首页 / 国际专利分类库 / 人类生活必需 / 家具 / 椅子 / 非框形弹簧组件 / 접촉소음차단수단을 갖는 침대매트리스용 코일스프링

접촉소음차단수단을 갖는 침대매트리스용 코일스프링

申请号 KR1020130038366 申请日 2013-04-09 公开(公告)号 KR101355896B1 公开(公告)日 2014-01-28
申请人 안유수; 发明人 안유수;
摘要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posure circuit unit which is formed on a coil spring for a bed mattress and absorbs an external load with a spring main body and comprises; a main body circuit unit (12) which is arranged between top and bottom border members (20, 20'); an end circuit unit (14) which is formed on both ends of the main body circuit unit (12); and top/bottom exposure circuit units (16, 16') which are exposed to the outer side of the top and bottom border members by being extended to the end circuit unit (14). In a compression process of the top/bottom exposure circuit units (16, 16'), a contact area (A) which is set as a contact state with the end circuit unit (14) is formed on contact circuits (16-5, 16-5') of the top/bottom exposure circuit units (16, 16') which is touched with the end circuit unit (14). Frictional resistance generated by the contact with the end circuit unit is omitted in the compression process of the exposure circuit unit and noise is fundamentally blocked. Therefore, the exposure circuit unit and the main body circuit unit are not displaced in a lateral direction or are not transformed and the lifetime of the exposure circuit unit and the main body circuit unit is extended.
权利要求
  • 상부테두리부재(20)와 하부테두리부재(20')의 사이공간에 배치되는 본체회선부(12)와, 상기 본체회선부(12)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의 배치범위내에 세팅되는 말단회선부(14), 및 상기 말단회선부(14)에 연장되어 상부테두리부재(20)로 노출되는 상부노출회선부(16) 또는 상기 말단회선부(14)에 연장되어 하부테두리부재(20')로 노출되는 하부노출회선부(16') 중 둘 또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접촉소음차단수단을 갖는 침대매트리스용 코일스프링으로서,
    상기 상/하부노출회선부(16,16')의 압축과정에서 상기 말단회선부(14)와 맞닿는 상기 상/하부노출회선부(16,16')의 접촉회선(16-5,16-5')에 상기 말단회선부(14)와 접촉상태로 세팅되는 접촉면(A)을 형성하여, 상기 상/하부노출회선부(16,16')와 상기 말단회선부(14)의 마찰소음을 차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소음차단수단을 갖는 침대매트리스용 코일스프링.
  • 삭제
  • 삭제
  • 상부테두리부재(20)와 하부테두리부재(20')의 사이공간에 배치되는 본체회선부(12)와, 상기 본체회선부(12)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의 배치범위내에 세팅되는 말단회선부(14), 및 상기 말단회선부(14)에 연장되어 상부테두리부재(20)로 노출되는 상부노출회선부(16) 또는 상기 말단회선부(14)에 연장되어 하부테두리부재(20')로 노출되는 하부노출회선부(16') 중 둘 또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접촉소음차단수단을 갖는 침대매트리스용 코일스프링으로서,
    상기 본체회선부(12) 또는 상기 상/하부노출회선부(16,16') 중 둘 또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압축하중을 흡수하는 한 개 또는 다수개의 강성지지단(18)을 포함하며,
    상기 상/하부노출회선부(16,16')의 압축과정에서 상기 말단회선부(14)와 맞닿는 상기 상/하부노출회선부(16,16')의 접촉회선(16-5,16-5')에 상기 말단회선부(14)와 접촉상태로 세팅되는 접촉면(A)을 형성하여, 상기 상/하부노출회선부(16,16')와 상기 말단회선부(14)의 마찰소음을 차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소음차단수단을 갖는 침대매트리스용 코일스프링.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지지단(18)은,
    상기 말단회선부(14)를 기준으로 수직 또는 예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소음차단수단을 갖는 침대매트리스용 코일스프링.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说明书全文

    접촉소음차단수단을 갖는 침대매트리스용 코일스프링{Coil spring of bed matress with means for preventing the friction noise}

    본 발명은 침대매트리스용 코일스프링에 형성되어 스프링본체와 함께 외부하중을 흡수하는 노출회선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출회선부의 압축과정에서 주변 회선부와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원천봉쇄시킬 수 있도록 한 접촉소음차단수단을 갖는 침대매트리스용 코일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매트리스는 스프링조립체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적층되는 쿠션부재를 이용하여 쿠션력 및 완충력을 제공하는 취침기구로서, 상기 스프링조립체는 상하프레임의 사이에 행방향 또는 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규칙적으로 다수개의 코일스프링들이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침대매트리스의 쿠션력 및 완충력을 배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부 및 하부테두리부재의 사이에 코일스프링들을 상하방향으로 배치하는 경우, 상부테두리부재의 상부측으로 코일스프링들이 일정높이로 돌출되어 노출되는 '노출회선스프링'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예컨대, 도 1에서와 같이, 스프링조립체(1)는,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와, 상기 상부테두리부재(20)와 하부테두리부재(20')의 사이공간에 행/열방향(RC)을 따라 배치된 코일스프링(10) 및, 상기 코일스프링(10)들을 행방향(R)을 따라 나사식으로 결합된 헤리컬코일(3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2에서와 같이, 코일스프링(10)은, 상기 테두리부재(20,20')의 사이공간에 배치되는 본체회선부(12)와, 상기 본체회선부(12)의 양단에 형성되어 테두리부재(20,20')와 결합되는 말단회선부(14), 및 상기 말단회선부(14)에 연장되어 테두리부재(20,20')로 노출되는 노출회선부(1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조립체(1)를 세팅하려는 경우, 상기 테두리부재(20,20')의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코일스프링(10)들을 세팅한 상태에서 상기 헤리컬코일(30)을 결합하면, 상기 테두리부재(20,20')의 상측이나 하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상기 노출회선부(16)가 돌출상태로 세팅된다.

    그리고, 상기 침대매트리스에 스프링조립체(1)를 적용하면, 침대사용자의 뒤척이는 정도의 작은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노출회선부(16)에 의해 충격이 흡수되어 완충되고, 상기 침대사용자에 의해 큰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본체회선부(12)에 의해 충격이 흡수되어 완충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코일스프링(10)은 상기 침대매트리스에 가해지는 하중의 변화에 맞추어 상기 노출회선부(16)와 상기 본체회선부(12)가 적절히 완충기능을 분산함으로써 사용자의 안락함이나 편안함을 증대하는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적어도 다음과 같은 단점을 포함하고 있다.

    첫째,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침대매트리스에 하중이 가해짐과 동시에 상기 코일스프링(10)이 압축되는 과정에서, 상기 노출회선부(16)의 접촉회선(16-5)이 하강하면서 바로 아래쪽의 상기 말단회선부(14)와 맞닿으므로, 상기 노출회선부(16)와 상기 말단회선부(14)의 접촉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둘째, 상기 침대매트리스에 큰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스프링조립체의 노출회선부(16)가 압축되고, 동시에 상기 본체회선부(12)도 역시 빠른 속도로 압축되므로, 상기 노출회선부(16)의 급속한 압축으로 인해 상기 말단회선부(14)와의 접촉저항이 커져 심한 접촉소음이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침대매트리스의 사용과정에서 상기 노출회선부(16)와 상기 말단회선부(14)의 접촉소음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예방함은 물론 상기 코일스프링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연구가 절실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스프링조립체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으로 돌출되는 노출회선부의 압축과정에서 주변 회선부와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원천봉쇄시킬 수 있도록 한 접촉소음차단수단을 갖는 침대매트리스용 코일스프링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테두리부재와 하부테두리부재의 사이공간에 배치되는 본체회선부와, 상기 본체회선부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하부테두리부재의 배치범위내에 세팅되는 말단회선부, 상기 말단회선부에 연장되어 상/하부테두리부재로 각각 노출되는 상/하부노출회선부, 및 상기 상/하부노출회선부의 압축과정에서 상기 말단회선부와 맞닿는 접촉회선에 형성되어 상기 말단회선부와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접촉면을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부테두리부재의 사이공간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본체회선부와; 상기 본체회선부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하부테두리부재의 배치범위내에 세팅되는 말단회선부; 상기 말단회선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장되어 상/하부테두리부재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노출회선부 및; 상기 노출회선부의 압축과정에서 말단회선부와 맞닿는 노출회선부의 접촉회선을 상기 말단회선부에 고정하는 차단기구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적어도 다음의 효과를 포함한다.

    첫째, 상기 코일스프링에 상기 노출회선부와 말단회선부가 맞닿는 접촉면을 형성하여 접촉상태로 유지하거나 또는 상기 노출회선부와 말단회선부가 맞닿는 접촉지점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노출회선부의 압축과정에서 상기 말단회선부와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하는 마찰저항이 없어져 소음이 원천봉쇄된다.

    둘째, 상기 코일스프링에 상기 노출회선부와 말단회선부가 맞닿는 접촉면을 형성하여 접촉상태로 유지하거나 또는 상기 노출회선부와 말단회선부가 맞닿는 접촉지점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노출회선부와 본체회선부가 측방향으로 변위되거나 또는 변형되지 않고 단지 승강작용만 수행하여 수명이 연장된다.

    셋째, 상기 코일스프링의 노출회선부와 말단회선부의 접촉소음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상기 침대매트리스에 가해지는 작은 하중과 큰 하중을 구분하여 적절한 완충력을 제공함으로써, 제품품질이 고급화된다.

    넷째, 상기 코일스프링의 접촉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특허등록(등록번호:제444347호)에서 제안한 상기 노출회선부를 포밍하거나 발포하기 위한 작업공정이 필요 없어지므로, 상기 노출회선부의 밀봉에 따른 장비구입비 및 밀봉에 따른 작업공정과 작업비가 절감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다섯째, 상기 코일스프링에 상기 노출회선부와 상기 말단회선부가 맞닿아 항상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접촉면을 형성하고 상기 침대매트리스에 적용하여 접촉소음을 측정한 결과, 국제공인시험기관에서 인증된 하기의 『시험성적서』의 시험결과와 같이 접촉소음이 현저히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여기서, 하기의 『시험성적서』의 첨부 1 내지 4에 기재된 시험시료 중 『A-1, B-1』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은 코일스프링을 적용한 침대매트리스를 의미하고,『A-2, B-2, C-2』는 특허등록(등록번호: 제444347호)과 같은 코일스프링을 적용한 침대매트리스를 의미하며, 『A-3, B-3, C-3』는 도 4 내지 도 19와 같은 코일스프링을 적용한 침대매트리스를 의미한다.

    [첨부 1]


    [첨부 2]

    [첨부 3]

    [첨부 4]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프링조립체를 도시한 전체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프링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소음발생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조립체를 도시한 일 적용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적용예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실시예1,
    도 6은 본 발명의 일 적용예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실시예2,
    도 7은 본 발명의 일 적용예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실시예3,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조립체를 도시한 이 적용예,
    도 9(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이 적용예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실시예4,
    도 10은 본 발명의 이 적용예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실시예5,
    도 11은 본 발명의 이 적용예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실시예6,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조립체를 도시한 삼 적용예,
    도 13은 본 발명의 삼 적용예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실시예7,
    도 14는 본 발명의 삼 적용예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실시예8,
    도 15는 본 발명의 삼 적용예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실시예9,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조립체를 도시한 사 적용예,
    도 17(a) 내지 (c)는 본 발명의 사 적용예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실시예10,
    도 18은 본 발명의 사 적용예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실시예11,
    도 19는 본 발명의 사 적용예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실시예12이다.

    먼저, 본원발명의 구성요소 중 상기 상부테두리부재(20)와 상기 하부테두리부재(20')와 상기 헤리컬코일(30)은 도 1 내지 도 3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동일도면부호를 첨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원발명의 첨부도면 중에서 도 4 및 도 12는 강성지지단(18)을 포함하지 않은 코일스프링(10)을 의미하고, 도 8 및 도 16은 강성지지단(18)을 한 개 또는 다수개 포함하는 코일스프링(10)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발명의 도 4 내지 도 11은 코일스프링의 말단회선부(14)와 노출회선부(16,16')가 접촉된 상태이고, 도 12 내지 도 19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말단회선부(14)와 노출회선부(16,16')가 고정된 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 내지 12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조립체의 코일스프링을 도시한 실시예1이다.

    본 발명은 상부테두리부재(20)와 하부테두리부재(20')의 사이공간에 배치되는 본체회선부(12)와, 상기 본체회선부(12)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의 배치범위내에 세팅되는 말단회선부(14), 및 상기 말단회선부(14)에 연장되어 상/하부테두리부재(20,20')로 각각 노출되는 상/하부노출회선부(16,16')를 포함하는 접촉소음차단수단을 갖는 침대매트리스용 코일스프링으로서,

    상기 상/하부노출회선부(16,16')의 압축과정에서 상기 말단회선부(14)와 맞닿는 접촉회선(16-5,16-5')에 상기 말단회선부(14)와 접촉상태로 세팅되는 접촉면(A)을 형성하여, 상기 상/하부노출회선부(16,16')와 상기 말단회선부(14)의 마찰소음을 원천봉쇄시킨 구성이다.

    먼저, 본원발명의 상기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와 상기 헤리컬코일(30)은 공지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다만 상기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의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코일스프링(10)에 한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기 코일스프링(10)은 상기 본체회선부(1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상부노출회선부(16)와 하부노출회선부(16')가 각각 형성된 스프링을 의미하며, 특히 상기 상부노출회선부(16)의 접촉회선(16-5)과 상기 말단회선부(14)이 상호 접촉함은 물론 상기 하부노출회선부(16')의 접촉회선(16-5')과 상기 말단회선부(14)가 상호 접촉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접촉회선(16-5,16-5')에 상기 말단회선부(14)와 항상 접촉하는 소정길이의 접촉면(A)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접촉회선(16-5,16-5')과 상기 말단회선부(14)가 항상 접촉되는 상태로 세팅된다.

    또한, 상기 본체회선부(12)는 상기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의 사이공간에 수직방향으로 개재되어 침대매트리스의 전체하중을 지지하는 회선부를 의미하며, 장구형태를 포함한 모든 다양한 형태의 회선부가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말단회선부(14)는 상기 본체회선부(12)의 양단부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테두리부재(20,20')의 배치범위내에 위치하는 회선부를 의미하며, 상기 테두리부재(20,20')에 고정핀이나 헤리컬코일을 통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노출회선부(16,16')는 상기 말단회선부(14)에 더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회선부(12)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감겨진 회선부를 의미하며, 상기 본체회선부(12)에 비해 작은 하중에도 압축되는 특성을 갖는다.

    [실시예 2]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조립체의 코일스프링을 도시한 실시예2이다.

    본 발명은, 상부테두리부재(20)와 하부테두리부재(20')의 사이공간에 배치되는 본체회선부(12)와, 상기 본체회선부(12)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의 배치범위내에 세팅되는 말단회선부(14), 및 상기 말단회선부(14)에 연장되어 상부테두리부재(20)로 노출되는 상부노출회선부(16)를 포함하는 접촉소음차단수단을 갖는 침대매트리스용 코일스프링으로서, 상기 상부노출회선부(16)의 압축과정에서 상기 말단회선부(14)와 맞닿는 접촉회선(16-5)에 상기 말단회선부(14)와 접촉상태로 세팅되는 접촉면(A)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노출회선부(16)와 말단회선부(14)의 마찰소음을 원천봉쇄시킨 구성이다.

    먼저, 상기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와 상기 헤리컬코일(30)은 공지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다만 상기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의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코일스프링(10)에 한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원발명의 상기 코일스프링(10)은 상기 본체회선부(12)의 상단부에 상기 상부노출회선부(16)가 형성된 스프링을 의미하며, 특히 상기 상부노출회선부(16)의 접촉회선(16-5)과 상기 말단회선부(14)이 상호 접촉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접촉회선(16-5)에 상기 말단회선부(14)와 항상 접촉하는 접촉면(A)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접촉회선(16-5)과 상기 말단회선부(14)가 항상 접촉되는 상태로 세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회선부(12)는 상기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의 사이공간에 수직방향으로 개재되어 침대매트리스의 전체하중을 지지하는 회선부를 의미하며, 장구형태를 포함한 모든 다양한 형태의 회선부가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말단회선부(14)는 상기 본체회선부(12)의 양단부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테두리부재(20,20')의 배치범위내에 위치하는 회선부를 의미하며, 상기 테두리부재(20,20')에 고정핀이나 헤리컬코일을 통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상부노출회선부(16)는 상기 말단회선부(14)에 더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회선부(12)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감겨진 회선부를 의미하며, 상기 본체회선부(12)에 비해 작은 하중에도 압축되는 특성을 갖는다.

    [실시예 3]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조립체의 코일스프링을 도시한 실시예3이다.

    본 발명은 상부테두리부재(20)와 하부테두리부재(20')의 사이공간에 배치되는 본체회선부(12)와, 상기 본체회선부(12)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의 배치범위내에 세팅되는 말단회선부(14), 및 상기 말단회선부(14)에 연장되어 하부테두리부재(20')로 노출되는 하부노출회선부(16')를 포함하는 접촉소음차단수단을 갖는 침대매트리스용 코일스프링으로서, 상기 하부노출회선부(16')의 압축과정에서 상기 말단회선부(14)와 맞닿는 접촉회선(16-5')에 상기 말단회선부(14)와 접촉상태로 세팅되는 접촉면(A)을 형성하여, 상기 하부노출회선부(16')와 말단회선부(14)의 마찰소음을 원천봉쇄시킨 구성이다.

    먼저, 상기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와 상기 헤리컬코일(30)은 공지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다만 상기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의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코일스프링(10)에 한정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10)은 상기 본체회선부(12)의 하단부에 하부노출회선부(16')가 형성된 스프링을 의미하며, 특히 하부노출회선부(16')의 접촉회선(16-5')과 상기 말단회선부(14)가 상호 접촉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접촉회선(16-5')에 상기 말단회선부(14)와 항상 접촉하는 접촉면(A)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접촉회선(16-5')과 상기 말단회선부(14)가 항상 접촉되는 상태로 세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회선부(12)는 상기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의 사이공간에 수직방향으로 개재되어 침대매트리스의 전체하중을 지지하는 회선부를 의미하며, 장구형태를 포함한 모든 다양한 형태의 회선부가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말단회선부(14)는 상기 본체회선부(12)의 양단부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테두리부재(20,20')의 배치범위내에 위치하는 회선부를 의미하며, 상기 테두리부재(20,20')에 고정핀이나 헤리컬코일을 통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하부노출회선부(16')는 상기 말단회선부(14)에 더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회선부(12)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감겨진 회선부를 의미하며, 상기 본체회선부(12)에 비해 작은 하중에도 압축되는 특성을 갖는다.

    [실시예 4]

    도 9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조립체의 코일스프링을 도시한 실시예4이다.

    본 발명은 상부테두리부재(20)와 하부테두리부재(20')의 사이공간에 배치되는 본체회선부(12)와, 상기 본체회선부(12)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의 배치범위내에 세팅되는 말단회선부(14), 및 상기 말단회선부(14)에 연장되어 상/하부테두리부재(20,20')로 각각 노출되는 상/하부노출회선부(16,16')를 포함하는 접촉소음차단수단을 갖는 침대매트리스용 코일스프링으로서, 상기 본체회선부(12) 또는 상기 상/하부노출회선부(16,16')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압축하중을 흡수하는 한 개 또는 다수개의 강성지지단(18)을 포함하며, 상기 상/하부노출회선부(16,16')의 압축과정에서 상기 말단회선부(14)와 맞닿는 접촉회선(16-5,16-5')에 상기 말단회선부(14)와 접촉상태로 세팅되는 접촉면(A)을 형성하여, 상기 상/하부노출회선부(16,16')와 상기 말단회선부(1 4)의 마찰소음을 원천봉쇄시킨 구성이다.

    먼저, 본원발명의 상기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와 상기 헤리컬코일(30)은 공지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다만 상기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의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코일스프링(10)에 한정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10)은 상기 본체회선부(1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상부노출회선부(16)와 하부노출회선부(16')가 각각 형성된 스프링을 의미하며, 특히 상기 상부노출회선부(16)의 접촉회선(16-5)과 상기 말단회선부(14)이 상호 접촉함은 물론 상기 하부노출회선부(16')의 접촉회선(16-5')과 상기 말단회선부(14)가 상호 접촉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접촉회선(16-5,16-5')에 상기 말단회선부(14)와 항상 접촉하는 접촉면(A)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접촉회선(16-5,16-5')과 상기 말단회선부(14)가 항상 접촉되는 상태로 세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회선부(12)는 상기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의 사이공간에 수직방향으로 개재되어 침대매트리스의 전체하중을 지지하는 회선부를 의미하며, 장구형태를 포함한 모든 다양한 형태의 회선부가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말단회선부(14)는 상기 본체회선부(12)의 양단부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테두리부재(20,20')의 배치범위내에 위치하는 회선부를 의미하며, 상기 테두리부재(20,20')에 고정핀이나 헤리컬코일을 통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노출회선부(16,16')는 상기 말단회선부(14)에 더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회선부(12)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감겨진 회선부를 의미하며, 상기 본체회선부(12)에 비해 작은 하중에도 압축되는 특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강성지지단(18)은 상기 침대매트리스에 작은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노출회선부(16,16')를 이용하여 압축하중을 흡수하고, 상기 침대매트리스에 큰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상/하부노출회선부(16,16')의 하중이 상기 본체회선부(12)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강성지지단(18)은 상기 본체회선부(12)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에 한 개를 형성할 수도 있지만, 상기 본체회선부(12)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하더라도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강성지지단(18)을 상기 상/하부노출회선부(16,1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하더라도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된다.

    이때, 상기 상/하부노출회선부(16,16')도 장구형태를 포함한 모든 다양한 형태의 회선부로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강성지지단(18)은 상기 말단회선부(14) 또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수직 또는 예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5]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조립체의 코일스프링을 도시한 실시예5이다.

    본 발명은 상부테두리부재(20)와 하부테두리부재(20')의 사이공간에 배치되는 본체회선부(12)와, 상기 본체회선부(12)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의 배치범위내에 세팅되는 말단회선부(14), 및 상기 말단회선부(14)에 연장되어 상부테두리부재(20)로 노출되는 상부노출회선부(16)를 포함하는 접촉소음차단수단을 갖는 침대매트리스용 코일스프링으로서, 상기 본체회선부(12) 또는 상기 상부노출회선부(16)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압축하중을 흡수하는 한 개 또는 다수개의 강성지지단(18)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노출회선부(16)의 압축과정에서 상기 말단회선부(14)와 맞닿는 접촉회선(16-5)에 상기 말단회선부(14)와 접촉상태로 세팅되는 접촉면(A)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노출회선부(16)와 말단회선부(14)의 마찰소음을 원천봉쇄시킨 구성이다.

    먼저, 본원발명의 상기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와 상기 헤리컬코일(30)은 공지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다만 상기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의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코일스프링(10)에 한정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10)은 상기 본체회선부(12)의 상단부에 상부노출회선부(16)가 형성된 스프링을 의미하며, 특히 상기 상부노출회선부(16)의 접촉회선(16-5)과 상기 말단회선부(14)가 항상 접촉상태로 세팅된다.

    즉, 상기 접촉회선(16-5)에 상기 말단회선부(14)와 항상 접촉하는 접촉면(A)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접촉회선(16-5)과 상기 말단회선부(14)가 항상 접촉되는 상태로 세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회선부(12)는 상기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의 사이공간에 수직방향으로 개재되어 침대매트리스의 전체하중을 지지하는 회선부를 의미하며, 장구형태를 포함한 모든 다양한 형태의 회선부가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말단회선부(14)는 상기 본체회선부(12)의 양단부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테두리부재(20,20')의 배치범위내에 위치하는 회선부를 의미하며, 상기 테두리부재(20,20')에 고정핀이나 헤리컬코일을 통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상부노출회선부(16)는 상기 말단회선부(14)에 더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회선부(12)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감겨진 회선부를 의미하며, 상기 본체회선부(12)에 비해 작은 하중에도 압축되는 특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강성지지단(18)은 상기 침대매트리스에 작은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상부노출회선부(16)를 이용하여 압축하중을 흡수하고, 상기 침대매트리스에 큰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상부노출회선부(16)의 하중이 상기 본체회선부(12)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강성지지단(18)은 상기 본체회선부(12)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에 한 개를 형성할 수도 있지만, 상기 본체회선부(12)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하더라도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강성지지단(18)을 상기 상부노출회선부(16)에 형성하더라도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이때, 상기 상부노출회선부(16)도 장구형태를 포함한 모든 다양한 형태의 회선부로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강성지지단(18)은 상기 말단회선부(14) 또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수직 또는 예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6]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조립체의 코일스프링을 도시한 실시예6이다.

    본 발명은 상부테두리부재(20)와 하부테두리부재(20')의 사이공간에 배치되는 본체회선부(12)와, 상기 본체회선부(12)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의 배치범위내에 세팅되는 말단회선부(14), 및 상기 말단회선부(14)에 연장되어 하부테두리부재(20')로 노출되는 하부노출회선부(16')를 포함하는 접촉소음차단수단을 갖는 침대매트리스용 코일스프링으로서, 상기 본체회선부(12) 또는 상기 하부노출회선부(16')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압축하중을 흡수하는 한 개 또는 다수개의 강성지지단(18)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노출회선부(16')의 압축과정에서 상기 말단회선부(14)와 맞닿는 접촉회선(16-5')에 상기 말단회선부(14)와 접촉상태로 세팅되는 접촉면(A)을 형성하여, 상기 하부노출회선부(16')와 상기 말단회선부(14)의 마찰소음을 원천봉쇄시킨 구성 이다.

    먼저, 본원발명의 상기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와 상기 헤리컬코일(30)은 공지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다만 상기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의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코일스프링(10)에 한정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10)은 상기 본체회선부(1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하부노출회선부(16')가 형성된 스프링을 의미하며, 특히 상기 하부노출회선부(16')의 접촉회선(16-5')과 상기 말단회선부(14)가 항상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하부접촉회선(16-5')에 상기 말단회선부(14)와 항상 접촉하는 접촉면(A)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하부접촉회선(16-5')과 상기 말단회선부(14)가 항상 접촉되는 상태로 세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회선부(12)는 상기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의 사이공간에 수직방향으로 개재되어 침대매트리스의 전체하중을 지지하는 회선부를 의미하며, 장구형태를 포함한 모든 다양한 형태의 회선부가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말단회선부(14)는 상기 본체회선부(12)의 양단부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테두리부재(20,20')의 배치범위내에 위치하는 회선부를 의미하며, 상기 테두리부재(20,20')에 고정핀이나 헤리컬코일을 통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하부노출회선부(16')는 상기 말단회선부(14)에 더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회선부(12)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감겨진 회선부를 의미하며, 상기 본체회선부(12)에 비해 작은 하중에도 압축되는 특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강성지지단(18)은 상기 침대매트리스에 작은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하부노출회선부(16')를 이용하여 압축하중을 흡수하고, 상기 침대매트리스에 큰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하부노출회선부(16')의 하중이 상기 본체회선부(12)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강성지지단(18)은 상기 본체회선부(12)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에 한 개를 형성할 수도 있지만, 상기 본체회선부(12)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하더라도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강성지지단(18)을 상기 하부노출회선부(16')에 형성하더라도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이때, 상기 하부노출회선부(16')도 장구형태를 포함한 모든 다양한 형태의 회선부로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강성지지단(18)은 상기 말단회선부(14) 또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수직 또는 예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7]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조립체의 코일스프링을 도시한 실시예7이다.

    본 발명은, 상부테두리부재(20)와 하부테두리부재(20')의 사이공간에 배치되는 본체회선부(12)와, 상기 본체회선부(12)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의 배치범위내에 세팅되는 말단회선부(14), 및 상기 말단회선부(14)에 연장되어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의 외측방향으로 각각 노출되는 상/하부노출회선부(16,16')를 포함하는 접촉소음차단수단을 갖는 침대매트리스용 코일스프링으로서, 상기 상/하부노출회선부(16,16')의 압축과정에서 상기 말단회선부(14)와 맞닿는 상기 상/하부노출회선부의 접촉회선(16-5,16-5')을 차단수단(40)을 통해 상기 말단회선부(14)에 고정하여 상기 상/하부노출회선부(16,16')와 말단회선부(14)의 마찰소음을 원천봉쇄시킨 구성이다.

    먼저, 본원발명의 상기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와 상기 헤리컬코일(30)은 공지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다만 상기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의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코일스프링(10)에 한정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10)은 상기 본체회선부(1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상부노출회선부(16)와 하부노출회선부(16')가 각각 형성된 스프링을 의미하며, 특히 상기 상부노출회선부(16)의 접촉회선(16-5)과 상기 말단회선부(14)의 접촉지점이 차단수단(40)을 통해 고정되고, 상기 하부노출회선부(16')의 접촉회선(16-5')과 상기 말단회선부(14)의 접촉지점이 차단수단(40)을 통해 상호 고정된다.

    또한, 상기 본체회선부(12)는 상기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의 사이공간에 수직방향으로 개재되어 침대매트리스의 전체하중을 지지하는 회선부를 의미하며, 장구형태를 포함한 모든 다양한 형태의 회선부가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말단회선부(14)는 상기 본체회선부(12)의 양단부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테두리부재(20,20')의 배치범위내에 위치하는 회선부를 의미하며, 상기 테두리부재(20,20')에 고정핀이나 헤리컬코일을 통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노출회선부(16,16')는 상기 말단회선부(14)에 더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회선부(12)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감겨진 회선부를 의미하며, 상기 본체회선부(12)에 비해 작은 하중에도 압축되는 특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차단수단(40)은 상기 상/하부노출회선부의 접촉회선(16-5,16-5')과 상기 말단회선부(14)의 접촉지점을 상호 고정하는 것으로서, 클립이나 클램프는 물론 용접이나 스폿용접과 같은 접합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8]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조립체의 코일스프링을 도시한 실시예8이다.

    본 발명은, 상부테두리부재(20)와 하부테두리부재(20')의 사이공간에 배치되는 본체회선부(12)와, 상기 본체회선부(12)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의 배치범위내에 세팅되는 말단회선부(14), 및 상기 말단회선부(14)에 연장되어 상부테두리부재(20)로 노출되는 상부노출회선부(16)를 포함하는 접촉소음차단수단을 갖는 침대매트리스용 코일스프링으로서, 상기 상부노출회선부(16)의 압축과정에서 상기 말단회선부(14)와 맞닿는 상기 노출회선부의 접촉회선(16-5)을 차단수단(40)을 통해 상기 말단회선부(14)에 고정하여 상기 상부노출회선부(16)와 말단회선부(14)의 마찰소음을 원천봉쇄시킨 구성이다.

    먼저, 본원발명의 상기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와 상기 헤리컬코일(30)은 공지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다만 상기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의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코일스프링(10)에 한정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10)은 상기 본체회선부(12)의 상단부에만 상기 상부노출회선부(16)가 형성된 스프링을 의미하며, 특히 상기 상부노출회선부(16)의 접촉회선(16-5)과 상기 말단회선부(14)의 접촉지점이 차단수단(40)을 통해 상호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회선부(12)는 상기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의 사이공간에 수직방향으로 개재되어 침대매트리스의 전체하중을 지지하는 회선부를 의미하며, 장구형태를 포함한 모든 다양한 형태의 회선부가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말단회선부(14)는 상기 본체회선부(12)의 양단부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테두리부재(20,20')의 배치범위내에 위치하는 회선부를 의미하며, 상기 테두리부재(20,20')에 고정핀이나 헤리컬코일을 통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상부노출회선부(16)는 상기 말단회선부(14)에 더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회선부(12)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감겨진 회선부를 의미하며, 상기 본체회선부(12)에 비해 작은 하중에도 압축되는 특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차단수단(40)은 상기 상부노출회선부의 접촉회선(16-5)과 상기 말단회선부(14)의 접촉지점을 상호 고정하는 것으로서, 클립이나 클램프는 물론 용접이나 스폿용접과 같은 접합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9]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조립체의 코일스프링을 도시한 실시예9이다.

    본 발명은 상부테두리부재(20)와 하부테두리부재(20')의 사이공간에 배치되는 본체회선부(12)와, 상기 본체회선부(12)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의 배치범위내에 세팅되는 말단회선부(14), 및 상기 말단회선부(14)에 연장되어 하부테두리부재(20')로 노출되는 하부노출회선부(16')를 포함하는 접촉소음차단수단을 갖는 침대매트리스용 코일스프링으로서, 상기 하부노출회선부(16')의 압축과정에서 상기 말단회선부(14)와 맞닿는 상기 노출회선부의 접촉회선(16-5')을 차단수단(40)을 통해 상기 말단회선부(14)에 고정하여 상기 하부노출회선부(16')와 상기 말단회선부(14)의 마찰소음을 원천봉쇄시킨 구성이다.

    먼저, 본원발명의 상기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와 상기 헤리컬코일(30)은 공지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다만 상기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의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코일스프링(10)에 한정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10)은 상기 본체회선부(12)의 하단부에 상기 하부노출회선부(16')가 형성된 스프링을 의미하며, 특히 상기 하부노출회선부(16')의 접촉회선(16-5')과 상기 말단회선부(14)의 접촉지점이 차단수단(40)을 통해 상호 고정된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회선부(12)는 상기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의 사이공간에 수직방향으로 개재되어 침대매트리스의 전체하중을 지지하는 회선부를 의미하며, 장구형태를 포함한 모든 다양한 형태의 회선부가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말단회선부(14)는 상기 본체회선부(12)의 양단부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테두리부재(20,20')의 배치범위내에 위치하는 회선부를 의미하며, 상기 테두리부재(20,20')에 고정핀이나 헤리컬코일을 통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노출회선부(16')는 상기 말단회선부(14)에 더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회선부(12)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감겨진 회선부를 의미하며, 상기 본체회선부(12)에 비해 작은 하중에도 압축되는 특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차단수단(40)은 상기 하부노출회선부의 접촉회선(16-5')와 상기 말단회선부(14)의 접촉지점을 상호 고정하는 것으로서, 클립이나 클램프는 물론 용접이나 스폿용접과 같은 접합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10]

    도 17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조립체의 코일스프링을 도시한 실시예10이다.

    본 발명은 상부테두리부재(20)와 하부테두리부재(20')의 사이공간에 배치되는 본체회선부(12)와, 상기 본체회선부(12)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의 배치범위내에 세팅되는 말단회선부(14), 및 상기 말단회선부(14)에 연장되어 상/하부테두리부재(20,20')로 각각 노출되는 상/하부노출회선부(16,16')를 포함하는 접촉소음차단수단을 갖는 침대매트리스용 코일스프링으로서, 상기 본체회선부(12) 또는 상/하부노출회선부(16,1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압축하중을 흡수하는 한 개 또는 다수개의 강성지지단(18)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하부노출회선부(16,16')의 압축과정에서 상기 말단회선부(14)와 맞닿는 상기 상/하부노출회선부의 접촉회선(16-5,16-5')을 차단수단(40)을 통해 상기 말단회선부(14)에 고정하여 상기 노출회선부(16)와 상기 말단� ��선부(14)의 마찰소음을 원천봉쇄시킨 구성이다.

    먼저, 본원발명의 상기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와 상기 헤리컬코일(30)은 공지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다만 상기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의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코일스프링(10)에 한정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10)은 상기 본체회선부(1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상부노출회선부(16)와 하부노출회선부(16')가 각각 형성된 스프링을 의미하며, 특히 상기 상부노출회선부(16)의 접촉회선(16-5)과 상기 말단회선부(14)의 접촉지점이 차단수단(40)을 통해 상호 결합되고, 상기 하부노출회선부(16')의 접촉회선(16-5')과 상기 말단회선부(14)의 접촉지점이 차단수단(40)을 통해 상호 고정된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회선부(12)는 상기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의 사이공간에 수직방향으로 개재되어 침대매트리스의 전체하중을 지지하는 회선부를 의미하며, 장구형태를 포함한 모든 다양한 형태의 회선부가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말단회선부(14)는 상기 본체회선부(12)의 양단부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테두리부재(20,20')의 배치범위내에 위치하는 회선부를 의미하며, 상기 테두리부재(20,20')에 고정핀이나 헤리컬코일을 통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노출회선부(16,16')는 상기 말단회선부(14)에 더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회선부(12)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감겨진 회선부를 의미하며, 상기 본체회선부(12)에 비해 작은 하중에도 압축되는 특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강성지지단(18)은 상기 침대매트리스에 작은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노출회선부(16,16')를 이용하여 압축하중을 흡수하고, 상기 침대매트리스에 큰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노출회선부(16,16')의 하중이 상기 본체회선부(12)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강성지지단(18)은 상기 본체회선부(12)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에 한 개를 형성할 수도 있지만, 상기 본체회선부(12)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하더라도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강성지지단(18)을 상기 상/하부노출회선부(16,1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하더라도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된다.

    이때, 상기 상/하부노출회선부(16,16')도 장구형태를 포함한 모든 다양한 형태의 회선부로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강성지지단(18)은 상기 말단회선부(14) 또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수직 또는 예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단수단(40)은 상기 상/하부노출회선부의 접촉회선(16-5,16-5')와 상기 말단회선부(14)의 접촉지점을 상호 고정하는 것으로서, 클립이나 클램프는 물론 용접이나 스폿용접과 같은 접합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11]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조립체의 코일스프링을 도시한 실시예11이다.

    본 발명은 상부테두리부재(20)와 하부테두리부재(20')의 사이공간에 배치되는 본체회선부(12)와, 상기 본체회선부(12)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의 배치범위내에 세팅되는 말단회선부(14), 및 상기 말단회선부(14)에 연장되어 상부테두리부재(20)로 노출되는 상부노출회선부(16)를 포함하는 접촉소음차단수단을 갖는 침대매트리스용 코일스프링으로서, 상기 본체회선부(12) 또는 상부노출회선부(1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압축하중을 흡수하는 한 개 또는 다수개의 강성지지단(18)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노출회선부(16)의 압축과정에서 상기 말단회선부(14)와 맞닿는 상기 노출회선부의 접촉회선(16-5)을 차단수단(40)을 통해 상기 말단회선부(14)에 고정하여 상기 노출회선부(16)와 상기 말단회선부(14)의 마찰소음을 원천봉쇄시킨 구� ��이다.

    먼저, 본원발명의 상기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와 상기 헤리컬코일(30)은 공지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다만 상기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의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코일스프링(10)에 한정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10)은 상기 본체회선부(12)의 상단부에만 상기 상부노출회선부(16)가 형성된 스프링을 의미하며, 특히 상기 상부노출회선부(16)의 접촉회선(16-5)과 상기 말단회선부(14)의 접촉지점이 차단수단(40)을 통해 상호 고정된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회선부(12)는 상기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의 사이공간에 수직방향으로 개재되어 침대매트리스의 전체하중을 지지하는 회선부를 의미하며, 장구형태를 포함한 모든 다양한 형태의 회선부가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말단회선부(14)는 상기 본체회선부(12)의 양단부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테두리부재(20,20')의 배치범위내에 위치하는 회선부를 의미하며, 상기 테두리부재(20,20')에 고정핀이나 헤리컬코일을 통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노출회선부(16)는 상기 말단회선부(14)에 더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회선부(12)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감겨진 회선부를 의미하며, 상기 본체회선부(12)에 비해 작은 하중에도 압축되는 특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강성지지단(18)은 상기 침대매트리스에 작은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노출회선부(16)를 이용하여 압축하중을 흡수하고, 상기 침대매트리스에 큰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노출회선부(16)의 하중이 상기 본체회선부(12)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강성지지단(18)은 상기 본체회선부(12)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에 한 개를 형성할 수도 있지만, 상기 본체회선부(12)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하더라도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강성지지단(18)을 상기 상부노출회선부(16)에 형성하더라도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된다.

    이때, 상기 상부노출회선부(16)도 장구형태를 포함한 모든 다양한 형태의 회선부로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강성지지단(18)은 상기 말단회선부(14) 또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수직 또는 예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단수단(40)은 상기 상부노출회선부의 접촉회선(16-5)와 상기 말단회선부(14)의 접촉지점을 상호 고정하는 것으로서, 클립이나 클램프는 물론 용접이나 스폿용접과 같은 접합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12]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조립체의 코일스프링을 도시한 실시예12이다.

    본 발명은 상부테두리부재(20)와 하부테두리부재(20')의 사이공간에 배치되는 본체회선부(12)와, 상기 본체회선부(12)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의 배치범위내에 세팅되는 말단회선부(14), 및 상기 말단회선부(14)에 연장되어 하부테두리부재(20')로 노출되는 하부노출회선부(16')를 포함하는 접촉소음차단수단을 갖는 침대매트리스용 코일스프링으로서, 상기 본체회선부(12)의 회선부 또는 하부노출회선부(1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압축하중을 흡수하는 한 개 또는 다수개의 강성지지단(18)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노출회선부(16')의 압축과정에서 상기 말단회선부(14)와 맞닿는 상기 노출회선부의 접촉회선(16-5')을 차단수단(40)을 통해 상기 말단회선부(14)에 고정하여 상기 노출회선부(16')와 상기 말단회선부(14)의 마찰소음을 원� ��봉쇄시킨 구성이다.

    먼저, 본원발명의 상기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와 상기 헤리컬코일(30)은 공지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다만 상기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의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코일스프링(10)에 한정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10)은 상기 본체회선부(12)의 하단부에만 상기 하부노출회선부(16')가 형성된 것을 의미하며, 특히 상기 하부노출회선부의 접촉회선(16-5')과 상기 말단회선부(14)의 접촉지점이 차단수단(40)을 통해 상호 고정된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회선부(12)는 상기 상/하부테두리부재(20,20')의 사이공간에 수직방향으로 개재되어 침대매트리스의 전체하중을 지지하는 회선부를 의미하며, 장구형태를 포함한 모든 다양한 형태의 회선부가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말단회선부(14)는 상기 본체회선부(12)의 양단부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테두리부재(20,20')의 배치범위내에 위치하는 회선부를 의미하며, 상기 테두리부재(20,20')에 고정핀이나 헤리컬코일을 통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노출회선부(16')는 상기 말단회선부(14)에 더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회선부(12)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감겨진 회선부를 의미하며, 상기 본체회선부(12)에 비해 작은 하중에도 압축되는 특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강성지지단(18)은 상기 침대매트리스에 작은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노출회선부(16')를 이용하여 압축하중을 흡수하고, 상기 침대매트리스에 큰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노출회선부(16')의 하중이 상기 본체회선부(12)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강성지지단(18)은 상기 본체회선부(12)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에 한 개를 형성할 수도 있지만, 상기 본체회선부(12)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하더라도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강성지지단(18)을 상기 하부노출회선부(16')에 형성하더라도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된다.

    이때, 상기 하부노출회선부(16')도 장구형태를 포함한 모든 다양한 형태의 회선부로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강성지지단(18)은 상기 말단회선부(14) 또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수직 또는 예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단수단(40)은 상기 하부노출회선부(16)의 접촉회선(16-5')과 상기 말단회선부(14)의 접촉지점을 상호 고정하는 것으로서, 클립이나 클램프는 물론 용접이나 스폿용접과 같은 접합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코일스프링 12 : 본체회선부
    14 : 말단회선부 16,16' : 노출회선부
    16-5,16-5' : 접촉회선 18 : 강성지지단
    20,20' : 테두리부재 30 : 헤리컬코일
    40 : 차단수단 A : 접촉면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