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보드와 풋보드가 난간을 형성하는 침대

申请号 KR2020130006671 申请日 2013-08-12 公开(公告)号 KR200474848Y1 公开(公告)日 2014-10-22
申请人 조기환; 发明人 조기환;
摘要 본 고안은 온돌매트 등이 적용된 침대에 있어서 매트 위에 설치된 침구 등이 쉽게 외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면서, 매트리스의 사이즈에 호환 적용이 가능한 침대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내부에 매트리스가 설치되며 사각형상을 이루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을 가로지르며 설치되고 소정 두께를 지닌 직사각형 형상의 매트리스지지보드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사이드보드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측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풋보드 및 상기 사이드보드 및 상기 풋보드가 외측으로 회전한 후 수평한 상태로 지지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구비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사이드보드와 풋보드가 난간을 형성하는 침대를 제공한다.
权利要求
  • 내부에 매트리스가 설치되며 사각형상을 이루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을 가로지르며 설치되고 소정 두께를 지닌 직사각형 형상의 매트리스지지보드;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사이드보드;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측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풋보드; 및
    상기 사이드보드 및 상기 풋보드가 외측으로 회전한 후 수평한 상태로 지지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구비되는 지지부;
    를 포함하는 사이드보드와 풋보드가 난간을 형성하는 침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보드 및 상기 풋보드가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수직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상기 사이드보드 및 상기 풋보드가 외측으로 회전한 후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힌지쇼바유닛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보드와 풋보드가 난간을 형성하는 침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지지보드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매트리스지지보드가 수직된 상태를 이루도록 회전된 경우 상기 매트리스지지보드의 상단이 상기 사이드보드 및 상기 풋보드가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경우에 상기 사이드보드 및 상기 풋보드의 상단과 동일 높이를 이루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보드와 풋보드가 난간을 형성하는 침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지지보드의 양단부는 회전축을 이루는 제1회전공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수평 또는 수직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공을 구비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제1회전공에 대응하는 제2회전공과 상기 매트리스지지보드가 상기 제1회전공을 기준으로 회전 시 상기 매트리스지지보드가 소정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수평고정공과 수직고정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보드와 풋보드가 난간을 형성하는 침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지지보드의 양단부는 회전축을 이루는 제1회전공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수평 또는 수직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공을 구비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제1회전공에 대응하는 제2회전공과 상기 매트리스지지보드가 상기 제1회전공을 기준으로 회전 시 상기 매트리스지지보드가 소정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수평고정공과 수직고정공 및
    상기 매트리스지지보드가 수직된 상태를 이루도록 회전되면서 상기 사이드보드 및 상기 풋보드가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경우, 상기 사이드보드 및 상기 풋보드의 상단과 동일 높이를 이루도록 상기 메인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보드와 풋보드가 난간을 형성하는 침대.
  • 说明书全文

    사이드보드와 풋보드가 난간을 형성하는 침대{Mattress size adjustable bed structure}

    본 고안은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이드보드와 풋보드가 난간을 형성하는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매트리스가 설치되는 사각형상의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헤드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침대의 종류에 따라서는 상기 헤드보드와 마주보는 위치로 사용자의 다리가 놓이는 측인 하부측에 풋보드를 더 구비하는 경우도 있다.

    최근 들어서는 매트리스 대신 온돌매트가 설치 적용되는 침대도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침대 크기는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는 매트리스에 대응하여 그 크기가 정하여지며, 상기 매트리스의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에는 침대 자체를 교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온돌매트를 설치한 침대의 경우에는 상부에 이불 등 침구를 놓고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온돌매트의 표면이 미끄러워 침구가 쉽게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기술한 종래의 문제점 및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고안은 매트리스의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에도 구조 등의 변경을 통하여 사용이 가능한 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고안은 유아용 요람이나 또는 온돌매트 등의 적용 시 침구 등이 쉽게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침대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매트리스가 설치되며 사각형상을 이루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을 가로지르며 설치되고 소정 두께를 지닌 직사각형 형상의 매트리스지지보드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사이드보드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측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풋보드 및 상기 사이드보드 및 상기 풋보드가 외측으로 회전한 후 수평한 상태로 지지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에 구비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사이드보드와 풋보드가 난간을 형성하는 침대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사이드보드 및 상기 풋보드가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수직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상기 사이드보드 및 상기 풋보드가 외측으로 회전한 후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힌지쇼바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매트리스지지보드는 상기 양측 메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매트리스지지보드가 수직된 상태를 이루도록 회전된 경우 상기 매트리스지지보드의 상단이 상기 사이드보드 및 상기 풋보드가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경우에 상기 사이드보드 및 상기 풋보드의 상단과 동일 높이를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트리스지지보드의 양단부는 회전축을 이루는 제1회전공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수평 또는 수직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공을 구비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제1회전공에 대응하는 제2회전공과 상기 매트리스지지보드가 상기 제1회전공을 기준으로 회전 시 상기 매트리스지지보드가 소정 위치서 고정되도록 수평고정공과 수직고정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트리스지지보드의 양단부는 회전축을 이루는 제1회전공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수평 또는 수직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공을 구비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제1회전공에 대응하는 제2회전공과 상기 매트리스지지보드가 상기 제1회전공을 기준으로 회전 시 상기 매트리스지지보드가 소정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수평고정공과 수직고정공 및 상기 매트리스지지보드가 수직된 상태를 이루도록 회전되면서 상기 사이드보드 및 상기 풋보드가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경우, 상기 사이드보드 및 상기 풋보드의 상단과 동일 높이를 이루도록 상기 메인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사이드보드와 풋보드가 난간을 형성하는 침대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고안 사이드보드와 풋보드가 난간을 형성하는 침대에 의하면, 사이드보드 등을 수직 상태로 올린 후 사용하는 경우 매트리스 위에 놓이는 침구나 물건 등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고안 사이드보드와 풋보드가 난간을 형성하는 침대에 의하면, 사이드보드와 풋보드를 수평으로 펼친 후에는 크기가 큰 매트리스의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매트리스지지보드를 회전시켜 보다 효율적으로 매트리스의 하부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셋째, 본 고안 사이드보드와 풋보드가 난간을 형성하는 침대에 의하면, 상술한 사이드보드나 매트리스지지보드의 회전 및 고정 작업이 간편한 동작으로 이루어져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보드와 풋보드가 난간을 형성하는 침대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보드와 풋보드가 난간을 형성하는 침대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보드와 풋보드가 난간을 형성하는 침대에 있어서 매트리스지지보드를 수직으로 회전시킨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보드와 풋보드가 난간을 형성하는 침대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지지보드의 회전 및 고정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보드와 풋보드가 난간을 형성하는 침대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보드와 풋보드가 난간을 형성하는 침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보드와 풋보드가 난간을 형성하는 침대의 결합사시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보드와 풋보드가 난간을 형성하는 침대(100)는 메인프레임(101), 사이드보드(220) 및 풋보드(23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프레임(101)은 사각형상의 프레임 형태를 이루며, 내측에 매트리스(미도시)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사용자의 머리 측에 놓이는 헤드보드(110), 양측 사이드프레임(120)과 풋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프레임들은 결합브라켓(150)과 별도의 나사 등을 이용하여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101)의 내측에는 상기 양측 사이드프레임(120)을 가로지르며 소정 두께의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매트리스지지보드(300)가 상기 사이드프레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 이격된 위치로 복수 개 설치된다.

    상기 사이드보드(220)는 상기 메인프레임(101)의 양측인 사이드프레임(120) 상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풋보드(230)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측인 풋프레임(130)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한편, 상기 사이드보드(220) 및 상기 풋보드(230)가 외측으로 회전한 후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며 지지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101)의 외측으로는 지지부(25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사이드보드(220) 및 상기 풋보드(230)가 상기 메인프레임(101)의 상부에 수직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상기 사이드보드(220) 및 상기 풋보드(230)가 외측으로 회전한 후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힌지쇼바유닛(160)이 구비된다.

    상기 힌지쇼바유닛(160)은 보드브라켓(310), 프레임브라켓(320), 실린더부(170) 및 피스톤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드브라켓(310)은 중앙에 상기 실린더부(170)와 피스톤부(180)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공간부가 형성되되, 하부가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을 이루며 상기 사이드보드(220) 및 풋보드(23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보드브라켓(310)의 상부에는 상기 피스톤부(180)의 상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142)결합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브라켓(320)은 상기 사이드프레임(120)과 상기 풋프레임(130)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보드브라켓(310)의 하부 절곡되어 돌출된 부위에 상기 프레임브라켓(320)의 상부에 돌출되게 이루어진 돌출부(325)와 상기 보드브라켓(310) 하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311)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부(170)는 상기 돌출부(325)와 힌지(141)결합되어 회전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사이드보드(220) 및 풋보드(230)가 회전 시 상기 피스톤부(180)와 실린더부(170)에 의하여 소정 각도 내에서 회전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각 보드의 회전 동작이 유연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보드와 풋보드가 난간을 형성하는 침대(100)는 상기 사이드보드(220)와 상기 풋보드(230)를 수직 상태로 올린 후 사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매트리스 위에 놓이는 침구나 물건 등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혼부부에게 아기가 있을 때 아기를 위한 별도의 간이요람 대신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보드와 풋보드가 난간을 형성하는 침대(100)를 간이요람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시된 것처럼, 상기 지지부(250)가 상기 힌지쇼바유닛(160)의 외측을 덮어 감싸도록 설치함으로써 외관상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상기 힌지쇼바유닛은 다양한 형태 중 일 형태를 나타낸 것이며, 기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힌지유닛의 적용도 가능하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매트리스지지보드(300)는 상기 양측 사이드 프레임(1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매트리스지지보드(300)가 수직된 상태를 이루도록 회전된 경우 상기 매트리스지지보드(300)의 상단이 상기 사이드보드(220) 및 상기 풋보드(230)가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경우에 상기 사이드보드(220) 및 상기 풋보드(230)의 상단과 동일 높이를 이루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상기 사이드보드(220)와 풋보드(230)를 회전시켜 펼친 후, 상기 매트리스지지보드를 회전시켜, 매트리스의 하부가 지지되도록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매트리스지지보드(300)의 양단부는 회전축을 이루는 제1회전공(305)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120)에 수평 또는 수직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공(306)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프레임(120)은 상기 제1회전공(305)에 대응하는 제2회전공(125)과 상기 매트리스지지보드(300)가 상기 제1회전공(305)을 기준으로 회전 시 상기 매트리스지지보드(300)가 소정 위치서 고정되도록 하는 수평고정공(124)과 수직고정공(126)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매트리스지지보드(300)의 회전된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표시부(280)가 상기 사이드프레임(120)에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표시부(280)는 상기 매트리스지지보드(300)가 고정되는 위치를 알려주는 것으로써, 소정의 표식마크 형태를 이룰 수도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매트리스지지보드(300)가 고정될 위치에서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돌출된 형태의 스톱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회전공(125)과 제1회전공(305)은 소정의 볼트(70) 등을 적용하여 상기 매트리스지지보드(30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수평고정공(124)과 수직고정공(126)에도 또한 별도의 볼트(80) 등을 이용 매트리스지지보드(30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사이드보드와 풋보드가 난간을 형성하는 침대에 의하면, 사이드보드 등을 수직 상태로 올린 후 사용하는 경우 매트리스 위에 놓이는 침구나 물건 등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보드와 풋보드를 수평으로 펼친 후에는 크기가 큰 매트리스의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매트리스지지보드를 회전시켜 구조적으로 보다 안전하게 매트리스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보드와 풋보드가 난간을 형성하는 침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보드와 풋보드가 난간을 형성하는 침대는 매트리스지지보드(370) 및 지지판(270)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지 않은 구성요소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매트리스지지보드(370)는 전술한 매트리스지지보드(300)와 유사하게, 양 단부가 상기 사이드프레임(1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수평상태 및 수직상태로 회전될 수 있으나, 수직된 상태로 회전된 경우 전술한 실시예의 매트리스지지보드(300)와는 달리, 상기 사이드 보드 및 풋보드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를 이루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사이드보드(220) 및 상기 풋보드(230)는 상기 매트리스지지보드(370)와 단차지게 형성된다.

    지지판(270)는 상기 매트리스지지보드(370)의 상단에 안착되며, 상기 사이드보드(220) 및 상기 풋보드(230)의 상단과 동일 높이를 이루도록 상기 메인프레임(101) 내부에 설치된다.

    즉, 상기 지지판(270)은 상기 사이드보드(220) 및 상기 풋보드(230)에 상기 매트리스지지보드(370)와 단차진 높이만큼의 두께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보드와 풋보드가 난간을 형성하는 침대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매트리스지지보드만으로 매트리스를 지지하지 않고, 상기 지지판(270)이 매트리스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고안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침대 110: 헤드프레임
    120: 사이드프레임 124: 수직고정공
    125: 제2회전공 126: 수평고정공
    130: 풋프레임 150: 결합브라켓
    160: 힌지쇼바유닛 170: 실린더부
    180: 피스톤부 210: 헤드보드
    220: 사이드보드 230: 풋보드
    250: 지지부 280: 가이드표시부
    300: 매트리스지지보드 305: 제1회전공
    306: 고정공 310: 보드브라켓
    320: 프레임브라켓 325: 돌출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