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기 발생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특수효과 체감형 의자

申请号 KR1020140098938 申请日 2014-08-01 公开(公告)号 KR101689435B1 公开(公告)日 2016-12-23
申请人 씨제이포디플렉스 주식회사; 发明人 김형민; 전호영;
摘要 본명세서는향기발생장치및 이를구비한특수효과체감형의자에관한것으로, 더욱상세하게는극장의상영관내부혹은외부에설치하여영화장면중 동작하여관객에게향기를배출하고후각적인효과를부여함으로써, 관객에게몰입도를극대화하기위한향기발생장치및 이를구비한특수효과체감형의자에관한것이다.
权利要求
  • 서로 다른 향기 액체를 보관하고, 보관된 향기 액체를 기초로 향기 기체를 배출하는 복수의 향기 발생부; 및
    향기 종류별로 대응되는 복수의 배관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배관은 상기 복수의 향기 발생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향기 발생부로부터 배출된 향기 기체를 전달하는 다중 배관;
    을 포함하며,
    상기 향기 발생부는,
    향기 액체를 보관하는 제1 챔버 및 상기 제1 챔버에 보관된 향기 액체를 분무하는 분무기를 구비하는 액체 분무부; 및
    상기 액체 분무부에서 분무된 향기 액체를 필터링하는 필터, 상기 필터를 통해 필터링 된 향기 액체가 잔류되는 제2 챔버 및 상기 액체 분무부에서 분무된 향기 액체를 필터링 하여 발생된 향기 기체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를 구비하는 필터부;
    를 포함하고,
    상기 향기 발생부는, 상기 향기 기체를 배출하기 전 또는 후에 무향의 공기를 미리 정해진 일정 주기마다 분사하여 상기 다중 배관에 가스 형태로 잔존하고 있는 향기 기체를 배출하는 향기 발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분무부는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분무기 사이에 격벽이 설치되고, 상기 격벽에는 오리피스관이 구비되며, 압축된 공기가 주입되면 상기 오리피스 관을 통해 상기 제1 챔버 내부로 압축된 공기가 주입되고, 상기 주입된 공기에 의해 발생된 압력 차이 또는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챔버에 보관된 향기 액체를 분무하는 향기 발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발생부는,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분무된 향기 액체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향기 액체를 상기 제2 챔버에 잔류하며, 상기 제1 챔버 과 상기 제2 챔버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챔버에 잔류하는 향기 액체를 상기 연결관을 통해 상기 제1 챔버로 회수하는 향기 발생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향기 액체가 상기 제1 챔버에서 상기 제2 챔버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
    를 더 포함하는 향기 발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발생부는,
    상기 제1 챔버 또는 상기 제2 챔버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챔버 또는 상기 제2 챔버에 보관된 향기 액체의 수위와 동일한 수위를 유지하여 상기 보관된 향기 액체의 수위를 표시하는 수위 게이지;
    를 더 포함하는 향기 발생 장치.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향 온(ON) 및 오프(OFF)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향 온(ON) 및 오프(OFF) 신호에 따라 스위치 신호를 동작시키는 통신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신호의 동작에 따라 상기 액체 분무부에 압축된 공기가 주입되어 필터부를 통해 향기 기체를 배출하는 향기 발생 장치.
  • 특수 효과를 제공하는 특수효과 체감형 의자에 있어서,
    상기 체감형 의자에 구비되어 향기를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
    서로 다른 향기 액체를 보관하고, 보관된 향기 액체를 기초로 향기 기체를 배출하는 복수의 향기 발생부; 및
    향기 종류별로 대응되는 복수의 배관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배관은 상기 복수의 향기 발생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향기 발생부로부터 배출된 향기 기체를 상기 다수의 노즐로 전달하는 다중 배관;
    을 포함하며,
    상기 향기 발생부는,
    향기 액체를 보관하는 제1 챔버 및 상기 제1 챔버에 보관된 향기 액체를 분무하는 분무기를 구비하는 액체 분무부; 및
    상기 액체 분무부에서 분무된 향기 액체를 필터링하는 필터, 상기 필터를 통해 필터링 된 향기 액체가 잔류되는 제2 챔버 및 상기 액체 분무부에서 분무된 향기 액체를 필터링 하여 발생된 향기 기체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를 구비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향기 발생부는, 상기 향기 기체를 배출하기 전 또는 후에 무향의 공기를 미리 정해진 일정 주기마다 분사하여 상기 다중 배관에 가스 형태로 잔존하고 있는 향기 기체를 배출하는 향기 발생 장치를 구비한 특수효과 체감형 의자.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분무부는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분무기 사이에 격벽이 설치되고, 상기 격벽에는 오리피스관이 구비되며, 압축된 공기가 주입되면 상기 오리피스 관을 통해 상기 제1 챔버 내부로 압축된 공기가 주입되고, 상기 주입된 공기에 의해 발생된 압력 차이 또는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챔버에 보관된 향기 액체를 분무하는 향기 발생 장치를 구비한 특수효과 체감형 의자.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발생부는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분무된 향기 액체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향기 액체를 상기 제2 챔버에 잔류하며,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챔버에 잔류하는 향기 액체를 상기 연결관을 통해 상기 제1 챔버로 회수하는 향기 발생 장치를 구비한 특수효과 체감형 의자.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향기 액체가 상기 제1 챔버에서 상기 제2 챔버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
    를 더 포함하는 향기 발생 장치를 구비한 특수효과 체감형 의자.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발생부는,
    상기 제1 챔버 또는 상기 제2 챔버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챔버 또는 상기 제2 챔버에 보관된 향기 액체의 수위와 동일한 수위를 유지하여 상기 보관된 향기 액체의 수위를 표시하는 수위게이지;
    를 더 포함하는 향기 발생 장치를 구비한 특수효과 체감형 의자.
  • 제7항 내지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향 온(ON) 및 오프(OFF)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향 온(ON) 및 오프(OFF) 신호에 따라 스위치 신호를 동작시키는 통신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신호의 동작에 따라 상기 액체 분무부에 압축된 공기가 주입되어 필터부를 통해 향기 기체가 배출되는 향기 발생장치를 구비한 특수효과 체감형 의자.
  • 서로 다른 향기 액체를 보관하고, 보관된 향기 액체를 기초로 향기 기체를 배출하는 복수의 향기 발생부; 및
    향기 종류별로 대응되는 복수의 배관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배관은 상기 복수의 향기 발생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향기 발생부로부터 배출된 향기 기체를 전달하는 다중 배관;
    을 포함하며,
    상기 향기 발생부는,
    향기 액체를 보관하는 제1 챔버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챔버에 보관된 향기 액체를 향기 분무부로 전달하는 액체 저장부; 및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 주입구, 상기 액체 저장부로부터 전달 받은 향기 액체를 분무하는 분무 노즐 및 상기 분무된 향기 액체가 침투되고 상기 공기 주입구로부터 주입된 공기가 통과되어 향기 기체를 배출하는 향기 부재가 설치된 제2 챔버를 구비하는 향기 분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향기 발생부는, 상기 향기 기체를 배출하기 전 또는 후에 무향의 공기를 미리 정해진 일정 주기마다 분사하여 상기 다중 배관에 가스 형태로 잔존하고 있는 향기 기체를 배출하는 향기 발생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저장부는
    상기 제1 챔버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챔버에 보관된 향기 액체의 수위와 동일한 수위를 유지하여 상기 제1 챔버에 보관된 향기 액체의 수위를 표시하는 수위 게이지;
    를 더 포함하는 향기 발생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분무부는
    영상 재생 전 또는 원하는 시점에 상기 분무 노즐에 의해 분무된 향기 액체를 상기 향기 부재에 침투시키는 향기 발생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분무부는
    상기 분무 노즐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향기 분무부의 제2 챔버에 보관된 향기 액체를 회수하는 회수 구멍;
    을 더 포함하는 향기 발생 장치.
  •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영상 재생 전 또는 원하는 시점에 향기 액체의 분무 온(ON) 및 오프(OFF)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스위치 신호를 동작시키고, 향 온(ON) 및 오프(OFF) 신호를 수신하여 제2 스위치 신호를 동작시키는 통신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향기 발생부는,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챔버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스위치 신호의 동작에 따라 상기 액체 저장부로 주입된 압축 공기 에 의해 향기 액체가 상기 향기 분무부로 전달되고, 상기 향기 분무부는 상기 노즐을 통해 향기 액체를 분무하고, 상기 제2 스위치 신호의 동작에 따라 상기 향기 분무부로 압축된 공기가 주입되어 향기 부재에 침투된 향기 액체로부터 향기 기체를 배출하는 향기 발생 장치.
  • 특수 효과를 제공하는 특수효과 체감형 의자에 있어서,
    상기 체감형 의자에 구비되어 향기를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
    서로 다른 향기 액체를 보관하고, 보관된 향기 액체를 기초로 향기 기체를 배출하는 복수의 향기 발생부; 및
    향기 종류별로 대응되는 복수의 배관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배관은 상기 복수의 향기 발생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향기 발생부로부터 배출된 향기 기체를 상기 다수의 노즐로 전달하는 다중 배관;
    을 포함하며,
    상기 향기 발생부는,
    향기 액체를 보관하는 제1 챔버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챔버에 보관된 향기 액체를 전달하는 액체 저장부; 및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 주입구, 상기 액체 저장부로부터 전달 받은 향기 액체를 분무하는 분무 노즐 및 상기 분무된 향기 액체가 침투되고 상기 공기 주입구로부터 주입된 공기가 통과되어 향기 기체를 배출하는 향기 부재가 설치된 제2 챔버를 구비하는 향기 분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향기 발생부는, 상기 향기 기체를 배출하기 전 또는 후에 무향의 공기를 미리 정해진 일정 주기마다 분사하여 상기 다중 배관에 가스 형태로 잔존하고 있는 향기 기체를 배출하는 향기 발생 장치를 구비한 특수효과 체감형 의자.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저장부는
    상기 제1 챔버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챔버에 보관된 향기 액체의 수위와 동일한 수위를 유지하여 상기 제1 챔버에 보관된 향기 액체의 수위를 표시하는 수위 게이지;
    를 더 포함하는 향기 발생장치를 구비한 특수효과 체감형 의자.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분무부는
    영상 재생 전 또는 원하는 시점에 상기 분무 노즐에 의해 분무된 향기 액체를 상기 향기 부재에 침투시키는 향기 발생 장치를 구비한 특수효과 체감형 의자.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분무부는
    상기 분무 노즐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향기 분무부의 제2 챔버에 보관된 향기 액체를 회수하는 회수 구멍;
    을 더 포함하는 향기 발생 장치를 구비한 특수효과 체감형 의자.
  • 제1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영상 재생 전 또는 원하는 시점에 향기 액체의 분무 온(ON) 및 오프(OFF)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스위치 신호를 동작시키고, 향 온(ON) 및 오프(OFF) 신호를 수신하여 제2 스위치 신호를 동작시키는 통신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향기 발생부는,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스위치 신호의 동작에 따라 상기 액체 저장부로 주입된 압축 공기에 의해 향기 액체가 상기 향기 분무부로 전달되고, 상기 향기 분무부는 상기 노즐을 통해 향기 액체를 분무하고, 상기 제2 스위치 신호의 동작에 따라 상기 향기 분무부로 압축된 공기가 주입되어 향기 부재에 침투된 향기 액체로부터 향기 기체를 배출하는 향기 발생장치를 구비한 특수효과 체감형 의자.
  • 说明书全文

    향기 발생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특수효과 체감형 의자{SCENT EMITTING APPARATUS AND CHAIR FOR FEELING SPECIAL EFFECT HAV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향기 발생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특수효과 체감형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극장의 상영관 내부 혹은 외부에 설치하여 영화 장면 중 동작하여 관객에게 향기를 배출하고 후각적인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관객에게 몰입도를 극대화하기 위한 향기 발생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특수효과 체감형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눈으로 보이는 것은 주로 3차원의 입체영상이지만, 카메라나 캠코더와 같은 촬영기기 등을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이 일반 영화관의 스크린을 통해서 보일 경우 평면 영상인 2차원이기 때문에 입체감이 크게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극장이나 놀이공원의 대형 이벤트 홀, 입체 영화관 등의 의자에 앉아 영화를 감상할 경우 영상 속의 여러 가지 상황을 간접적으로나마 체험할 수 있도록 특수효과 장치를 구비한 특수효과 체감형 의자가 많이 제시되고 있다.

    예컨대, 영화관의 의자에 진동장치를 장착하여 영화 속의 중저음 사운드와 연동하여 자동으로 진동하게 구현함으로써 보다 깊은 느낌의 음향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향기 발생 장치를 통해 영화 장면과 연계하여 관객에게 향기를 배출함으로써 후각적인 효과를 부여하여 몰입도를 극대화하는 의자를 구현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향기 발생 장치의 설명도이다.

    종래의 향기 발생 장치는 다수의 향기를 발생시키는 챔버(Chamber)(110)를 포함한다. 종래의 향기 발생 장치는 각각의 향기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챔버를 제어하여 필요한 향기를 발생시킨다.

    챔버(110)는 부직포(111)와 주입구(112) 및 배출구(113)를 포함한다. 부직포(111)는 향기를 침투시킨 부직포 또는 발포 용기로 이루어진다. 주입구(112)는 공기가 주입된다. 배출구(113)는 향기가 포함된 공기가 배출된다.

    종래의 향기 발생 장치는 향기가 침투된 부직포 및 발포용기 등이 담긴 챔버(110)에 공기를 통과시켜 향기를 관객에게 전달한다.

    종래의 향기 발생 장치는 일정 기간 사용시 향기의 농도가 약해진다. 그리고 종래의 향기 발생 장치는 향기의 사용량을 측정할 수 없어서 향기의 보충시점을 알 수 없다. 또한, 종래의 향기 발생 장치는 단일 배관을 사용하여 여러 향기를 전달하기 때문에 향기가 섞일 수 있다. 이는 향의 직관성이 저하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부의 실시 예는 관객이 영상을 관람할 때, 영상정보와 매칭되도록 향기를 공급하는 향기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부의 실시 예는 해당 영상에 동기되어 프로그램화된 향 온(ON) 및 오프(OFF) 신호를 해당 통신 라인(예컨대, RS-485, CAN 등)을 통해 전송받아 스위치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향기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부의 실시 예는 주입된 공기에 의해 발생된 압력 차이 및 벤츄리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챔버에 보관된 액체 향기를 분무하고 분무된 액체 향기를 필터를 통해 회수하고 배관에 기체 향기(방향족 화합물)만을 공급함으로써, 항상 일정한 농도의 향기를 유지할 수 있는, 향기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부의 실시 예는 액체 향기를 직접 이용하므로 사용량을 직접적으로 측정 가능하고 보충시점을 확인할 수 있는 향기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부의 실시 예는 향기 종류별 각각의 배관들로 이루어진 다중 배관을 4D(4 Dimension) 의자(Chair) 및 관객의 근처까지 연결하여 관객에게 향기를 전달함으로써, 향기의 섞임을 방지할 수 있고 직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향기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의 제1 측면에 따르면, 향기 액체를 보관하는 제1 챔버 및 상기 제1 챔버에 보관된 향기 액체를 분무하는 분무기를 구비하는 액체 분무부; 및 상기 액체 분무부에서 분무된 향기 액체를 필터링하는 필터, 상기 필터를 통해 필터링 된 향기 액체가 잔류되는 제2 챔버 및 상기 액체 분무부에서 분무된 향기 액체를 필터링 하여 발생된 향기 기체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를 구비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향기 발생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액체 분무부는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분무기 사이에 격벽이 설치되고, 상기 격벽에는 오리피스관이 구비되며, 압축된 공기가 주입되면 상기 오리피스 관을 통해 상기 제1 챔버 내부로 압축된 공기가 주입되고, 상기 주입된 공기에 의해 발생된 압력 차이 또는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챔버에 보관된 향기 액체를 분무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분무된 향기 액체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향기 액체는 상기 제2 챔버에 잔류하며,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챔버에 잔류하는 향기 액체를 상기 연결관을 통해 상기 제1 챔버로 회수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은 상기 향기 액체가 상기 제1 챔버에서 상기 제2 챔버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챔버 또는 상기 제2 챔버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챔버 또는 상기 제2 챔버에 보관된 향기 액체의 수위와 동일한 수위를 유지하여 상기 보관된 향기 액체의 수위를 표시하는 수위 게이지;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향 온(ON) 및 오프(OFF)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향 온(ON) 및 오프(OFF) 신호에 따라 스위치 신호를 동작시키는 통신 제어부; 및 향기 종류별로 대응되는 배관들을 구비하여 상기 배출된 향기 기체를 전달하는 다중 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신호의 동작에 따라 상기 액체 분무부에 압축된 공기가 주입되어 필터부를 통해 향기 기체를 배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2 측면에 따르면, 특수 효과를 제공하는 특수효과 체감형 의자에 있어서, 상기 체감형 의자에 구비되어 향기를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 향기 액체를 보관하는 제1 챔버 및 상기 제1 챔버에 보관된 향기 액체를 분무하는 분무기를 구비하는 액체 분무부; 및 상기 액체 분무부에서 분무된 향기 액체를 필터링하는 필터, 상기 필터를 통해 필터링 된 향기 액체가 잔류되는 제2 챔버 및 상기 액체 분무부에서 분무된 향기 액체를 필터링 하여 발생된 향기 기체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를 구비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향기 발생 장치를 구비한 특수효과 체감형 의자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액체 분무부는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분무기 사이에 격벽이 설치되고, 상기 격벽에는 오리피스관이 구비되며, 압축된 공기가 주입되면 상기 오리피스 관을 통해 상기 제1 챔버 내부로 압축된 공기가 주입되고, 상기 주입된 공기에 의해 발생된 압력 차이 또는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챔버에 보관된 향기 액체를 분무할 수 있다.

    상기 향기 발생부는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분무된 향기 액체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향기 액체는 상기 제2 챔버에 잔류하며,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챔버에 잔류하는 향기 액체를 상기 연결관을 통해 상기 제1 챔버로 회수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은 상기 향기 액체가 상기 제1 챔버에서 상기 제2 챔버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챔버 또는 상기 제2 챔버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챔버 또는 상기 제2 챔버에 보관된 향기 액체의 수위와 동일한 수위를 유지하여 상기 보관된 향기 액체의 수위를 표시하는 수위게이지;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향 온(ON) 및 오프(OFF)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향 온(ON) 및 오프(OFF) 신호에 따라 스위치 신호를 동작시키는 통신 제어부; 및 상기 향기 종류별로 대응되는 배관들을 구비하여 상기 다수의 노즐과 상기 향기 발생부를 연결하고, 상기 향기 발생부에서 배출된 향기 기체를 상기 다수의 노즐로 전달하는 다중 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신호의 동작에 따라 상기 액체 분무부에 압축된 공기가 주입되어 필터부를 통해 향기 기체가 배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3 측면에 따르면, 향기 액체를 보관하는 제1 챔버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챔버에 보관된 향기 액체를 상기 향기 분무부로 전달하는 액체 저장부; 및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 주입구, 상기 액체 저장부로부터 전달 받은 향기 액체를 분무하는 분무 노즐 및 상기 분무된 향기 액체가 침투되고 상기 공기 주입구로부터 주입된 공기가 통과되어 향기 기체를 배출하는 향기 부재가 설치된 제2 챔버를 구비하는 향기 분무부;를 포함하는 향기 발생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액체 저장부는 상기 제1 챔버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챔버에 보관된 향기 액체의 수위와 동일한 수위를 유지하여 상기 제1 챔버에 보관된 향기 액체의 수위를 표시하는 수위 게이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향기 분무부는 영상 재생 전 또는 원하는 시점에 상기 분무 노즐에 의해 분무된 향기 액체를 상기 향기 부재에 침투시킬 수 있다.

    상기 향기 분무부는 상기 분무 노즐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향기 분무부의 제2 챔버에 보관된 향기 액체를 회수하는 회수 구멍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를 연결하는 연결관; 영상 재생 전 또는 원하는 시점에 향기 액체의 분무 온(ON) 및 오프(OFF)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스위치 신호를 동작시키고, 향 온(ON) 및 오프(OFF) 신호를 수신하여 제2 스위치 신호를 동작시키는 통신 제어부; 및 향기 종류별로 대응된 배관들을 구비하여 상기 배출된 향기 기체를 전달하는 다중 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 신호의 동작에 따라 상기 액체 저장부로 주입된 압축 공기 에 의해 향기 액체가 상기 향기 분무부로 전달되고, 상기 향기 분무부는 상기 노즐을 통해 향기 액체를 분무하고, 상기 제2 스위치 신호의 동작에 따라 상기 향기 분무부로 압축된 공기가 주입되어 향기 부재에 침투된 향기 액체로부터 향기 기체를 배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4 측면에 따르면, 특수 효과를 제공하는 특수효과 체감형 의자에 있어서, 상기 체감형 의자에 구비되어 향기를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 향기 액체를 보관하는 제1 챔버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챔버에 보관된 향기 액체를 전달하는 액체 저장부; 및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 주입구, 상기 액체 저장부로부터 전달 받은 향기 액체를 분무하는 분무 노즐 및 상기 분무된 향기 액체가 침투되고 상기 공기 주입구로부터 주입된 공기가 통과되어 향기 기체를 배출하는 향기 부재가 설치된 제2 챔버를 구비하는 향기 분무부;를 포함하는 향기 발생 장치를 구비한 특수효과 체감형 의자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액체 저장부는 상기 제1 챔버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챔버에 보관된 향기 액체의 수위와 동일한 수위를 유지하여 상기 제1 챔버에 보관된 향기 액체의 수위를 표시하는 수위 게이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향기 분무부는 영상 재생 전 또는 원하는 시점에 상기 분무 노즐에 의해 분무된 향기 액체를 상기 향기 부재에 침투시킬 수 있다.

    상기 향기 분무부는 상기 분무 노즐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향기 분무부의 제2 챔버에 보관된 향기 액체를 회수하는 회수 구멍;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를 연결하는 연결관; 영상 재생 전 또는 원하는 시점에 향기 액체의 분무 온(ON) 및 오프(OFF)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스위치 신호를 동작시키고, 향 온(ON) 및 오프(OFF) 신호를 수신하여 제2 스위치 신호를 동작시키는 통신 제어부; 및 상기 향기 종류별로 대응되는 배관들을 구비하여 상기 다수의 노즐과 상기 향기 발생부를 연결하고, 상기 향기 발생부에서 배출된 향기 기체를 상기 다수의 노즐로 전달하는 다중 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 신호의 동작에 따라 상기 액체 저장부로 주입된 압축 공기에 의해 향기 액체가 상기 향기 분무부로 전달되고, 상기 향기 분무부는 상기 노즐을 통해 향기 액체를 분무하고, 상기 제2 스위치 신호의 동작에 따라 상기 향기 분무부로 압축된 공기가 주입되어 향기 부재에 침투된 향기 액체로부터 향기 기체를 배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부의 실시 예에 따르면, 관객이 영상을 관람할 때, 영상정보와 매칭되도록 향기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부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해당 영상에 동기되어 프로그램화된 향 온(ON) 및 오프(OFF) 신호를 해당 통신 라인(예컨대, RS-485, CAN 등 기타)을 통해 전송받아 스위치 신호에 따라 향기 발생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부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압력 차이 또는 벤츄리 효과 또는 압력 차이와 벤츄리 효과를 동시에 이용하여 액체 향기를 분무하고 필터에 의해 액체를 회수하고 배관 내에 기체 향기(방향족 화합물)만을 공급함으로써, 항상 일정한 농도의 향기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부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액체 향기를 직접 이용하므로 사용량을 직접적으로 표시 가능하고 보충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부의 실시 예에 따르면, 향기 종류별 각각의 배관들로 이루어진 다중 배관을 4D(4 Dimension) 의자(Chair) 및 관객의 근처까지 연결하여 관객에게 향기를 전달함으로써, 향기의 섞임을 방지할 수 있고 직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향기 발생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향기 발생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향기 발생 장치에서의 향기 발생부의 외형도 및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향기 발생부에서의 향기 발생 과정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향기 발생 장치를 장착한 체감형 의자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향기 발생 장치에서의 향기 발생부의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명세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향기 발생부에서의 향기 발생 과정에 대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명세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2 및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향기 발생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향기 발생 장치(200)는 향기 발생부(210), 통신 제어부(220) 및 다중 배관(230)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향기 발생 장치(200)는 다양한 분야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 예로 4D(Dimension) 분야에 적용된 향기 발생 장치(200)를 기재한 것이지만, 특정 분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 2 및 도 3의 각 구성요소들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통신 제어부(220)는 향 온(ON) 및 오프(OFF) 신호를 해당 통신 라인(예컨대, RS-485, CAN 등)을 통해 수신한다. 통신 제어부(220)는 그 수신된 향 온(ON) 및 오프(OFF) 신호에 따라 스위치 신호를 동작시킨다. 여기서, 향 온(ON) 및 오프(OFF) 신호는 상영관에서 상영되는 영상에 동기되어 프로그램화될 수 있다. 이때, 통신 제어부(220)는 4D 영상과 동기화된 향 온(ON) 및 오프(OFF)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통신 제어부(220)는 4D분야에 적용된 향 온(ON) 및 오프(OFF) 신호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분야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분야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향기 발생부(210)는 통신 제어부(220)의 스위치 신호에 따라 압축된 공기를 주입한다. 이어서, 향기 발생부(210)는 주입된 공기에 의해 발생된 압력 차이 또는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보관된 향기 액체를 분무한다. 즉, 향기 발생부(210)는 입구 및 출구 측의 압력 차이 또는 벤츄리 효과 또는 압력 차이와 벤츄리 효과를 동시에 이용하여 보관 향기 액체를 분무할 수 있다. 즉, 향기 발생부(210)는 기구적인 차압에 해당하는 압력 차이만 이용하거나, 벤츄리 효과만 이용하여 저장된 향기 액체를 분무할 수 있다. 또한, 향기 발생부(210)는 압력 차이와 벤츄리 효과를 동시에 이용하여 저장된 향기 액체를 분무할 수 있다.

    이때, 향기 발생부(210)는 필터를 통해 향기 액체를 자동으로 회수하고 향기 기체를 다중 배관(230)으로 배출한다. 즉, 액체는 필터 내부에 남고 공기에 날리는 향기 입자만 배출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변형 예로, 다중 배관(230)은 복수의 체크 밸브가 조인트 형태로 결합된 체크 밸브 집합체(231)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향기 발생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향기 발생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향기 발생부(210)는 서로 다른 향기 액체들을 보관하고, 이중 하나는 무향의 공기(Fresh Air)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A향부터 E향, 무향을 별개로 구비한 다수의 향기 액체가 보관될 수 있다.

    무향 발생을 살펴보면, 향기 발생부(210)는 아무것도 넣지 않거나 또는 무향의 액체를 넣고 공기를 흘려서 동작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향기 발생부(210)는 무향을 발생시키기 위해 향기 발생부(210)를 추가할 필요 없이 배관을 향기 발생부(210)를 거치지 않고 바로 다중 배관(230)에 연결할 수 있다. 공기는 무향이기 때문에, 향기 발생 장치(200)는 추가적인 향기 발생부(210) 없이도 무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향기 발생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향기 발생부(210) 중 선택된 향기 발생부(210)로부터 향기 기체를 배출한다. 예컨대, 향기 발생 장치(200)가 영상 장면과 연계하여 C향을 배출하려면 C향이 주입된 향기 발생부(210)로부터 향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향기 발생 장치(200)를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수행된다.

    향기 발생부(210)는 향기를 배출하기 전 또는 후에 무향의 공기를 분사하여 다중 배관(230)에 가스 형태로 잔존하고 있는 향기 기체를 배출함으로써 배관을 청소할 수 있다. 이때, 무향의 공기를 분사하는 횟수는 향기 기체를 배출한 1회마다 수행할 수 있고 또는 2회, 5회 등 정해진 일정 주기마다 수행할 수 있다.

    다중 배관(230)은 향기 종류별로 이루어져 있다. 일 실시 예로, 각각의 다중 배관(230)은 4D(4 Dimension) 의자(Chair) 및 관객의 근처까지 연결되어 관객에게 향기를 전달할 수 있다. 다중 배관(230)은 향기의 섞임을 방지하여 직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중 배관(230)은 4D 의자에 적용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분야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분야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향기 발생 장치에서의 향기 발생부의 외형도 및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향기 발생 장치(200)에서의 향기 발생부(210)는 액체 분무부(410), 필터부(420) 및 연결관(430)를 포함한다. 여기서, 향기 발생부(210)의 액체 분무부(410) 쪽이 공기가 주입되는 상류 측이고, 필터부(420) 쪽이 공기가 배출되는 하류 측이다.

    액체 분무부(410)는 공기 주입구(411), 제1 챔버(Chamber)(412) 및 분무기(413)를 포함한다.

    액체 분무부(410)는 공기 주입구(411)를 통해 압축된 공기를 주입받는다.

    제1 챔버(412)는 향기 액체를 보관한다.

    압축된 공기는 분무기(413)로 주입되어 필터부(420)로 흐르게 된다. 여기서, 분무기(413)는 제1 챔버(412)에 보관된 향기 액체를 분무한다.

    제1 챔버(412)와 분무기(413) 사이에 격벽이 설치된다. 격벽에는 오리피스관이 구비된다. 압축된 공기가 주입되면 오리피스 관을 통해 제1 챔버(412) 내부로 압축된 공기가 주입된다. 액체 분무부(410)는 주입된 공기에 의해 발생된 압력 차이 또는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제1 챔버(412)에 보관된 향기 액체를 분무한다. 여기서, 액체 분무부(410)의 상류 측에 압축된 공기가 주입되면, 오리피스관을 통해 제1 챔버(412) 내부로 압축된 공기가 주입된다. 압력은 제1 챔버(412) 내부에서 서서히 증가하게 된다.

    여기서, 향기 발생부(210)는 향기를 가변적으로 또는 일정하게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챔버(412)에서 분무기(413)까지 향기 액체가 올라가게 되면, 일정한 향기 액체의 양이 분무기(413)에 적하된다. 여기서, 적하라는 용어는 향기 액체가 방울 져서 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적하 부위는 가변 적하 타입처럼 바늘(Needle)을 움직여가며 향기 액체가 지나가는 유로의 크기를 조절한다. 또한, 적하 부위는 향기 액체를 원하는 양만큼 지나갈 수 있도록 필요시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로, 고정 적하 타입처럼 유로의 크기를 제작 시부터 세팅하여 일률적으로 적하(조절불가)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향기 발생부(210)에서는 가변 적하 타입으로 적용되어 있다. 향기 발생 장치(200)가 상영관에 적용되는 경우, 상영관의 크기에 따라 적하량을 조정하기 위해 가변 적하 타입이 적용될 수 있다. 향기 발생 장치(200)는 가변 적하 타입 또는 고정 적하 타입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필터부(420)는 공기 배출구(421), 제2 챔버(422) 및 필터(423)를 포함한다.

    필터부(420)는 액체 분무부(410)에서 분무된 향기 액체를 필터링하여 발생된 향기 기체를 공기 배출구(421)를 통해 배출한다.

    필터(423)는 액체 분무부(410)에서 분무된 향기 액체를 필터링한다. 제2 챔버(422)에는 필터(423)를 통해 필터링된 향기 액체가 잔류한다.

    필터부(420)는 필터(423)와 제2 챔버(422) 사이에 격벽이 없다. 상류 측에 압축된 공기가 주입되면 압축된 공기가 제2 챔버(422) 내부에 그대로 투입된다. 그러므로 제2 챔버(422) 내부의 압력은 제1 챔버(412)와 다르게 급속히 증가하게 된다. 제1 챔버(412)와 제2 챔버(422) 사이의 압력 차에 의해 제2 챔버(422)의 회수된 향기 액체가 제1 챔버(412)로 회수된다.

    연결관(430)은 제1 챔버(412)와 제2 챔버(422)를 연결한다. 필터부(420)는 분무된 향기 액체를 필터링하고, 그 필터링된 향기 액체는 제2 챔버(422)에 잔류한다. 필터부(420)는 제1 챔버(412)와 제2 챔버(422)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제2 챔버(422)에 잔류하는 향기 액체를 연결관(430)을 통해 제1 챔버(412)로 회수한다. 제1 챔버(412)와 제2 챔버(422) 간의 차압에 따라 제2 챔버(422)의 향기 액체가 제1 챔버(412)로 회수된다. 연결관(430)에는 체크 밸브(4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체크 밸브(431)는 향기 액체가 제1 챔버(412)에서 제2 챔버(422)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크 밸브(431)는 향기 액체를 제2 챔버(422)에서 제1 챔버(412) 쪽의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한다. 체크 밸브(431)는 제1 챔버(412)에서 제2 챔버(422)로 향기 액체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제1 챔버(412)에 보관되어 있는 향기 액체는 제2 챔버(422) 측으로 넘어가지 않는다.

    제1 챔버(412) 및 제2 챔버(422)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향기 액체와 화학 반응으로 인해 챔버 재질은 금속이 될 수 있다. 금속 재질이라 별도의 챔버 가드(Chamber guard)가 필요 없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외부에서 제1 챔버(412) 및 제2 챔버(422)의 내부를 볼 수 없기 때문에, 수위 게이지(414)가 설치되어 있다. 수위 게이지(414)에는 연결관이 장착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향기 액체의 수위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수위 게이지(414)는 제1 챔버(412) 또는 제2 챔버(422)에 연결되며, 제1 챔버(412) 또는 제2 챔버(422)에 보관된 향기 액체의 수위와 동일한 수위를 유지하여 보관된 향기 액체의 수위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위 게이지(414)는 양쪽이 제2 챔버(422)의 상부 및 하부에 연결되고, 수위 게이지(414)가 제2 챔버(422)의 상부 및 하부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챔버(422)에 보관된 향기 액체의 수위와 동일한 수위를 유지한다. 수위 게이지(414)는 제2 챔버(422)에 보관된 향기 액체의 수위를 표시하여 외부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향기 액체의 사용량 및 잔량을 확인 가능하게 하고, 향기 액체의 보충 시점을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액체 향기의 수위를 외부에 표시하는 수위 게이지(414)로 인해 사용량 및 잔량, 액체 향기의 수위 및 액체 향기의 보충시점이 확인될 수 있다.

    변형 예로, 제1 챔버(412) 및 제2 챔버(422)는 챔버와 챔버 가드(Chamber Guard)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챔버는 실제 향기 액체를 보관하는 것으로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될 수 있다. 챔버 가드는 챔버를 보호하기 위한 부재로 플라스틱이나 메탈 재질로 될 수 있다. 챔버는 세로로 길게 트여있어 내부가 들여다 보이는 구조일 수 있다. 그러므로, 챔버의 내부는 외부에서 확인되고, 챔버에 보관된 향기 액체의 사용량, 잔량, 수위, 보충 시점 등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향기 발생부에서의 향기 발생 과정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향기 발생부(210)에서의 향기 발생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의 S402 과정에서, 액체 분무부(410)의 상류 측에 압축된 공기가 주입되면, 분무기(413)의 오리피스관을 통해 제1 챔버(412) 내부로 압축된 공기가 주입된다. 그리고 제1 챔버(412) 내부는 압력이 서서히 증가 된다.

    이에 반해, 상류 측에 압축된 공기가 주입되면, 압축된 공기가 제2 챔버(422) 내부에 그대로 투입된다. 그러므로 제2 챔버(422) 내부의 압력은 제1 챔버(412)와 다르게 급속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챔버(412)와 제2 챔버(422)는 동일한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일정한 시간 동안 압력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도 6의 S404 과정에서, 분무기(413)는 입구 및 출구 측의 차압과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제1 챔버에 보관된 향기 액체를 필터부(420)로 분무한다.

    도 7의 S406 과정에서, 필터(423)는 액체 분무부(410)로부터 전달된 향기 액체를 필터링하고, 향기 액체를 회수한다. 회수된 향기 액체는 제2 챔버(422)에 보관된다.

    그리고 제2 챔버(422)에 연결된 연결관(430)를 통해 회수된 향기 액체는 제1 챔버(412)와 제2 챔버(422) 간의 압력차이가 발생하는 시간 동안 액체 분무부(410)의 제1 챔버(412)로 자동 회수되게 된다. 여기서, 체크 밸브(431)는 향기 액체를 한 방향 즉, 제2 챔버(422)에서 제1 챔버(412)로의 방향으로만 흐르게 한다. 제1 챔버(412)에 보관되어 있는 향기 액체는 제2 챔버(422)로 넘어가지 않는다.

    도 7의 S408 과정에서, 필터부(420)는 필터(423)에 의해 필터링되어 발생된 향기 기체를 공기와 함께 배출한다. 여기서, 향기 기체는 향기를 내는 물질인 방향족 화합물로 이루어져 있다. 이로써, 향기 발생 필요 시에 상기 과정을 실시하여 항상 일정한 농도의 향기가 유지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향기 발생 장치를 장착한 체감형 의자의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향기 발생 장치(200)는 특수효과 체감형 의자(800)의 일방향으로 배열된 좌석열의 후방에 설치되어 해당 좌석열에 착석한 고객 또는 뒷 좌석열에 착석한 고객에게 향기 기체를 발생한다. 여기서, 특수효과 체감형 의자(800)는 각 좌석에 착석한 고객에게 영상 속의 여러 자기 상황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특수 효과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향기 발생 장치(200)는 기본적으로 향기 발생부(210), 통신 제어부(220) 및 다중 배관(230)을 포함한다. 향기 발생 장치(200)는 체감형 의자(100)에 구비된 다수의 노즐(8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노즐(810)은 향기를 분사하여 고객의 후각을 자극한다. 이러한 다수의 노즐(810)은 특수효과 체감형 의자(100)의 각 좌석마다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짝수 번째 또는 홀수 번째 좌석에만 구비되거나, 두 좌석 이상 이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향기 발생 장치(200)는 다중 배관(230)은 각 배관 내에 향기를 한 방향으로만 전달하고 향기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 밸브 집합체(231)가 특수효과 체감형 의자(800)의 근접 위치에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체크 밸브 집합체(231)는 다수의 노즐(810)과 공용 배관(232)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통신 제어부(220)는 프로그램화된 향 온(ON) 및 오프(OFF) 신호를 해당 통신 라인(예컨대, RS-485, CAN 등)을 통해 수신한다. 그리고 통신 제어부(220)는 수신된 향 온(ON) 및 오프(OFF) 신호에 따라 향기 발생부(210)에 스위치 신호를 동작시킨다.

    향기 발생부(210)는 상영관 내에 한 개만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여러 개의 특수효과 체감형 의자(100)를 그룹지어 대응되게 비치할 수 있다.

    다중 배관(230)은 향기 종류별로 대응되는 배관들을 구비하여 다수의 노즐(810)과 향기 발생부(210)를 연결하고, 향기 발생부(210)에서 배출된 향기 기체를 다수의 노즐(810)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다중 배관(230)은 향기 발생부(210)로부터 분사된 향기를 다수의 노즐(810)로 공급해준다. 이러한 다중 배관(230)은 다수의 노즐(810)을 향기 발생부(210)와 연결하고 다양한 종류의 향기들이 통과하는 배관이라 할 수 있다. 다중 배관(230)은 다수의 노즐(810)과 함께 특수효과 체감형 의자(100)에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맨 앞좌석의 경우, 맨 앞좌석열에 착석한 고객에게 향기 기체를 발생하기 위한 특수효과 체감형 의자(800) 대신 특수효과 바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특수효과 바에 노즐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노즐이 다중 배관(23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다중 배관(230)은 각 배관 내에 향기를 한 방향으로만 전달하고 향기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 밸브 집합체(231)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다중 배관(230)은 적어도 하나의 향기 발생부(210)로부터 배출되는 향기 기체가 다중 배관(230)을 통해 다른 배관으로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향기 발생 장치에서의 향기 발생부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향기 발생 장치(200)에서의 향기 발생부(900)는 향기 분무부(910), 액체 저장부(920) 및 연결관(930)를 포함한다.

    여기서, 향기 분무부(910)는 분무 노즐(911), 향기 부재(912), 제2 챔버(913), 공기 주입구(914) 및 공기 배출구(915)를 포함한다. 제2 챔버(913)는 내부에 향기 부재(912) 및 분무 노즐(911)을 포함한다. 여기서, 분무 노즐(911)은 회수 구멍(9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저장부(920)는 공기 주입구(921), 수위 게이지(922) 및 제1 챔버(923)를 포함한다. 제1 챔버(923)는 향기 액체를 보관한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향기 발생 장치(200)에서의 향기 발생부(900)의 구성요소 각각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향기 발생 장치(200)의 통신 제어부(220)는 영상 재생 전 또는 수시로 프로그램화된 향기 액체의 분무 온(ON) 및 오프(OFF) 신호를 해당 통신 라인(예컨대, RS-485, CAN 등)을 통해 전송받아 제1 스위치 신호를 동작한다.

    그러면, 액체 저장부(920)는 제1 스위치 신호에 따라 공기 주입구(921)를 통해 압축된 공기를 주입받는다. 액체 저장부(920)에는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 주입구(92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챔버(923)에 보관된 향기 액체는 주입된 압축 공기에 의해 연결관(930)를 따라 향기 분무부(910)의 분무 노즐(911)로 전달된다. 즉, 액체 저장부(920)는 제1 챔버(923)에 보관된 향기 액체를 전달한다. 분무 노즐(911)은 액체 저장부(920)로부터 전달받은 향기 액체를 분무한다. 분무된 향기 액체가 향기 부재(912)로 침투된다. 향기 분무부(910)에 압축 공기가 주입되면, 향기 기체가 흘러나옴과 동시에 압축 공기의 압력이 향기 분무부(910) 내에 작용하게 된다.

    향기 부재(912)는 부직포 또는 발포 용기로 이루어진다. 향기 부재(912)는 분무 노즐(911)에서 분무된 향기 액체를 침투받아 향기 액체를 보관한다.

    수위 게이지(922)는 제1 챔버(923)에 연결되며 제1 챔버(923)에 보관된 향기 액체의 수위와 동일한 수위를 유지하여 제1 챔버(923)에 보관된 향기 액체의 수위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수위 게이지(922)는 양쪽이 제1 챔버(923)의 상부 및 하부에 연결되고, 수위 게이지(922)가 제1 챔버(923)의 상부 및 하부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챔버(923)에 보관된 향기 액체의 수위와 동일한 수위를 유지한다. 수위 게이지(922)는 제1 챔버(923)에 보관된 향기 액체의 수위를 표시하여 외부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향기 액체의 사용량 및 잔량을 확인 가능하게 하고, 향기 액체의 보충 시점을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액체 향기의 수위를 외부에 표시하는 수위 게이지(922)로 인해 사용량 및 잔량, 액체 향기의 수위 및 액체 향기의 보충시점이 확인될 수 있다.

    향기 분무부(910)는 원하는 시점에 수시로 향기 부재(912)에 향기 액체를 침투시켜 항상 일정한 농도의 향기를 유지시킴으로써 향기 발생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한편, 향기 발생 장치(200)의 통신 제어부(220)는 해당 영상에 동기되어 프로그램화된 향 온(ON) 및 오프(OFF) 신호를 해당 통신 라인(예컨대, RS-485, CAN 등)을 통해 전송받아 제2 스위치 신호를 동작시킨다.

    그러면, 향기 분무부(910)는 제2 스위치 동작 신호에 따라 액체 저장부(920)로부터 전달받은 향기 액체를 분무 노즐(911)을 통해 향기 부재(912)에 침투시키고, 주입된 공기를 향기 부재(912)에 통과시켜 향기 기체를 배출한다. 구체적으로, 향기 분무부(910)는 공기 주입구(914)를 통해 압축된 공기를 주입받고, 주입된 공기가 향기 부재(912)를 통과하면서 침투된 향기 액체로부터 향기 기체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향기 분무부(910)는 발생된 향기 기체를 공기 배출구(915)를 통해 배출한다.

    연결관(930)는 제2 챔버(913)와 제1 챔버(923)를 연결한다. 제1 챔버(923)에 보관된 향기 액체는 액체 저장부(920)에 주입된 압축된 공기의 압력에 의해 제2 챔버(913) 내부의 분무 노즐(911)로 전달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명세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향기 발생부에서의 향기 발생 과정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향기 발생부(900)에서의 향기 발생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향기 발생 장치(200)의 통신 제어부(220)는 영상 재생 전 또는 수시로 프로그램화된 향기 액체의 분무 온(ON) 및 오프(OFF) 신호를 해당 통신 라인(예컨대, RS-485, CAN 등)을 통해 전송받아 제1 스위치 신호를 동작한다.

    도 10의 S1002 과정에서, 액체 저장부(920)는 제1 스위치 신호에 따라 공기 주입구(921)를 통해 압축된 공기를 주입받는다.

    도 10의 S1004 과정에서, 제1 챔버(923)에 보관된 향기 액체는 주입된 압축 공기의 압력 작용에 의해 향기 분무부(910)의 분무 노즐(911)로 전달된다.

    도 10의 S1006 과정에서, 분무 노즐(911)은 액체 저장부(920)로부터 전달된 향기 액체를 향기 부재(912)로 분무한다.

    도 10의 S1008 과정에서, 분무 노즐(911)로부터 분무된 향기 액체는 향기 부재(912)에 침투된다.

    이후, 향기 발생 장치(200)의 통신 제어부(220)는 해당 영상에 동기되어 프로그램화된 향 온(ON) 및 오프(OFF) 신호를 해당 통신 라인(예컨대, RS-485, CAN 등)을 통해 전송받아 제2 스위치 신호를 동작시킨다.

    도 11의 S1010 과정에서, 향기 분무부(910)는 제2 스위치 동작 신호에 따라 공기 주입구(914)를 통해 압축된 공기를 주입받고, 주입된 공기가 향기 부재(912)를 통과하면서 침투된 향기 액체로부터 향기 기체를 발생시킨다.

    도 11의 S1012 과정에서, 향기 분무부(910)는 발생된 향기 기체를 공기 배출구(915)를 통해 배출한다.

    한편, 분무 노즐(911)에는 분무 노즐(911) 외에도 일측에 미세한 향기 액체를 회수할 수 있는 회수 구멍(916)이 설치되어 있다. 이 회수 구멍(916)을 통하여 향기 분무부(910) 내에 압력 작용시 또는 장시간 방치 시에 누적되어 잔류된 향기 액체가 회수된다. 또한, 회수 구멍(916)은 분무 노즐(911)이 향기 액체에 잠겨 분무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분무 노즐(911)의 노즐 분무 시에도 회수 구멍(916)을 통해서 향기 액체가 흘러나온다. 하지만, 회수 구멍(916)의 구멍 크기가 미세하여 향기 액체 분무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명세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명세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200: 향기 발생 장치 210, 900: 향기 발생부
    220: 통신 제어부 230: 다중 배관
    410: 액체 분무부 411: 공기 주입구
    412, 923: 제1 챔버 413: 액체 분무부
    420: 필터부 421: 공기 배출구
    422, 913: 제2 챔버 423: 필터
    430, 930: 연결관 431: 체크 밸브
    800: 특수효과 체감형 의자 810: 노즐
    910: 향기 분무부 911: 분무 노즐
    912: 향기 부재 920: 액체 저장부
    921: 공기 주입구 922: 수위 게이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