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용도베개

申请号 KR1020110026648 申请日 2011-03-25 公开(公告)号 KR1020120108582A 公开(公告)日 2012-10-05
申请人 권진완; 发明人 권진완;
摘要 PURPOSE: A multi-purpose pillow is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take a comfortable sleep and to maintain the figure of the human body. CONSTITUTION: A multi-purpose pillow comprises a head support unit(20), a neck support unit(30), and an upper body support unit(40). The head support unit has a rounded shape and supports the neck of a user to form a C-shape. The upper body support unit supports the waist of the user to form an S-shape. The neck support unit is connected to the head support unit and forms a convex curve. The upper body support unit is connected to the neck support unit and forms a slow convex curve.
权利要求
  • 머리를 지지하며 완만 곡선을 이루는 머리지지부(20)와,
    상기 머리지지부(20)와 연결되고 목을 지지하며 볼록 곡선을 이루는 목지지부(30)와,
    상기 목지지부(30)와 연결되고 길게 형성되면서 완만한 볼록 곡선을 이루는 상체지지부(40)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베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지지부(30)에 의하여 사용자 목 부분이 'C'자 형상을 이루도록 지지하고,
    상기 상체지지부(40)에 의하여 사용자 상체의 허리부분이 'S'자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베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지지부(20)의 결합면에는 머리결합부재(21)가 구비되고, 상기 목지지부(30)의 일측 결합면에는 목머리결합부재(31)가 구비되어, 상기 머리결합부재(21)와 목머리결합부재(31)에 의하여 머리지지부(20)와 목지지부(30)가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베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지지부(30)의 타측 결합면에는 목상체결합부재(32)가 구비되고, 상기 상체지지부(40)의 결합면에는 상체결합부재(41)가 구비되어, 상기 목상체결합부재(32)와 상체결합부재(41)에 의하여 목지지부(30)와 상체지지부(40)가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베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지지부(20), 목지지부(30), 상체지지부(40)가 감싸여지는 커버(5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머리지지부(20), 목지지부(30), 상체지지부(40)는 절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베개.
  • 说明书全文

    다용도베개{UTILITY PILLOW}

    본 발명은 베개와 매트리스 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되는 다용도베게의 머리부분, 목부분, 척추의 상체부분이 사용자 체형에 알맞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유지되도록 하고, 머리의 형태, 목의 'C'자 형태, 상체의 척추에 알맞은 'S'자 형태 등, 사용자의 인체공학적인 체형에 알맞도록 유지하게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편안한 잠자리를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의 체형도 인체공학적으로 알맞게 유지하도록 하는 다용도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머리를 받치면서 사용자가 편안하게 잠자리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취침 중에 사용자의 몸을 받치도록 매트리스가 마련되는 것이다.

    이러한 베개나 매트리스는 건강을 중요시하는 근래에는 더욱 다양한 재료가 포함되도록 만들어지는바, 수면의 중요성이 건강한 생활을 위한 필수 조건이라는 것이 다양한 자료에 의해서 증명되기 때문인 것이다.

    즉 메밀, 쑥 등 식물성 기능재료로 만들어지거나 공기가 잘 통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거나, 기타 한방이나 건강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베개가 제시되고 있다.

    베개와 마찬가지로 매트리스도 다양한 건강재료와 함께 찜질을 위하거나 원적외선이 나오는 건강구조로 이루도록 하는 다양한 기능성 매트리스도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종래의 베개나 매트리스가 제시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베개나 매트리스는 모두 재질의 특징을 제시할 뿐 체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구성은 제시되지 않아 체형의 교정을 갖게 하지는 못하고 있다. 특히 머리부분, 목부분에 더하여 상체부분까지도 편안한 잠자리를 이루도록 하면서 아울러 체형이 인체공학적으로 이루도록 하는 것이 절실히 필요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되는 다용도베게의 머리부분, 목부분, 척추의 상체부분이 사용자 체형에 알맞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베게는 머리의 형태, 목의 'C'자 형태, 상체의 척추에 알맞은 'S'자 형태 등, 사용자의 인체공학적인 체형에 알맞도록 유지하게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편안한 잠자리를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의 체형도 알맞게 유지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이처럼 사용자 체형에 알맞은 형태를 유지하면서 잠자리를 이룰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각종 관절과 척추 질환이 없게 건강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똑바로 눕는 경우, 옆으로 눕는 경우 등에서도 척추 등 사용자 몸을 편안하게 하고 체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머리지지부, 목지지부, 상체지지부 등이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보관시, 이동시에는 분리하여 사용하고, 반면 취침 등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서로 결합하여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이 더욱 편리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머리를 지지하며 완만 곡선을 이루는 머리지지부(20)와, 상기 머리지지부(20)와 연결되고 목을 지지하며 볼록 곡선을 이루는 목지지부(30)와, 상기 목지지부(30)와 연결되고 길게 형성되면서 완만한 볼록 곡선을 이루는 상체지지부(40)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베개가 제공된다.

    이에 상기 목지지부(30)에 의하여 사용자 목 부분이 'C'자 형상을 이루도록 지지하고, 상기 상체지지부(40)에 의하여 사용자 상체의 허리부분이 'S'자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머리지지부(20)의 결합면에는 머리결합부재(21)가 구비되고, 상기 목지지부(30)의 일측 결합면에는 목머리결합부재(31)가 구비되어, 상기 머리결합부재(21)와 목머리결합부재(31)에 의하여 머리지지부(20)와 목지지부(30)가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지지부(30)의 타측 결합면에는 목상체결합부재(32)가 구비되고, 상기 상체지지부(40)의 결합면에는 상체결합부재(41)가 구비되어, 상기 목상체결합부재(32)와 상체결합부재(41)에 의하여 목지지부(30)와 상체지지부(40)가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머리지지부(20), 목지지부(30), 상체지지부(40)가 감싸여지는 커버(5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머리지지부(20), 목지지부(30), 상체지지부(40)는 절첩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사용되는 다용도베게의 머리부분, 목부분, 척추의 상체부분이 사용자 체형에 알맞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특히 종래에는 단지 머리를 지탱하거나 상체 부분을 눕히도록 할 뿐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베게는 머리의 형태, 목의 'C'자 형태, 상체의 척추에 알맞은 'S'자 형태 등, 사용자의 인체공학적인 체형에 알맞도록 유지하게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편안한 잠자리를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의 체형도 알맞게 유지하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처럼 사용자 체형에 알맞은 형태를 유지하면서 잠자리를 이룰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각종 관절과 척추 질환이 없게 건강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똑바로 눕는 경우, 옆으로 눕는 경우 등에서도 척추 등 사용자 몸을 편안하게 하고 체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머리지지부, 목지지부, 상체지지부 등이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보관시, 이동시에는 분리하여 사용하고, 반면 취침 등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서로 결합하여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이 더욱 편리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베개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베개의 머리지지부와 목지지부에 대한 분리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베개의 목지지부와 상체지지부에 대한 분리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베개의 일부에 대한 단면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베개에 사용자가 바른자세로 사용되는 사용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베개에 사용자가 옆으로 누운 자세로 사용되는 사용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베개(1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를 지지하며 완만 곡선을 이루는 머리지지부(20)와, 상기 머리지지부(20)와 연결되고 목을 지지하며 볼록 곡선을 이루는 목지지부(30), 그리고 상기 목지지부(30)와 연결되고 길게 형성되면서 완만한 볼록 곡선을 이루는 상체지지부(40)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베개(10)에 있어서, 상기 머리지지부(20)는 머리 형태에 알맞게 대체로 오목의 완만한 곡선의 둥근 형태를 갖고, 상기 목지지부(30)에 의하여 사용자 목 부분이 'C'자 형상을 이루도록 지지하고, 상기 상체지지부(40)에 의하여 사용자 상체의 허리부분이 'S'자 형상을 이룰 수 있어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대체로 둥근 곡선의 완만한 오목 형상의 머리지지부(20)에 의하여 편안하게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편안한 자세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목지지부(30)가 사용자 목의 형상과 유사한 'C'자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용하게 될 경우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되기 때문에 편안하게 사용할 수도 있으면서, 사용자의 목뼈 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목이 틀어지지 않아 각종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체지지부(40)가 'S'자 형상을 이루어 머리나 목 부분뿐만 아니라 목과 척추가 이어진 허리가 있는 상체 부분도 표준 체형을 이루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편안하게 사용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베개(10)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도 바르게 잡아주는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다용도베개가 적용됨에 있어서, 사람의 체형과 베개 및 매트리스의 사용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인간의 척추는 머리를 직립되게 지탱하는 것이고, 목뼈와 함께 상체 부분으로 이어져 S라인을 유지하고 있다.

    즉 인체가 서 있을 때 중력의 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자세가 S자 모양이다. S자 모양의 척추는 판 스프링역할로 머리와 상체의 체중을 분산시켜 인간이 양손을 쓸 수 있게 좌우 균형유지의 근본이 되며, 척추 및 관절 질환이 예방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바른 자세란 자연적인 척추의 S자 곡선을 유지한 상태에서 척추를 바로 세우는 자세이다. 사람이 서 있을 때의 자연스러운 자세를 누워서도 유지시켜 주는 것이 척추의 가장 이상적인 형태이다.

    이에 목 부분의 경추는 모양이 C자 형을 수면시간동안 유지해주는 것이 좋다. 그리고 너무 낮은 베개나 높은 베개는 목의 C자형을 유지시켜 줄 수 없기에 적합하지 못하며 너무 딱딱한 베개는 목 근육을 손상시킬 수 있고 너무 푹신한 베개도 머리와 목이 파묻혀 경추의 C자 곡선을 살리지 못해 경추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

    또한 일자목과 목디스크를 유발하는 것은 잘못된 생활습관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 피로와 두통은 물론 목과 어깨의 통증 등의 수면질환을 개선하기 위해 경추의 원래 모양인 C자형을 수면중 유지해 주는 것이 좋다.

    그리고 척추에 대해서 살펴보면, 건강한 신체를 가진 사람의 척추는 옆에서 보았을 때 완만한 S자 형을 이루게 된다. 누웠을 때도 서 있을 때의 척추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매트리스가 가장 이상적인 것이다. 수면 중 인체의 부위별 빈공간을 채워주는 것은 자연스러운 S자형 곡선을 유지하여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너무 딱딱한 매트리스와 너무 부드러운 매트리스는 척추의 S자형 곡선을 살리지 못해 척추건강을 해칠 수 있으므로 체압을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는 매트리스 사용이 중요하다.

    이처럼 머리, 목부분 그리고 상체 등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베개(10)를 사용함으로써, 목 부분이 'C'자 형을 이루게 하고, 상체 부분이 'S'자 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편안한 잠자리를 이루도록 하여 피곤함을 가시게 하는 것이다. 또한 머리, 'C'자 형상을 이루게 되는 목 부분, 'S'자 형상의 척추 부분 등이 인체에 알맞은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척추관련, 관절 부분이 상하지 않게 하여 건강을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베개(10)는 머리부분을 지지하는 머리지지부(20)와, 목부분을 지지하는 목지지부(30)와, 척추에 해당하는 상체 부분을 지지하는 상체지지부(40)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다용도베개(10)에 있어서, 즉 상기 머리지지부(20), 목지지부(30), 상체지지부(40) 등이 감싸여지도록 하는 커버(50)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커버(50)에 의하여 다용도베개(10)가 손상되는 것을 보호하면서, 사용자 피부를 보호하게 된다.

    또한 머리지지부(20), 목지지부(30), 상체지지부(40) 등은 서로 연결되는 상측부분, 아래측부분, 또는 옆 부분으로 이어지도록 하여 절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대체로 그 형태로는 아래 부분이 절첩되도록 하고, 상대적으로 그 크기가 큰 상체지지부(40) 내부로 머리지지부(20)와 목지지부(30) 등이 접혀지면서 삽입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이러하게 절첩되면서 상체지지부(40) 내부로 머리지지부(20), 목지지부(30)가 삽입되는 형태일 경우에는, 상체지지부(40)에 머리지지부(20), 목지지부(30)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고, 그 이외의 상체지지부(40)는 사용자의 체중을 견딜 수 있는 구조와 재질로 이루어져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머리지지부(20), 목지지부(30), 상체지지부(40) 등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머리지지부(20)와 목지지부(30)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하거나, 목지지부(30)와 상체지지부(40)가 분리될 수도 있으며, 나아가 머리지지부(20), 목지지부(30) 그리고 상체지지부(40) 등이 개별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분리된 상태에서 보관 및 이동이 편리하게 되고, 사용할 때에는 각 부재들을 조립하여 사용하기가 편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성을 보면, 상기 머리지지부(20)의 결합면에는 머리결합부재(21)가 구비되고, 상기 목지지부(30)의 일측 결합면에는 목머리결합부재(31)가 구비되어, 상기 머리결합부재(21)와 목머리결합부재(31)에 의하여 머리지지부(20)와 목지지부(30)가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목지지부(30)의 타측 결합면에는 목상체결합부재(32)가 구비되고, 상기 상체지지부(40)의 결합면에는 상체결합부재(41)가 구비되어, 상기 목상체결합부재(32)와 상체결합부재(41)에 의하여 목지지부(30)와 상체지지부(40)가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머리지지부(20), 목지지부(30), 상체지지부(40) 등이 분리 또는 결합이 자유롭게 되도록 하여, 보관, 이동 및 사용이 더욱 편리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0 : 다용도베개 20 : 머리지지부
    21 : 머리결합부재 30 : 목지지부
    31 : 목머리결합부재 32 : 목상체결합부재
    40 : 상체지지부 41 : 상체결합부재
    50 : 커버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