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대용 온열보료

申请号 KR1020130113424 申请日 2013-09-24 公开(公告)号 KR1020150033421A 公开(公告)日 2015-04-01
申请人 이원복; 发明人 이원복;
摘要 본발명은침대용온열보료에관한것이다. 본발명은길이방향을따라복수열로구성되는방열부가돌출형성되는방열패널; 상기방열패널의상측에구성되어내부에축열매체가순환하며, 축열매체와절연체의누수를방지하는실리콘마개와, 전원공급선및 열선을고정시키는밀폐수단을포함하는방열관; 상기방열패널및 방열관의상측에적층구성되며, 원적외선을방사하여사용자의건강을증진시키는충진부재; 타일류, 동판, 철판중 어느하나로제작되어충진부재의상측에적층구성되며, 방열관을통해순환하는수맥및 전자파를차단하는상판과, 이상판의상측에적층구성되며, 소정의쿠션력을가지는마감부재; 일면에상기방열패널및 방열관의온도를측정하는온도측정모듈이구성되고, 상기방열패널, 충진부재및 마감부재가내장설치되는온열패널;을포함하고, 상기온열패널이내장삽입되며, 전원공급및 온도조절이이루어지도록전원공급부및 온열패널에전원을공급하는전원스위치와, 온열패널의측정온도및 설정온도가표시되는디스플레이부와, 온열패널의온도를설정하는온도제어스위치로이루어진온도조절기가설치된베이스프레임을포함하는것을특징으로하는침대용온열보료를제공한다.
权利要求
  •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열로 구성되는 방열부가 돌출 형성되는 방열패널;
    상기 방열패널의 상측에 구성되어 내부에 축열매체가 순환하며, 축열매체와 절연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실리콘 마개와, 전원 공급선 및 열선을 고정시키는 밀폐수단을 포함하는 방열관;
    상기 방열패널 및 방열관의 상측에 적층 구성되며,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충진부재;
    타일류, 동판, 철판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되어 충진부재의 상측에 적층 구성되며, 방열관을 통해 순환하는 수맥 및 전자파를 차단하는 상판과, 이 상판의 상측에 적층 구성되며, 소정의 쿠션력을 가지는 마감부재;
    일면에 상기 방열패널 및 방열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모듈이 구성되고, 상기 방열패널, 충진부재 및 마감부재가 내장 설치되는 온열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온열패널이 내장 삽입되며, 전원 공급 및 온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전원 공급부 및 온열패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스위치와, 온열패널의 측정온도 및 설정온도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온열패널의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 제어 스위치로 이루어진 온도 조절기가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온열보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열패널의 내측 측면 및 바닥면에 밀착되며, 상기 방열패널의 하측에 위치하여 온열보료의 열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은박매트 또는 열반사 시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단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온열보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패널에는 방열부의 내부로 방열관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집중되는 방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온열보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패널에는 방열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클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온열보료.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은 방열관의 상부 외주면을 가압하는 상부 압착부와, 이 상부 압착부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어 방열패널과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부 압착부의 타단에 연장 형성되며, 방열패널의 양단에 삽입 고정되는 플랜지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온열보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재는 황토 또는 석고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온열보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관의 내부에 충진되는 축열매체는 염화칼슘으로 이루어지며, 절연체는 구리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온열보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기는 온도 측정모듈을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하거나,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온열보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기는 복수 구성되는 온열패널의 측정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온도를 일정 시간 유지하는 경우,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설정된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일정 시간 유지하는 경우,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온열보료.
  • 说明书全文

    침대용 온열보료{Heating Mattress For Bed}

    본 발명은 신진대사의 활성화시켜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안락하고 편안한 취침을 유도하여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전열체의 발열에 의해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발생률을 향상시키는 침대용 온열보료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생활이 바쁘고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숙면과 휴식의 중요성이 주요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편리한 기능을 갖춘 침대가 많이 보급되고 있지만, 보다 편안하고 안락한 수면을 취할 수 있는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는 계속 증가하고 있고, 이에 부응하기 위해 온돌문화의 유익함을 침대에 접목시키는 다양한 연구와 노력이 전개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온열침대는 석판 내부에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열선을 배선하여 일정한 온도로 가열 사용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누울 수 있도록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17487호, 침대용 보료 및 그 제조방법(이하, 선행기술 1)이 개시된 바 있으며, 이러한 선행기술 1은 내부에 윗면만을 개구한 수납홈을 형성한 몸체, 열판과 그 열판의 일면에 송이가루 혼합물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되는 원적외선 방사층이 순차로 적층되는 구조를 이루어 상기 몸체의 수납홈에 열판이 아래에 위치하도록 수납되어 온열과 원적외선을 공급하도록 한 패널 및 몸체를 감싸 보료의 표면을 이루도록 한 외피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패널에서 원적외선 방사층 위에는 쿠션층을 더 적층하며, 패널에서 쿠션층 위에는 일면에 송이가루 혼합물을 도포한 종이포를 더 적층하며, 패널에서 열판위에는 동판이 적층되거나 다수개의 자석부재들이 더 배열형성되며, 원적외선 방사층은 동판 또는 자석부재들이 배열된 열판위에 형성하며, 송이가루 혼합물은 송이가루와 물과 접착제가 혼합되는 침대용 보료가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전술한 선행기술 1은 침대용 보료를 제조하기 위한 과정이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송이가루에 의한 온열 및 원적외선이 보료의 전체 면적에 골고루 발산되지 못하고, 장기간 유지하기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08-0000997호, 침대용 온열보료(이하, 선행기술 2)는 하부 받침패널의 상측 가장자리에 테두리각재를 고정되게 구성하고, 테두리각재 내측 하부에 전열선과 단열재를 결합 구성한 전열층과, 전열층 상측으로 각종 건강물질을 내입 형성한 원적외선 방사층 및 원적외선 방사층의 상측에 최종적으로 마감외장재를 적층 구성한 침대용 온열보료에 있어서, 받침패널과 전열층 사이에 내입 구성된 쿠션층, 건강물질이 내입되도록 상부 칸막이원단과 하부 칸막이원단의 재봉으로 구성되어 원적외선 방사층을 이루는 포켓 및 전열층과 원적외선 방사층 사이에 내입 구성되며, 위사와 경사에 구리사가 합사되며 은박(銀箔)이 합포된 차폐원단을 포함하는 침대용 온열보료가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전술한 선행기술 2에 구성된 건강물질은 황토분말, 숯 분말, 녹차 분말, 솔잎 분말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 건강물질의 원가와 전체 중량이 너무 높아져 생산, 운반 및 설치가 곤란하였으며, 온열보료의 상부 전체에 원적외선 및 음이온 등이 고르게 방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교류전기를 사용하는 온열 침대는 인체에 해로운 전자파를 발생하게 된다. 즉 교류전기에서 발생하는 60㎐의 전기장과 자기장인 전자파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전자파로부터의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전자파를 차폐하는 기능을 가지는 온열침대를 개발하고 있으나, 전자파로부터의 완벽한 보호가 어려운 실정이며, 종래의 발열체로 이용되는 철 크롬, 니크롬 등의 금속소재의 열선은 열용량이 크고 상승 및 하강 온도 특성이 좋지 않고, 비산화성 분위기 중에서는 고온 내구성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열선 주변을 위주로 가열되기 때문에 전체가 균일하게 가열되지 않고 초기 히팅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온열매트나 온열보료에서 전열층과 건강물질층 사이에 동판을 내입하여 전자파 차단 및 전열 효과를 높이도록 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으나, 전열층 상측 전체를 전열성이 높은 동판으로 뒤덮을 경우 열 전도성이 너무 좋아 동판 상측의 건강물질을 태우거나 최상부의 마감재를 재질에 따라 눌어붙게 하거나 태워서 외부에서 볼 때 시커멓게 되어 상품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고, 세계적으로 원자재가격이 급상승하고 있는 오늘날에 동판 자체를 사용하는 것은 원가를 앙등시켜 제품의 가격을 상승시켜 경제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17487호 (2012.02.10.)

    (특허문헌 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08-0000997호 (2008.05.13.)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진대사의 활성화시켜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안락하고 편안한 취침을 유도하여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전열체의 발열에 의해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발생률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염화칼슘으로 이루어진 축열매체와 구리스로 이루어진 절연체가 충진되는 방열관을 내장시켜 온열보료의 적층구조를 개선하고, 전자파와 수맥파 등의 신체에 유해한 파장을 차단함으로써, 온열효율을 극대화함에 따라 신체에 보다 더 이로운 효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열로 구성되는 방열부가 돌출 형성되는 방열패널; 상기 방열패널의 상측에 구성되어 내부에 축열매체가 순환하며, 축열매체와 절연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실리콘 마개와, 전원 공급선 및 열선을 고정시키는 밀폐수단을 포함하는 방열관; 상기 방열패널 및 방열관의 상측에 적층 구성되며,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충진부재; 타일류, 동판, 철판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되어 충진부재의 상측에 적층 구성되며, 방열관을 통해 순환하는 수맥 및 전자파를 차단하는 상판과, 이 상판의 상측에 적층 구성되며, 소정의 쿠션력을 가지는 마감부재; 일면에 상기 방열패널 및 방열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모듈이 구성되고, 상기 방열패널, 충진부재 및 마감부재가 내장 설치되는 온열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온열패널이 내장 삽입되며, 전원 공급 및 온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전원 공급부 및 온열패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스위치와, 온열패널의 측정온도 및 설정온도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온열패널의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 제어 스위치로 이루어진 온도 조절기가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온열보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온열패널의 내측 측면 및 바닥면에 밀착되며, 상기 방열패널의 하측에 위치하여 온열보료의 열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은박매트 또는 열반사 시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단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온열보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열패널에는 방열부의 내부로 방열관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집중되는 방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온열보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열패널에는 방열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클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온열보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은 방열관의 상부 외주면을 가압하는 상부 압착부와, 이 상부 압착부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어 방열패널과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부 압착부의 타단에 연장 형성되며, 방열패널에 형성된 지지 플랜지가 삽입 고정되는 플랜지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온열보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재는 황토 또는 석고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온열보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열관의 내부에 충진되는 축열매체는 염화칼슘으로 이루어지며, 절연체는 구리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온열보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온도 측정모듈은 온열보료를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하거나,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온열보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온도 측정모듈은 복수 구성되는 온열보료의 온도를 측정하여 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온도를 일정 시간 유지하는 경우,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설정된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일정 시간 유지하는 경우,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온열보료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신진대사의 활성화시켜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안락하고 편안한 취침을 유도하여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전열체의 발열에 의해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발생률을 극대화하여 장시간 동안 고르게 방사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염화칼슘으로 이루어진 축열매체와 구리스로 이루어진 절연체가 충진되는 방열관을 내장시키고, 전자파와 수맥파 등의 신체에 유해한 파장을 차단함으로써, 온열효율을 극대화함에 따라 신체에 보다 더 이로운 효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온열보료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온열보료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온열보료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온열보료의 방열관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온열보료의 방열패널을 나타낸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온열보료를 나타낸 평면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온열보료의 전자파 장해여부에 대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표 및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온열보료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온열보료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온열보료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온열보료의 방열관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온열보료의 방열패널을 나타낸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온열보료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침대용 온열보료는 단열부재(120), 방열패널(130), 다중 방열관(140), 충진부재(150), 상판(160) 및 마감부재(170)가 순차적으로 적층 구성되고, 일면에 온도 측정모듈(190)이 구성된 온열패널(110)이 구비되며, 이 온열패널(110)이 내장 삽입되며, 전원 공급 및 온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전원 공급부(330)와, 온도 조절기(320)가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3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온열패널(110)은 통상의 침대 프레임을 이루는 사각 프레임으로, 내부에 각 구성요소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내장되는 내장부(112)가 형성된다. 이러한 온열패널(110)은 목재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어 일체로 구성되거나, 고정피스 등에 의해 바닥패널과 측면패널이 상호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온열패널(110)은 온열보료의 베이스 프레임(310)의 크기에 따라 적어도 2개 이상 복수 구성되며, 서로 일체로 구성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온열패널(110)은 침대 사이즈의 싱글, 더블, 퀸 사이즈와 같은 크기로 제작되며, 더블과 같은 사이즈로 이루어지는 경우, 싱글 크기의 온열패널(110)이 복수 구성되어 서로 연결되게 구성되며, 퀸 사이즈로 구성되는 경우, 총 3개의 온열패널(110)이 서로 연결되게 구성되어 베이스 프레임(310)에 설치되는 거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온열패널(110)에는 온열보료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모듈(190)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단열부재(120)는 온열패널(110)의 내장부(112)에 삽입되며, 온열패널(110)의 내측 측면 및 바닥면에 밀착되어 온열보료의 열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은박매트 또는 열반사 시트 등으로 구성된다.

    방열패널(130)은 철재와 같은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온열보료의 강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다중 방열관(140)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의 방열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단열부재(120)의 상측으로 적층 구성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열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 구성되는 방열부(132)가 상향 돌출 형성되며, 이 방열부(132)의 내부로 다중 방열관(140)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집중되는 방열홈(134)이 형성된다.

    또한, 방열패널(130)은 그 양단에 다중 방열관(140)이 고정 설치되는 지지 플랜지(136)가 형성되어 방열패널(130)과 다중 방열관(140) 간의 접촉 면적을 향상시키며, 이 다중 방열관(140)이 방열패널(130)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방열패널(130)은 방열부(132)가 엠보싱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충격에 의한 소음을 흡수함에 따라 방음 및 층간 소음을 해소할 수 있으며, 방열부(132)의 내부에 구성된 방열홈(134)을 통해 단열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방열패널(130)에는 다중 방열관(140)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클립(180)이 구비된다.

    고정클립(180)은 지지 플랜지(136)의 단부가 삽입 고정되어 방열패널(130)과 결합되며, 다중 방열관(140)의 상부 외주면을 압착하여 다중 방열관(140)과 방열패널(130)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복수 구비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고정클립(180)은 다중 방열관(140)의 상부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이 상부 외주면을 소정의 압력을 가압하는 상부 압착부(182)가 형성되고, 이 상부 압착부(182)의 일측 단부에는 방열패널(130)과 결합되어 고정클립(180)과 방열패널(13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결합부(186)가 형성되며, 타측 단부에는 방열패널(130)의 지지 플랜지(136)의 단부가 삽입 및 고정되는 플랜지 고정부(184)가 형성되어 방열패널(130)과 다중 방열관(140) 간의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다중 방열관(140)은 방열패널(130)의 상측에 구성되어 온도 측정모듈(190)의 제어에 따라 축열매체가 순환하면서 소정의 열을 전달하는 것으로, 내부에 염화칼슘으로 이루어진 축열매체와 구리스로 이루어진 절연체가 충진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다중 방열관(1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열매체와 절연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실리콘 마개(210) 및 실리콘 마개(210)의 단부에 구성되어 방열관(140)의 단부를 밀폐시키고, 전원 공급선(202) 및 이 전원 공급선(202)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이를 열에너지로 전환하는 열선(204)을 고정시키는 밀폐수단(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전원 공급선(202)은 이중 밀폐 방열관의 외부에 구성된 전원 공급부와 연결되며, 타단이 절연부재(216)에 의해 열선(20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열선(204)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 공급선(202)은 밀폐수단(220)을 통해 인입된다.

    또한, 실리콘 마개(210)는 방열관(140)의 양측 단부를 밀폐하며, 축열매체와 절연체가 충진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실리콘 마개(210)는 축열매체를 밀폐하며, 그 중앙이 관통되어 전원 공급선(202)의 단부가 삽입 고정되고, 축열매체와 절연체, 또는 실리콘 마개(210)가 열선(204)으로부터 절연되도록 하여 전자파를 차단하는 절연부재(216)가 구비된 제1실리콘 마개(212)와, 이 제1실리콘 마개(212)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며, 구리스로 이루어진 절연체가 충진되고 밀폐수단(220)에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제2실리콘 마개(2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밀폐수단(220)은 방열관(140)의 양측 단부 외주면에 체결되어 이 방열관(140)을 밀폐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제2실리콘 마개(214)가 삽입 고정되어 완전한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밀폐마개(230)와, 방열관(140)과 밀폐수단(220)이 더욱 견고한 체결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한 체결너트(240)가 구성된다.

    충진부재(150)는 방열패널(130) 및 다중 방열관(140)의 상측에 적층 구성되어 소정의 쿠션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 이로운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충진부재(150)는 황토 분말, 숯 분말, 녹차 분말, 솔잎 분말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석고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혈액을 촉진시키고 신진대사를 왕성하게 하고, 관절염, 근육통, 요통, 자율신경 실조증에도 좋으며, 체내의 노폐물을 분해하고 자정능력이 있어 피부미용에도 좋으며, 황토에는 다양한 약성원소가 포함되어 있어 제독작용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항균작용 및 지혈작용과 동시에 응고제로서 뛰어난 치료효과가 있으며, 체내 독소를 제거하고 통증을 완화하며 염증을 제거하므로 암을 억제하는 효능을 가진 황토 분말을 사용하도록 한다.

    상판(160)은 타일류, 동판, 철판과 같은 재질로 제작되어 충진부재(150)의 상측에 적층 구성되며, 방열관(140)을 통해 순환하는 수맥 및 전자파를 차단하는 구성요소이다.

    마감부재(170)는 상판(160)의 상측에 적층 구성되며, 소정의 쿠션력을 가지도록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장판, 통풍력이 강화된 한지 및 강화마루 등으로 이루어져 온열보료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온도 측정모듈(190)은 온열패널(110)의 일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온열패널(110) 일측에 온열보료와 전기적으로 연결 구성되게 설치하여 온열보료에 구성된 방열관(140)의 온도를 측정하여 베이스 프레임(310)에 구성된 온도 조절기(320)로 전송하여 온열보료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온도 조절기(320)는 온도 측정모듈(190)로부터 전송된 온열패널(110)의 온도 즉, 방열패널(130) 및 방열관(140)의 내부에서 축열매체가 순환하는 순환온도에 대한 측정온도를 통해 온열보료의 온도를 조절하는 구성요소로서, 기 설정된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설정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온도 조절기(320)는 온열패널(110)의 외부 전원 공급 여부를 작동시키는 전원 스위치(322)와, 온도 측정모듈(190)로부터 전송되는 측정온도와 온열패널(110)의 설정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24) 및 사용자가 수동으로 온열패널(110)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도 제어 스위치(326)로 이루어져 온열패널(110)의 온도를 자유롭게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온도 조절기(320)는 온열보료의 베이스 프레임(310)에 복수 구성되는 온열패널(110) 마다 각각 구성되는 온도 측정모듈(190)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거나,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온도 조절기(320)는 각각의 온열보료의 온열패널(110)에 대한 측정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온도를 일정 시간 유지하는 경우,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설정된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일정 시간 유지하는 경우,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화재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온열보료의 온열패널(110)의 온도가 80℃ ~ 100℃를 1시간 동안 유지하는 경우, 방열관(140)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온열패널(110)의 온도를 60℃ 이하로 저하시켜 사용자에게는 항상 안정적으로 따뜻한 온도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를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온열패널(110)의 온도가 20℃ 이하로 1시간 동안 유지하는 경우, 방열관(140)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온열패널(110)의 온도를 상승시켜 사용자에게 항상 따뜻한 온도를 제공하여 안락하고 편안한 취침을 유도하여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온열패널(110)의 전자파 장해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연속성 잡음단자 전압 측정 실험 결과를 기재하도록 한다.

    시험 1

    측정 장소: 전자파 차폐실 5.3m(L)×3.0m(W)×2.9m(H)

    측정 단자: AC 전원 입력단

    측정 검파방식: 준첨두값(6dB 대역폭 : 9kHz), 평균값(6dB 대역폭 : 9kHz)

    시험환경: 온도(최고 22℃, 최저 21℃), 습도 (최고 40%RH, 최저 39%RH), 기압 102.1kPa

    전술한 시험 조건에 따른 침대용 온열보료의 전자파 장해 여부의 연속성 잡음단자 측정에 대한 실험 결과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값의 마진(dB)이 준첨두값의 최저 +47.6(dB)이고, 최대 +48.0으로서, 그 평균값이 최저 40.6(dB), 최대 41.7(dB)로서, 연속성 잡음단자 전압의 측정 결과, 전자파를 차단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시험 2

    측정 장소: 전자파 차폐실 8.2m(L)×5.0m(W)×3.8m(H)

    측정 단자: AC 전원 입력단

    측정 검파방식: 준첨두값(6dB 대역폭 : 120kHz), 평균값(6dB 대역폭 : 120kHz)

    시험환경: 온도(최고 22℃, 최저 21℃), 습도 (최고 48%RH, 최저 47%RH), 기압 101.8kPa

    전술한 시험 조건에 따른 침대용 온열보료의 전자파 장해 여부의 잡음전력 측정에 대한 실험 결과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값의 마진(dB)이 준첨두값의 최저 +29.8(dB)이고, 최대 +44.2이고, 그 평균값이 최저 35.1(dB), 최대 35.3(dB)로서, 잡음전력의 측정 결과, 전자파를 차단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침대용 온열보료는 신진대사의 활성화시켜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안락하고 편안한 취침을 유도하여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전열체의 발열에 의해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발생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염화칼슘으로 이루어진 축열매체와 구리스로 이루어진 절연체가 충진되는 방열관을 내장시켜 온열보료의 적층구조를 개선하고, 전자파와 수맥파 등의 신체에 유해한 파장을 차단함으로써, 온열효율을 극대화함에 따라 신체에 보다 더 이로운 효능을 얻을 수 있는 발명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온열패널 120: 단열부재
    130: 방열패널 132: 방열부
    134: 방열홈 136: 지지 플랜지
    140: 방열관 150: 충진부재
    160: 상판 170: 마감부재
    180: 고정클립 190: 온도 측정모듈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