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기능 주방가구

申请号 KR1020160071051 申请日 2016-06-08 公开(公告)号 KR1020170138785A 公开(公告)日 2017-12-18
申请人 박태관; 发明人 박태관;
摘要 본발명은필요에따라인출가능한조리대유닛과의자유닛을각각내장하여좁은공간에서도편리하게요리를할 수있고, 앉아서작업하여다리나허리에무기가가는것을방지하여노약자나다리가불편한분들이편리하게사용할수 있는다기능주방가구를 제공하기위한것이다. 본발명의다기능주방가구는, 상부에개수대(102)가구비되며, 내부에수용공간(101)이형성된본체(100); 상기본체(100)의내부에설치되며, 상방향으로인출되어상기개수대(102)의상부에전개되는조리대유닛(200); 상기본체(100)의내부에설치되며, 상기개수대(102)의전방으로인출되는의자유닛(300); 을포함한다.
权利要求
  • 상부에 개수대(102)가 구비되며, 내부에 수용공간(101)이 형성된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방향으로 인출되어 상기 개수대(102)의 상부에 전개되는 조리대유닛(200);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개수대(102)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의자유닛(3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주방가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대유닛(200)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제1안내레일(210);
    상기 제1안내레일(210)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승강부재(220);
    상기 승강부재(220)이 상기 제1안내레일(210)의 상부에 배치될 때 상기 조리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전개되는 조리판(2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주방가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개수대(102)의 일측에 상방향으로 개방된 조리대인출구(110)와, 상기 조리대인출구(110)를 개폐하는 제1도어(1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주방가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판(230)은,
    일단이 상기 승강부재(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조리판(231);
    상기 제1조리판(231)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조리판(23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주방가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전방에는 상기 의자유닛(300)이 인출되는 의지인출구가 개방 형성되고,
    상기 의자유닛(300)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폭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제2안내레일(310);
    상기 제2안내레일(310)을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받침대(320);
    상기 받침대(320)에 장착되어 상기 의자인출구(130)를 개폐하는 제2도어(330);
    상기 제2도어(330)와 상기 받침대(320) 사이에 장착되는 의자프레임(3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주방기구.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프레임(340)은,
    상기 제2도어(330)에 상하로 길게 고정 장착되는 고정다리(341);
    일단이 상기 고정다리(341)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좌판(342);
    상기 좌판(342)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접이다리(343); 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320)에는 상기 접이다리(343)가 상기 받침대(320)에 세워지게 전개될 때 상기 접이다리(343)가 물림 고정되는 지지구(32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주방가구.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320)와 상기 제2도어(330) 사이에 대각선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어 상기 제2도어(330)를 지지하는 보조지지대(335);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주방가구.
  • 说明书全文

    다기능 주방가구{Multi-function kitchen furniture}

    본 발명은 다기능 주방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도가 설치되는 개수부의 주변에 조리대가 구비되고, 앉아서 설거지를 할 수 있도록 의자가 구비된 다기능 주방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는 음식의 조리 및 설거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주방에 설치되는 주방가구로서, 통상적으로 상부에는 설거지를 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는 개수대(102)와, 개수대(102)의 양 측면에는 조리 작업을 수행하는 조리대 및 가스레인지나 오븐이 설치되는 가스레인지대, 그리고 조리대, 개수대(102) 및 가스레인지대의 하부에는 식기 및 주방도구 등을 수납하는 수납장이 구비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개수대(102)에서 설거지나 조리 등의 작업시 주부들은 계속하여 서 있는 상태로 작업하게 되어, 주부들의 가사노동에 따른 피로감이 더해지고 다소 장시간 작업한 경우에는 자연히 허리를 구부릴 수밖에 없어 작업 중 신체에 무리를 주게 되어 작업능률이 저하되고 허리디스크 등의 척추질환을 유발하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가정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의자를 개수대(102)에 배치하여 이용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으나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한다면 적절한 해결책이 될 수 없다.

    즉, 첫째로 가정에 설치된 개수대(102)에서 작업하기 적당한 높이를 갖춘 의자를 구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점, 둘째로 우연히 적당한 높이를 갖춘 의자가 구비되었다 하더라도 설거지나 조리 등의 가사작업을 하면서 필요에 따라 의자의 위치를 움직여주는 것이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 통상의 의자를 움직일 때는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 의자 전체를 들고 이동하고 내려주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점, 세째로 의자에 앉아서 작업을 하려면 통상적으로 의자 이용자의 다리가 개수대(102)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가 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개수대(102) 하단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야 하는데 시중에 유통되는 개수대(102)에는 이와 같이 하단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드물다는 점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남아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110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인출 가능한 조리대유닛과 의자유닛을 각각 내장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편리하게 요리를 할 수 있고, 앉아서 작업하여 다리나 허리에 무기가 가는 것을 방지하여 노약자나 다리가 불편한 분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주방가구 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기능 주방가구는, 상부에 개수대(102)가 구비되며, 내부에 수용공간(101)이 형성된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방향으로 인출되어 상기 개수대(102)의 상부에 전개되는 조리대유닛(200);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개수대(102)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의자유닛(300); 을 포함한다.

    상기 조리대유닛(200)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제1안내레일(210); 상기 제1안내레일(210)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승강부재(220); 상기 승강부재(220)이 상기 제1안내레일(210)의 상부에 배치될 때 상기 조리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전개되는 조리판(230); 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개수대(102)의 일측에 상방향으로 개방된 조리대인출구(110)와, 상기 조리대인출구(110)를 개폐하는 제1도어(120)가 구비된다.

    상기 조리판(230)은, 일단이 상기 승강부재(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조리판(231); 상기 제1조리판(231)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조리판(232); 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의 전방에는 상기 의자유닛(300)이 인출되는 의지인출구가 개방 형성되고, 상기 의자유닛(300)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폭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제2안내레일(310); 상기 제2안내레일(310)을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받침대(320); 상기 받침대(320)에 장착되어 상기 의자인출구(130)를 개폐하는 제2도어(330); 상기 제2도어(330)와 상기 받침대(320) 사이에 장착되는 의자프레임(340); 을 포함한다.

    상기 의자프레임(340)은, 상기 제2도어(330)에 상하로 길게 고정 장착되는 고정다리(341); 일단이 상기 고정다리(341)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좌판(342); 상기 좌판(342)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접이다리(343); 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320)에는 상기 접이다리(343)가 상기 받침대(320)에 세워지게 전개될 때 상기 접이다리(343)가 물림 고정되는 지지구(321)가 구비된다.

    상기 받침대(320)와 상기 제2도어(330) 사이에 대각선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어 상기 제2도어(330)를 지지하는 보조지지대(335); 를 더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기능 주방가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본체(100)의 개수대(102)의 상부로 필요에 따라 상기 조리판(230)을 인출하여 전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조리대 공간을 확장할 수 있어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조리판(230)이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제1조리판(231)과 제2조리판(232)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본체(100)의 상부로 인출되어 전개되거나 상기 본체(100) 내부로 인입될 때 상기 제2조리판(232)을 상기 제1조리판(231)에 대해 일정 각도로 회전되게 하여 상기 조리판(230)을 잡고 이동시키는 것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전방으로 상기 의자유닛(300)이 인출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앉아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여, 다리가 불편하신 분이나 노약자 분들이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받침대(320)에 상기 의자프레임(340)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구(321)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의자프레임(340)이 의자 형태로 전개되었을 때 상기 의자프레임(340)의 고정력을 향상시키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상기 제2도어(330)와 상기 받침대(320) 사이에 상기 보조지지대(335)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의자유닛(3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주방가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주방가구의 조리대유닛(200)과 의자유닛(300)이 전개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주방가구의 조리대유닛(200)이 전개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도 1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주방가구의 의자유닛(300)이 전개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도 3의 'C'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주방가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주방가구의 조리대유닛(200)과 의자유닛(300)이 전개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주방가구의 조리대유닛(200)이 전개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도 1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주방가구의 의자유닛(300)이 전개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도 3의 'C'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주방가구는 본체(100), 조리대유닛(200) 및 의자유닛(3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0)는 통상적으로 싱크대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101)이 형성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허리 정도의 높이를 갖으며, 상부에는 개수대(10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는 후술할 상기 조리대유닛(200)이 인출되는 조리대인출구(110)가 형성되며, 상기 조리대인출구(110)를 개폐하는 제1도어(120)가 구비된다.

    상기 조리대인출구(110)는 상기 개수대(102)의 일측에 배치되며,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01)과 연결된다.

    상기 제1도어(120)는 일측이 경첩에 의해 상기 조리대인출구(11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며, 회전하여 상기 조리대인출구(110)를 개폐하게 되고, 타측에는 상기 조리대인출구(110)의 타측에 구비된 원터치 잠금수단에 의해 한번 누르면 잠금되었다가 다시 한번 누르면 상방향으로 튀어 올라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도어(120)의 타측에는 후크돌기(121)가 형성되며, 상기 조리대인출구(110)의 타측에는 걸림부(111)와 탄성부재(112)가 구비된다, 상기 제1도어(12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후크돌기(121)가 상기 걸림부(111)와 맞물려 잠금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제1도어(120)를 하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112)는 압축되고, 상기 후크돌기(121)가 상기 걸림부(111)에서 해제되며, 상기 탄성부재(11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도어(120)는 상승하여 열리게 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제1도어(120)와 상기 조리대인출구(110) 사이에는 상기 제1도어(120)으 타측을 상방향으로 지지하는 댐퍼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전방에는 후술할 상기 의자유닛(300)이 인출되는 의자인출구(130)가 형성된다.

    상기 의자인출구(130)는 상기 본체(100)의 정면으로 개방된 부분으로, 내부의 상기 수용공간(101)과 연결된다.

    한편, 상기 조리대유닛(200)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방향으로 인출되어 상기 개수대(102)의 상부에 전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리대유닛(200)은 제1안내레일(210), 승강부재(220) 및 조리판(2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안내레일(210)은 통상적인 가구의 서랍 인출에 사용되는 레일기구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재(220)를 상하 슬라이드 이동되게 가이드하며, 2개로 이루어져 상기 조리대인출구(110)의 폭 방향 양단에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제1안내레일(210) 사이에 상기 승강부재(220)의 양단이 각각 삽입 장착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된다.

    상기 승강부재(220)는 상기 제1안내레일(210)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폭 방향으로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폭 방향 양단에는 상기 제1안내레일(210)을 따라 상하 이동시 회전하는 롤러가 다수개 구비되어 상하 이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조리판(230)은 납작한 넓은 판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승강부재(22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조리판(2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재(220)가 상기 제1안내레일(210)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되면 상하로 세워지게 배치되며,상기 조리대인출구(110)를 통해 상기 제1안내레일(210)을 따라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삽입된다.

    반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재(220)이 상기 제1안내레일(210)의 상부로 이동하여 배치될 때 상기 개수대(102)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본체(100)의 개수대(102)의 상부에 너비 방향으로 넓게 전개된다.

    또한, 상기 조리판(230)은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조리판(231)과 제2조리판(2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조리판(231)은 사각판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승강부재(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조리판(232)은 상기 제1조리판(231)과 동일한 사각판 형상으로, 상기 제1조리판(231)의 타측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제1조리판(231)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조리판(230)이 상기 제1조리판(231)과 제2조리판(232)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본체(100)의 상부로 인출되어 전개되거나 상기 본체(100) 내부로 인입될 때 상기 제2조리판(232)을 상기 제1조리판(231)에 대해 일정 각도로 회전되게 하여 상기 조리판(230)을 잡고 이동시키는 것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개수대(102)에 필요에 따라 상기 조리판(230)을 인출하여 전개되도록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조리대 공간을 확장할 수 있어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의자유닛(300)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개수대(102)의 전방으로 인출되어 상기 개수대(102)에서 설거지 등 작업을 할 때 앉을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의자유닛(300)은 제2안내레일(310), 받침대(320), 제2도어(330) 및 의자프레임(3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안내레일(310)은, 통상적으로 가구의 서랍 레일에 사용되는 레일기구로서, 상기 본체(100)의 내부 하단에 폭 방향으로 길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안내레일(310)은 2개로 이루어져 상기 의자인출구(130)의 너비 방향 양측에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제2안내레일(310) 사이에는 상기 받침대(32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받침대(320)는 사각판 형상이며, 상기 제2안내레일(310) 사이에 배치되어 너비 방향 양단이 각각 상기 제2안내레일(310)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장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받침대(320)의 너비 방향 양단에는 상기 제2안내레일(310)을 따라 이동될 때 회전하는 다수개의 롤러가 구비되어 이동을 부드럽게 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320)에는 후술할 상기 의자프레임(340)이 전개되었을 때 상기 의자프레임(34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321)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구(321)는 2개의 피스가 한 쌍을 이루며, 상기 제2안내레일(31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구(321)의 한 쌍의 피스 사이의 틈새에 후술할 상기 의자프레임(340)의 접이다리(343)의 하단이 끼워지게 되며, 폭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받침대(320)에 상기 의자프레임(340)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구(321)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의자프레임(340)이 의자 형태로 전개되었을때 상기 의자프레임(340)의 고정력을 향상시키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지지구(321)의 한 쌍의 피스는 스프링에 의히 상호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구(321)의 한 쌍의 피스 사이의 간격이 상기 접이다리(343)의 두께보다 좁게 배치되며, 그 사이에 스프링이 장착되고, 상기 접이다리(343)가 끼워질 때 피스 사이가 벌어지면서 스프링이 팽창되며,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접이다리(343)를 가압하게 됨으로써,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320)의 하단에는 상기 받침대(320)의 이동시 바닥면과 접하여 회전하는 이동바퀴(322)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바퀴(322)는 상기 받침대(320)의 전방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받침대(320)를 상기 제2안내레일(310)과 동일한 높이로 지지하며, 상기 받침대(320)가 인출될 때 회전하여 인출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제2도어(330)는 상기 의자인출구(130)를 덮을 수 있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대(320)의 전방에 상하로 세워지게 고정 장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2도어(330)와 상기 받침대(320) 사이에는 보조지지대(335)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지지대(335)는 긴 막대 형상으로, 상기 제2도어(330)의 상하 길이방향 가운데 부분에서 상기 받침대(320)의 폭 방향을 가운데로 대각선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게 설치되며, 상기 받침대(320)와 상기 제2도어(330)가 상호 직각으로 유지되도록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도어(330)와 상기 받침대(320) 사이에 상기 보조지지대(335)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의자유닛(3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의자프레임(340)은 상기 제2도어(330)와 상기 받침대(320) 사이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 형태를 구성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고정다리(341), 좌판(342) 및 접이다리(343)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다리(341)는 상하로 긴 막대 형상이며, 2개로 이루어져 너비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2도어(330)에 상하로 길게 고정 장착된다.

    상기 좌판(342)은 사각형의 납작한 판 형상이며, 상기 받침대(320)와 수평을 이루게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고정다리(341)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접이다리(343)는 상기 고정다리(341)와 동일한 막대 형상이며, 2개로 이루어져 상기 좌판(342)의 타단 양측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의자프레임(3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사용시에는 상기 좌판(342)과 상기 접이다리(343)가 상기 제2도어(330) 방향으로 세워지게 절첩 되었다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될 때에 상기 좌판(342)은 상기 받침대(320)에 수평하게 전개되고, 상기 접이다리(343)는 상기 좌판(342)의 하부로 세워지게 전개되어 의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전방으로 상기 의자유닛(300)이 인출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앉아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여, 다리가 불편하신 분이나 노약자 분들이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의자프레임(240)이 상기 제2도어(330)에 세워지게 절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본체(100)의 상기 수용공간(101)에 다른 물건을 수납할수 있게 되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발생 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주방가구는, 상기 본체(100)의 개수대(102)의 상부로 필요에 따라 상기 조리판(230)을 인출하여 전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조리대 공간을 확장할 수 있어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조리판(230)이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제1조리판(231)과 제2조리판(232)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본체(100)의 상부로 인출되어 전개되거나 상기 본체(100) 내부로 인입될 때 상기 제2조리판(232)을 상기 제1조리판(231)에 대해 일정 각도로 회전되게 하여 상기 조리판(230)을 잡고 이동시키는 것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전방으로 상기 의자유닛(300)이 인출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앉아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여, 다리가 불편하신 분이나 노약자 분들이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받침대(320)에 상기 의자프레임(340)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구(321)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의자프레임(340)이 의자 형태로 전개되었을 때 상기 의자프레임(340)의 고정력을 향상시키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상기 제2도어(330)와 상기 받침대(320) 사이에 상기 보조지지대(335)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의자유닛(3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본체 101 : 수용공간
    102 : 개수대 110 : 조리대인출구
    120 : 제1도어 130 : 의자인출구
    200 : 조리대유닛 210 : 제1안내레일
    220 : 승강부재 230 : 조리판
    231 : 제1조리판 232 : 제2조리판
    300 : 의자유닛 310 : 제2안내레일
    320 : 받침대 321 : 지지구
    322 : 이동바퀴 330 : 제2도어
    335 : 보조지지대 340 : 의자프레임
    341 : 고정다리 342 : 좌판
    343 : 접이다리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