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객의 신체데이터에 기초한 모션의자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申请号 KR1020140113334 申请日 2014-08-28 公开(公告)号 KR101586853B1 公开(公告)日 2016-01-20
申请人 씨제이포디플렉스 주식회사; 发明人 박현; 권혁주; 김명철;
摘要 본발명은 4D 영화관에서모션의자를제어하는제어시스템및 제어방법에관한것이다. 구체적으로본 발명은모션의자에착석해영화관람을하는관객들의신체데이터를수집하고, 수집된신체데이터에기초하여모션의자의움직임강도를제어함으로써관객들이신체적으로안정된상태에서 4D 영화를즐길수 있도록하는모션의자제어시스템및 그제어방법에관한것이다.
权利要求
  • 관객으로부터 구동상태 중 신체데이터 및 비구동상태 중 신체데이터를 수집하여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수신한 모션제어명령에 따라 모션속성을 제어하는 모션의자; 및
    모션의자로부터 구동상태 중 신체데이터 및 비구동상태 중 신체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비구동상태 중 신체데이터를 레퍼런스 데이터로 저장하며, 상기 구동상태 중 신체데이터를 상기 레퍼런스 데이터와 비교하여 모션제어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결과에 따라 모션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모션의자에 전송하는 서버;
    를 포함하는 모션의자 제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데이터는 심박수, 맥파, 뇌파, 체온, 체중, 혈압 또는 수분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의자 제어 시스템.
  • 삭제
  • 삭제
  • 관객으로부터 당해 모션의자의 구동상태 중 신체데이터 및 비구동상태 중 신체데이터를 수집하는 모니터링부;
    모니터링부에 의해 수집된 신체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모션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의자통신부; 및
    서버로부터 수신한 모션제어명령에 따라 모션의자의 모션속성을 제어하는 모션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모션제어명령은, 상기 서버가 상기 비구동상태 중 신체데이터를 레퍼런스 데이터로 저장하고, 상기 구동상태 중 신체데이터를 상기 레퍼런스 데이터와 비교하여 모션제어 여부를 판단한 후 판단결과에 따라 생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의자.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밴드형, 패치형, 집게형 또는 목걸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의자.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속성은 모션의자의 운동각, 운동속도, 운동방향, 진동세기 또는 진동주파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의자.
  • 모션의자로부터 구동상태 중 신체데이터 및 비구동상태 중 신체데이터를 수신하며, 내부적으로 생성된 모션제어명령을 모션의자로 전송하는 서버통신부;
    모션의자로부터 수신한 비구동상태 중 신체데이터를 레퍼런스 데이터로 저장하고, 상기 구동상태 중 신체데이터와 기저장된 레퍼런스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모션의자에 대한 모션제어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결과에 따라 모션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연산부;
    모션의자로부터 수신한 신체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는 서버.
  • (a) 모션의자가 관객으로부터 구동상태 중 신체데이터와 비구동상태 중 신체데이터를 수집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서버가, 상기 비구동상태 중 신체데이터를 레퍼런스 데이터로 저장하고, 상기 구동상태 중 신체데이터와 기저장된 레퍼런스 데이터를 비교하여 모션제어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서버가 상기 (b)단계에서의 판단결과에 따라 모션제어명령을 모션의자에 전송하는 단계;
    (d) 모션의자가 상기 모션제어명령에 따라 모션속성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션의자 제어 방법.
  • 说明书全文

    관객의 신체데이터에 기초한 모션의자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tion Chair Based on Viewers' Monitored Data}

    본 발명은 4D 영화관에서 모션의자를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모션의자에 착석해 영화 관람을 하는 관객들의 신체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신체데이터에 기초하여 모션의자의 움직임 강도를 제어함으로써 관객들이 신체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4D 영화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모션의자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영화 컨텐츠의 다양화와 함께 이를 감상할 수 있는 공간인 상영관도 더불어 크게 발전하고 있다. 특히, 많은 상영관 운영 주체들은 3D 입체영상에서 더 나아가 물리적인 효과를 추가한 형태의 상영관인 4D 상영관을 크게 늘리고 있다.

    4D 상영관은 다양한 관람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관객들로 하여금 직접 영상과 동기화 된 움직임을 체험할 수 있게 해 주는 모션의자는 최근 4D 상영관의 필수 관람요소라 할 수 있다.

    모션의자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는 엑츄에이터를 구비하여 규칙, 불규칙하게 작동하면서 의자를 롤(roll), 피치(pitch), 히브(heave), 스웨이(sway) 방향으로 움직이는 방식으로 구동된다. 또한, 모션의자는 바닥면, 또는 등받이 부분에 쉐이커(shaker)를 구비하여 관객들에게 진동효과를 제공하기도 한다.

    한편, 상영관 내 설치되는 대부분 모션의자들의 경우 모두 동일한 강도로 동일한 움직임, 진동세기를 일률적으로 구현하도록 제어된다. 그러나 영화를 관람하는 개별 관객들의 경우, 각 개인은 모션의자의 운동에 의해 받는 스트레스의 정도가 상이할 수 있으며, 특히 일부 관객들의 경우에는 모션의자의 다소 격렬한 운동에 심한 공포감까지 느껴 4D 상영관에의 출입 자체를 꺼리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4D 영화 상영시 관객들의 신체상태에 따라 모션의자의 움직임을 제어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관객들의 신체상태를 고려하지 않은 채 운용되는 모션의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 건 발명은 앞서 살핀 기술적 요구를 충족시킴은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할 수 없는 추가적인 기술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 발명되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2012-0091806 (2012.08.20.공개)

    본 발명은 4D 영화를 상영하는 관객들의 신체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기초로 모션의자의 움직임, 강도, 진동세기 등 모션속성을 제어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모션의자가 비구동상태일 때 관객의 신체데이터를 수집하여 레퍼런스 데이터로 활용함으로써 개별 관객들에게 적정한 수준의 모션의자 움직임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화 상영 시간 중 실시간으로 관객의 신체상태를 파악하여 적정 수준의 모션의자 움직임을 즉각적으로 반영하여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니터링에 의해 누적된 관객들의 신체상태를 분석하여 향후 모션의자의 움직임, 강도, 진동세기 등 다양한 모션속성을 설정하는 데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모션의자 제어 시스템은 관객의 신체데이터를 수집하여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수신한 모션제어명령에 따라 모션속성을 제어하는 모션의자; 및 모션의자로부터 신체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신체데이터를 기초로 모션제어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결과에 따라 모션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모션의자에 전송하는 서버; 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신체데이터는 심박수, 맥파, 뇌파, 체온, 체중, 혈압 또는 수분량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션의자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모션의자는 구동상태 중 관객의 신체데이터 및 비구동상태 중 관객의 신체데이터를 수집하여 서버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서버는 비구동상태 중 수집된 신체데이터를 레퍼런스 데이터로 저장하고, 구동상태 중 수집된 신체데이터를 상기 레퍼런스 데이터와 비교하여 그 차이가 기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모션제어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모션의자는 관객으로부터 신체데이터를 수집하는 모니터링부; 모니터링부에 의해 수집된 신체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모션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의자통신부; 및

    서버로부터 수신한 모션제어명령에 따라 모션의자의 모션속성을 제어하는 모션제어부; 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모션의자 제어 시스템 또는 모션의자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밴드형, 패치형, 집게형 또는 목걸이형일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모션속성은 모션의자의 운동각, 운동속도, 운동방향, 진동세기 또는 진동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서버는 모션의자로부터 신체데이터를 수신하며, 내부적으로 생성된 모션제어명령을 모션의자로 전송하는 서버통신부; 모션의자로부터 수신한 신체데이터와 기저장된 레퍼런스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모션의자에 대한 모션제어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모션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연산부; 및 모션의자로부터 수신한 신체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모션의자 제어 방법은 (a) 모션의자가 관객의 신체데이터를 수집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서버가, 기저장된 레퍼런스 데이터와 상기 수신한 신체데이터를 비교하여 모션제어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서버가 상기 (b)단계에서의 판단결과에 따라 모션제어명령을 모션의자에 전송하는 단계; 및 (d) 모션의자가 상기 모션제어명령에 따라 모션속성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4D 영화를 관람하는 관객들의 신체상태에 따라 모션의자의 모션속성을 제어할 수 있어 관객들로 하여금 신체적/정신적으로 무리 없이 영화관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개별 관객들에 대한 모니터링 및 모션의자 제어가 가능하여 관객들의 건강상태, 연령, 성별 등에 따라 각각 적정 수준의 모션의자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4D 영화를 관람하는 관객들의 신체데이터를 누적적으로 분석할 수 있어 향후 타 컨텐츠의 모션의자 움직임 구현시 참고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션의자 제어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의자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버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의자 제어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가 모션의자를 제어하는 연산과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서버가 모션의자를 제어하는 연산과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션의자(100) 제어 시스템, 그리고 위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션의자(100) 및 서버(2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4D 상영관에서의 모션의자(100) 제어 시스템을 개괄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그 구성에는 모션의자(100), 서버(200)가 포함되며 위 모션의자(100)와 서버(200)는 유선 또는 무선의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모션의자(100)는 기본적으로 영화 컨텐츠와 동기화 된 움직임을 통해 관객들에게 실감나는 상영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이에 더 나아가 관객의 신체데이터를 수집하여 서버(200)에 전송하는 기능, 서버(200)로부터 모션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이에 따라 모션의자(100)의 움직임, 즉 모션속성을 제어하는 기능을 더 수행한다.

    서버(200)는 일반적으로 상영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가 운영하는 것을 일컫는 것으로, 상영관 내 설치된 복수의 모션의자(100)들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한편, 서버(200)는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모션의자(100)로부터 신체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체데이터를 기초로 모션의자(100)들에 대한 모션제어 여부를 판단하며, 제어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모션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모션의자(100)에 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서버(200)는 현재 모션의자(100)로부터 '구동상태' 일 때의 관객 신체데이터와 '비구동상태' 일 때의 관객 신체데이터를 구별하여 수신 및 저장해 둘 수 있으며, 모션제어 여부 판단시 상기 저장된 신체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났는지를 참조하여 판단한다. 서버(200)가 모션제어 여부 판단 및 모션제어명령을 생성하여 모션의자(100)를 제어하는 연산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모션의자(100) 제어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모션의자(1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 의하면 하나의 모션의자(100)는 모니터링부(110), 의자통신부(120), 모션제어부(130)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모니터링부(110)는 모션의자(100)에 착석한 관객들의 신체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동시에 신체데이터를 획득한다. 이 때, 상기 모니터링부(110)가 수집하는 신체데이터에는 관객의 심박수, 맥파, 뇌파, 체온, 체중, 혈압 또는 수분량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수집된 다양한 종류의 신체데이터는 현재 관객이 4D 컨텐츠를 관람함에 있어 신체적, 심리적으로 안정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데에 활용된다.

    한편, 모니터링부(110)는 관객의 체중도 수집할 수 있는데, 이는 체중에 따라 각 관객들에게 적절한 강도의 4D 모션을 제공함과 동시에 모션의자(100)의 구동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예방하기 위함이다. 즉, 기 설정된 무게값 이상의 관객이 착석한 경우, 모니터링부(110)에 의해 수집된 관객의 체중은 서버(200)로 전송되며, 서버(200)는 위 체중을 고려하여 해당 관객 및 모션의자(100)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모션의자(100)의 모션속성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모니터링부(110)는 그 형태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관객의 팔목, 발목 등에 감길 수 있는 밴드형, 관객의 신체 일부에 부착할 수 있는 패치형, 관객의 신체 일부를 물려 신체데이터를 획득하는 집게형 또는 관객의 목에 두를 수 있는 목걸이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110)는 위 형태 이외에도 3D 안경, 또는 헤드폰 등에 신체데이터 획득을 위한 센서를 구비시킨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개시된 모션의자(100)의 경우 집게형의 모니터링부(110)를 구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모니터링부(110)는 모션의자(100)의 본체와 유선으로 연결된 형태, 또는 모션의자(100)의 본체 내 매립된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으며 또는 모션의자(100)의 본체와 독립된 별개의 장치로서 존재할 수도 있다. 특히, 모션의자(100)의 본체와 독립된 별개 장치로서 구비된 모니터링부(110)의 경우 모션의자(100) 본체와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부를 별개로 구비하고 있어야 할 것이며, 이 때 이용가능한 무선통신 수단으로는 Wifi, 적외선통신, 블루투스, Zigbee 등 다양한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 또는 유선 Lan케이블을 이용한 유선통신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니터링부(110)는 사용자의 설정사항에 따라 관객의 신체데이터를 모니터링 하는 시각, 시간, 주기 등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니터링부(110)는 4D 영화가 상영 계속 중 실시간으로 관객의 신체데이터를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각 및 시간(모션의자(100)가 구동을 개시한 후부터 일정 시간, 또는 모션의자(100)가 구동을 정지한 후부터 일정 시간)에 관객의 신체데이터를 모니터링하게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모니터링부(110)의 모니터링 개시 시각, 모니터링 시간, 모니터링 주기 등을 설정하여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모션의자(100)의 또 다른 구성인 의자통신부(120)는, 앞서 모니터링부(110)에 의해 수집된 신체데이터를 서버(200)로 전송하고, 이후 서버(200)에 의해 생성된 모션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즉, 의자통신부(120)는 모션의자(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버(200)와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기능부에 해당한다.

    모션의자(100)의 또 다른 구성인 모션제어부(130)는, 앞서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모션제어명령에 따라 모션의자(100)의 모션속성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이 때 모션속성이란, 모션의자(100)가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움직임의 속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모션의자(100)를 롤(roll), 피치(pitch), 요(yaw), 히브(heave), 스웨이(sway), 서지(surge) 중 어느 방향으로 움직이게 할 것인지(방향), 특정 방향으로 움직일 때 모션의자(100)의 운동각은 어느 정도 크기를 가지는지(운동각), 얼마나 빠른 속도로 운동하게 될 것인지(속도 및 가속도), 진동의 강도 및 주파수는 어떻게 정할 것인지 등 모션의자(100)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속성을 일컫는다.

    모션제어부(13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모션제어명령에 따라 위와 같은 모션속성들을 제어함으로써, 관객들에게 제공되는 모션의자(100)의 움직임을 조절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모션의자(100)는 앞서 설명한 모니터링부(110), 의자통신부(120), 모션제어부(130)를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때 연산장치로는 범용적인 중앙연산장치(CPU), 특정 목적에 적합하게 구현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소자(CPLD, FPGA), DSP(Digital Signal Processor), 주문형 반도체 연산장치(ASIC)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모션의자(100) 제어 시스템의 또 다른 구성인 서버(2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서도 보다시피 서버(200)는 서버통신부(210), 연산부(220) 및 데이터베이스(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서버통신부(210)는 모션의자(100)의 의자통신부(120)와 대응되는 기능부로서, 모션의자(100)로부터 신체데이터를 수신하며, 서버(200) 내에서 생성한 모션제어명령을 다시 모션의자(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서버(200)를 구성하는 세부구성 중 연산부(220)는 앞서 모션의자(100)로부터 수신한 신체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230) 내 저장된 레퍼런스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모션의자(100)에 대한 모션제어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모션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기능을 한다. 즉, 본 연산부(220)는 서버(200) 내에서 모션의자(100)에 대한 제어여부 판단, 모션제어명령을 생성하는 등 실질적으로 상영관 내 모션의자(100)들을 제어하기 위한 핵심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연산부(220)는 크게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첫 번째로, 연산부(220)는 모션의자(100)로부터 수신한 신체데이터를 기초로 모션의자(100)에 대한 모션제어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연산부(220)는 모션의자(100)로부터 수신한 신체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230) 내에 저장된 레퍼런스 데이터를 비교하여 현재 관객의 신체상태에 급격한 변화가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 때 레퍼런스 데이터란 관객의 현재 신체데이터와 비교를 하기 위한 기준 데이터가 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관객이 안정적인 상태일 때 획득한 신체데이터, 예를 들어 모션의자(100)가 비구동상태 일 때 획득한 신체데이터일 수 있다.

    한편, 연산부(220)는 모션의자(100)로부터 수신한 관객의 현재 신체데이터와 레퍼런스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설정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명된 경우 모션의자(100)에 대한 제어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반대로 그 차이가 설정범위 내인 경우에는 별도의 제어가 필요치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두 번째로, 모션의자(100)에 대한 제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한 이후, 연산부(220)는 해당 모션의자(100)에 대한 제어명령, 즉 모션제어명령을 생성한다. 모션제어명령에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모션의자(100)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속성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그 중에는 방향성, 운동각, 운동속도 및 가속도 등의 속성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연산부(220)가 모션제어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모션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차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서버(200)의 또 다른 세부구성 중 하나인 데이터베이스(230)는 모션의자(100)로부터 수신한 신체데이터를 받아 레퍼런스 데이터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30)는 모션의자(100)가 비구동상태일 때 전송한 관객의 신체데이터를 레퍼런스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서버(200)는 모션의자(100)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뿐 아니라 모션의자(100)에 앉은 개별 사용자의 신체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 후 이상징후 인지시 사용자 또는 운영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알람부(2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 알람부(240)는 모션의자(100)로부터 사용자의 신체데이터를 획득하되 상기 신체데이터가 기준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 또는 운영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심장 박동수가 기준치를 초과한 상태로 수초간 유지되는 경우, 위 알람부(240)는 해당 사용자 및 운영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여 응급상황을 알릴 수 있다. 이 때, 알람부(240)가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식에는 영사실 내 구비된 램프 또는 부저를 작동시키는 방식, 상영관 스?들의 개별 단말기로 SMS메시지를 전송하거나 개별 단말기 내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으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식 등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 메시지 또는 전송 메시지에는 이상징후를 보이는 사용자가 존재하는 상영관 및 좌석번호 등을 포함시켜 스?들로 하여금 신속하게 해당 사용자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서버(200)는 4D 컨텐츠를 상영하는 관객들의 신체데이터를 기록하는 로그기록부(2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로그기록부(250)는 모션의자(100)의 모션속성별, 즉 모션의자(100)의 움직임 종류, 움직임 강도, 진동 세기 등과 해당 모션속성이 실행될 때의 사용자 신체데이터를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렇듯 수집된 각 모션속성 별 다수 사용자의 신체데이터는 향후 다른 4D 컨텐츠 또는 4D 효과를 제작할 때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의자(100)의 특정 모션이 제공될 때 다수 관객들의 신체데이터가 일제히 급격한 변화를 보이는 경우, 해당 특정 모션은 컨텐츠 제작자의 분석 대상이 되어 새로운 4D 컨텐츠 또는 4D 효과 제작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위 서버(200)는 상기 서버통신부(210), 연산부(220), 데이터베이스(230), 알람부(240), 로그기록부(250)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모션의자(100) 제어 방법을 순서에 따라 그린 흐름도이다.

    이에 따르면, 우선 모션의자(100)는 관객의 신체데이터를 수집(S100)하여 서버(200)로 전송(S110)한다. 이 때 모션의자(10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정해진 시각, 시간, 주기로 관객의 신체데이터를 수집 및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션의자(100)는 영화 컨텐츠 시작과 동시에 수초간 관객의 심장 박동수를 획득한 후 기 설정된 주기인 10분 간격으로 관객의 심장 박동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모션의자(100)는 4D 영화 컨텐츠와 연계되어 관객에 움직임을 제공하는 상태, 즉 구동상태일 때에만 관객의 심장 박동수를 모니터링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모션의자(100)로부터 신체데이터를 수신한 서버(200)는 이후 레퍼런스 데이터를 참조하여 해당 모션의자(100)에 대한 모션제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S120) 판단결과, 현재 관객의 신체데이터와 레퍼런스 데이터와의 차이가 설정범위를 벗어나 모션제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서버(200)는 모션제어명령, 예를 들어 모션의자(100)의 운동각도, 운동속도, 운동방향 등에 대한 제어명령어가 포함된 모션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이를 모션의자(100)에 전송하게 된다. (S130) 한편, 판단결과 현재 관객의 신체데이터와 레퍼런스 데이터와의 차이가 설정범위 내 존재하여 모션제어가 필요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서버(200)는 별도 기능 수행 없이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서버(200)로부터 모션제어명령을 수신한 모션의자(100)는 상기 모션제어명령 내 포함된 제어명령어에 따라 각 모션속성을 제어한다. (S140)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버(200)가 내부적으로 어떠한 연산과정을 통해 모션의자(100)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을 하는지 살펴보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에 따른 실시예는 4D 컨텐츠의 상영 개시와 동시에 관객의 신체데이터를 획득하여 이를 레퍼런스 데이터로 저장하고, 해당 레퍼런스 데이터를 기준으로 모션의자(10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컨텐츠의 상영 개시와 동시에 관객의 신체데이터를 레퍼런스 데이터로 저장하는 이유는 개별 관객마다의 안정된 상태, 즉 모션의자(100)가 구동 중이지 않은 상태의 신체데이터를 레퍼런스 데이터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버(200)가 위와 같이 컨텐츠의 개시와 동시에 신체데이터를 획득하여 모션제어를 판단하는 실시예를 순서에 따라 나타낸 것으로, 서버(200)는 컨텐츠 개시와 동시에 모션의자(100) 비구동상태일 때의 관객 신체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레퍼런스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S200), 컨텐츠 진행에 따라 모션의자(100)가 구동 중일 때 관객의 신체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210), 수신한 신체데이터를 레퍼런스 데이터와 비교하여 모션의자(100)에 대한 제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20), 판단결과에 따라 모션제어명령을 생성(S230)하거나 종료(S240)하는 단계를 거쳐 모션의자(100)를 제어하게 된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실시예를 이해하기 쉽게 도식화 한 것이다.

    도 6에 따르면, 우선적으로 서버(200)는 컨텐츠 개시와 동시에 모션의자(100)로부터 관객의 심장박동수 80을 획득하며 이를 레퍼런스 데이터로 저장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레퍼런스 데이터와 신체데이터, 즉 모션의자(100) 비구동상태의 심장박동수와 모션의자(100) 구동상태의 심장박동수가 30 이상 차이 나는 경우 모션제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함을 전제로 설명하기로 한다.

    컨텐츠 상영 개시 이후 첫 번째 구동구간, 즉 구동구간#1에서 서버(200)는 관객의 심장박동수가 97임을 수신하게 되며, 해당 수치와 레퍼런스 데이터인 80을 비교한 결과 차이는 17이므로 설정범위 이내인 것으로 판단하여 모션의자(100)에 대한 별도 모션제어를 행하지 않게 된다. 이 때 모션의자(100)는 본래 컨텐츠 제작시 구성되었던 모션속성에 따라 구동하게 된다.

    한편, 구동구간#1 이후 모션의자(100)의 비구동구간에서 서버(200)는 관객의 신체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으며, 그 후 구동구간#2의 신체데이터를 수신한다.

    구동구간#2에서 수신된 관객의 심장박동수가 112인 경우, 내부 연산에 의해 서버(200)는 레퍼런스 데이터와의 차이가 30을 초과하므로 모션제어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것이며, 이에 따라 서버(200)는 모션의자(100)의 운동강도를 조절하기 위해 모션제어명령을 생성하여 곧바로 모션의자(100)에 전달하게 된다.

    한편, 구동구간#2의 진행 중 서버(200)는 지속적으로 모션의자(100)로부터 관객의 심장박동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심장박동수와 레퍼런스 데이터와의 비교를 통해 그 차이가 설정범위 이내가 될 때까지 모션의자(100)에 대한 모션제어명령을 계속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구간#2 내에서 수신되는 관객의 심장박동수가 지속적으로 높은 경우, 서버(200) 역시 모션제어명령 생성시 지속적으로 모션의자(100)의 운동강도를 약화시키는 방향으로 모션속성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구동구간#3 역시 앞선 구간에서와 마찬가지로 서버(200)는 수신한 관객의 심장박동수와 레퍼런스 데이터와의 차이에 따라 모션의자(100)에 대한 제어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서버(200)의 또 다른 연산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에 따른 실시예는 앞선 도 5, 도6의 실시예와 달리 관객의 신체데이터를 보다 많이 획득 및 수신하여 실시간에 가까운 관객 모니터링 및 그에 따른 모션의자(100) 제어 과정을 보인 것이다.

    즉, 도 7, 도 8에 따른 실시예는 모션의자(100)가 비구동상태일 때마다의 신체데이터를 수신하여 레퍼런스 데이터로 저장 및 갱신하고, 모션의자(100)가 구동상태일 때의 신체데이터를 갱신된 레퍼런스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관객의 상태에 맞추어 보다 정교한 모션의자(100) 제어가 가능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따르면, 우선적으로 서버(200)는 모션의자(100)로부터 관객의 신체데이터를 수신(S300)하며, 해당 신체데이터가 모션의자(100)의 비구동상태에서 획득된 것인 경우에는 이를 레퍼런스 데이터로 저장(S320)하고, 모션의자(100)의 구동상태에서 획득된 것인 경우에는 이를 모션제어여부 판단(S330)에 활용하게 된다.

    한편, 이후 서버(200)가 제어여부를 판단하여 모션제어명령을 생성(S340)하거나 또는 제어가 불필요하여 연산을 종료(S350)하는 것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8은 도 7의 실시예를 이해하기 쉽도록 도식화 한 것이다. 한편, 도 8의 실시예는 도 6과 마찬가지로 레퍼런스 데이터와 신체데이터 간 차이가 30 이상 나는 경우 모션제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함을 전제로 한다.

    도 8에 따르면, 서버(200)는 우선적으로 모션의자(100)가 비구동상태인 구간, 즉 비구동구간#1일 때 수집한 관객의 심장박동수 73을 수신하여 이를 레퍼런스 데이터로 저장한다. 이후, 서버(200)는 모션의자(100)의 구동구간#1일 때의 심장박동수 90을 수신하여 이를 종전의 레퍼런스 데이터인 73과 비교한다. 비교 결과 서버(200)는 모션의자(100)에 대한 제어가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별도의 모션제어명령 생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한편, 서버(200)는 비구동구간#2에서의 관객 심장박동수 80을 수신한 후 이를 새로운 레퍼런스 데이터로 갱신한다. 레퍼런스 데이터 갱신 이후 구동구간#2의 심장박동수 127을 수신한 서버(200)는 모션의자(100)에 대한 제어가 필요함을 인지하여 모션제어명령을 생성한다. 이 때, 구동구간#2의 진행 중 서버(200)가 지속적으로 관객의 심장박동수를 수신하며, 레퍼런스 데이터와의 차이가 설정범위 이내가 될 때까지 모션제어명령을 계속적으로 수정 생성하는 것은 앞선 실시예에서와 같다.

    한편 서버(200)는 비구동구간#3의 심장박동수 100을 수신한 후 이를 새로운 레퍼런스 데이터로 갱신하며, 이 후의 과정은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반복된다.

    이와 같이 도 7 및 도 8에 따른 실시예는 관객의 신체 상태를 적극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객의 상태를 짧은 주기마다 갱신함으로써 이에 맞추어 보다 정교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모션의자
    110: 모니터링부
    120: 의자통신부
    130: 모션제어부
    140: 모션의자 제어부
    200: 서버
    210: 서버통신부
    220: 연산부
    230: 데이터베이스
    240: 알람부
    250: 로그기록부
    260: 서버 제어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