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립성이 향상된 벤치

申请号 KR1020160057843 申请日 2016-05-11 公开(公告)号 KR101653522B1 公开(公告)日 2016-09-01
申请人 (자) 어반스케이프; 发明人 김주현;
摘要 본발명은조립성이향상된벤치에관한것으로서, 특히한 쌍이상호대향되게배치되고내부에삽입홈이형성된가로지지대와, 상기가로지지대의저면에구비된다리를포함하는프레임과; 일정간격을이루며상기가로지지대의삽입홈에양단이삽입되는다수의좌대와; 상기좌대의양단에고정되어상기삽입홈내에설치되고, 좌대사이의이격거리를유지시키는인서트;를포함하여구성되어, 인서트에의해이격거리가유지된다수의좌대를가로지지대에결합하면벤치가완성되므로되므로벤치의조립이용이한효과가있다.
权利要求
  • 한 쌍이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고 내부에 삽입홈(111)이 형성된 가로지지대(110)와, 상기 가로지지대(110)의 저면에 구비된 다리(120)를 포함하는 프레임(100)과; 일정간격을 이루며 상기 가로지지대(110)의 삽입홈(111)에 양단이 삽입되는 다수의 좌대(200)와; 상기 좌대(200)의 양단에 고정되어 상기 삽입홈(111) 내에 설치되고, 좌대(200) 사이의 이격거리를 유지시키는 인서트(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인서트(300)는 상기 다수의 좌대(200) 양단을 각각 둘러싸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고리(310)와;
    상기 고리(310) 사이를 연결하고, 주름(321)이 형성된 연결대(3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벤치.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300)는 다수개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되, 어느 하나의 고리(310) 측면에 돌출 형성된 끼움돌기(311)가 다른 어느 하나의 고리(310) 측면에 형성된 끼움홀(312)에 삽입됨으로써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벤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대(200)와 상기 인서트(300)는 볼트(B)로 결합되어 서로 고정되고, 상기 삽입홈(111)이 형성된 가로지지대(110)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요홈(112)이 형성되어,
    상기 요홈(112)을 통해 상기 좌대(200)와 인서트(300)를 연결한 볼트(B)의 머리 부분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벤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대(200)는 중앙의 두께가 가장 크고, 양단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벤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대(200)는 상면에 슬라이딩홈(210)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210)에는 쿠션(220)이 슬라이딩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벤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의 가로지지대(110)에는 끼움턱(113)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111)에 삽입된 좌대(200)의 양단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벤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가로지지대(110)의 후방 상면에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삽입홈(131)이 형성된 세로지지대(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세로지지대(130)의 삽입홈(131)에는 다수의 등받이대(400)가 일정간격을 이루며 양단이 삽입되며, 상기 등받이대(400)의 양단에는 상기 등받이대(400) 사이의 이격거리를 유지시키는 인서트(500)가 설치되고;
    상기 인서트(500)는 상기 다수의 등받이대(400) 양단을 각각 둘러싸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고리(510)와;
    상기 고리(510) 사이를 연결하고 주름(521)이 형성된 연결대(5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벤치.
  • 삭제
  • 삭제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500)는 다수개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되, 어느 하나의 고리(510) 측면에 돌출 형성된 끼움돌기(511)가 다른 어느 하나의 고리(510) 측면에 형성된 끼움홀(512)에 삽입됨으로써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벤치.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대(400)와 상기 인서트(500)는 볼트(B)로 결합되어 서로 고정되고, 상기 삽입홈(131)이 형성된 세로지지대(130)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요홈(132)이 형성되어,
    상기 요홈(132)을 통해 상기 등받이대(400)와 인서트(500)를 연결한 볼트(B)의 머리 부분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벤치.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대(400)는 전면에 슬라이딩홈(410)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410)에는 쿠션(420)이 슬라이딩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벤치.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의 세로지지대(130)에는 끼움턱(133)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131)에 삽입된 등받이대(400)의 양단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벤치.
  • 说明书全文

    조립성이 향상된 벤치{Bench improved assembly}

    본 발명은 벤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작을 용이하게 하여 제작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조립성이 향상된 벤치에 관한 것이다.

    벤치는 사람들이 앉아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공원이나 유원지, 가로수 아래 등에 설치된 시설물로서, 사람들의 통행이 빈번한 곳에서는 촉감이 부드럽고 편안한 느낌을 주어 더 많은 이용을 할 수 있도록 목재에 의한 벤치가 많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벤치는 통상적으로 주물 제작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착석자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는 목재 좌대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착석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목재 등받이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벤치의 제작 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프레임을 주물 제작하고, 주물 제작된 프레임에 다수의 좌대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하되, 좌대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그 사이에 간지를 끼워 넣은 후 좌대의 끝부분과 프레임을 볼팅하여 좌대를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다수의 등받이대를 일정 간격 이격되게 프레임에 설치하되, 등받이대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그 사이에 간지를 끼워 넣은 후 등받이대의 끝부분과 프레임을 볼팅하여 등받이대를 고정시킨다.

    대략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벤치를 제작하는데, 좌대나 등받이대를 프레임에 고정시킬 때 그 이격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서 제작에 상당한 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그 이격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간지를 끼워야 하는 등 번거로운 작업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출원번호:10-2006-0094288 (등록번호:10-0683282, 발명의 명칭:벤치)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착석자의 엉덩이 부분과 등 부분에 접촉되는 좌대와 등받이대를 프레임에 용이하게 설치 고정하여 제작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조립성이 향상된 벤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좌대나 등받이대를 프레임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조립성이 향상된 벤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성이 향상된 벤치는 한 쌍이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고 내부에 삽입홈이 형성된 가로지지대와, 상기 가로지지대의 저면에 구비된 다리를 포함하는 프레임과; 일정간격을 이루며 상기 가로지지대의 삽입홈에 양단이 삽입되는 다수의 좌대와; 상기 좌대의 양단에 관통 고정되어 상기 삽입홈 내에 설치되고, 좌대 사이의 이격거리를 유지시키는 인서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인서트는 상기 다수의 좌대 양단을 각각 둘러싸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고리와; 상기 고리 사이를 연결하고 주름이 형성된 연결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서트는 다수개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되, 어느 하나의 고리 측면에 돌출 형성된 끼움돌기가 다른 어느 하나의 고리 측면에 형성된 끼움홀에 삽입됨으로써 연결된다.

    또한, 상기 좌대와 상기 인서트는 볼트로 결합되어 서로 고정되고,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가로지지대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요홈을 통해 상기 좌대와 인서트를 연결한 볼트의 머리 부분이 노출된다.

    또한, 상기 좌대는 중앙의 두께가 가장 크고, 양단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작아진다.

    또한, 상기 좌대는 상면에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에는 쿠션이 슬라이딩 삽입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가로지지대에는 끼움턱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좌대의 양단 사이에 삽입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은 상기 가로지지대의 후방 상면에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삽입홈이 형성된 세로지지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세로지지대의 삽입홈에는 다수의 등받이대가 일정간격을 이루며 양단이 삽입되며, 상기 등받이대의 양단에는 상기 등받이대 사이의 이격거리를 유지시키는 인서트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인서트는 상기 다수의 등받이대 양단을 각각 둘러싸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고리와; 상기 고리 사이를 연결하고 주름이 형성된 연결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서트는 다수개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되, 어느 하나의 고리 측면에 돌출 형성된 끼움돌기가 다른 어느 하나의 고리 측면에 형성된 끼움홀에 삽입됨으로써 연결된다.

    또한, 상기 등받이대와 상기 인서트는 볼트로 결합되어 서로 고정되고,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세로지지대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요홈을 통해 상기 등받이대와 인서트를 연결한 볼트의 머리 부분이 노출된다.

    또한, 상기 등받이대는 전면에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에는 쿠션이 슬라이딩 삽입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세로지지대에는 끼움턱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등받이대의 양단 사이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조립성이 향상된 벤치는 양단에 인서트를 설치하여 서로간의 이격거리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좌대나 등받이대를 가로지지대나 세로지지대의 삽입홈에 끼워 넣어 고정하면 벤치가 완성되기 때문에 벤치의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벤치 완성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좌대와 등받이대에 쿠션을 설치하여 사람들이 벤치에 앉았을 때 편안한 느낌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로지지대와 세로지지대에 요홈이 형성되고 그 요홈을 통해 좌대와 인서트를 결합시키는 볼트, 등받이대와 인서트를 결합시키는 볼트가 노출되기 때문에 수리나 교체가 필요한 좌대나 등받이대를 분리하고자 할 때 해당 좌대나 등받이대와 인서트의 결합을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인서트의 연결대에 주름이 형성되어 자연스럽게 휠 수 있기 때문에 곡선형 벤치와 같은 곳에도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좌대와 인서트를 결합한 것 다수개를 창고 내에 적재하여 보관할 경우에는 그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부피가 작은 인서트가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프레임과 좌대를 조립할 경우 종래에는 보통 좌대 양측단에 각각 2개씩의 볼트를 결합시켜 조립하였는데, 이렇게 하는 경우에는 볼트 조립을 위한 공수가 많아질 뿐만 아니라 다수의 볼트가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는데, 본 발명은 인서트를 사용함으로써 미관을 향상시키고 공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성이 향상된 벤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성이 향상된 벤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성이 향상된 벤치에 사용되는 인서트를 보인 도.
    도 4의 (a)는 가로지지대를 설치하기 위하여 종래에 좌대 밑에 와샤를 설치하는 모습을 보인 도이고, (b)는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를 설치한 좌대를 가로지지대에 설치한 모습을 보인 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가 벤치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성이 향상된 벤치의 가로지지대와 세로지지대에 요홈이 형성된 모습을 보인 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성이 향상된 벤치의 쿠션을 보인 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성이 향상된 벤치에 사용되는 인서트와 좌대를 결합하여 보관하는 모습을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조립성이 향상된 벤치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성이 향상된 벤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성이 향상된 벤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성이 향상된 벤치에 사용되는 인서트를 보인 도이다.

    그리고, 도 4의 (a)는 가로지지대를 설치하기 위하여 종래에 좌대 밑에 와샤를 설치하는 모습을 보인 도이고, (b)는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를 설치한 좌대를 가로지지대에 설치한 모습을 보인 도이다.

    또한,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가 벤치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성이 향상된 벤치의 가로지지대와 세로지지대에 요홈이 형성된 모습을 보인 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성이 향상된 벤치의 쿠션을 보인 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성이 향상된 벤치에 사용되는 인서트와 좌대를 결합하여 보관하는 모습을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성이 향상된 벤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착석자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는 좌대(200)와, 상기 좌대(200)의 양단에 설치되는 인서트(300)와,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착석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대(400)와, 상기 등받이대(400)의 양단에 설치되는 인서트(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0)은 가로지지대(110)와, 상기 가로지지대(110)의 저면에 일체로 구비된 다리(120)와, 상기 가로지지대(110)의 후방 상면에 돌출 형성된 세로지지대(130)로 구성된다.

    상기 가로지지대(110)는 한 쌍이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고 내부에 삽입홈(111)이 형성된다. 가로지지대(110)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삽입홈(111)도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다리(120)는 상기 가로지지대(110)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바닥면에 설치된다.

    상기 세로지지대(130)는 내부에 삽입홈(131)이 형성된다. 세로지지대(130)도 한 쌍의 가로지지대(110)에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세로지지대(130)에 형성된 삽입홈(131)도 서로 마주본다.

    상기 좌대(200)는 다수개가 일정간격을 이루며 상기 가로지지대(110)의 삽입홈(111)에 양단이 삽입된다. 이러한 좌대(200)는 목재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다른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고, 그 형태는 중앙의 두께가 가장 크고, 양단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작아지는 형상을 취한다. 따라서 빗물이 좌대(200)의 상면에 낙하될 경우 좌대(200)의 상면에 정체되지 않고 좌대(200)의 곡면을 따라 신속하게 낙하된다.

    그리고, 상기 좌대(200)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면에 슬라이딩홈(210)이 길게 형성된다. 이 슬라이딩홈(210)에는 쿠션(220)이 슬라이딩 삽입된다.

    상기 쿠션(220)은 고무와 같이 일정한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만들어진 것으로서, 착석자의 엉덩이 부분에 접촉되어 착석자에게 편안함을 느끼게 한다.

    상기 인서트(300)는 상기 좌대(200)의 양단에 관통 고정되어 상기 삽입홈(111)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좌대(200) 사이의 이격거리를 유지시킨다. 즉 인서트(300)는 좌대(200)의 끝단에 설치되어 좌대(200)의 양단과 함께 상기 가로지지대(110)의 삽입홈(111) 내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인서트(300)는 다수의 고리(310)와, 상기 고리(3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대(320)로 구성된다.

    상기 고리(310)는 상기 좌대(200)의 양단 외측면을 각각 둘러싸는 것으로서, 다수의 좌대(200)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기 때문에 고리(310) 역시 다수개가 조합되어 인서트(300)를 구성한다. 이러한 다수의 고리(310)는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좌대(200) 역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리(310)는 좌대(200) 단면 형상에 따라 4각 고리 형태나 원형 고리 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좌대(200)의 전체를 둘러싸지 않고 중간 아래쪽만 둘러싸서 위쪽으로 개구된 'ㄷ'자와 같은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대(320)는 상기 다수의 고리(310)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고리(310)의 상측을 연결하거나 고리(310)의 하측을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대(320)에는 주름(321)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00)의 가로지지대(110)나 세로지지대(130)는 벤치의 형상에 따라서 유연한 곡선 형태로 형성되어야만 하는 경우도 있다. 바로 이러한 경우에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인서트(300,500)가 유연하게 휘도록 하기 위하여 연결대(320,520)에 주름(321,521)을 형성시킨다. 연결대(320,520)가 주름(321,521)에 의해 곡선 형상으로 휘면 인서트(300,500)의 전체적인 형태가 곡선 형상을 취하기 때문에 벤치의 형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대(320)는 다수의 고리(310) 상측과 하측 모두를 연결할 수도 있지만,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인서트(300)를 유연하게 휘도록 하기 위해서 고리(310)의 상측 부분 또는 하측 부분 중 어느 한 부분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다수의 고리(310)와 연결대(32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인서트(300)는 다수개가 서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인서트(300)가 서로 연결될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고리(310) 측면에 돌출 형성된 끼움돌기(311)가 다른 어느 하나의 고리(310) 측면에 형성된 끼움홀(312)에 슬라이딩 삽입됨으로써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좌대(200)와 인서트(300) 및 가로지지대(110)의 연결 및 해체방식에 대해 좀 더 살펴보면, 상기 좌대(200)와 인서트(300)는 볼트(B)로 결합되어 서로 고정되고, 상기 삽입홈(111)이 형성된 가로지지대(110)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다른 부분보다 움푹한 요홈(112)이 형성된다. 이러한 가로지지대(110)의 요홈(112)을 통해 상기 좌대(200)와 인서트(300)를 연결한 볼트(B)의 머리 부분이 노출된다.

    따라서, 복수의 좌대(200) 중 어느 하나의 좌대(200)가 파손되거나 심하게 변색되어 교체가 필요한 경우, 상기 요홈(112)을 통해서 노출된 볼트(B)를 풀어 인서트(300)와 좌대(200)의 결합을 해체한다. 좌대(200)와 인서트(300)는 가로지지대(110)의 삽입홈(111) 내부에 삽입되기는 하지만, 가로지지대(110)와 좌대(200)의 끝단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남아 있게 되므로, 그 남아 있는 공간을 이용하여 좌대(200)를 좌우로 조금씩 움직이면 가로지지대(110)에서 좌대(200)를 빼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서트(300)는 앞서 기재한 것처럼 다수의 좌대(200)가 가로지지대(110)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될 때 그 이격된 거리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인서트(300)의 기능을 보조하기 위하여 상기 가로지지대(110)에는 끼움턱(113)을 돌출 형성시켜, 상기 삽입홈(111)에 삽입된 좌대(200)의 양단 사이에 삽입되도록 한다. 즉 다수의 좌대(200)가 가로지지대(110)의 삽입홈(111)에 삽입되면 가로지지대(110)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끼움턱(113)이 좌대(200)의 끝단 사이에 삽입되어 인서트(300)와 함께 좌대(200) 사이의 이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인서트(300)에 대해서 좀 더 부연설명을 하면, 프레임(100)은 몰드를 이용하여 주물 제작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렇게 몰드를 이용하여 프레임(100)을 제작하다 보면 몰드에서 프레임(100)을 용이하게 빼내기 위하여 가로지지대(110)의 삽입홈(111)을 형성시키는 삽입홈(111) 주변의 가로지지대(110) 상면이나 하면에 일정한 구배(경사)를 줄 수 밖에 없다. 이렇게 형성된 구배 때문에 가로지지대(110)의 삽입홈(111)에 좌대(200)를 설치하고 좌대(200)와 가로지지대(110)를 볼트로 조이면 그 조임력에 의해 좌대(200)가 비틀리거나 가로지지대(110)가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바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 4a에 도시된 것처럼 좌대(200)의 아래쪽에 와샤(W)를 배치하였는데 이는 작업을 번거롭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인서트(300)가 좌대(200)의 외측을 둘러싼 채 가로지지대(110)의 삽입홈(111)에 설치되기 때문에 와샤가 없어도 위에서 언급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좌대(200)와 인서트(300)가 결합된 것 다수를 창고 내에 적재하여 보관을 할 경우에는 좌대(200)와 인서트(300)를 별도로 보관하는 것보다 그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인서트(300)와 같이 좌대(20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것들을 분실할 수 있는 위험이 낮아진다. 그리고, 추후에 벤치를 제작할 경우에도 이미 결합되어 있는 좌대(200)와 인서트(300)를 꺼내어 사용하면 되므로 벤치의 제작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등받이대(400)는 다수개가 일정간격을 이루며 상기 세로지지대(130)의 삽입홈(131)에 양단이 삽입된다. 이러한 등받이대(400)는 길이방향을 따라 전면에 슬라이딩홈(410)이 길게 형성되고, 이 슬라이딩홈(410)에는 쿠션(420)이 슬라이딩 삽입된다.

    상기 등받이대(400)에 설치되는 쿠션(420)은 고무와 같이 일정한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만들어진 것으로서, 착석자의 등 부분에 접촉되어 착석자에게 편안함을 느끼게 한다.

    상기 등받이대(400)에 설치되는 인서트(500)는 상기 등받이대(400)의 양단에 관통 고정되어 상기 세로지지대(130)의 삽입홈(131)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등받이대(400) 사이의 이격거리를 유지시킨다. 즉 등받이대(400)에 설치되는 인서트(500)는 등받이대(400)의 끝단에 설치되어 등받이대(400)의 양단과 함께 상기 세로지지대(130)의 삽입홈(131) 내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인서트(500)는 다수의 고리(510)와, 상기 고리(5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대(520)로 구성된다.

    상기 고리(510)는 상기 등받이대(400)의 양단 외측면을 각각 둘러싸는 것으로서, 다수의 등받이대(400)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기 때문에 고리(510) 역시 다수개가 조합되어 인서트(500)를 구성한다. 이러한 다수의 고리(510)는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등받이대(400) 역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연결대(520)는 상기 다수의 고리(510)의 상측 부분 또는 하측 부분 중 어느 한 부분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고리(510)의 상측을 연결하거나 고리(510)의 하측을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대(500)에는 주름(52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다수의 고리(510)와 연결대(520)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상기 등받이대(400)에 설치되는 인서트(500)는 다수개가 서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인서트(500)가 서로 연결될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고리(510) 측면에 돌출 형성된 끼움돌기(511)가 다른 어느 하나의 고리(510) 측면에 형성된 끼움홀(512)에 슬라이딩 삽입됨으로써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등받이대(400)와 인서트(500) 및 세로지지대(130)의 연결 및 해체방식에 대해 좀 더 살펴보면, 상기 등받이대(400)와 인서트(500)는 볼트(B)로 결합되어 서로 고정되고, 상기 삽입홈(131)이 형성된 세로지지대(130)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다른 부분보다 움푹한 요홈(132)이 형성된다. 이러한 세로지지대(130)의 요홈(132)을 통해 상기 등받이대(400)와 인서트(500)를 연결한 볼트(B)의 머리 부분이 노출된다.

    따라서, 복수의 등받이대(400) 중 어느 하나의 등받이대(400)가 파손되거나 심하게 변색되어 교체가 필요한 경우, 상기 요홈(132)을 통해서 노출된 볼트(B)를 풀어 인서트(500)와 등받이대(400)의 결합을 해체한다. 등받이대(400)와 인서트(500)는 세로지지대(130)의 삽입홈(131) 내부에 삽입되기는 하지만, 세로지지대(130)와 등받이대(400)의 끝단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남아 있게 되므로, 그 남아 있는 공간을 이용하여 등받이대(400)를 좌우로 조금씩 움직이면 세로지지대(130)에서 등받이대(400)를 빼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대(400)에 설치되는 인서트(500)는 앞서 기재한 것처럼 다수의 등받이대(400)가 세로지지대(130)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될 때 그 이격된 거리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인서트(500)의 기능을 보조하기 위하여 상기 세로지지대(130)에는 끼움턱(133)을 돌출 형성시켜, 상기 삽입홈(131)에 삽입된 등받이대(400)의 양단 사이에 삽입되도록 한다. 즉 다수의 등받이대(400)가 세로지지대(130)의 삽입홈(131)에 삽입되면 세로지지대(130)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끼움턱(133)이 등받이대(400)의 끝단 사이에 삽입되어 인서트(500)와 함께 등받이대(400) 사이의 이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100: 프레임 110: 가로지지대
    111: 삽입홈 112: 요홈
    113: 끼움턱 120: 다리
    130: 세로지지대 131: 삽입홈
    132: 요홈 133: 끼움턱
    200: 좌대 210: 슬라이딩홈
    220: 쿠션 300: 인서트
    310: 고리 311: 끼움돌기
    312: 끼움홀 320: 연결대
    321: 주름 400: 등받이대
    410: 슬라이딩홈 420: 쿠션
    500: 인서트 510: 고리
    511: 끼움돌기 512: 끼움홀
    520: 연결대 521: 주름
    B: 볼트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