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침대

申请号 KR1020140134114 申请日 2014-10-06 公开(公告)号 KR1020160040786A 公开(公告)日 2016-04-15
申请人 박미숙; 조규봉; 发明人 박미숙;
摘要 본발명은돌침대에관한것으로, 더욱상세하게는사람에게이로운적어도일부가 5mm ~ 10mm 인옥 또는자수정또는옥과자수정이임으로배열된열복사층을형성하여이들의간극에의해열을복사시켜침대에열이고르게발산하게하는돌침대에관한것이다. 본발명의돌침대는, 상부로개구된개구부가형성된직육면체형상의프레임과; 상기개구부에안착되는매트와; 상기매트의온도를제어하는제어부; 를포함하되, 상기매트는, 상기제어부에의해가열되는발열층과; 상기발열층의상부에적층되며, 적어도일부가 5mm ~ 10mm 인옥 또는자수정또는옥과자수정이임으로배열되어이들사이의간극을통해상기발열층에서발산되는열을복사시키는열복사층과; 판상의석재또는황토층으로이루어져상기열복사층의상부에적층되는천연재층; 을포함하는것을특징으로한다.
权利要求
  • 상부로 개구된 개구부(101)가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프레임(100)과;
    상기 개구부(101)에 안착되는 매트(200)와;
    상기 매트(200)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300); 를 포함하되,
    상기 매트(200)는,
    상기 제어부(300)에 의해 가열되는 발열층(210)과;
    상기 발열층(210)의 상부에 적층되며, 적어도 일부가 5mm ~ 10mm 인 옥(J) 또는 자수정(C) 또는 옥(J)과 자수정(C)이 임으로 배열되어 이들 사이의 간극을 통해 상기 발열층(210)에서 발산되는 열을 복사시키는 열복사층(240)과;
    판상의 석재 또는 황토층으로 이루어져 상기 열복사층(240)의 상부에 적층되는 천연재층(26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침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트(200)에는,
    상기 발열층(210)과 상기 열복사층(240) 사이에 적층되는 동판층(2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침대.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매트(200)에는,
    상기 열복사층(240)과 상기 동판층(220) 사이에 적층되는 부직포층(2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침대.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복사층(240)에 배치되어 상기 천연재층(260)을 지지하는 제습성 화산석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2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침대.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50)는,
    상기 개구부(101)의 내주연 상단에 배치되는 제1세로부재(251)와;
    상기 개구부(101)의 내주연 하단에 배치되는 제2세로부재(252)와;
    상기 개구부(101)의 내주연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가로부재(253)와;
    상기 가로부재(253)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두 줄로 배치되어 상기 열복사층(240)을 상단에서부터 제1구역(S1), 제2구역(S2), 제3구역(S3)으로 분할하는 분할부재(254); 를 포함하되,
    분할된 상기 열복사층(240)의 상기 제2구역(S2)에는 자수정(C)이 채워지고, 상기 제1구역(S1) 및 제3구역(S3)에는 옥(J) 또는 옥(J)과 자수정(C)이 임으로 배열된 것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침대.
  • 说明书全文

    돌침대{STONE BED}

    본 발명은 돌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에게 이로운 적어도 일부가 5mm ~ 10mm 인 옥 또는 자수정 또는 옥과 자수정이 임으로 배열된 열복사층을 형성하여 이들의 간극에 의해 열을 복사시켜 침대에 열이 고르게 발산하게 하는 돌침대에 관한 것이다.

    산업사회의 발전에 따른 소득증가와 생활수준 향상으로 주거문화가 변하고 있고, 그에 따라 사람들은 건강을 위하여 편안한 쉼터를 찾고 있으며, 일상생활에서의 충분한 수면은 내일을 위한 가장 중요한 일과의 하나임과 동시에 건강을 유지하는 비결이 될 것이다.

    근래에는 상기의 편안한 수면을 취하기 위한 돌(화강암)침대 및 옥돌침대 또는 황토 등을 이용하여 만든 온돌형 돌침대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침대들의 가장 중요한 것은 매트라 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매트를 형성하는 재료들은 대체적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소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돌침대는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열선에 의해 침대 표면 전체가 따뜻하지 않고, 열선을 따라 부분적으로만 따뜻한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일반적이 돌침대의 일예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288183호 등이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적어도 일부가 5mm ~ 10mm 인 옥 또는 자수정 또는 옥과 자수정이 임으로 배열된 열복사층을 형성하여 이들 사이의 간극을 통해 발열층에서 발산되는 열을 복사시켜, 열의 확산을 최대화하여 매트 상부의 천연재층의 표면 온도가 일정하게 하는 돌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열복사층은 옥 또는 자수정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이롭게 하는 돌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돌침대는, 상부로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개구부에 안착되는 매트와; 상기 매트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매트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가열되는 발열층과; 상기 발열층의 상부에 적층되며, 적어도 일부가 5mm ~ 10mm 인 옥 또는 자수정 또는 옥과 자수정이 임으로 배열되어 이들 사이의 간극을 통해 상기 발열층에서 발산되는 열을 복사시키는 열복사층과; 판상의 석재 또는 황토층으로 이루어져 상기 열복사층의 상부에 적층되는 천연재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돌침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열복사층이 적어도 일부가 5mm ~ 10mm 인 옥 또는 자수정 또는 옥과 자수정이 임으로 배열되어 이들 사이의 간극을 통해 발열층에서 발산되는 열을 복사시킴으로써, 5mm ~ 10mm 인 옥 및/또는 자수정에 의해 열이 열복사 되면서 열의 확산을 최대화하여 열복사층 상부에 적층되는 천연재층 전체를 동일한 온도로 전달되어 천연재층 상면 전체가 동일한 온도로 따뜻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열복사층이 옥 또는 자수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옥과 수정의 효능에 의해 사용자의 건강을 이롭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침대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AA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침대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침대에서 지지부재와 열복사층의 구조를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침대는, 프레임(100), 매트(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0)은 침대의 외간을 이룬다.

    이러한 상기 프레임(100)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된 개구부(101)가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서는 머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개구부(101)는 상기 매트(200)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매트(200)는 상기 개구부(101)에 안착된다.

    이러한 상기 매트(200)는, 하부로부터, 발열층(210), 동판층(220), 부직포층(230), 열복사층(240), 지지부재(250) 및 천연재층(260)을 포함한다.

    상기 발열층(210)은 전류 또는 온수에 의해 열을 방출하는 난방장치이다.

    이러한 상기 발열층(210)은 열선 또는 온수관이 일정한 간격으로 지그재그 형상 또는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그 외면은 불연소성 재질로 감싸도록 하여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발열층(210)은 후술하는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되어 가열이 이루어진다.

    상기 동판층(220)은 상기 발열층(210)의 상부에 적층된다.

    이러한 상기 동판층(220)은 상기 발열층(210)의 가열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파 등을 차단함과 함께 열이 전도되어 상기 매트(200)에 열이 고르게 확산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부직포층(230)은 상기 동판층(220) 상부에 적층되어 후술하는 상기 열복사층(240)을 이루는 옥(J) 및/또는 자수정(C)으로부터 상기 동판층(22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동판층(220)과 상기 부직포층(230)은 필요에 따라서, 적층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중 어느 하나만 선택하여 적층 할 수 있다.

    상기 열복사층(240)은 상기 부직포층(230) 상부에 배치되다.

    이러한 상기 열복사층(240)은 적어도 일부가 5mm ~ 10mm 인 옥(J) 또는 자수정(C) 또는 옥(J)과 자수정(C)이 임으로 배열되어 이들 사이의 간극을 통해 상기 발열층(210)에서 발산되는 열을 복사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열복사층(240)이 적어도 일부가 5mm ~ 10mm 인 옥(J) 또는 자수정(C) 또는 옥(J)과 자수정(C)이 임으로 배열되어 이들 사이의 간극을 통해 상기 발열층(210)에서 발산되는 열을 복사시킴으로써, 5mm ~ 10mm 인 옥(J) 및/또는 자수정(C)에 의해 상기 동판층(220)에서 전도된 열이 열복사 되면서 상기 열복사층(240) 상부에 적층되는 상기 천연재층(260) 전체를 동일한 온도로 전도되어 상기 천연재층(260) 상면 전체가 동일한 온도로 따뜻하게 한다.

    이는, 5mm ~ 10mm 인 옥(J) 및/또는 자수정(C)에 의해 상기 동판층(220)에서 전도된 열이 열복사 되면서 열이 고르게 상기 열복사층(240)에 전체에 퍼지면서 상기 열복사층(240) 전체가 동일한 온도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열복사층(240)의 간극에 의해 열을 오랜 시간 간직하게 되면서 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50)는 상기 열복사층(240)에 배치되어 상기 천연재층(260)을 지지한다.

    즉, 상기 지지부재(250)는 5mm ~ 10mm 인 옥(J) 및/또는 자수정(C)으로 이루어진 상기 열복사층(240)이 상기 천연재층(260)의 하중에 의해 한쪽으로 밀리면서 기울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상기 천연재층(260)은 제습성 화산석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50)가 제습성 화산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방열층의 가열에 의해 상기 매트(200)의 외부와 내부의 온도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습기를 제거하여 곰팡이 등이 발생하기 않게 하며, 또한, 습기에 의해 매트(2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천연재층(260)은 상기 열복사층(240)의 상부에 적층된다.

    이러한 상기 천연재층(260)은 판상의 석재 또는 황토층으로 이루어지며, 판상의 석재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판상으로 제작이 가능한 석재이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원적외선이 보다 많이 방출되고, 단단한 화강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25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세로부재(251), 제2세로부재(252), 가로부재(253) 및 분할부재(254)를 포함한다.

    상기 제1세로부재(251)는 상기 개구부(101)의 내주연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2세로부재(252)는 상기 개구부(101)의 내주연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가로부재(253)는 상기 개구부(101)의 내주연 좌우 양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분할부재(254)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부재(253)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두 줄로 배치되어 상기 열복사층(240)을 상단에서부터 제1구역(S1), 제2구역(S2), 제3구역(S3)으로 분할한다.

    그리고 이렇게 분할된 상기 열복사층(240)의 상기 제2구역(S2)에는 자수정(C)이 채워지고, 상기 제1구역(S1) 및 제3구역(S3)에는 옥(J) 또는 옥(J)과 자수정(C)이 임으로 배열된 것이 채워진다.

    이와 같이 상기 제2구역(S2)에 자수정(C)을 채움으로써, 사용자의 허리와 장기, 특히 신장을 건강하게 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매트(200)의 온도를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발열층(210)과 연계되어 상기 발열층(210)을 가열 또는 비가열 하면서 상기 매트(200)의 온도를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자수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자수정은 신체적 치료상의 효능으로는, 심장과 신경에 서서히 작용하여 집중력을 키워준다. 스트레스와 인한 편두통에 유용하다. 베개 밑에 놓아주면 평온히 잠들 수 있게 해주고 악몽을 방지해준다. 자수정의 물(자수정을 정제한 물)은 피부를 치료해주고 보호해 주며 탈모를 방지해준다. 췌장, 혈관, 심장, 머리카락, 피부, 머리, 혈액순환, 장, 신경, 스트레스 등에 효과적이다.

    그리고 자수정은 정신적 치료상의 효능으로는, 갖고 다니는 사람으로 하여금 올바른 판단을 하게 하며, 한 우정을 싹트게 하며 동시에 거짓된 친구 등을 멀게 한다. 자수정은 방사를 해 화합과 가족간의 결합, 열정과 재생의 기운을 발산한다.

    다시 말해서, 자수정은 문제의 해결과 삶의 기쁨을 유발하는데 상쾌한 자극을 주며 또한 동시에 고도의 평화와 기쁨, 열정과 화합을 전한다. 자수정으로 된 장식끈은 여욱 제질과 불가항력의 확신을 주입한다. 자기명상, 자유의 기분, 생각의 흐름, 교(영교)의 감정, 감화, 신성의 자각, 화합, 수면, 자기제어, 자부심의 자각, 내등을 기르려면 자수정이 효과적이다.

    또한, 옥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옥은 생명 에너지인 氣를 발산하는 특수 광물입니다.

    최근 韓國표준과학연구원 및 일부 대학에서 옥의 효능을 연구·실험하고 있는 중인데, 수많은 체험사례(1,500여 건)를 통해 확인된 상식을 초월한 효능에 과학자들도 놀라고 있습니다.

    연옥은 인체생명력의 거대한 에너지원인 마그네슘(엽록소의 핵)을 40% 이상 함유하고 있음으로 인체에 매우 적합한 파장의 氣 8-14um을 발산하여 인체의 氣와 공명 흡수됨으로써 인체에 잠재된 氣를 활성화시켜 줍니다.

    ◎ 과학적으로 밝혀진 氣: 원적외선 + 자성 + 파동에너지.

    ◎ 동양철학에 의한 氣: 氣는 우주 만물을 움직이는 근원되는 힘이며 생명의 본질 즉, 우주의 음양오행을 주관하여 모든 것에 영향을 미치는 보이지않는 힘.

    ◎ 氣이론 학자: 서경덕, 이율곡, 이퇴계, 공자, 맹자, 장자, 노자 등.

    그리고 옥은 무병장수의 神氣를 발산한다는 이 신비의 관물 연옥은, 현대의학으로도 해결되지않는 각종 현대병, 성인병 등에 엄청나게 자연치유 효과를 나타낸다.

    구체적인 효능으로는,

    * 광범위하게 인체에너지 및 기를 강화해준다.

    * 산소를 풍부하게 활성화(약 30%)하고 맑은 피를 공급해준다.

    *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를 촉진해준다.

    * 혈액의 점도를 균형있게 회복하고 알칼리성화 해준다.

    * 이상세포의 증식을 방지하고 정상세포로의 회복을 돕는다.

    * 통증경감 및 스트레스를 감소시켜준다.

    * 체내 유해 축적물(노폐물, 수은, 납 등)을 배출해준다.

    * 수험생은 머리를 맑게 하고 눈, 귀를 밝게 한다. (기억력 24% 향상, 정신집중력 29% 향

    상, 스트레스 38% 해소 효과)

    중국의 각 병원에서는 연옥을 "암 정복의 별" 이라하여 칭찬이 자자함.

    주요효능으로는,

    * 변비, 설사, 소화불량, 냉대하, 방광염, 생리통

    * 고혈압, 저혈압, 당뇨, 신경통, 만성두통

    * 견비통(특효), 관절염

    * 임산부, 산후후유증

    * 치질, 비만, 노화방지, 오자의 기능강화

    특히 옥은 첫 번째, 옥이 다이아몬드나 수정, 사파이어 등 일반보석과 다른 점은 일반보석은 광물 자체가 특이하고 귀한 결정으로 이뤄져 있지만 연옥은 구성광물이 투각섬석으로 극히 작은 입자가 바늘 실타래 모양의 집합체를 이루고 있는 비 결정성 광물입니다. 이런 구조상 특성 때문에 옥은 인성과 경도가 뛰어나며 영롱한 반투명성을 띠어 보석으로 평가되어 왔다. 아울러 옛날에는 옥을 몸에 지니면 건강에 좋다는 과학적으로 확인되지 않은 믿음도 옥의 가치를 더 해준 요인이라고 할 수 있으나, 근래에는 한국 식품개발연구소의 연구 결과로 과학적인 입증이 되고 있다.

    두 번째, 옥은 또한 신체의 균형성장을 도우며 정신을 맑게 하고 신경을 안정시키며 피로를 가시게 하는데도 효과가 탁월할 뿐 아니라 임신한 여자가 매일 옥을 웅시하면 태교에 효과적이고 경락을 자극하면 피부가 고와진다고 한다. 이러한 내용들은 옥이 어떤 부위가 아니라 온몸과 정신에 걸쳐 효과를 나타내는 신기의 보석이자 자연적 약품임 을 알 수 있게 해 준다.

    세 번째, 옥을 몸에 지니면 무병장수하고, 해운을 갖다주는 신석이라하여 옥은 옥쇄, 옥관자, 옥배, 옥대, 옥 베개 등 갖가지 장신구로 귀한 보석의 자리를 지켜왔다. 지금도 중국에서는 옥을 다이아몬드보다도 더 귀한 보석으로 취급하며 옥을 쥐고 잠을 자면 숙면을 취하고 가슴에 붙이면 심장에 좋다 하여 의학적 가치를 높이 평가하고 있다.

    네 번째, 옥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인간의 신체에 극히 필요한 세 가지 광물 즉 칼슘, 철분, 마그네슘을 포함해 20여 종의 원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옥에서 나오는 에너지 파동은 신체의 내분비선에 고여 있는 불순물을 배출케 하고 혈액순화를 원활하게 하여 손상된 부위에 가까이하면 탁월한 효과가 있다는 것이 임상 실험결과의 입증이다.

    다섯 번째, 옥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장에 체내 산소를 활성화 시키고 (음이온이 증대하면서 기가 오름) 좌우 뇌에 헤미싱작용을 배가 시키는 효과를 가져와 인체를 건강하게 만든다고 한다. 옥 매점에서 옥을 가공한 반지, 목걸이, 팔찌, 방석, 컵 등을 구매할 수 있는데, 옥의 치료효과라는 것이 이 제품들을 착용하거나 이용하면서 볼 수 있는 것들로, 고혈압, 두통, 불면증이 가시고 부인병에도 효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옥설수(옥 덩어리를 식수에 담근물)를 마시게 되면 특히 치질이나 변비나 소화불량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또한, 제습성 화산성을 효능을 자세히 살펴보면,

    ※ 아토피 알레르기의 원인인 진드기 곰팡이 번식 억제.

    ※ 포릉알데히드(새집 증후군) VDC저감.

    ※ 화장실 담배 생활쓰레기 애완동물 냄새 생활악취 제거.

    ※ 습도 조절 기능 결로 예방 기능.

    ※ 다양한 미네랄이 풍부.

    ※ 체내의 중금속을 흡착 분해하는 성질로서 혈액순환 개선과 신진대사 촉진.

    ※ 풍부한 산소량과 높은 수치의 원적외선 방사 음이온 방출로 성인병의 예방에 탁월.

    ※ 각종 냄새 제거와 정수 및 정화작용 능력이 뛰어남.

    ※ 알칼리날염에 대한 내성이 매우 강해 자극에 민감한 사람들에게 매우 좋음.

    ※ 화산석의 추출물질인 파이버(암면)인 신체에 해로운 건축자재인 석면 대용으로 사용 가능.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돌침대의 열의 이동과정을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300)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를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300)는 발열층(210)을 가열한다.

    상기 발열층(210)은 가열하게 되면, 상기 발열층(210)에 내장된 열선에서 열이 발생하여 상기 동판층(220)으로 전달된다.

    이렇게 절단된 열은 상기 동판층(220)의 열 전도에 의해 어느 정도 확산된 상태에서 상기 열복사층(240)으로 전도된다.

    이렇게 상기 열복사층(240)으로 전도된 열은 상기 열복사층(240)은 이루는 자수정(C) 및/또는 옥(J)의 간극을 통해 열복사 되면서 상기 열복사층(240) 전체에 전달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자수정(C)과 옥(J)의 간극을 통해 열이 열복사, 즉, 물체와 물체로 이동하게 되면서, 보다 폭 넓게 확산되어 상기 열복사층(240) 전체에 열이 전달된다.

    이렇게 전달된 열은 상기 천연재층(260) 전체에 전달되면서 상기 천연재층(260) 표면 전체가 일정한 온도로 따뜻하게 전달된다.

    본 발명의 돌침대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프레임 101: 개구부 200: 매트
    210: 발열층 220: 동판층 230: 부직포층
    240: 열복사층 250: 지지부재 251: 제1세로부재
    252: 제2세로부재 253: 가로부재 254: 분할부재
    260: 천연재층 300: 제어부 J: 옥
    C: 자수정 S1: 제1구역 S2: 제2구역
    S3: 제3구역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