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성 침대

申请号 KR1020130145611 申请日 2013-11-27 公开(公告)号 KR101506014B1 公开(公告)日 2015-03-31
申请人 이진국; 发明人 이진국;
摘要 본 발명은 기능성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출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실내 보온성을 높이고, 특히 취침시 외부 불빛 차단으로 숙면 유도가 가능하고, 보온성과 보습기능이 우수하여 동절기 실내 공기 건조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원적외선 찜질 등이 가능하도록 한 기능성 침대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서로 마주보는 서포터에 수평상태로 침대틀을 설치하여 매트리스를 안치하도록 한 침대에 있어서; 매트리스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서포터를 연장하여 반호형으로 형성한 상부서포터와; 침대틀에 안치된 매트리스와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제공되도록 양측 상부서포터의 상단에 횡설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 설치한 지붕프레임과; 상기 양측 상부서포터의 가장자리에는 설치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양측 상부서포터(5)에 마주보도록 ㄷ형상의 지붕가이드레일(23)을 침대(1)의 뒤쪽으로 향하게 설치하고, 지지프레임(6)의 양단에는 상기 지붕가이드레일(23)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24)를 설치하여 지지프레임(6) 및 지붕프레임(7)을 침대(1) 후방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权利要求
  • 삭제
  • 서로 마주보는 서포터(2)에 수평상태로 침대틀(3)을 설치하여 매트리스(4)를 안치하도록 한 침대에 있어서;
    매트리스(4)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서포터(2)를 연장하여 반호형으로 형성한 상부서포터(5)와;
    침대틀(3)에 안치된 매트리스(4)와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제공되도록 양측 상부서포터(5)의 상단에 횡설한 지지프레임(6)과;
    상기 지지프레임(6)에 고정 설치한 지붕프레임(7)과;
    상기 양측 상부서포터(5)의 가장자리에는 설치한 가이드레일(11)과;
    상기 가이드레일(11)을 따라서 이동하는 덮개(10)를 포함하되;
    상기 양측 상부서포터(5)에 마주보도록 ㄷ형상의 지붕가이드레일(23)을 침대(1)의 뒤쪽으로 향하게 설치하고, 지지프레임(6)의 양단에는 상기 지붕가이드레일(23)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24)를 설치하여 지지프레임(6) 및 지붕프레임(7)을 침대(1) 후방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 서로 마주보는 서포터(2)에 수평상태로 침대틀(3)을 설치하여 매트리스(4)를 안치하도록 한 침대에 있어서;
    매트리스(4)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서포터(2)를 연장하여 반호형으로 형성한 상부서포터(5)와;
    침대틀(3)에 안치된 매트리스(4)와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제공되도록 양측 상부서포터(5)의 상단에 횡설한 지지프레임(6)과;
    상기 지지프레임(6)에 고정 설치한 지붕프레임(7)과;
    상기 양측 상부서포터(5)의 가장자리에는 설치한 가이드레일(11)과;
    상기 가이드레일(11)을 따라서 이동하는 덮개(10)를 포함하되;
    상기 양측 상부서포터(5)의 전방 아래쪽에 설치한 제1피동축(12) 및 제1피동축(12)의 양단에 가이드레일(11)의 끝나는 부분에 위치되도록 설치하여 덮개(10)에 구비된 견인줄(10b)을 권취하는 권취드럼(21)과;
    상기 양측 상부서포터(5)의 후방 아래쪽에 설치한 제2피동축(13)과 제2피동축(13)의 바깥쪽으로 이격되도록 설치한 아이들축(14)의 양단에 가이드레일(11)의 끝나는 부분에 위치되도록 설치하여 덮개(10)를 가압 이송하는 가이드롤러(22)와;
    일측 상부서포터(5)의 아래쪽 중간에 설치되며 상부서포터(5)에 설치된 제어부(20)에 의해 제어되며 정역회전하는 구동모터(15)와;
    구동모터(15)의 축상에 결합된 구동스프로킷(16)과 체인(17)으로 연결되는 제1,2피동축에 설치한 제1,2피동스프로킷(18)(1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6)의 내측으로는 매트리스(4) 쪽으로 조사되도록 원적외선 램프(8)와 조명등(9)을 설치하여 제어부(20)에 의해 제어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덮개(10)는 지붕프레임(7)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면덮개(10a)와;
    지붕프레임(7)의 후방에 위치하며 전면덮개(10a)와 연결줄(10c)로 상호 연결되는 배면덮개(10d)와;
    배면덮개(10d)와 연결 구성되며 침대의 아래쪽 방바닥에 위치하는 바닥덮개(10e)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11)은 단면으로 볼 때 상부서포터(5)에 접하는 쪽이 넓고 그 반대쪽으로 좁은 홈(11a)이 형성되는 C형 찬넬 형상으로 구성하며;
    상기 덮개(10)의 양단부 가장자리에는 가이드레일(11)에 형성된 홈(11a) 보다 두꺼운 마감부(10f)를 형성하여 가이드레일(11)에 결합 상태에서 임의 분리되지 않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 说明书全文

    기능성 침대{Functionality bed}

    본 발명은 기능성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침대 상부에 지붕을 설치하여 밀폐구조로 구성하면서도 출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실내 보온성을 높이고, 특히 취침시 외부 불빛 차단으로 숙면 유도가 가능하고, 보온성과 보습기능이 우수하여 동절기 실내 공기 건조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원적외선 찜질 등이 가능하고 침대내의 집먼지 진드기 박멸을 쉽게 할 수 있고, 층간소음방지에도 일조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 침대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오래전부터 온돌을 사용하여 따뜻한 바닥에서 숙면을 취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근자에는 침대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침대의 경우 대부분 매트리스 구조를 개량한 것으로 쿠션감을 향상시키고 또 항균성을 부여하는 등의 기능성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외적인 요인으로 소음이나 불빛 등으로 인해 숙면을 제대로 취하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으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U)20-2011-0006614호(2011.06.08.)의 버티컬 블라인드형 덮개를 구비하는 침대가 제공된바 있으며, 이의 구성은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모서리에 위치하며 상방향으로 수직한 네 개의 기둥, 상기 받침판의 가장자리 면에 수직으로 위치하여 사면을 둘러싸는 네 개의 지지판 및 상기 받침판 상에 위치한 매트릭스로 이루어진 침대 본체; 및 버티컬, 손잡이 및 바퀴로 이루어진 버티컬 블라인드형 덮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침대에 덮개를 구비함으로써 숙면시 주변의 소음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침대의 경우 매트리스가 4개의 지지판 내부에 함몰되는 구성을 가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드나들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다른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Y1)20-0282497호(2002.07.22.)의 이글루형 침대덮개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의 구성은 이글루형 침대덮개에 있어서, 침대에 구비되어서 누울 수 있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원적외선 발산물질로 이루어진 매트부재와; 상기 매트부재의 양측편에 구비되며, 그 상면에는 단차지게 요설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가이드홈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고, 다수의 단위부재가 상호 절첩가능하게 구비되며, 그 양단부와 일측의 단위부재에는 각각 한지로 이루어진 출입문과 창문이 개폐가능하게 구비된 원적외선 발산물질로 이루어진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의 경우 유해파를 차단시키고, 원적외선이 인체에 고루 작용하도록 하여 혈액순환과 신진대사를 활성화시키며, 그로 인해 충분한 휴식과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되어 피로회복 및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고, 특히 상기한 덮개는 기존의 침대에 간편하게 구비되므로써 범용화된 덮개를 제공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하고 있기는 하나 외부 소음 차단 및 빛 차단성이 떨어지고, 상기에서와 같이 출입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KR 2020110006614 U 2011.06.08.

    KR 200282497 Y1 2002.07.22.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덮개가 구비된 침대에서 출입의 문제점 및 소음 및 빛 차단에 따른 문제점 등을 일소하여 출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 평상시 방바닥으로 내려 층간소음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면서도 방바닥 보온성을 높이고, 취침시 침대 상부를 완전히 덮어 보온성과 더불어 보습성을 높여 적정 습도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며, 또 부가적으로 원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원적외선 찜질도 가능하도록 한 기능성 침대를 제공함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서로 마주보는 서포터에 수평상태로 침대틀을 설치하여 매트리스를 안치하도록 한 침대에 있어서; 매트리스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서포터를 연장하여 반호형으로 형성한 상부서포터와; 침대틀에 안치된 매트리스와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제공되도록 양측 상부서포터의 상단에 횡설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 설치한 지붕프레임과; 상기 양측 상부서포터의 가장자리에는 설치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양측 상부서포터(5)에 마주보도록 ㄷ형상의 지붕가이드레일(23)을 침대(1)의 뒤쪽으로 향하게 설치하고, 지지프레임(6)의 양단에는 상기 지붕가이드레일(23)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24)를 설치하여 지지프레임(6) 및 지붕프레임(7)을 침대(1) 후방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측 상부서포터의 전방 아래쪽에 설치한 제1피동축 및 제1피동축의 양단에 가이드레일의 끝나는 부분에 위치되도록 설치하여 덮개에 구비된 견인줄을 권취하는 권취드럼과; 상기 양측 상부서포터의 후방 아래쪽에 설치한 제2피동축과 제2피동축의 바깥쪽으로 이격되도록 설치한 아이들축의 양단에 가이드레일의 끝나는 부분에 위치되도록 설치하여 덮개를 가압 이송하는 가이드롤러와; 일측 상부서포터의 아래쪽 중간에 설치되며 상부서포터에 설치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정역회전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축상에 결합된 구동스프로킷과 체인으로 연결되는 제1,2피동축에 설치한 제1,2피동스프로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측으로는 매트리스 쪽으로 조사되도록 원적외선 램프와 조명등을 설치하여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는 지붕프레임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면덮개와; 지붕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하며 전면덮개와 연결줄로 상호 연결되는 배면덮개와; 배면덮개와 연결수단에 의해 상호 연결 구성되며 침대의 아래쪽 방바닥에 위치하는 바닥덮개를 포함하는 구성한다.

    상기 가이드레일은 단면으로 볼 때 상부서포터에 접하는 쪽이 넓고 그 반대쪽으로 좁은 홈이 형성되는 C형 찬넬 형상으로 구성하며; 상기 덮개의 양단부 가장자리에는 가이드레일에 형성된 홈 보다 두꺼운 마감부를 형성하여 가이드레일에 결합 상태에서 임의 분리되지 않게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기능성 침대는 하기와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침대 상부를 밀폐하는 구성으로 실내 보온성을 높일 수 있고, 아울러 보습기능이 우수하여 동절기 실내 공기 건조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다.

    취침시 외부 불빛 차단으로 숙면 유도가 가능하다.

    바닥덮개를 방바닥에 상시 깔고 필요시 접을 수 있어 주야간에 난방 효과를 상승시키고, 또 완충 기능성이 있어 층간을 흡수하므로 층간소음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원적외선 램프를 이용하여 원적외선 찜질이 가능하며, 전면덮개 및 배면덮개를 황토 성분이 포함된 것을 사용하여 찜질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덮개를 덮은 상태에서 원적외선 램프를 조사하는 방법 등으로 매트리스를 항상 건조한 상태로 말려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집먼지 진드기 박멸시에도 침대를 밀폐 구성한 상태에서 약품 등을 사용할 수 있어 효과적인 박멸이 가능하다.

    전면덮개를 올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간편하게 출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기능성 침대의 바람직한 제1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덮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측면도로서 덮개가 덮이기 전 상태도
    도 5는 도 1의 측면도로서 덮개가 덮인 상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제1실시례에서 지지프레임 및 지붕프레임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기능성 침대의 바람직한 제2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정면도
    도 10은 도 8의 측면도로서 덮개가 덮이기 전 상태도
    도 11은 도 8의 측면도로서 덮개가 덮인 상태 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기능성 침대의 실시례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기능성 침대의 바람직한 제1실시례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덮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 도 5는 도 1의 측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기능성 침대(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서포터(2)에 수평상태로 침대틀(3)을 설치하여 매트리스(4)를 안치할 수 있도록 한 통상의 침대(1)를 기본 구성으로 한다.

    상기한 침대(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2)는 매트리스(4) 상측 수직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서포터(2)를 연장하여 반호형으로 상부서포터(5)를 형성하고, 양측 상부서포터(5)의 상단에는 침대틀(3)에 안치된 매트리스(4)와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제공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6) 횡설하며, 지지프레임(6)에 폭이 넓은 지붕프레임(7)을 고정 설치한다.

    상기 지지프레임(6)의 내측으로는 매트리스(4) 쪽으로 조사되도록 제어부(20)에 의해 제어되는 원적외선 램프(8)와 조명등(9)을 설치하여 후술한 덮개(10)로 밀폐한 상태에서 원적외선 찜질을 하거나 또는 내부 조명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양측 상부서포터(5)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지지프레임(6) 및 지붕프레임(7)의 아래쪽에 위치되도록 가이드레일(11)을 설치하여 덮개(10)의 양측단이 내입된 상태로 안내될 수 있게 한다. 가이드레일(11)은 단면으로 볼 때 상부서포터(5)에 접하는 쪽이 넓고 그 반대쪽으로 좁은 홈(11a)이 형성되는 C형 찬넬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 가이드레일(11)을 따라서 이동하는 덮개(10)는 지붕프레임(7)의 전방에 위치하는 선단 양측으로 견인줄(10b)이 구비된 전면덮개(10a)와, 지붕프레임(7)의 후방에 위치하며 전면덮개(10a)와 연결줄(10c)로 상호 연결되는 배면덮개(10d)와, 배면덮개(10d)와 연결수단(10g)에 의해 상호 연결 구성되며 침대(1)의 아래쪽 방바닥에 위치하는 바닥덮개(10e)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수단(10g)은 배면덮개(10d)와 바닥덮개(10c) 사이 폭 끝단을 로프로 서로 묶어 연결하는 구성과, 금속링을 사용하는 구성등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배면덮개(10d)와 바닥덮개(10e)에 아일릿을 결합하고 이에 금속링을 결합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전면덮개(10a)는 전체 또는 일부를 비닐지로 구성하여 매트리스(4) 쪽에서 외부를 관측할 수 있게 구성하며, 상기 바닥덮개(10e)는 전면덮개(10a)와 배면덮개(10d)가 지붕프레임(7)의 전후면을 완전히 밀폐한 상태일 때 바닥덮개(10e)의 끝이 침대(1)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전면덮개(10a)와 배면덮개(10d)는 일부분을 그물망(모기장 그물)으로 구성하여 하절기 모기장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황토 성분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찜질 효과 등을 높일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전면덮개(10a)와 배면덮개(10d)의 양단부 가장자리에는 가이드레일(11)에 형성된 홈(11a) 보다 두꺼운 마감부(10f)를 형성하여 가이드레일(11)에 결합 상태에서 임의 분리되지 않게 한다.

    본 발명 제1실시례에서의 덮개(10) 조립은 침대(1)의 배면쪽에서 가이드레일(11)로 견인줄(10b)을 내입시키는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며, 덮개(1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침대(1)의 전방에서 양쪽 견인줄(10b)을 당기면 견인줄(10b)과 연결되어 있는 전면덮개(10a)와, 전면덮개(10a)와 연결줄(10c)로 연결되는 배면덮개(10d)가 가이드레일(11)을 따라서 이동되어 지붕프레임(7)을 중심으로 전면덮개(10a)와 배면덮개(10d)가 침대(1)의 상부를 밀폐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 이 상태에서 전면덮개(10a)를 개방코자 할 시에는 바닥에 깔려 있는 바닥덮개(10e)를 잡아당기면 상기와 반대로 가이드레일(11)을 따라서 전면덮개(10a)와 배면덮개(10d)가 침대(1)의 배면 쪽으로 이동되어 개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전면덮개(10a)와 배면덮개(10d)의 경우 양단에 마감부(10f)가 형성되어 있어 긴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견인줄(10b)은 전면덮개(10a)가 침대(1)의 배면 쪽으로 완전히 이동한 상태일 때 선단이 가이드레일(11)을 통해 침대(1) 전방에 위치하며, 전면덮개(10a)와 배면덮개(10d)가 침대(1)를 완전히 덮은 상태일 때 바닥덮개(10e)의 단부는 침대(1)의 아래쪽 방바닥에 깔려 있는 구성이 되도록 길게 형성하여 보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보행시 등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층간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바닥덮개(10e)가 필요치 않을 때에는 접어 침대 밑에 보관하면 된다.

    본 발명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침대(1)의 뒤쪽에 위치하도록 침대틀(3)에 태엽구성으로 감겨지는 권취수단을 설치하여 권취수단에 배면덮개(10d)의 단부를 고정하고, 침대(1)의 앞쪽에 위치하도록 침대틀(3)에 고리를 설치하여 견인줄(10b)을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견인줄(10b)을 당겨 전면덮개(10a) 및 배면덮개(10d)를 덮을 때 권취수단에 내장된 태엽이 감기고, 반대로 견인줄(10b)을 놓으면 권취수단에 전면덮개(10a) 및 배면덮개(10d)가 감기면서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권취수단을 침대틀(3) 좌우 양측면에 설치한 것으로 위로 (줄자처럼)잡아 당겨 지붕프레임 전면쪽 상부에 걸림턱을 두어 걸어 밀폐시키고, 출입 시 아래로 내리면 된다.

    도 6은 본 발명 제1실시례에서 지지프레임 및 지붕프레임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도 6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지지프레임(6) 및 지붕프레임(7)의 경우 상기에서는 고정 상태로 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도 6, 도 7에서는 이들 지지프레임(6) 및 지지프레임(6)에 고정된 지붕프레임(7)이 상부서포터(5)에 형성되어 있는 지붕가이드레일(23)을 따라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해 양측 상부서포터(5)에 마주보도록 ㄷ형상의 지붕가이드레일(23)을 설치하고, 지지프레임(6)의 양단에는 상기 지붕가이드레일(23)을 조립되는 롤러(24)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지지프레임(6) 및 지붕프레임(7)을 침대(1) 후방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지붕가이드레일(23)은 상부서포터(5)의 상단부에서 침대(1) 뒤쪽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롤러(24)가 접하는 쪽으로 지붕가이드레일(23)에 요철(23a)을 형성하여 지지프레임(6) 및 지붕프레임(7)의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지붕가이드레일(23)은 상부서포터(5)의 상단에서 침대(1)의 뒤쪽으로 40~60도 정도 회동될 수 있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붕가이드레일(23)이 덮개(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구성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덮개(1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단순설계변경에 의해 이루어질 있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지붕가이드레일(23)을 따라서 지지프레임(6) 및 지붕프레임(7)을 이동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경우 침대(1) 상부에서 지지프레임(6) 및 지붕프레임(7)을 회동시켜 일반 침대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상태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 전면덮개(10a)를 지지프레임(6) 및 지붕프레임(7)에 고정한 상태에서 지지프레임(6) 및 지붕프레임(7)을 이동시켜 개폐함으로 해서 취침 중 출입시 전면덮개(10a)를 간편하게 개방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기능성 침대(1)의 바람직한 제2실시례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도 8의 정면도, 도 10, 도 11은 도 8의 측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례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침대(1)를 구성함에 있어서, 덮개(10)를 기계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양측 상부서포터(5)의 전방 아래쪽에는 제1피동축(12)을 설치하고, 후방 아래쪽에는 제2피동축(13)을 설치하며, 제2피동축(13)의 바깥쪽으로는 제2피동축(13)과 이격된 상태로 자유 회전하는 아이들축(14)을 설치하며, 일측 상부서포터(5)의 아래쪽 중간에 설치한 정역회전하는 구동모터(15)의 축상에 결합된 구동스프로킷(16)과 체인(17)으로 연결되는 제1,2피동스프로킷(18)(19)을 각각 설치하며, 상기 구동모터(15)의 정역회전은 일측 상부서포터(5)에 설치된 제어부(20)에 의해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1피동축(12)의 양단에는 가이드레일(11)이 일측 끝나는 부분에 위치될 수 있도록 권취드럼(21)을 설치하고, 제2피동축(13)과 아이들축(14)의 양단에도 가이드레일(11)이 타측 끝나는 부분에 위치될 수 있도록 각각 가이드롤러(22)를 설치한다.

    상기 가이드롤러(22)는 덮개(10) 양측단 부분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우레탄 등과 같은 고무재질의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이들축(14)의 경우 본 발명에서는 상부서포터(5)에 고정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서 상부서포터(5)에 형성된 가변장공에 끼워져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제2피동축(13) 쪽으로 가압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11)을 따라서 이동하는 덮개(10)는 지붕프레임(7)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면덮개(10a)와, 지붕프레임(7)의 후방에 위치하며 전면덮개(10a)와 연결줄(10c)로 상호 연결되는 배면덮개(10d)와, 배면덮개(10d)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침대의 아래쪽 방바닥에 위치하는 바닥덮개(10e)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덮개(10a)의 양단에는 제1피동축(12)의 양측 권취드럼(21)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가이드레일(11) 내부를 따라서 이동하는 견인줄(10b)을 고정한다.

    본 발명에서의 덮개(10) 조립은 전면덮개(10a)의 양단에 결합되는 견인줄(10b)을 제2피동축(13) 및 아이들축(14)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롤러(22) 사이로 끼운 상태에서 가이드레일(11) 내부를 통해 제1피동축(12)에 설치되어 있는 권취드럼(21)에 결속 고정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한 상태에서 덮개(10)로 침대(1)를 덮고자 할 시에는 구동모터(15)를 정회전시켜 견인줄(10b)을 권취드럼(21)에 감으면 된다. 즉, 견인줄(10b)을 권취드럼(21)에 감으면 견인줄(10b)과 연결되어 있는 전면덮개(10a)와, 전면덮개(10a)와 연결줄(10c)로 연결되는 배면덮개(10d)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마감부(10f)가 가이드레일(11)을 따라서 이동되면서 지붕프레임(7)의 전방과 후방이 각각 전면덮개(10a)와 배면덮개(10d)에 의해 밀폐되는 것이다.

    그리고 침대에서 덮개(10)를 개방코자 할 시에는 구동모터(15)를 역회전시키면 된다. 즉, 구동모터(15)를 역회전시키면 권취드럼(21)에 권취되어 있는 견인줄(10b)이 풀리는데, 이때 제2피동축(13)과 아이들축(14)에 구비되어 있는 가이드롤러(22) 사이를 통과한 배면덮개(10d)가 가이드롤러(22)의 역회전이 1차 침대(10 뒤쪽으로 배출되고, 이어서 연결줄(10c) 및 전면덮개(10a)가 가이드롤러(22) 사이를 통과하면서 침대(1) 뒤쪽으로 배출되어 개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 및 작용되는 본 발명의 기능성 침대(1)는 동절기 실내 보온성을 높이고, 특히 취침시 외부 불빛 차단으로 숙면 유도하며, 보온성과 보습기능이 우수하여 동절기 실내 공기 건조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원적외선 찜질 등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바닥부재(10e)로 침대 면적 외의 방바닥을 덮어 난방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으며, 층간소음 저감에도 일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기능성) 침대 2:서포터
    3:침대틀 4:매트리스
    5:상부서포터 6:지지프레임
    7:지붕프레임 8:원적외선 램프
    9:조명등 10:덮개
    10a:전면덮개 10b:견인줄
    10c:연결줄 10d:배면덮개
    10e:바닥덮개 10f:마감부
    11:가이드레일 11a:홈
    12:제1피동축 13:제2피동축
    14:아이들축 15:구동모터
    16:구동스프로킷 17:체인
    18,19:제1,2피동스프로킷 20:제어부
    21:권취드럼 22:가이드롤러
    23:지붕가이드레일 23a:요철
    24:롤러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