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닛룸과 그 2단 설치 구조

申请号 KR1020090053728 申请日 2009-06-17 公开(公告)号 KR1020100112058A 公开(公告)日 2010-10-18
申请人 코스몬도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다케다마사시; 다무라마사유키; 다케다마사쿠니;
摘要 PURPOSE: A unit room and a two shift installation structure thereof are provided to make an isolated space from existing indoor space. CONSTITUTION: A structure of a unit room is as follows. A beam member crosses the upper part and lower part of column members of four corners of a room in order to form a room frame. A ceiling part(CE), a floor part(FL) and a wall part(SW) are composed with a panel member(3) inserted and mounted in the room frame. An extruding form member(1) has a pillar member and a groove member which are locat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权利要求
  • 룸 네 귀퉁이의 기둥재와 이들 기둥재의 상단부 사이 및 하단부 사이에 교가하는 빔재로 횡으로 긴 직방체 형상의 룸 골격이 형성되고, 이 룸 골격에 끼워장착된 패널재에 의해 천장부 및 바닥부와 벽부가 구성되고,
    상기 기둥재 및 빔재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홈부를 갖는 압출형재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천장부 및 벽부의 패널재가 둘레에 면방향을 따르는 돌출 가장자리부를 갖는 합성수지제 또는 FRP제의 중공 패널재로 이루어지고, 이들 중공 패널재의 상기 돌출 가장자리부가 상기 압출형재의 홈부에 끼워삽입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형재가 상기 중공 패널재의 돌출 가장자리부에 대한 끼워삽입용과 끼워삽입용이 아닌 홈부를 구비하고, 그 끼워삽입용이 아닌 홈부가 안쪽으로 넓게 구성되고, 상기 룸 골격에서 서로 직각으로 배치하는 압출형재의 단부끼리가 양자의 상기 끼워삽입용이 아닌 홈부에 슬라이딩하여 끼워삽입하는 나사고정 금구를 통하여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룸.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패널재의 적어도 일방의 평행한 돌출 가장자리부가 끝이 굵게 형 성되고, 이 끝이 굵은 돌출 가장자리부에 대응하는 상기 압출형재의 홈부가 안쪽으로 넓고 이 돌출 가장자리부의 끝쪽의 두께보다도 좁은 개방폭을 갖고, 이 안쪽으로 넓은 홈부가 상기 끝이 굵은 돌출 가장자리부가 일단측으로부터 슬라이딩하여 끼워삽입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유닛룸.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룸 골격에서의 출입구 개구부를 설치하는 측면을 전측면으로 하고, 이 전측면과 후측면의 4개의 코너부에 각각 당해 룸 골격을 구성하는 전후방향의 빔재의 단면이 위치하고, 그 각 빔재의 내부에 삽입통과된 연결 로드의 양단의 나사부가 전후의 단면에 각각 맞닿게 한 강재제 받이재를 관통함과 아울러, 전후의 나사부가 외측으로부터 너트가 나사결합 체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룸.
  • 제 4 항에 있어서,
    전측면의 상기 강재제 받이재가 룸 골격에서의 상기 압출형재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프레임부의 전면을 덮는 직사각형 화장틀을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룸.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룸 골격의 기둥재 및 빔재가 복수 줄의 홈부를 갖는 동일 단면 형상의 압출형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룸.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형재는 단면 외형이 종횡비 2/1의 장방형을 이루고, 그 협폭의 각 측면에 1줄의 상기 홈부를 가짐과 아울러, 광폭의 각 측면에 2줄의 상기 홈부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룸.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형재는 폭방향 중앙부가 상기 홈부에 대하여 비연통의 중공부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룸.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출입구 개구부에, 상기 압출형재의 홈부를 가이드 레일로서 개폐하는 셔터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룸.
  •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닛룸의 2기가 상하 2단으로 설치되고, 상단의 유닛룸에서의 바닥부측에 내화 보드가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룸의 2단 설치 구조.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 보드가 목질 합판의 적어도 하면측에 무기질 단열층을 설치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룸의 2단 설치 구조.
  •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 보드가 바닥부의 패널재를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룸의 2단 설치 구조.
  •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단의 유닛룸 룸 골격에서의 하부 빔재의 하면측과, 하단의 유닛룸 룸 골격에서의 상부 빔재의 상면측에 상기 홈부를 갖고, 양 홈부 사이에 개재하는 지지 금구에 의해 상단의 유닛룸이 들려진 상태에서 하단의 유닛룸에 떠받쳐져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룸의 2단 설치 구조.
  •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닛룸이 캡슐 베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룸의 2단 설치 구조.
  • 说明书全文

    유닛룸과 그 2단 설치 구조{UNIT ROOM AND TWO-STORY INSTALLATION STRUCTURE THEREOF}

    본 발명은, 간이 숙박용의 캡슐 베드를 비롯하여, 취침, 휴식, 재해시의 1차 피난, 특수환경에서의 거주 등에 이용하는 독실 공간을 구성하는 유닛룸과, 이 유닛룸의 2단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이 숙박용의 캡슐 베드는 일면에 출입구인 개구부를 설치한 횡으로 긴 대략 직방체 형상을 이루는 FRP(섬유 강화 플라스틱)제의 캡슐 본체와, 이 캡슐 본체를 설치하기 위한 앵글 부재나 채널재 등의 구조용 형강재로 이루어지는 지지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캡슐 본체로서는, 출입구 주위가 일체 성형물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의 개구 둘레틀이 형성되고, 몸체부가 폭방향 중간부에서 둘로 나눈 형태의 좌우 2 틀재, 혹은 각각 반으로 나눈 천장부 또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좌우측 틀과 바닥틀 또는 천장틀의 3 틀재로 분할 구성된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캡슐 베드의 조립시에, 미리 지지 프레임의 형강재를 직방체의 각 변을 이루도록 종횡 및 전후로 짜 붙여 두고, 그 내측에 상기의 각 틀재를 소정 순 서로 반입하여 캡슐 본체를 조립하는 방법(특허문헌 1), 먼저 조립한 캡슐 본체의 몸체부의 외측에 직방체의 각 변을 이루는 지지 프레임의 형강재를 짜 붙이고, 또한 이 지지 프레임에 출입구 프론트 마스크(개구 둘레틀) 및 외장 패널을 부착하는 방법(특허문헌 2), 2단 설치 구조에서 네 귀퉁이의 지주와 상하 2단의 마루청 세트로 이루어지는 지지 프레임을 구축해 두고, 각 마루청 세트 상에 조립 완료된 캡슐 본체를 설치하는 방법(특허문헌 3) 등이 채용되어 있다.

    또, 최근에 있어서, 길이방향 양단의 단부 패널과, 좌우 측벽의 각 전후 2장씩의 측부 패널과, 각각 복수장의 천장 패널 및 바닥 패널로 캡슐 본체를 구성함과 아울러, 단부 패널 또는 측부 패널의 위치에 출입구의 개구부를 설치하거나(특허문헌 4), 캡슐 본체의 평면에서 보아 종횡비를 1:2로 하고, 그 세로 치수와 동일한 폭의 패널을 짜맞추어 캡슐 본체를 구성하고(특허문헌 5), 이로써 구성 부재(패널)의 사이즈를 작게함과 아울러 종류를 적게 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

    (선행기술 문헌)

    특허문헌 1: 일본 실공평 1-13712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실공평 2-15956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실공평 1-39329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특개 평11-182078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 특개 2005-248515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 제안한 것을 포함하여 종래의 캡슐 베드에서는, 캡슐 본체 및 지지 프레임의 각각의 조립과, 양자를 짜 붙여서 일체화하는 작업에 대단히 수고가 들어가고, 설치 장소로의 세팅 작업을 포함하여 막대한 노동력 및 시간을 소비한다는 문제가 있으며, 또 캡슐 본체로서의 기밀성, 방음성, 단열성 등의 면에서도 충분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상기 캡슐 베드를 비롯한 여러 독실 공간을 구성하는 유닛룸으로서, 그 조립 및 설치 장소로의 세팅을 적은 노동력으로 대단히 능률적으로 단시간에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독실 공간의 기밀성, 광차단성, 방음성, 단열성 등의 면에서도 우수한 것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른 유닛룸은, 룸의 네 귀퉁이의 기둥재와 이들 기둥재의 상단부 사이 및 하단부 사이에 교가(橋架)하는 빔재로 횡으로 긴 직방체 형상의 룸 골격이 형성되고, 이 룸 골격에 끼워 장착된 패널재에 의해 천장부 및 바닥부와 벽부가 구성되고, 상기 기둥재 및 빔재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홈부를 갖는 압출형재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천장부 및 벽부의 패널재가 둘레에 면방향을 따르는 돌출 가장자리부를 갖는 합성수지제 또는 FRP제의 중공 패널재로 이루어지고, 이들 중공 패널재의 상기 돌출 가장자리부가 상기 압출형재의 홈부에 끼워삽입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의 유닛룸에 있어서, 압출형재가 상기 중공 패널재의 돌출 가장자리부에 대한 끼워삽입용과 끼워삽입용이 아닌 홈부를 구비하고, 그 끼워삽입용이 아닌 홈부가 안쪽으로 넓게 구성되고, 상기 룸 골격에서 서로 직각으로 배치하는 압출형재의 단부끼리가 양자의 상기 끼워삽입용이 아닌 홈부에 슬라이딩하여 끼워삽입하는 나사고정 금구를 통하여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또는 2의 유닛룸에 있어서, 중공 패널재의 적어도 일방의 평행한 돌출 가장자리부가 끝이 굵게 형성되고, 이 끝이 굵은 돌출 가장자리부에 대응하는 압출형재의 홈부가 안쪽으로 넓고 이 돌출 가장자리부의 끝쪽의 두께보다도 좁은 개방폭을 갖고, 이 안쪽으로 넓은 홈부에 끝이 굵은 돌출 가장자리부가 일단측으로부터 슬라이딩하여 끼워삽입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3 중 어느 하나의 유닛룸에 있어서, 룸 골격에서의 출입구 개구부를 설치하는 측면을 전측면으로 하고, 이 전측면과 후측면의 4개의 코너부에 각각 당해 룸 골격을 구성하는 전후 방향의 빔재의 단면이 위치하고, 그 각 빔재의 내부에 삽입통과된 연결 로드의 양단의 나사부가 전후의 단면에 각각 맞닿게 한 강재제 받이재를 관통함과 아울러, 전후의 나사부에 외측으로부터 너트가 나사결합 체결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4의 유닛룸에 있어서, 전측면의 강재제 받 이재가, 룸 골격에서의 압출형재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틀부의 앞면을 덮는 직사각형 화장틀을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5 중 어느 하나의 유닛룸에 있어서, 룸 골격의 기둥재 및 빔재가 복수 줄의 홈부를 갖는 동일 단면 형상의 압출형재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의 유닛룸에 있어서, 압출형재는, 단면 외형이 종횡비 2/1의 장방형을 이루고, 그 협폭의 각 측면에 1줄의 홈부를 가짐과 아울러, 광폭의 각 측면에 2줄의 홈부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7 중 어느 하나의 유닛룸에 있어서, 압출형재는, 폭방향 중앙부가 상기 홈부에 대하여 비연통의 중공부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8 중 어느 하나의 유닛룸에 있어서, 출입구 개구부에, 압출형재의 홈부를 가이드 레일로 하여 신축 개폐하는 벨로즈식 셔터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에 따른 유닛룸의 2단 설치 구조는 상기 청구항 1∼9 중 어느 하나의 유닛룸의 2기가 상하 2단계으로 설치되고, 상단의 유닛룸에서의 바닥부측에 내화 보드가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0의 유닛룸의 2단 설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내화 보드가 목질 합판의 적어도 하면측에 무기질 단열층을 설치한 것으로 이 루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청구항 12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0 또는 11의 유닛룸의 2단 설치 구조에 있어서, 내화 보드가 바닥부의 패널재를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청구항 13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0∼13 중 어느 하나의 유닛룸의 2단 설치 구조에 있어서, 상단의 유닛룸 룸 골격에서의 하부 빔재의 하면측과, 하단의 유닛룸의 룸 골격에서의 상부 빔재의 상면측에 상기 홈부를 갖고, 양쪽 홈부 사이에 개재하는 지지 금구에 의해 상단의 유닛룸이 들려진 상태에서 하단의 유닛룸에 떠받쳐져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청구항 14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0∼13 중 어느 하나의 유닛룸의 2단 설치 구조에 있어서, 유닛룸이 캡슐 베드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른 유닛룸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홈부를 갖는 압출형재로 이루어지는 횡길이 직방체 형상의 룸 골격에, 패널재를 끼워장착하여 천장부 및 바닥부와 벽부를 구성하는 것이므로, 종래와 같이 룸 본체와 지지 프레임을 별개로 구축하여 짜 붙일 필요가 없는데다, 천장부 및 벽부의 패널재가 둘레에 돌출 가장자리부를 갖는 합성수지제 또는 FRP제의 중공 패널재로 이루어지고, 그 돌출 가장자리부를 압출형재의 홈부에 끼워삽입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그 조립 및 설치장소로의 설치를 적은 노동력으로 용이하게 극히 능률적으로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천장부 및 벽부가 중공 패널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높은 방음성 및 단열성이 얻어짐과 더불어, 이 패널재의 둘레의 돌출 가장자리부가 압출형재의 홈부에 끼워삽입되기 때문에, 이 패널재의 끼워맞춤 부분에 틈이 생기지 않아, 실내외 사이의 광 누설이나 틈새 바람이 완전히 방지되고, 이로써 독실 공간으로서 대단히 우수한 거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압출형재의 홈부나 중공부를 이용하여 룸 내의 여러 부위로의 배선을 드러내지 않는 형태로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룸 골격의 각 부의 압출형재 및 각 면의 중공 패널재의 공통화에 의해, 부재 비용 및 부재 관리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룸 골격에서 서로 직각으로 배치하는 압출형재의 단부끼리를 연결 고정할 때, 이 압출형재에 대하여 구멍뚫기, 절제, 절결, 나사깎기 등의 기계적 가공을 시행할 필요가 없고, 압출형재 상호의 안쪽으로 넓은 홈부에 슬라이딩하여 끼워삽입하는 나사고정 금구를 이용하여 나사 죄기 조작만으로 대단히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중공 패널재의 끝이 굵은 돌출 가장자리부가 압출형재의 안쪽으로 넓은 홈부에 일단측으로부터 슬라이딩하여 끼워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사람이 강하게 기대거나 하여 패널면에 큰 힘이 가해져도, 당해 패널재가 룸 골격으로부터 빠질 염려가 없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룸 골격의 출입구 개구부가 있는 전측면과 후측면의 4개의 코너부에 전후방향의 빔재의 단면이 위치하고, 그 각 빔재의 내부에 삽입통과시킨 연결 로드의 양단의 나사부를 강재제 받이재에 관통하여 외측으로부터 너트로 체결하므로, 이 연결 로드를 통하여 룸 골격의 짜 붙이는 강도가 현격하게 증대함과 아울러, 전측면의 강재제 받이재를 이용하여 손잡이, 스텝, 넘버 플레이 트 등의 부속부품을 견고하게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전측면의 강재제 받이재가, 룸 골격에서의 압출형재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프레임부의 전면을 덮는 직사각형 화장틀을 구성하므로, 이 직사각형 화장틀에 의해 출입구 주위의 외관을 향상시키는 의장 효과와 룸 골격의 보강효과가 얻어진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룸 골격의 기둥재 및 빔재가 복수 줄의 홈부를 갖는 동일 단면 형상의 압출형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룸 골격 전체를 단일의 원재보다 저렴하게 구축할 수 있음과 아울러, 조립시에 압출형재의 길이를 일치시키는 것만으로 전후 좌우 및 상하의 적절한 사용을 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립작업의 노동력이 대폭 경감된다.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압출형재는의 단면 외형이 종횡비 2/1의 장방형이고, 협폭의 각 측면에 1줄의 홈부, 광폭의 각 측면에 2줄의 홈부를 가지므로, 룸 골격의 구성부위에 의한 이용 홈부의 방향 및 홈부 개수의 차이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반전해도 동일한 형태로 되므로, 룸 골격의 조립시에 사용편리성이 좋다.

    청구항 8의 발명에 의하면, 압출형재의 폭방향 중앙부에 홈부에 대하여 비연통의 중공부를 가지므로, 이 중공부를 상기 연결 로드의 삽입통과부나 배선공간으로서 이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당해 압출형재 자체도 고강도로 된다.

    청구항 9의 발명에 의하면, 출입구 개구부에, 압출형재의 홈부를 가이드 레일로서 개폐하는 셔터를 간단하게 부설할 수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1∼9 중 어느 하나의 유닛룸의 상하 2단의 설치상태에 있어서, 상단의 유닛룸의 바닥부측에 배치한 내화 보드에 의해, 화재시의 상하의 유닛룸 사이에서의 연소가 저지된다.

    청구항 11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내화 보드가 목질 합판의 적어도 하면측에 무기질 단열층을 설치한 것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양호한 연소방지 기능과 내화 보드로서의 강도가 얻어진다.

    청구항 12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내화 보드가 상단의 유닛룸의 바닥 패널을 겸용하므로, 그만큼 부재 비용이 저감됨과 아울러, 유닛룸의 조립 제작의 수고도 적어진다.

    청구항 13의 발명에 의하면, 상하의 유닛룸 룸 골격에서의 압출형재로 이루어지는 빔재의 홈부를 이용하는 지지 금구에 의해, 상단의 유닛룸을 들리게 한 상태에서 하단의 유닛룸에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떠받칠 수 있다.

    청구항 14의 발명에 의하면, 캡슐 베드의 상하 2단의 설치 구조가 제공된다.

    이하에, 본 발명을 캡슐 베드로서 사용하는 유닛룸에 적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유닛룸(R)은, 길이방향 일단측(이하, 전측이라고 함)을 출입구 개구부(EN)로 한 횡으로 긴 상자형을 이루고,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의 압출형재(1)로 횡으로 긴 직방체 형상으로 구축된 룸 골격(2)에, 합성수지 블로우성형품의 중공 패널재(3)를 끼워장착하고 천장부(CE)와 좌우의 측벽부(SW) 및 후벽 부(RW)(도 11 참조)가 구성됨과 아울러, 바닥 패널재(4)를 끼워장착하여 바닥부(FL)가 구성되고, 또 출입구 개구부(EN)의 주위의 압출형재(1)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틀부의 전면에는 정방형의 화장틀(5)이 부착되어 있다.

    룸 골격(2)은,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룸 네 귀퉁이의 4개의 기둥재(p1)와, 이것들의 상단부 사이 및 하단부 사이에 전후방향을 따라 교가하는 4개의 횡으로 긴 빔재(g1)와, 동일하게 좌우방향을 따라 교가하는 4개의 짧은 빔재(g2)로 횡으로 긴 직방체의 틀체를 구성하고 있고, 그 전후방향 중간위치에는 각 2개의 중간 기둥재(p2) 및 중간 빔재(g3)가 횡으로 긴 빔재(g1)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출입구 개구부(EN)의 하부에는 짧은 빔재(g2) 상에 겹치는 형태로 막판용 빔재(g4)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기둥재(p1, p2), 빔재(g1∼g4)는 단면의 종횡비가 1/2과 같은 압출형재(1)로 이루어지며, 전후방향을 따르는 횡으로 긴 빔재(g1)에 대하여 기둥재(p1, p2) 및 빔재(g2, g3)가 대략 절반의 길이가 되며, 막판용 빔재(g4)는 빔재(g2, g3)보다도 약간 짧게 되어 있다. 또, 빔재(g1, g2, g4)는 모두 광폭 측면을 수직으로 하고 있지만, 중간 기둥재(g3)는 광폭 측면이 수평으로 되어 있고, 또한 전후방향을 따르는 좌우 상하의 4개의 빔재(g1)는 전후의 양단면(1a)가 드러나도록 짜 붙여져 있다. 한편, 룸의 네 귀퉁이의 기둥재(p1)는 광폭 측면을 전후방향을 향하고 있지만, 중간 기둥재(p2)는 광폭 측면을 좌우방향을 향하고 있다.

    기둥재(p1, p2), 빔재(g1∼g4)를 구성하는 압출형재(1)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측의 광폭 측면에 각 2줄, 양측의 협폭 측면에 각 1줄로 합계 6줄의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홈부(11)를 가짐과 아울러, 단면 중앙 부분이 이들 홈부(11)와는 비연통인 중공부(10)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6줄의 홈부(11)는 동일 형상 및 치수로 설정되고, 개구 가장자리의 양측으로부터 대향 형상으로 돌출한 돌출 가장자리부(11a)에 의해 안쪽으로 넓게 되어 있다. 또, 중공부(10)의 내측에는, 가상 원(10a)을 둘러싸도록 사방에서 중심을 향하여 돌출한 단면 T자형의 돌출부(12)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기둥재(p1, p2) 및 빔재(g1∼g4)의 서로 직각으로 배치하는 단부끼리는, 이것들을 구성하는 압출형재(1)의 상호의 홈부(11)를 이용하고, 이 홈부(11)에 슬라이딩하여 끼워삽입하는 나사고정 금구를 통한 나사고정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나사고정 방식에 의한 연결에는, 예를 들면, 도 4(a)의 외부 부착 L자 금구(6)와 나사고정 금구로서의 동 도면 (b), (c)의 홈 진입 너트(7A) 또는 2연형의 홈 진입 너트(7B)의 조합, 도 6에서 도시하는 L자형의 이너 조인트(8), 도 9에서 도시하는 L자형 덧댐판(21)과 상기 동일한 홈 진입 너트(7A 또는 7B)의 조합 등이 채용된다.

    도 4(a)에서 도시하는 외부 부착 L자 금구(6)는, 직각에 배치한 한 쌍의 띠판 형상의 측편부(61, 61)와, 이들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경사편(62)과의 사이에서 직각 이등변 삼각형 틀(60)을 구성하고, 각 측편부(61)의 선단측에 나사 삽입통과 구멍(63)을 가짐과 아울러, 경사편(62)의 내면측에 C자형의 비스 홀(64)이 형성되어 있다. 동 도 (b)에서 도시하는 홈 진입 너트(7A)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정방형이고 측면에서 보아 대략 역사다리꼴의 일본장기의 말 형상을 이루고, 상면측 중 앙의 직사각형 볼록부(71)의 양측에 단차부(72)가 형성됨과 아울러, 중심 위치에 상하로 관통하는 나사 구멍(70)을 구비하고 있다. 또, 동 도면 (c)에서 도시하는 2연형의 홈 진입 너트(7B)는, 상기 홈 진입 너트(7A)의 2개가 일체화한 형태이며, 평면에서 보아 대략 장방형이고 측면에서 보아 대략 역사다리꼴의 블록 형상을 이루고, 상면측 중앙의 직사각형 볼록부(71)에 2개의 나사 구멍(7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양쪽 홈 진입 너트(7A, 7B)는 그 직사각형 볼록부(71)의 폭이 압출형재(1)에서의 홈부(11)의 개방폭보다 약간 좁지만, 양측의 단차부(72)에서의 전체폭이 이 홈부(11)의 개방폭보다도 넓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홈부(11)에 대하여 직사각형 볼록부(71)가 개방 가장자리 사이에 끼이는 형태로 압출형재(1)의 일단측으로부터 슬라이딩하여 끼워삽입 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도 5는, 압출형재(1)의 홈부(11)에 슬라이딩하여 끼워삽입시킨 홈 진입 너트(7A)(또는 7B)를 이용하고, 이 홈부(11)의 외측에 배치한 외부 부착 L자 금구(6)를 나사고정한 상태를 도시한다. 즉, 이 홈부(11)의 외측에 외부 부착 L자 금구(6)의 측편부(61)를 덧대고, 그 나사 삽입통과 구멍(63)에 와셔(66)를 통하여 삽입통과한 고정 나사(65)를 홈 진입 너트(7A)(또는 7B)의 나사 구멍(70)에 나사식 삽입하고 단단히 죔으로써, 외부 부착 L자 금구(6)의 측편부(61)와 홈 진입 너트(7A)(또는 7B)의 단차부(72) 사이에서 홈부(11)의 돌출 가장자리부(11a)가 협착되고, 이로써 압출형재(1)에 외부 부착 L자 금구(6)가 고정된다.

    도 6에 도시하는 이너 조인트(8)는, 직각으로 배치한 한 쌍의 축 형상의 측편(81, 82)에, 그 직각 배치의 면 내에 축방향이 따르는 각각 2개의 나사 구멍(80) 을 가짐과 아울러, 이 나사 구멍(80)이 없는 양측면에 볼록 돌출부(83, 8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편(81)의 볼록 돌출부(83)와 측편(82)의 볼록 돌출부(84)는 불연속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양 측편(81, 82)은 그 폭이 압출형재(1)에서의 홈부(11)의 개방폭보다 약간 좁지만, 양측의 볼록 돌출부(83, 84)에서의 전체폭이 이 홈부(11)의 개방폭보다도 넓어, 홈 진입 너트(7A, 7B)와 마찬가지로 이 홈부(11)에 대하여 압출형재(1)의 일단측으로부터 슬라이딩하여 끼워삽입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도 7은 룸 골격(2) 전측 좌하부를 도시한다. 여기에서는, 전후방향의 빔재(g1)의 전단부가 기둥재(p1)의 하단부와 좌우방향의 빔재(g2)의 좌단부에 각각이 이너 조인트(8)를 통하여 연결됨과 아울러, 기둥재(p1)의 하단부와 막판용 빔재(g4)의 좌단부가 외부 부착 L자 금구(6) 및 홈 진입 너트(7A)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너 조인트(8)에 의한 연결은, 도 8에서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전후 방향의 빔재(g1)를 구성하는 압출형재(1)의 홈부(11)에, 일방의 측편(81)을 드러낸 단면(1a)로부터 끼워삽입하고, 그 각 나사 구멍(80)에 로킹 나사(85)를 나사식 삽입하고 단단히 죈다. 이 단단히 죔으로 로킹 나사(85)의 선단이 홈부(11)의 내측 바닥을 누름으로써, 이 측편(81)의 양측의 볼록 돌출부(83)의 측면이 홈부(11)의 돌출 가장자리부(11a)에 압접하고, 이로써 이 측편(81)이 홈부(11)에 고정되므로, 이너 조인트(8)는 타방의 측편(82)이 홈부(11)로부터 직립한 상태에서 당해 압출형재(1)에 고정된다. 다음에, 이 이너 조인트(8)가 직립해 있는 타방의 측편(82)을, 연결할 기둥재(p1) 또는 빔재(g2)를 구성하는 압출형재(1)의 홈부(11)에 단면(1a) 으로부터 끼워삽입하고, 마찬가지로 각 나사 구멍(80)에 로킹 나사(85)를 나사식 삽입하고 단단히 죔으로써, 이 측편(82)의 양측의 볼록 돌출부(84)의 측면이 홈부(11)의 돌출 가장자리부(11a)에 압접하고, 이로써 이 측편(82)이 홈부(11)에 고정되므로, 전후방향의 빔재(g1)와 좌우방향의 빔재(g2) 또는 기둥재(p1)가 연결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연결구조는 룸 골격(2) 전측 우하부, 전측의 좌우 상부, 후측의 좌우 상부, 후측의 좌우 하부에서도 채용되어 있다.

    도 9는 룸 골격(2)의 길이방향 중간부의 우측 하부를 도시한다. 여기에서는, 전후방향의 빔재(g1)와 중간 기둥재(p2) 및 중간 빔재(g3)가 L자형 덧댐판(21)과 홈 진입 너트(7A)(또는 7B)의 조합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 L자형 덧댐판(21)은 중간 기둥재(p2)의 측면 하부로부터 빔재(g1)의 측면에 맞닿는 수직편(21a)과, 빔재(g1)의 바닥면으로부터 중간 빔재(g3)의 바닥면 우단부에 맞닿는 수평편(21b)에서 L자형을 이루고, 이들 빔재(g1, g3) 및 기둥재(p2)의 맞닿음면에 있는 각 홈부(11)마다 대응한 각 한 쌍의 나사 삽입통과 구멍(20)을 갖고 있고, 각 나사 삽입통과 구멍(20)에 삽입통과한 접시 나사(22)를 각 홈부(11)에 미리 끼워삽입한 홈 진입 너트(7A)(또는 7B)의 나사 구멍(70)에 나사결합하여 체결함으로써, 빔재(g1, g3) 및 기둥재(p2)를 연결하고 있다. 이러한 연결구조는 룸 골격(2)의 길이방향 중간부의 좌측 하부 및 좌우 상부에서도 채용되어 있다.

    유닛룸(R)의 천장부(CE)와 좌우의 측벽부(SW) 및 후벽부(RW)를 구성하는 중공 패널재(3)는,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정방형의 중공 후판 형상을 이루는 패널 본체부(30)의 주위에, 두께가 얇은 돌출 가장자리부(31, 32)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그 일방의 평행한 돌출 가장자리부(31, 31)는 동 도면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탄하지만, 타방의 평행한 돌출 가장자리부(32, 32)는 동 도면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단면에서 선단측이 불룩해진 끝이 굵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패널 본체부(30)의 두께는 룸 골격(2)에 사용되는 압출형재(1)의 협폭 측면의 폭과 대략 동일하고, 또 평탄한 돌출 가장자리부(31)는 이 압출형재(1)의 홈부(11)에 대하여 수직으로 출입할 수 있는 두께로 되어 있다. 그런데, 끝이 굵은 돌출 가장자리부(32)는 잘록한 근원측(32a)의 두께가 압출형재(1)의 홈부(11)의 개방폭보다도 작지만, 불룩해진 선단측의 두께가 이 홈부(11)의 개방폭보다도 크므로, 이 홈부(11)에 대하여 일단측으로부터 슬라이딩하여 끼워삽입할 수 있지만, 수직으로는 출입 불능으로 되어 있다.

    천장부(CE)와 좌우의 측벽부(SW)는 각 2장의 중공 패널재(3)를 전후로 줄지어 놓은 형태로 구성되고, 또 후벽부(RW)는 1장의 중공 패널재(3)로 구성되지만, 어느 중공 패널재(3)도 룸 골격(2)을 구성하는 주위의 압출형재(1)의 홈부(11)에 둘레의 돌출 가장자리부(31, 32)를 끼워삽입하고 있다. 그리고, 도 10∼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천장부(CE) 및 좌우의 측벽부(SW)를 구성하는 중공 패널재(3)는, 전후방향을 따르는 빔재(g1)의 홈부(11)에 대하여 끝이 굵은 돌출 가장자리부(32)를 이탈하지 않게 끼워삽입함과 아울러, 기둥재(p1, p2) 및 좌우방향의 빔재(g2, g3)의 홈부(11)에 대하여 평탄한 돌출 가장자리부(31)를 끼워삽입하고 있다. 또, 후벽부(RW)를 구성하는 중공 패널재(3)은, 좌우방향을 따르는 상하의 빔재(g2)에 대하여 끝이 굵은 돌출 가장자리부(32)를 이탈하지 않게 끼워삽입함과 아 울러, 좌우의 기둥재(p1)의 홈부(11)에 대하여 평탄한 돌출 가장자리부(31)를 끼워삽입하고 있다.

    한편, 바닥 패널재(4)로서는, 상기와 동일한 중공 패널재(3)도 사용 가능하지만, 내하중 강도면에서 목질 합판(콘파네: 콘크리트 거푸집용 패널) 등의 중실 평판재가 적합하다. 또, 2단 설치 구조의 상단측의 유닛룸의 경우에는, 석고보드와 같은 내화 보드를 바닥 패널재(4)에 겸용해도 된다. 이러한 상단측의 유닛룸의 바닥부(FL)측에 배치하는 내화 보드는, 화재시에 상하의 유닛룸 사이에서의 연소를 저지하기 위하여 필요하게 된다.

    도 14는 2단 설치 구조의 상단측의 유닛룸(UR)에서의 바닥부(FL)의 구성예이며, 목질 합판(41)의 상하면에 석고 등의 무기질 단열층(42)을 설치한 내화 보드(4A)를 바닥 패널재에 겸용하고, 그 목질 합판(41)의 돌출한 주변부를 빔재(g1∼g3)의 홈부(11)에 끼워삽입하고 있다. 그리고, 홈부(11) 내에는 끼워삽입된 목질 합판(41)의 주변부를 떠받치는 봉 형상 스페이서(43)이 삽입되어 있다. 또한, 이 내화 보드(4A) 와는 별도로,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중공 패널재(3)나 중실 평판재를 바닥 패널재로서 위쪽에 배열 설치해도 된다. 그런데, 실시형태와 같이 내화 보드를 상단의 유닛룸의 바닥 패널에 겸용하면, 그만큼 부재 비용이 저감함과 아울러, 유닛룸의 조립제작의 수고도 적어진다. 또, 내화 보드로서는, 목질 합판(41)의 하면측에만 무기질 단열층(42)을 설치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5는 2단 설치 구조의 하단측의 유닛룸(DR)나 2단 설치하지 않는 유닛룸에서의 바닥부(FL)의 구성예로, 두꺼운 목질 합판으로 이루어지는 바닥 패널재(4B) 가 빔재(g1∼g3)의 홈부(11)에 끼워장착한 다수의 받이 금구(7C)에 주변부가 떠받쳐지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받이 금구(7C)는, 홈 진입 너트(7A)와 동일한 형상의 머리부(73)에 축부(74)가 일체 형성되고, 이 축부(74)로부터 머리부(73)에 걸쳐 관통하는 나사 구멍(75)에 로킹 나사(76)가 나사식 삽입되어 있고, 머리부(73)를 홈부(11) 내에 슬라이딩하여 끼워삽입하고 이 홈부(11)로부터 축부(74)가 돌출한 상태에서, 로킹 나사(76)를 단단히 죔으로써 당해 홈부(11)에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룸 골격(2)의 전후방향을 따르는 상하좌우 4개의 빔재(g1)에는, 양단에 나사부(9a, 9b)를 갖는 연결 로드(9)가 각각의 압출형재(1)의 중공부(10) 내를 관통하여 삽입통과되어 있다. 이 연결 로드(9)의 전단측은, 도 16(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출형재(1)의 단면(1a)으로부터 돌출하여 출입구 개구부(EN)의 화장틀(5)의 강제 채널재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프레임(51)을 관통하고 있고, 그 나사부(9a)에 받침판(24) 및 와셔(23a)를 통하여 너트(23)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또, 이 연결 로드(9)의 후단측은, 동 도면 (b), (c)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출형재(1)의 단면(1a)에 덧대는 강재제의 종으로 긴 직사각형의 받이재(25)를 관통하고, 그 나사부(9b)가 이 받이재(25)에 용접 일체화된 고정 너트(26)에 나사식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각 연결 로드(9)의 후단측의 나사부(9b)를 받이 틀(25)의 고정 너트(26)에 나사식 삽입한 상태에서, 전단측의 나사부(9a)에 나사식 부착한 너트(23)를 단단히 죔으로써, 화장틀(5)의 베이스 프레임(51)과 받이재(25)의 사이에서 룸 골격(2)의 전체가 전후방향으로 견고하게 단단히 죄어지고, 이로써 룸 골격(2)의 조립 강도가 현격하게 증대한다. 또한, 화장틀(5)측에서는 베이스 프레임(51)의 외측에 씌우는 외장 틀(52)의 네 귀퉁이에 팽출한 화장 커버부(5a)를 가지고 있고, 이 화장 커버부(5a)에 의해 각 연결 로드(9)의 전단측의 나사부(9b)와 너트(23)의 나사결합 부분이 숨겨지게 되고 있다. 또, 후방부측의 받이재(25)는, 고정 너트(26)로부터 떨어진 단부측에 관통시킨 로킹 볼트(27)를, 기둥재(p1)의 홈부(11)에 끼워삽입한 홈 진입 너트(7A)에 나사식 부착함으로써, 전단측의 너트(23)를 단단히 죌 때의 헛돌기를 방지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유닛룸(R)에서는 홈부(11) 부착 압출형재(1)로 이루어지는 횡으로 긴 직방체 형상의 룸 골격(2)에, 패널재(3, 4)를 끼워장착하여 천장부(CE) 및 바닥부(FL)와 벽부(SW, RW)를 구성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룸 본체와 지지 프레임을 별개로 구축하여 짜 붙일 필요가 없는데다, 룸 골격(2)에서 서로 직각으로 배치하는 압출형재(1)의 단부끼리를 연결 고정할 때, 이 압출형재(1)에 대하여 구멍뚫기, 절제, 절결, 나사깎기 등의 기계적 가공을 시행할 필요가 없고, 압출형재(1) 상호의 안쪽으로 넓은 홈부(11)에 끼워삽입하는 홈 진입 너트(7A, 7B)나 이너 조인트(8) 등의 나사고정 금구를 이용하여, 나사 죔 조작만으로 대단히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연결고정할 수 있고, 게다가 천장부(CE) 및 벽부(SW, RW)를 구성하는 중공 패널재(3)는 둘레의 돌출 가장자리부(31, 32)를 압출형재(1)의 홈부(11)에 끼워삽입하는 것만으로 되기 때문에, 그 조립 및 설치장소로의 세팅을 적은 노동력으로 용이하게 대단히 능률적으로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유닛룸(R)에서는, 천장부(CE) 및 벽부(SW, RW)가 중공 패널재(3)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높은 방음성 및 단열성이 얻어짐과 더불어, 이 패널재(3)의 둘레의 돌출 가장자리부(31, 32)가 압출형재(1)의 홈부(11)에 끼워삽입되어 실내외를 통하는 틈이 생기지 않게 하므로, 내외 간의 광 누설이나 틈새 바람이 완전히 방지되고, 이로써 특히 캡슐 베드의 독실 공간으로서 대단히 우수한 거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압출형재(1)의 홈부(11)나 중공부(10)를 이용하여 룸 내의 여러 부위로의 배선을 드러내지 않는 형태로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룸 골격(2)의 각 부의 압출형재(1) 및 각 면의 중공 패널재(3)의 공통화에 의해, 부재 비용 및 부재 관리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룸 골격(2)의 각 부를 구성하는 압출형재(1)는, 앞서 서술한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와 같은 경금속 압출형재가 최적이지만, 합성수지나 세라믹의 압출형재도 사용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압출형재(1)로서는,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것 이외의 여러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홈부(11)의 줄수와 형성 위치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 설정할 수 있다. 단, 실시형태와 같이, 룸 골격(2)의 기둥재(p1, p2) 및 빔재(g1∼g4)가 복수 줄의 홈부(11)를 갖는 동일 단면 형상의 압출형재(1)로 이루어지는 경우, 룸 골격(2) 전체를 단일의 원재로 저렴하게 구축할 수 있음과 아울러, 조립시에 압출형재(1)의 길이를 맞추는 것 만으로 전후좌우 및 상하의 구별 사용을 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립작업의 노동력이 대폭 경감한다. 특히, 이 압출형재(1)로서, 단면 외형이 종횡비 2/1의 장방형이고, 협폭의 각 측면에 1줄의 홈부, 광폭의 각 측면에 2줄의 홈부를 갖는 것을 사용하면, 룸 골격(2)의 구성부위에 의한 이용 홈부의 방향 및 홈부 개수의 차이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반전해도 동일한 형상으로 되므로, 룸 골격(2)의 조립 시에 사용편리성이 좋다. 또한, 압출형재(1)로서 폭방향 중앙부에 홈부(11)에 대하여 비연통의 중공부(10)를 갖는 것을 사용하면, 이 중공부(10)를 상기 연결 로드(9)의 삽입통과부나 배선공간으로서 이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당해 압출형재(1) 자체도 고강도로 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중공 패널재(3)로서는, 예시한 합성수지나 FRP의 블로우 성형품이 적합하지만, 여러 합성수지나 FRP(수지 함침 직포를 포함함)에 의해 이 중공 패널재(3)을 두께방향으로 2분한 트레이 형상의 성형품을 제작하고, 그 2장을 접합하여 중공 패널재(3)를 제작해도 된다. 그리고, 이 중공 패널재(3)로서는, 둘레의 전부가 평탄한 돌출 가장자리부(31)인 것도 사용 가능하다. 단, 실시형태와 같이, 중공 패널재(3)의 끝이 굵은 돌출 가장자리부(32)를 압출형재(1)의 안쪽이 넓은 홈부(11)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는 이탈 불능으로 끼워삽입하면, 사람이 강하게 기대거나 하여 패널면에 큰 힘이 가해져도, 이 중공 패널재(3)가 룸 골격(2)으로부터 벗어날 염려가 없어, 캡슐 베드로서 높은 신뢰성이 얻어진다. 또, 반대로 주위의 전부가 끝이 굵은 돌출 가장자리부(32)인 것도 사용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패널재(3)가 룸 골격(2)에 의해 견고하게 유지되게 되는데, 둘레의 끝이 굵은 돌출 가장자리부(32)의 전부를 압출형재(1)의 홈부(11)에 일단측으로부터 슬라이딩하여 끼워삽입시키는 점에서, 룸 골격(2)의 각 부의 압출형재(1)와 중공 패널재(3)의 조립 수순이 대단히 복잡하게 된다고 하는 난점이 있다.

    룸 골격(2)의 기둥재(p1, p2) 및 빔재(g1∼g4)의 상호의 연결에 사용하는 나사고정 금구로서는, 예시한 홈 진입 너트(7A, 7B)나 이너 조인트(8)에 한하지 않고, 압출형재(1)의 홈부(11)에 대하여 슬라이딩하여 끼워삽입할 수 있고 또한 수직방향으로는 이탈 불능으로 되는 형태이거나, 또한, 홈부(11)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삽입 후에 선회(일반적으로 90도 선회)시킴으로써 이탈 불능으로 되는 형태로, 나사고정 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예를 들면, 홈 진입 너트와는 반대로, 머리부를 홈부(11) 내에 끼워 삽입하고 나사축부를 이 홈부(11)로부터 돌출시키는 홈 진입 볼트(7D) (도 18 참조)도 이용할 수 있다. 또, 이들 나사고정 금구와 조합시켜 사용하는 연결구로서도, 예시한 외부 부착 L자 금구(6)나 L자형 덧댐판(21) 이외의 여러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캡슐 베드는 상하 2단으로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상기 실시형태의 유닛룸(R)은 2단 설치에 대한 적용성도 우수하다. 예를 들면, 도 17은 2단 설치 구조에서 좌우 2열의 4기의 유닛룸(R)을 하나로 합친 구성을 도시한다. 이 구성의 경우, 상단의 유닛룸(UR)에 출입할 때에 잡히는 난간(53)이 당해 유닛룸(UR)에서의 화장틀(5)의 베이스 프레임(51)의 세로 부분에 부착됨과 아울러, 동시에, 상단의 유닛룸(UR)에 대한 승강을 위한 스텝(54A∼54C)이 하단의 양측의 유닛룸(DR)의 양쪽 베이스 프레임(51)의 병렬하는 세로 부분에 걸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각 유닛룸(R)(UR, DR)의 화장틀(5)의 베이스 프레임(51)은 고강도의 강재제이며, 또한 상하좌우의 빔재(g1)에 삽입통과시킨 연결 로드(9)에 의해 룸 골격(2)의 후방부측에 배치하는 강재제의 받이재(25)에 연결하여 지지 강도도 우수하 므로, 이것에 부착한 난간(53)이나 스텝(54A∼54C)에 큰 부착강도 및 지지강도를 확보할 수 있어, 사용자의 체중이 미치는 이들 부속물에 높은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다.

    2단 설치 구조에서의 상단의 유닛룸(UR)은, 도 18(a), (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간 들려진 상태에서 하단의 유닛룸(DR)에 떠받쳐져 있다. 그 수순은, 우선 상단의 유닛룸(UR)의 하측 좌우의 빔재(g1)에서의 하면측의 홈부(11)에 복수의 홈 진입 볼트(7D)의 머리부(76)를 슬라이딩하여 끼워삽입하고, 각 홈 진입 볼트(7D)의 하방 돌출하는 나사축부(77)에 너트(78)를 나사결합 체결함으로써, 당해 홈 진입 볼트(7D)를 홈부(11)의 소정 위치에 고정함과 아울러, 그 나사축부(77)의 하부에 너트(78)를 나사결합 해 둔다. 그리고, 이 상단의 유닛룸(UR)을 하단의 유닛룸(DR) 위로 운반하고, 각 홈 진입 볼트(7D)의 나사축부(77)를 하단의 유닛룸(DR)의 상측 좌우의 빔재(g1)에서의 상면측의 홈부(11)에 꽂아 넣고, 그것에 나사결합한 너트(78)를 이 홈부(11)에 걸쳐지게 하여 맞닿게 함으로써, 상단의 유닛룸(UR)의 하중을 하단의 유닛룸(DR)에 떠받쳐지게 한다. 그리고, 홈 진입 볼트(7D)에서의 너트(78)의 나사결합 높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상단의 유닛룸(UR)의 들어 올려지는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또, 상기의 2단 설치 시에는, 도 18(a), (c)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단의 유닛룸(DR)의 전방부 상측의 빔재(g2) 상에 L자 형상의 위치결정판(28)을 부착해 두고, 그 위에 운반되는 상단의 유닛룸(UR)의 전방부 하측의 빔재(g2)를 이 위치결정판(28)의 수직편(28a)의 전방면에 맞닿게 함으로써, 상단의 유닛룸(UR)의 전 후방향의 위치결정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위치결정판(28)은 그 수평편(28b)에 관통시킨 부착 볼트(27)를, 빔재(g2)의 홈부(11)내에 끼워삽입한 홈 진입 너트(7B)에 나사결합 체결함으로써, 하단의 유닛룸(DR)측에 부착함과 아울러, 마찬가지로 위치결정 후의 상단의 유닛룸(UR)의 빔재(g2)에 대하여, 수직편(28a)에 관통시킨 부착 볼트(27)를 빔재(g2)의 홈부(11) 내에 끼워삽입한 홈 진입 너트(7B)에 나사결합 체결하함으로써, 상단의 유닛룸(UR)에 대해서도 연결 고정한다.

    또한, 캡슐 베드의 출입구 개구부에는 차폐용으로서 일반적으로 말아올리기식의 두꺼운 천이 설치되는데, 본 발명의 유닛룸(R)의 출입구 개구부(EN)에서는, 룸 골격(2)을 구성하는 압출형재(1)의 홈부(11)를 가이드 레일로 하여 개폐하는 커튼이나 접이식 셔터를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 횡입구형의 유닛룸으로서, 예를 들면, 도 19(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닛룸(UR)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1면 전체를 개방하고, 그 상하의 빔재(g1)를 구성하는 압출형재(1)의 홈부(11)를 가이드 레일로 하여 좌우로 신축 개폐하는 손잡이(57a) 부착 벨로즈식 셔터(57)를 부착하고, 그 개폐에 의해 개방폭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전체면 차단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도면 중의 부호 55는 상단의 유닛룸(UR)의 출입구 부분에 설치하는 프론트 스텝(56)의 지지틀로, 상하단계의 유닛룸(UR, DR)에서의 빔재(g1)의 홈부(11)를 이용하여, 이 홈부(11)에 끼워삽입한 나사고정 금구(도시생략)를 통하여 나사고정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닛룸은, 특히 간이 숙박용의 캡슐 베드로서 적합하지만, 캡슐 베드 이외에 취침, 휴식, 재해시의 1차 피난, 특수환경에서의 거주 등에 이용하는 여러 독실 공간을 구성하는데도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른 유닛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동 유닛룸 룸 골격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동 룸 골격에 사용하는 압출형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동 룸 골격의 구축에 사용하는 연결구를 예시하며, (a)는 외부 부착 L자 금구의 사시도, (b)는 홈 진입 너트의 사시도, (c)는 2연형의 홈 진입 너트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외부 부착 L자 금구와 홈 진입 너트에 의한 연결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동 룸 골격의 구축에 사용하는 이너 조인트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동 룸 골격에서의 전측 좌하부의 연결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8은 7의 VV선 화살표 방향의 도면이다.

    도 9는 동 룸 골격의 전후 방향 중간부에서의 기둥재와 빔재의 연결구조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동 유닛룸에 사용하는 중공 패널재를 도시하며, (a)는 정면도, (b)는 (a)의 XX선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 (c)는 (a)의 YY선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동 유닛룸의 좌측 상부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ZZ선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동 유닛룸의 측벽부 중앙 근방의 횡단면도이다.

    도 14는 2단 설치 구조의 상단측에 사용하는 동 유닛룸의 좌측 하부의 종단정면도이다.

    도 15는 2단 설치 구조의 하단측에 사용하는 동 유닛룸의 좌측 하부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16은 동 유닛룸에서의 연결 샤프트의 부착상태를 도시하며, (a)는 전측 상부의 일부 파단 측면도, (b)는 후측 상부의 일부 파단 측면도, (c)는 후측 상부의 배면도이다.

    도 17은 상하 2단이고 또한 좌우 2열로 설치한 동 유닛룸을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전방부측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2단 설치 구조에서의 상하의 동 유닛룸의 적층 상태를 나타내며, (a)는 개략정면도, (b)는 좌측 주요부의 확대 정면도, (c)는 전측 중앙부의 확대 종단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2단 설치 구조의 유닛룸을 나타내며, (a)는 상단측을 주로 도시하는 정면도, (b)는 상단측의 평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압출형재 1a 단면

    10 중공부 11 홈부

    11a 돌출 가장자리부 2 룸 골격

    23, 26 너트 27 강재제 받이재

    3 중공 패널재 30 패널 본체부

    31 평탄한 돌출 가장자리부

    32 끝이 굵은 돌출 가장자리부

    4, 4B 바닥 패널재 4A 내화 보드

    41 목질 합판 42 무기질 단열층

    5 화장틀 51 베이스 프레임(강재제 받이재)

    57 셔터 6 외부 부착 L자 금구

    7A, 7B 홈 진입 너트(나사고정 금구)

    8 이너 조인트(나사고정 금구)

    9 연결 로드 9a, 9b 나사부

    R 유닛룸 UR 상단의 유닛룸

    DR 하단의 유닛룸 EN 출입구 개구

    CE 천장부 SW 측벽부

    RW 뒤벽부 FL 바닥부

    g1∼g4 빔재 p1, p2 기둥재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