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 대피용 소파

申请号 KR1020110025922 申请日 2011-03-23 公开(公告)号 KR1020120108257A 公开(公告)日 2012-10-05
申请人 김승일; 发明人 김승일;
摘要 PURPOSE: A sofa for evacuating earthquake is provided to prepare for fear and danger in the collapse of buildings and to enhance space utilization. CONSTITUTION: A sofa for evacuating earthquake comprises a seat, a seat back(120), a support member(130), a frame unit(100), and a cushion unit(200). The seat supports the buttocks of a user at a predetermined height. The seat back is formed at a fixed angle with the flat plane of the seat. The support member is extend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eat and seat back. The frame is made of a metal material. The cushion unit shields the exterior of the frame unit from the outside and surrounds the exterior of the frame unit.
权利要求
  •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평탄면이 형성된 시트와, 상기 시트의 일측에 상기 시트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등받이와, 상기 시트와 등받이를 지지하도록 상기 시트와 등받이의 두께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시트와 등받이의 하측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공간부가 마련되며 상기 시트와, 등받이 및 지지부재가 금속 재질로 형성된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외면이 외부와 차폐되도록 함과 동시에 일정한 탄성을 구비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부의 외면을 감싸는 쿠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대피용 소파.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와, 등받이 및 지지부재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대피용 소파.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측면에는 상기 평탄면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일정한 내부 공간을 형성한 팔걸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대피용 소파.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쿠션부의 상호 접촉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는 삽입홈이 함몰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면에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대피용 소파.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부에는 상기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칸막이가 설치되며, 분할된 내부 공간에는 별도의 수납함이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대피용 소파.
  • 说明书全文

    지진 대피용 소파{SOFA FOR EVACUATING EARTHQUAKE}

    본 발명은 소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진 발생시 대피처로 활용할 수 있는 지진 대피용 소파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소파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부와,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부와, 팔을 올려 놓을 수 있는 팔걸이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특히, 상기 시트부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다리와, 각 다리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바와, 이 연결바에 상면에 장착되어 시트부의 지지 역할을 하는 골조로 나누어진다.

    상기 시트부의 다리는 수가공 또는 기계가공을 통하여 소정의 문양이 새겨지고, 이러한 다리의 상단부에는 각 다리를 연결하는 연결바가 장착되며, 이 연결바의 상면에는 소정 넓이의 골조가 장착된다.

    상기 골조는 사람이 앉을 수 있는 자리의 역할을 하는 동시에 소파의 전체 를 지지하는 상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것으로서, 다수개의 목재바 또는 목재판을 이용하고 있다.

    목재판 또는 목재바로 구성된 골조를 장착한 후에는, 골조가 보이지 않도록 천이나 인조합피 등으로 그 상부를 입혀주고, 상기 천이나 인조합피 상에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쿠션을 올려 놓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소파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목재로 제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지진이 발생하여 천장이나 벽체에서 콘크리트나 벽돌이 낙하될 경우 그 하중과 충격력을 견뎌내지 못하고 파손되기 때문에 사람이 대피할 수 있는 공간으로의 활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소파의 지지력을 높이기 위하여 소파의 내부에 여러 골조들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위급 상황시에 사람이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을 소파의 내부에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에 마련된 소파의 하중 지지력을 향상시킴으로써 건물의 붕괴 우려시 그 공포와 위험에 대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구조물을 마련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 생활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소파를 이용하여 지진 발생시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저비용 고효율의 지진 대피용 소파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지진 대피용 철재 소파는,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평탄면이 형성된 시트와, 상기 시트의 일측에 상기 시트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등받이와, 상기 시트와 등받이를 지지하도록 상기 시트와 등받이의 두께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시트와 등받이의 하측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공간부가 마련되며 상기 시트와, 등받이 및 지지부재가 금속 재질로 형성된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외면이 외부와 차폐되도록 함과 동시에 일정한 탄성을 구비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부의 외면을 감싸는 쿠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시트와, 등받이 및 지지부재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의 측면에는 상기 평탄면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일정한 내부 공간을 형성한 팔걸이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쿠션부의 상호 접촉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는 삽입홈이 함몰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면에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팔걸이부에는 상기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칸막이가 설치되며, 분할된 내부 공간에는 별도의 수납함이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진 대피용 소파는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에 마련된 소파의 하중 지지력을 향상시킴으로써 건물의 붕괴 우려시 그 공포와 위험에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구조물을 마련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 생활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소파를 이용하여 지진 발생시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측 팔걸이부가 분리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 대피용 소파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 대피용 소파의 팔걸이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선 단면도이며,
    도 5는 지진 발생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 대피용 소파의 내부로 사람이 대피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 대피용 소파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측 팔걸이부가 분리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 대피용 소파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 대피용 소파의 팔걸이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선 단면도이며, 도 5는 지진 발생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 대피용 소파의 내부로 사람이 대피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 대피용 소파는,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평탄면(111)이 형성된 시트(110)와, 시트(110)의 일측에 시트(110)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등받이(120)와, 시트(110)와 등받이(120)를 지지하도록 시트(110)와 등받이(12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재(130)로 구성되고, 시트(110)와 등받이(120)의 하측에 외부와 연통되는 공간부(130)가 마련되며 금속 재질로 형성된 프레임부(100)와, 프레임부(100)의 외면이 외부와 차폐되도록 함과 동시에 일정한 탄성을 구비하도록 하기 위하여 프레임부(100)의 외면을 감싸는 쿠션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시트(110)는 사용자가 엉덩이를 안착시켜 일정한 높이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부재로서 그 상면에는 사용자가 엉덩이를 안착시킬 경우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평탄하게 형성된 평탄면(111)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등받이(120)는 사용자가 시트(110)에 안착시에 사용자의 등이 위치한 시트(110)의 후방 일측에 시트(110)와 일체로 구비되며, 사용자의 등을 등받이에 기댈시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시트(110)의 평탄면(111)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시트(110)와 등받이(120)가 지면에서부터 일정한 높이에 위치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130)가 시트(110)와 등받이(12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시트(110)와 등받이(120)의 일측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재(130)는 소파에 사용자가 안착시에 사용자의 다리가 위치하는 시트(110)의 전면과, 사용자의 등이 위치하는 등받이(120)의 배면에만 형성되어 시트(110)와 등받이(120)의 양측면은 외부로 연통되도록 하고 그 하측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별도의 공간부(14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면과 접촉되는 지지부재(130)의 단부에는 지면과의 접촉 면적을 확장시켜 시트(110)와 등받이(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지면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절곡되어 일정 간격 연장 형성된 절곡부재(131)가 구비되어 있다.

    쿠션부(200)는 사용자가 소파에 안착시에 사용자가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시트(110)와 등받이(120)의 표면이 일정한 탄성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시트(110)와 등받이(120) 및 지지부재(130)의 외면에 구비되는 부재이다.

    쿠션부(20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 시트(110), 등받이(120) 및 지지부재(130)에 사용자가 부딪힐 경우에 사용자가 다치지 않도록 소파의 외면을 외부와 차폐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지진 등에 의하여 건물이 붕괴되어 천정에서 벽돌이나 그 밖의 물건들이 낙하하여 소파에 부딪힐 경우에 그 충격력을 감쇄시키는 역할도 한다.

    한편, 프레임부(100)의 측면에는 평탄면(111)보다 높게 형성되어 프레임부(10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일정한 내부 공간을 형성한 팔걸이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팔걸이부(300)가 프레임부(10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됨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1인용 소파를 그 폭방향을 따라 여러 개 붙이고 양단에만 팔걸이부(300)를 구비하여 실내 공간의 폭에 맞추어 선택적으로 소파를 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지진 등이 발생시에 팔걸이부(300)를 용이하게 이동시켜 시트(110)와 등받이(120) 하측의 공간부(140)로 신속하게 대피하여 위급 상황시에 공간부(140)를 대피처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팔걸이부(300)에는 일정한 내부 공간(310)을 형성하여 그 내부 공간(310)이 적당한 공간으로 분할되며, 그 상면 일측은 소파에 안착한 사용자의 팔을 올려서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평탄면(320)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팔걸이부(300)에는 내부 공간(310)을 분할하는 칸막이(330)가 설치되며, 분할된 내부 공간(310)에는 별도의 수납함(340)이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하여, 리모컨이나 볼펜, 메모지 등 여러 물건들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 공간으로 활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팔걸이부(300)가 프레임부(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는 다음과 같다.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 프레임부(100)의 시트(110)와 절곡부재(131)의 측면에 소정 간격 돌출되는 삽입돌기(111a, 131a)를 형성하고, 이러한 삽입돌기(111a, 131a)와 각각 접촉되는 팔걸이부(300)의 측면에는 삽입돌기(111a, 131a)가 삽입될 수 있는 깊이를 갖는 삽입홈(350)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소파가 일반적으로 벽면에 붙여진 상태로 배치됨을 감안하여, 지진 등이 발생한 위급 상황시에 팔걸이부(300)를 전방으로 당겨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신속하게 프레임부(100)에서 탈거시킬 수 있도록 삽입홈(350)은 벽면과 접촉되는 팔걸이부(300)의 배면 단부까지 완전히 절개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지진 대피용 소파를 거실이나 사무실에 배치하여 평상시에는 소파에 편안하게 앉아서 서로 담소를 나누거나 혹은 의회를 하는 용도로 사용하다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진이나 혹은 건물의 붕괴 등의 위급 상황시에는 소파의 팔걸이부(300)를 잡고 전면으로 당겨서 프레임부(100)에서 탈거시키고, 측면이 노출된 소파의 공간부(140)로 대피하여 몸을 보호할 수 있는 대피처로 사용하게 된다.

    위급 상황이 종료되면, 팔걸이부(300)를 다시 프레임부(100)의 측면으로 밀어 넣어 다시 소파의 기능으로 사용함으로써, 건물의 붕괴 우려시 그 공포와 위험에 대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구조물을 마련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 생활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소파를 이용하여 지진 발생시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지진 대피용 소파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이나 개조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이나 개조는 청구범위의 해석상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100 : 프레임부 110 : 시트
    111 : 평탄면 111a : 삽입돌기
    120 : 등받이부 130 : 지지부재
    131 : 절곡부재 131a : 삽입돌기
    140 : 공간부 200 : 쿠션부
    300 : 팔걸이부 310 : 내부공간
    320 : 평탄면 330 : 칸막이
    340 : 수납함 350 : 삽입홈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