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성수지 야외용 매트

申请号 KR2020030005300 申请日 2003-02-22 公开(公告)号 KR200319024Y1 公开(公告)日 2003-07-04
申请人 손현국; 손영춘; 发明人 손현국; 손영춘;
摘要 본 고안은 경량 소형 포장이 가능한 두 겹 이상의 합성수지 필름시트를 기재로 한 야외용 매트(Mat)에 관한 것으로서, 매트의 가장자리에 물 저장용 튜브나 에어 저장용 튜브 형상을 용착 형성하고 튜브에 저장된 물의 중량을 이용해 지면에 매트를 밀착되도록 하여 바람에 날리지 않게 하고 에어가 충만된 튜브를 이용해 외부로부터의 흙먼지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야외용 매트를 담수 운반용 물주머니와 매트 수납용 주머니를 동시에 겸용하는 이중 폴리백과 함께 제공하는 것이다.
权利要求
  • 합성수지 필름 시트의 소정 부위를 용착·접합하여 만드는 야외용 매트(Mat)에 있어서, 인쇄 처리나 엠보싱(Embossing)처리 또는 바둑판같은 네모 형상(100)으로 용착·접합된 중앙부의 둘레에 물 주입구(130, 131, 132)를 가진 물 저장용 통 수로(120, 121, 123) 또는 절수형 수로(122, 124)용 튜브 형상이 형성되고, 그 튜브의 외곽 둘레에 에어(air) 주입구(140, 141) 를 가진 에어 저장용 튜브(110, 111)를 형성하거나, 또는 고형물 수납용 튜브형 주머니(160)를 형성하기 위한 절취선(150)이나 절개선(15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매트(Plastic Disposable Picnic Mat).
  • 제 1항에 있어서, 물 또는 에어 저장용 튜브에 저장된 물이나 에어가 주입구(130, 131, 132, 140, 141)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2a처럼 주입구(132)의 통로 중간에 요홈(133)을 형성하여 풍선 또는 다른 탄성 물체가 통로에 형성된 요홈 턱(133)에 걸려 쉽게 빠지지 않으면서 저장물의 유출을 막는 마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야외용 매트.
  • 매트 포장용 폴리백에 있어서, 두 겹(301, 302)의 필름으로 구성된 담수용 주머니(303) 원단에 매트수납주머니용 한 겹(310)과 그 위에 상단 덮개용 원단(320)을 덧대고 양 옆(350)과 바닥부(360)를 용착재단하고 상단에 물병 주둥이 형상의 주입구(300)와 손잡이용 일자공(330)을 형성하여 매트 수납과 담수기능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폴리백
  • 삭제
  • 说明书全文

    합성수지 야외용 매트{Plastic Disposable Picnic Mat}

    본 고안은 야외에서 지면에 펼쳐 깔아놓고 휴식하는 돗자리 등 야외용 매트(Mat)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발포물체 등에 은박 코팅을 하여 쿠션에 주력한 야외용 돗자리가 범용화되어 주류를 이루고 있고 미국 등지에선 0.Imm 전후 두께의 필름 시트를 소정 크기로 재단한 시트 상태를 소형으로 접어서 야외에 나가 일회용 매트로 사용한 후 부담없이 투기해 버리는 실정이며 지금까지는 합성수지 필름 시트를 기재(基材)로 하여 만든 실용적인 매트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종래에 주류를 이루고 있는 은박 코팅된 야외용 돗자리는 부피가 커서 취급이나 보관이 불편하고 일회용 시트로 된 매트는 부피는 훨씬 작지만 인열강도가 약하고 조잡스러워 매트라고 부르기엔 적합하지 못하며, 두 제품이 공통적으로 약한 바람에도 날릴 정도로 가볍고 접힌 부분의 자체 복원력이 없어 지면에 밀착이 잘 안되며 매트가 바람에 날려 펄럭이게 되어 흙먼지 등이 돗자리 안으로 들어오는 등 불편한 점이 많기 때문에 우리는 매트를 펼치고 자리를 잡을 때마다 이것들이 좀 무겁고 활착력이 좋아서 지면에 찰싹 붙어주었으면 좋겠다 하는 소망을 갖게 되며 실제로도 보관이나 운반 취급에 편리한 경량 소형 팩이면서도 사용할 땐 지면에 밀착성이 좋고 사용 후 처분하기 쉬운 야외용 돗자리 제품들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것이다.

    그래서 본 고안의 제품은 경량 소형 포장이 가능한 두 겹 이상의 일회용성 필름 시트를 기재로 하여 매트의 가장자리에 물 저장용 공동수로(空洞路)나 에어(air) 저장용 튜브형상을 용착 형성하며 수로에 저장된 물의 무게를 이용하여 밀착감을 얻을 수 있고 저장된 에어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의 흙먼지 유입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필요할 땐 튜브에 저장된 물을 빼서 손을 씻는 등 그 물을 재사용할 수 있고 또 물이 없는 곳에선 물 대신 돌멩이나 기타 찾기 쉬운 고형물체를 매트의 가장자리에 절개 형성된 튜브형 주머니에 수납하여 매트의 날림을 방지할 수도 있으며 물 담는 용기가 준비되지 않았을 때를 대비하여 필요한 양의 물을 담아갈 수 있도록 매트 포장과 담수 용기를 겸하는 이중 폴리백을 제공하여 액체, 기체, 고체 등을 형편따라 활용하� �� 최소한의 비용과 노력으로 불편을 해소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다시 말하면, 매트의 둘레 가장자리 수로용 튜브에 물이 차면 물의 중량과 부드러운 시트가 기복이 있는 지면에도 매트를 잘 밀착시켜 바람이 불어도 날리지 않고 중앙부도 함께 잘 밀착됨은 물론 그 외곽에 형성된 에어탱크용 튜브에 에어가 차면 팽창되어 위로 떠서 일어나게 되면서 방어벽을 형성하여 외부로부터의 오염물질 유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매트 사용이 끝나면 에어와 물을 빼서 앉은 자리 정리 청소도 할 수 있고 잘 접어서 폴리백에 보관하면 여러 차례 사용할 수 있어서 종래의 돗자리에 비해 10퍼센트 대의 부피와 우수한 지면 밀착감과 최소한의 바람막이 기능과 훨씬 저렴한 가격에 여러 번 사용할 수 있고 사용 후 쉽게 처분할 수 있는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야외용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매트 중앙부는 두 겹 이상의 필름 시트를 바둑판 형상으로 용착시킴으로써 용착부위의 강도에 의하여 어느 한 칸이 찢어진다 해도 연쇄적으로 찢어지지 않고 그 칸만 훼손되는 것이며 다른 도형으로 형성되어도 가능하지만 사각 바둑판 형상이 인열강도나 작업성 면에서 더 우수하며, 표면의 엠보싱(Embossing)처리로 좋은 문양을 얻으면서 두 겹의 중앙부를 자연스럽게 접합시킬 수도 있고 전 단계 공정에서 중앙부에 문자도안 그림 등 인쇄처리를 하여 미려한 제품을 만들 수도 있도록 처음부터 끝까지 전 공정이 기계적 자동화 생산에 의한 양산체제가 가능하도록 고안되었고 따라서 품질이나 가격 면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어 실질적으로 관련 분야 산업발전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다.

    또 외겹(1ply)으로 된 다소 두꺼운 필름 시트도 두 방향 내지 사방의 둘레 가장자리에 물 저장용 튜브나 에어 저장용 튜브 또는 고형 물체 수납용 주머니를자체 원단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부착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다.

    도1a : 물 저장용 통 수로 튜브가 형성된 바둑판 형상의 매트

    도1b : 물 저장용 통 수로와 에어 저장용 튜브가 형성된 매트

    도1c : 절수형 수로와 에어 저장용 튜브가 형성된 바둑판 형상의 매트

    도2a : 물 저장용 통 수로와 고형물 수납 주머니용 절취선이 형성된 매트

    도2b : 절수형 수로와 고형물 수납 주머니용 절개선이 형성된 매트

    도3 : 담수용 물주머니와 매트 수납주머니 겸용 이중 폴리백

    [부호의 설명]

    100 : 바둑판 형상의 매트 중앙부

    110, 111 : 에어 저장용 튜브

    120, 121, 123 : 통 수로용 튜브

    122, 124 : 절수형 수로용 튜브

    130. 131, 132 : 물 주입구

    140, 141 : 에어 주입구

    150, 151 : 절취선 및 절개선

    160 : 고형물 수납용 주머니

    200 : 인쇄 또는 엠보싱 처리된 중앙부

    300 : 물 주입구

    301, 302, 303 : 물주머니 구성 원단과 물 저장부

    310 : 매트 수납용 주머니 구성 원단

    320 : 매트 수납용 주머니 덮개

    330 : 손잡이용 일자 공

    340 : 물 저장부 형성용 용착선

    350 : 용착 재단선(Welding-cut line)

    360 : 바닥부 접착선(Bottom-sealed line)

    370 : 매트 수납용 주머니 개구부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을 도면을 중심으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a : 두 겹 이상의 필름 시트 가장자리의 소정 부위를 용착하여 물 저장용 통 수로(筒 水路)형 튜브(120)를 물 주입구(130)와 함께 형성하며 중앙부(100)를 바둑판처럼 사각형상(100)으로 용착해서 형성한 기본형 매트로서 튜브에 저장된 물의 중량을 이용하여 매트를 지면에 밀착시킬 수 있으며 물의 주입량은 일반적으로 튜브 공간의 70%정도를 채우는 게 합리적인데 이는 튜브 공간의 여유가 있어야 밟히거나 충격을 받아도 물이 밖으로 유출되지 않고 튜브 내에서 출렁일 뿐이며 만약 물이 가득 차면 튜브는 조그마한 충격 압력에도 못 견디고 물이 밖으로 터져 나오기 때문이다.

    그리고 바둑판처럼 사각형상 등 중앙부 형성에 대해선 전술한 바와 같다.

    도1b : 맨 가장자리에 형성한 에어 저장용 튜브(110)와 중앙부(200) 사이에 물 저장용 통 수로 튜브(121)가 형성되고 중앙부엔 아무런 도형도 도시되지 않았지만 인쇄처리도 할 수 있고 엠보싱 처리에 의해 자연스럽게 두 겹을 접합할 수도 있으며 바둑판 형상이나 어떤 도형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튜브(121)에 저장된 물의 중량은 매트를 지면에 잘 밀착시키고 튜브(110)에 에어(air)가 차면 튜브가 팽창되면서 일어서고 방어벽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물 주입구(131)나 에어 주입구(140)의 마개 부분은 도2a(133)의 방법이나 기타 공지된 방법으로 처리하면 된다.

    도1c : 바둑판처럼 사각형상의 중앙부 둘레에 절수형 수로용 튜브(122)가 형성되고 그 외곽 둘레에 에어(air)저장용 튜브(111)와 주입구(141)가 형성된 매트인데 절수형 튜브(122)는 도1a나 도1b의 통 수로 튜브보다 적은 양의 물로 동일 목 적을 달성하기 위해 매트의 네 구석엔 튜브 공간을 넓게 하여 많은 물을 저장함으로써 무겁게 하고 중간 부분은 튜브를 좁게 하여 물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2a : 물 저장용 통 수로형 튜브(123)의 외곽 둘레에 형성된 에어 저장용 튜브의 소정 부위에 절취선(150)이나 절개선(151)을 형성하여 물 준비가 안된 곳에서 돌멩이나 흙덩이 또는 막대형 고형 물체 등을 절취선부나 절개선부를 벌리고 그 주머니(160) 안에 넣어 두면 바람에 날리지 않고 안전하게 자리를 보존할 수 있다.

    그리고 주입구(132)의 통로에 형성한 원형 요홈(133)은 튜브 안에 저장된 물이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개부를 형성할 때 풍선이나 다른 탄성 물체가 요홈(133)의 턱에 걸려 쉽게 빠지지 않고 저장물의 유출을 방지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튜브 안에 물을 넣은 후 풍선을 주입구에 넣고 풍선을 불면 풍선이 팽창하여 수로의 초입구와 요홈(133) 턱에 밀착되어 물이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2b : 도2a의 절수형인데 소량의 물로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에어 저장용 튜브에 절개선(151)이 형성되어 주머니(160)에 고형물을 수납할 수 있다.

    네 구석과 중간엔 통 수로형이고 나머지 구간은 수로를 좁혀 약 25%정도의 물을 절약할 수 있다.

    도3 : 본 원 매트를 소형으로 접어서 포장하는 다중성 폴리백(비닐주머니)인데 담수용으로 동시 겸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도3a는 매트 수납용주머니(370)와 본 원 매트 사용에 필요한 물을 담아서 운반하는 담수용 주머니 등 두 개의 주머니가 동시에 형성된 다중 폴리백의 전면도이고 도3b는 이 폴리백 원단의 배열과 결합 등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야외 등지에서 본 원 매트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선 물이 필수적인데 물을 지참하려면 물 주전자나 페트병같이 주둥이가 좁은 담수용기가 필요하지만 이를 잊지 않고 지참하기가 불편하고 또 매트를 접어서 포장하려면 어차피 비닐봉지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3겹으로 된 1개의 폴리백에 담수용과 매트 수납용 등 2개의 주머니를 형성하여 폴리백 원단도 한 겹을 절약하고 별도의 담수용기를 준비할 필요도 없고 또 소형 팩이라서 간편한 점 등 여러 가지 편익을 얻을 수 있다.구조적으로는, 두 겹(301,302)으로 형성된 담수용 주머니(303)에 매트 수납 주머니용 한 겹과 그 위에 덮개용 원단(320)을 덧대고 양 옆(350)과 바닥부(360)를 용착재단함과 동시에 상단 개구부에 물병 주둥이 형상의 물 주입구(300)와 손잡이용 일자공(一字孔, 330)을 형성하여 매트 수� �용 담수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며 두 개의 본 원 매트와 이에 소요되는 양의 물을 동시 수납할 수 있다.여기에서 상단의 덮개부분(320)은 주입구에 물을 주입할 때 매트 수납주머니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저장된 물을 밑으로 쏟을 때 매트가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안된 일종의 뚜껑이다.

    본 고안의 제품은 이미 범용화되어 종래의 시장에서 주류를 이루고 있는 야외용 매트보다 얇고 가벼우면서도 견고한 두 겹 이상의 필름 시트를 기재(基材)로 하여 용착·접합 상태로 완성되기 때문에 종래의 은박 코팅 돗자리에 비해 부피가 훨씬 적어서 우선 보관이나 운반 취급 등이 편리하고 물류비용이 적게 들며, 사용 후 쉽게 폐기 처분할 수 있어서 환경오염이 적고, 인열강도가 강하고, 매트의 가장자리에 물 중량을 도입함으로써 지면에 대한 밀착성이 좋아 기복이 많은 지면에서도 바람에 날리지 않고, 에어 튜브를 도입함으로써 방어벽 기능을 할 수 있고, 물이나 에어 또는 돌멩이 등 언제 어디서나 수득하기 쉬운 물체들을 골고루 활용하여 매트가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지면 밀착성을 증대할 수 있으며 담수용 물주머니와 매트 포장주머니 겸� �� 이중 폴리백이 있어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고, 기계적으로 자동화 생산이 가능하여 양산체제를 갖출 수 있어 종래의 야외용 돗자리에 비해 훨씬 저렴한 가격을 형성할 수 있어 관련 산업 분야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