸이(130)에 장착되는 쿠션(200)의 구성으로서, 쿠션커버(210)의 내부를 등받이(110)와 가까운 쪽인 후방영역과 그 반대측이자 인체가 착석하는 방향인 전방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각의 영역마다 하나씩의 쿠션폼(230)이 삽입되어 총 두 개의 쿠션폼(230)이 밀착된 형태로 내장될 수 있다.

    즉, 후방영역에 내장되는 쿠션폼(230)은 신축성이 매우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편의상 제 1 폼(261)이라 칭할 수 있으며, 전방영역에 내장되는 쿠션폼(230)은 제 1 폼(261)보다는 신축성이 낮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편의상 제 2 폼(262)이라 칭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폼(261)은 위치상 팔에서 팔꿈치가 닿는 부위를 의미한다. 팔걸이(130)의 경우, 팔이 직접 닿는 부위이지만 정확하게 말하자면 팔의 모든 면 중 팔꿈치만 안정적으로 닿거나 지지되면 다른 팔 부위는 자연스럽게 편안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팔꿈치가 닿게 되는 제 1 폼(261)을 고 탄성재질로 형성하게 되면, 팔꿈치부위가 빠르게 팔걸이(130)에 닿게 되더라도 충격을 제 1 폼(261)이 흡수하여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1 폼(261)의 신축성이 높아 팔을 거치하는 시간이 길어지더라도 지속적으로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다만, 팔은 이 팔꿈치부위를 제외하면 큰 탄성이 필요하지는 않으므로, 팔꿈치의 앞 부분이 닿는 내부 전방영역에 위치한 쿠션폼(230)은 제 1 폼(261)에 비해 신축성이 낮은 재질로 형성되나, 그래도 어느 정도의 쿠션감은 제공하므로 팔이 안정감을 느낄 수 있으며, 동시에 팔의 무게에 의해 쿠션감이 쉽게 사라지지 않아 오랜 시간동안 팔에 의해 눌리더라도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제 1 폼(261)과 제 2 폼(262)이 각각 서로의 미흡한 재질적 특성을 보완하도록 구성하게 됨으로써 쿠션(200)의 형태 보존이 용이하고 착용자의 팔이 더욱 안정감을 느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제 1 폼(261)과 제 2 폼(262)은 앞선 설명에 의해 서로 밀착되어 있다고 하였다. 이 때, 서로 마주보는 면을 활용하는 것으로서, 이 마주보는 면 각각의 표면에 일정 간격마다 돌기부와 함입부를 반복 형성한 돌기면(263)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돌기면(263)은 쉽게 말하면 엠보싱 화장지와 같이 표면을 볼록한 부분과 오목한 부분이 교대로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돌기면(263)은 서로 밀착되어있으며, 제 1 폼(261)과 제 2 폼(262)이 외부로부터 압력을 받게 됨에 따라 이 돌기면(263)도 변형되게 되는데, 이 때 변형에 의해 두 돌기면(263)이 밀착된 상태로 마찰하게 되며, 동시에 제 1 폼(261)과 제 2 폼(262)의 물성이 달라 쉽게 돌기면(263)의 돌기부와 함입부가 교차되어 표면 마찰이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표면 마찰을 활용하기 위해, 돌기면(263)의 표면에 친환경 조성물(310)을 추가로 흡착시켜 방향층(264)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방향층(264)은 돌기면(263)간의 마찰 시 마찰열에 의해 녹거나 잘게 부서져 친환경 조성물(310)을 공기 중에 섞어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대부분의 친환경 조성물(310)은 방향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방향성분이 부족하더라도 별도의 방향제(333)를 친환경 조성물(310)에 섞어 활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쿠션소파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소파본체 110: 등받이
    111: 장착공간 112: 개폐구
    113: 장착부 120: 좌판
    130: 팔걸이 140: 고정걸이
    141: 지지밴드 142: 결착부
    150: 누름판 151: 베이스보드
    152: 압력부 153: 가이드
    154: 거치홈 155: 장착면
    156: 회전지지부 157: 회전바
    158: 고정 삽입부 160: 지압체
    161: 밀봉팩 162: 지압볼
    170: 고정밴드 171: 이탈방지턱
    200: 쿠션 210: 쿠션커버
    211: 수용부 212: 개폐부
    213: 누름밴드 214: 결착홈
    230: 쿠션폼 261: 제 1 폼
    262: 제 2 폼 263: 돌기면
    264: 방향층 310: 친환경 조성물
    320: 수용홈 321: 유통 연장홈
    330: 탈취 바 331: 보관공간
    332: 공기유통공 333: 제습제, 방향제
    334: 관통홈 335: 메인 흡습제
    336: 서브 흡습제 340: 고정소켓
    341: 고정부 342: 결합홈
    350: 교체 안내장치 351: 감지바
    352: 안내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