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대 등의 앙와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

申请号 KR1020030016728 申请日 2003-03-18 公开(公告)号 KR1020030076328A 公开(公告)日 2003-09-26
申请人 파라마운트 베드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나가오카히로시; 호리타니마사오; 이노우에사토루;
摘要 본 발명은 침대 등의 앙와대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을 제안하는 것으로,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등부분을 승강시키기 위한 등바닥부와,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무릎부분을 승강시키기 위한 무릎바닥부를 갖추고 있고,각각의 바닥부는, 각각에 설치한 승강기구에 의하여 승강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는 침대 등의 앙와대에 있어서, 모든 바닥부가 하강하여 있는 평탄한 상태로부터, 등바닥부가 피벗식 회전운동에 의하여 상승한 경사상태로 되는 때에는, 먼저 무릎바닥부의 상승을 개시함과 동시에,이 상승개시시점으로부터 적절하게 지연된 시점에서 등바닥부의 상승을 개시하고,각각 설정되어 있는 상승 위치까지 상승하도록 연동하여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权利要求
  •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등부분을 승강시키기 위한 등바닥부와,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무릎부분을 승강시키기 위한 무릎바닥부를 갖추고 있고,각각의 바닥부는, 각각에 설치한 승강기구에 의하여 승강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는 침대 등의 앙와대에 있어서, 모든 바닥부가 하강하여 있는 평탄한 상태로부터, 등바닥부가 피벗식 회전운동에 의하여 상승한 경사상태로 되는 때에는, 먼저 무릎바닥부의 상승을 개시함과 동시에,이 상승개시시점으로부터 적절하게 지연된 시점에서 등바닥부의 상승을 개시하고, 각각 설정되어 있는 상승 위치까지 상승하도록 연동하여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등의 앙와대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
  •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등부분을 승강시키기 위한 등바닥부와,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무릎부분을 승강시키기 위한 무릎바닥부를 갖추고 있고,각각의 바닥부는, 각각에 설치한 승강기구에 의하여 승강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는 침대 등의 앙와대에 있어서, 모든 바닥부가 하강하여 있는 평탄한 상태로부터, 등바닥부가 피벗식 회전운동에 의하여 상승한 경사상태로 되는 때에는, 먼저 무릎바닥부의 상승을 개시함과 동시에,이 상승개시시점으로부터 적절하게 지연된 시점에서 등바닥부의 상승을 개시하고,무릎바닥부는, 설정되어 있는 가장 높은 상승 위치를 거쳐서 하강시킴과 동시에, 등바닥부는 소정의 상승 위치까지 상승하도록 연동하여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등의 앙와대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무릎바닥부는, 가장 높은 상승 위치를 거쳐서 하강되는 때,등바닥부가 소정의 상승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소정 위치까지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등의 앙와대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무릎바닥부는, 가장 높은 상승 위치를 거쳐서 하강되는 때,등바닥부가 소정의 상승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최저 위치까지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등의 앙와대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무릎바닥부의 상승개시시점으로부터 지연되고,등바닥부가 상승을 개시한 시점 및/또는 무릎바닥부가 가장 높은 상승 위치에 도달한 시점은, 무릎바닥부가 상승을 개시한 시점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의하여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등의 앙와대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경과 시간을 설정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등의 앙와대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무릎바닥부의 상승개시시점으로부터 지연되고,등바닥부가 상승을 개시한 시점은, 무릎바닥부의 위치검출수단에 의하여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등의 앙와대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등바닥부가 상승을 개시하는 시점을 판단하는 무릎바닥부의 상승 위치는 설정가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등의 앙와대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
  • 说明书全文

    침대 등의 앙와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COORDINATIVE LIFTING CONTROL METHOD OF BOTTOM SECTIONS FOR LYING FURNITURE SUCH AS A BED}

    (발명의 기술분야)

    본 발명은, 대체로,침대(병원용 침대,ICU 침대,재택용 침대 등)나 스트레쳐(stretcher) 등의 앙와대(仰臥臺)의 연동승강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등부분을 승강시키기 위한 등바닥부와,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무릎부분을 승강시키기 위한 무릎바닥부를 갖춘 앙와대에 있어서, 이들 등바닥부와 무릎바닥부를 아래에 기술한 것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동하여 승강시키기 위한 연동승강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침대나 스트레쳐 등의 앙와대 중에는,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등 부분을 승강시키기 위한 등바닥부와,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무릎부분을 승강시키기 위한 무릎바닥부를 갖추고,각각의 바닥부를, 각각에 설치한 승강기구에 의하여 승강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앙와대로는, 미국 특허 제5,469,591호, 제5,448,789호, 제5,388,290호 등,다수의 예가 있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5,469,591호에 기재되어 있는 침대는,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등부분을 승강시키기 위한 등바닥부와,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무릎부분을 승강시키기 위한 무릎바닥부와, 그 밖의 바닥부를 갖추고 있고,등바닥부와 무릎바닥부의 하측에는, 선단에 롤러를 설치한 승강암이 피벗식 회전운동 가능하게설치되어 있고,이 승강암은 모터 등의 전동의 구동기구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등바닥부측의 승강암을 피벗식으로 회전운동시키고 롤러에 의하여 등바닥부를 피벗식 회전운동으로 상승시켜서 기울어지게 하는 것에 의하여,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등을 들어올려서 침대 위에 일으켜 세운 자세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등바닥부를 상승에 의하여 기울어지게 하는 때,무릎바닥부 측의 승강암을 피벗식 회전운동시키고 롤러에 의하여 무릎바닥부를 상승시켜서 기울어지게 하는 것에 의하여,등바닥부만을 상승시키는 경우에 생기는,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이 전방으로 밀려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침대 위에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등을 들어올리고 일으킨 상태로 되는 경우,등바닥부만을 상승시키면,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은 등바닥부에 의하여 등을 전방으로 눌리기 때문에, 그 상태로는 신체가 점점 전방으로 밀려나가게 되고,신체가 용이하게 구부러지는 지점과, 등바닥부의 피벗식 회전운동의 지점이 어긋나게 된다. 이 때문에,본래는 용이하게 구부러지 않는 요추부분을 굽힐려고 하는 힘이 등바닥부로부터 가해지고,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요추부분이나 하복부를 압박하는 등의 불쾌감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등바닥부를 상승시키는 때에는, 무릎바닥부를 상승시키면,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을 전방으로 누를려고 하는 등바닥부로부터의 힘을, 기울어진 무릎바닥부에 위치하고 있는 신체의 부분,즉,대퇴부에 의하여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되고,이렇게 하는 것에 의하여,등바닥부만으로 등을 들어올리는 때에 생기는, 신체가 밀려나가거나 불쾌감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등바닥부의 상승시에,무릎바닥부도 상승시키는 동작을 하는 종래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a. 먼저,제 1 예는, 등바닥부와 무릎바닥부를 승강시키는 각각의 구동기구는 각각 독립적으로 조작가능하게 구성하고,반듯이 누워있는 사람 자신이나 간호자가 리모트 콘트롤 스위치 등에 의하여,각각의 구동기구를, 동시에 또는 교대로 ON-OFF 조작하여,등바닥부와 무릎바닥부의 각각을 원하는 상승위치에 위치되게 하는 방법이다.

    b. 제 2 예는, 등바닥부와 무릎바닥부의 구동기구를 링크기구 등의 기계적인 연동기구를 이용하여 공통의 전동기 등에 의하여 구동시키도록 구성한 것에 의하여,등바닥부와 무릎바닥부의 구동기구를 기계적으로 연동하여 동작시켜서,등바닥부와 무릎바닥부를 소정의 상승위치에 위치되게 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에서 아래에 기술한 것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A. 먼저 a의 방법에서는,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이나 간호자가 등바닥부와 무릎바닥부의 각각의 구동기구를 동시 또는 교대로 조작하지 않으면 안되고,조작이 상당히 번잡하고 귀찮으며,습관이 필요함과 동시에,등바닥부와 무릎바닥부의 각각에 최적의 승강형태를 항상 재현하는 것은 곤란하다.

    B. b의 방법에서는, 기계적인 연동기구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등바닥부와무릎바닥부의 연동에 의한 승강형태는 단순하게 조절이나 변경을 할 수 없게 되고, 신체가 밀려나가는 것과 압박감 등의 불쾌감의 양자를 효율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등바닥부와 무릎바닥부를 각각 독립하여 승강조작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을 침대에 적용한 경우의 승강동작에 있어서의 한 상태의 바닥부의 전체 형상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을 침대에 적용한 경우의 승강동작에 있어서의 다른 상태의 바닥부의 전체 형상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을 침대에 적용한 경우의 승강동작에 있어서의 또 다른 상태의 바닥부의 전체 형상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을 침대에 적용한 경우의 승강동작에 있어서의 또 다른 상태의 바닥부의 전체 형상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을 침대에 적용한 경우의 승강동작에 있어서의 또 다른 상태의 바닥부의 전체 형상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을 침대에 적용한 경우의 승강동작에 있어서의 또 다른 상태의 바닥부의 전체 형상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닥부의 연속 제어방법을 적용한 경우의, 시간경과에 대한 등바닥부와 무릎바닥부의 경사 각도의 변화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즉,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등부분을 승강시키기 위한 등바닥부와,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무릎부분을 승강시키기 위한 무릎바닥부를 갖추고 있고, 각각의 바닥부는, 각각에 설치한 승강기구에 의하여 승강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는 침대 등의 앙와대에 있어서, 모든 바닥부가 하강하여 있는 평탄한 상태로부터, 등바닥부가 피벗식 회전운동에 의하여 상승하여 경사상태로 되는 때에, 신체가 밀려나가는 것과 압박감 등의 불쾌감의 양자를 효율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먼저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서는,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등부분을 승강시키기 위한 등바닥부와,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무릎부분을 승강시키기 위한 무릎바닥부를 갖추고 있고,각각의 바닥부는, 각각에 설치한 승강기구에 의하여 승강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는 침대 등의 앙와대에 있어서, 모든 바닥부가 하강하여 있는 평탄한 상태로부터, 등바닥부가 피벗식 회전운동에 의하여 상승한 상태로 되는 때에는, 먼저 무릎바닥부의 상승을 개시함과 동시에,이 상승개시시점으로부터 적절하게 지연된 시점에서 등바닥부의 상승을 개시하고, 각각 설정되어 있는 상승 위치까지 상승하도록 연동하여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등의 앙와대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을 제안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있어서는,모든 바닥부가 하강하여 있는 평탄한 상태로부터, 등바닥부가 피벗식 회전운동에 의하여 상승한 상태로 되는 때에는, 먼저 무릎바닥부의 상승을 개시하기 때문에, 이 무릎바닥부의 상승에 의하여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허리의 위치가 무릎바닥부에 의하여 유지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등바닥부가 상승을 개시하고 점점 급경사로 되게 하여도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이 밀려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등바닥부의 상승과 무릎바닥부의 상승이 그대로 계속 진행되면, 등바닥부와 무릎바닥부가 이루는 각도가 점점 좁아지게 되기 때문에,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하복부가 이들 바닥부에 의하여 점점 굴곡되어, 결국에는 압박감을 느끼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서는, 무릎바닥부의 상승이 계속 진행하는 것은 아니고,미리 설정된 상승 위치까지 한정되기 때문에, 등바닥부와 무릎바닥부가 이루는 각도는, 일정한 각도보다도 좁아지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하복부가 이들 바닥부에 의하여 점점 굴곡되어, 압박감을 느끼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서는,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등부분을 승강시키기 위한 등바닥부와,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무릎부분을 승강시키기 위한 무릎바닥부를 갖추고 있고,각각의 바닥부는, 각각에 설치한 승강기구에 의하여 승강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는 침대 등의 앙와대에 있어서, 모든 바닥부가 하강하여 있는 평탄한 상태로부터, 등바닥부가 피벗식 회전운동에 의하여 상승하는 상태로 되는 때에는, 먼저 무릎바닥부의 상승을 개시함과 동시에,이 상승개시시점으로부터 적절하게 지연된 시점에서 등바닥부의 상승을 개시하고,무릎바닥부는, 설정되어 있는 가장 높은 상승 위치를 거쳐서 하강시킴과 동시에, 등바닥부는 소정의 상승 위치까지 상승하도록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등의 앙와대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을 제안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있어서는,등바닥부의 상승과 무릎바닥부의 상승이 계속 진행하는 것은 아니고,등바닥부가 상승을 개시하고,그것이 일정한 각도로 되는 시점에서는,무릎바닥부가 미리 설정된 가장 높은 상승 위치에 도달하고,그 후는, 역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 때문에,등바닥부의 상승이, 그 최고 위치에 이르기까지 점점 상승하여도,그때까지 무릎바닥부는 하강하기 때문에, 등바닥부와 무릎바닥부가 이루는 각도는, 일정한 각도보다도 좁아지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하복부가 이들 바닥부에 의하여 점점 굴곡되어, 압박감을 느끼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의 제 3 형태에서는, 상기 제 2 형태의 방법에 있어서, 무릎바닥부는, 가장 높은 상승 위치를 거쳐서 하강되는 때,등바닥부가 소정의 상승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소정 위치까지 하강되는 것을 제안하고 있고, 또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의 제 4 형태에서는, 상기 제 2 형태의 방법에 있어서, 무릎바닥부는, 가장 높은 상승 위치를 거쳐서 하강되는 때,등바닥부가 소정의 상승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최저 위치까지 하강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처럼,가장 높은 상승 위치를 거쳐서 하강시킨 무릎바닥부의 위치는, 평탄한 위치 외에,적절한 상승 위치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이들을 조절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청구항 5에 기재된 본 발명의 제 5 형태에서는, 무릎바닥부의 상승개시시점으로부터 지연되고,등바닥부가 상승을 개시한 시점 및/또는 무릎바닥부의 가장 높은 상승 위치는, 무릎바닥부가 상승을 개시한 시점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의하여 판단되는 것을 제안하고 있고,청구항 6에 기재된 본 발명의 제 6 형태에서는, 그 경과 시간을 설정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등바닥부나 무릎바닥부의 승강기구를 동작시키는 전동기 등의 구동원의 능력이,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하중이 가해져 있는 등바닥부나 무릎바닥부를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힘보다도 충분히 큰 경우나, 하중이 일정한 경우에는, 승강기구를 동작시킨 시점으로부터의 경과 시간과, 승강한 바닥부의 위치에는, 일대일의 대응 관계가 있기 때문에,제어가 용이한 경과 시간을 이용하여,각 바닥부의 상승 위치에 대응하는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의 제어를 할 수가 있다.

    다음에 청구항 7에 기재된 본 발명의 제 7 형태에서는, 무릎바닥부의 상승개시시점으로부터 지연되고,등바닥부가 상승을 개시한 시점 및/또는 무릎바닥부의 가장 높은 상승 위치는, 무릎바닥부의 위치검출수단에 의하여 판단되는 것을 제안하고 있고,청구항 8에 기재된 본 발명의 제 8 형태에서는, 등바닥부가 상승을 개시하는 시점을 판단하는 무릎바닥부의 상승 위치는 설정가능하게 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무릎바닥부의 위치검출수단은, 그 자체나, 승강기구나 구동원으로서의 전동기 등의 적소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는 본 발명에 있어서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을, 일정한 실시예의 침대에 적용한 경우의 승강동작에 있어서의 한 상태의 바닥부의 전체 형상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에 도시되어 있는 침대는,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등부분을 승강시키기 위한 등바닥부(1a)와,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무릎부분을 승강시키기 위한 무릎바닥부(1b)와,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다리의 부분에 대응하는 다리바닥부(1c)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이러한 등바닥부(1a),무릎바닥부(1b) 및 다리바닥부(1c)는, 각각 굴곡가능하게 연결되어 전신에 대응하는 바닥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침대에서는, 전신에 대응하는 바닥부는, 상기 분할된 3개의 바닥부(1a, 1b, 1c)를 연결하고 구성하고 있지만, 그 분할수는 4개라도 되고, 또한,상기 미국 특허 제5,469,591호, 제5,448,789호, 제5,388,290호 등에 기재되어 있는 것 같이,다수의 부재를 굴곡가능하게 연결한 것을 바닥부로 적용해도 좋다. 어느 경우에서도,본 발명이 적용된 침대에서는,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등부분을 승강시키기 위한 등바닥부와,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무릎부분을 승강시키기 위한 무릎바닥부를 갖추고 있으면 된다.

    또,등바닥부(1a)와 무릎바닥부(1b)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기구도, 상기 미국 특허 제5,469,591호, 제5,448,789호, 제5,388,290호 등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기구,즉,선단에 롤러를 설치한 승강암을 모타 등의 전동의 구동기구에 의하여 회전 구동하고,롤러에 의하여 각 바닥부를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는 외에,각 바닥부의 하측에 설치한 암에, 나사 회전축과 이 나사 회전축에 나사결합한 암나사로 구성된 회전운동-직선운동 변환기구의 직선운동부재를 접속한 구성 등이 적합하다.

    그리고 이러한 등바닥부(1a)와 무릎바닥부(1b)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기구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물론이고, 이와 같은 제어 모드에 더하여,필요에 따라 각각의 바닥부를 단독으로 동작시키는 제어 모드를 보유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먼저 도 1은, 모든 바닥부(1a, 1b, 1c)가 하강하여,평탄하게 지지되어 있는 상태이고,이 상태에서는 환자 등의 사람은 통상의 자세로 반듯이 누워있다. 이 상태로부터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등을 들어올려서 일으킨 상태로 하는 경우에는, 그 취지의 지령을 조작 스위치에 의하여 승강기구의 제어 수단에 발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 지령을 받은 제어수단은,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릎바닥부(1b)의 승강기구를 동작시키고 무릎바닥부(1b)만의 상승을 개시한다. 이 무릎바닥부(1b)의 상승의 개시시점은, 도 7에서는 t=0의 시점이다.

    계속하여,제어 수단은, 상기 지령을 받고 무릎바닥부(1b)의 상승을 개시한시점으로부터 적절하게 지연된 시점(t=T1)에서 등바닥부(1a)의 상승을 개시하고, 그 이후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등바닥부(1a)와 무릎바닥부(1b)의 쌍방이 상승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본 발명에서는, 모든 바닥부가 하강하여 있는 평탄한 상태로부터, 등바닥부(1a)가 피벗식 회전운동에 의하여 상승한 상태로 되는 때에는, 먼저 무릎바닥부(1b)의 상승을 개시하기 때문에, 이 무릎바닥부(1b)의 상승에 의하여,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허리의 위치가 무릎바닥부(1b)에 의하여 유지되고,따라서 이 상태로부터 등바닥부가 상승을 개시하여 점점 급경사로 되게 하여도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이, 등을 전방으로 눌려서 밀어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그런데,등바닥부(1a)의 상승과 무릎바닥부(1b)의 상승이, 도 3의 상태로부터 그대로 계속 진행되면, 등바닥부(1a)와 무릎바닥부(1b)가 이루는 각도가 점점 좁아지게 되기 때문에,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하복부가 이들 바닥부에 의하여 점점 굴곡되어, 결국에는 압박감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무릎바닥부(1b)의 상승이 계속 진행하는 것은 아니고, 미리 설정된 상승 위치에 이르면, 그 이상은 상승하지 않는다.

    도 4는 이와 같은 내용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것으로, 무릎바닥부(1b)가 설정된 가장 높은 상승 위치에 도달하면, 그 이후는 무릎바닥부(1b)의 상승을 정지하고,등바닥부(1a)만이 상승을 계속한다. 이와 같은 연동 동작에서는, 등바닥부(1a)의 최대 각도에 대하여 무릎바닥부(1b)의 최대 각도를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등바닥부(1a)와 무릎바닥부(1b)가 이루는 각도는, 일정한 각도보다도 좁아지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하복부가 이들 바닥부에 의하여 점점 굴곡되어, 압박감을 느끼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설정된 가장 높은 상승 위치(도 7의 t=T2의 시점),따라서 가장 큰 각도에 도달한 무릎바닥부(1b)는, 그 이후,그대로 유지하도록 제어해도 되지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가장 높은 상승 위치에서 하강하도록 제어하면,더욱 특징적인 제어 동작으로 된다.

    즉,이 제어 동작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릎바닥부(1b)가, 설정되어 있는 가장 높은 상승 위치(도 7의 t=T2의 시점)에 도달한 후에는, 제어 수단은, 등바닥부(1a)는 상승을 계속하도록 제어하지만, 무릎바닥부(1b)는 하강하도록 제어한다. 이 제어 동작은 도 5에 개념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어 동작에서는, 등바닥부(1a)가 가장 높은 위치에 도달하기 전의 일정한 시점에서 무릎바닥부(1b)를 상승시켜서, 그 결과 각도를 크게 하여도, 등바닥부(1a)가 더욱 상승하여 급경사를 이루는 각도가 됨에 동반하여,무릎바닥부(1b)의 각도는 점점 작아지기 때문에, 역시,등바닥부(1a)와 무릎바닥부(1b)가 이루는 각도는, 일정한 각도보다도 좁아지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이 제어 동작에서는, 보다 각도가 큰 무릎바닥부(1b)의 효과에 의하여,등바닥부(1a)의 상승에 의하여,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이, 등을 전방으로 눌려서 밀려나가는 것이, 더욱 확실하게 방지됨과 동시에,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하복부가 등바닥부(1a)와 무릎바닥부(1b)에 의하여 점점 굴곡되어, 압박감을 느끼게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설정되어 있는 가장 높은 상승 위치를 거쳐서 하강하는 무릎바닥부(1b)가 목표로 하는 하강 위치는,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서,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과, 도 7의 실선으로 표시하는 예에서는, 무릎바닥부(1b)는 평탄한 상태까지 하강한다. 한편,도 7의 파선으로 표시하는 예에서는, 무릎바닥부(1b)는, 예를 들면 6°정도로 될 때까지 하강하고,그 이후는 그대로의 각도로 유지된다.

    다음에,제어 수단이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동작을 하기 위해, 무릎바닥부(1b)의 상승개시시점(t=O)으로부터 지연되고,등바닥부(1a)가 상승을 개시한 시점(t=T1) 및/또는 무릎바닥부(1b)가 가장 높은 상승 위치에 도달한 시점(t=T2)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먼저 제 1방법으로서, 무릎바닥부(1b)가 상승을 개시한 시점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의하여 판단하고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등바닥부(1a)나 무릎바닥부(1b)의 승강기구를 동작시키는 전동기 등의 구동원의 능력이,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하중이 가해져 있는 등바닥부(1a)나 무릎바닥부(1b)를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힘보다도 충분히 큰 경우나, 하중이 일정한 경우에는, 승강기구를 동작시킨 시점으로부터의 경과 시간과, 승강한 각 바닥부(1a, 1b)의 위치에는, 일대일의 대응 관계가 있기 때문에,제어가 용이한 경과 시간을 이용하여,각 바닥부(1a, 1b)의 상승 위치에 대응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동작을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제어 수단에 있어서의 상기 T1, T2의 설정 시간을 변경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하여,바닥부 위에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 등의 각종 조건에 따라 적절한 제어 동작을 할 수가 있다.

    다음에,제어 수단이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동작을 하기 위해, 무릎바닥부(1b)의 상승개시시점(t=0)로부터 지연되고,등바닥부(1a)가 상승을 개시한 시점(t=T1) 및/또는 무릎바닥부(1b)가 가장 높은 상승 위치에 도달한 시점(t=T2)을 검출하기 위한 제2의 방법으로서는, 무릎바닥부(1b)에 각도 센서 등의 위치검출수단을 설치하고,이 위치검출수단에 의하여,그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이 무릎바닥부(1b)의 위치검출수단은, 무릎바닥부 자체,승강기구나 구동원으로서의 전동기 등의 적소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상기 각각의 위치를 설정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하여,바닥부 위에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 등의 각종 조건에 따라 적절한 제어 동작을 할 수가 있다.

    또한,이상은 본 발명을 적용한 등바닥부(1a)와 무릎바닥부(1b)의 제어 동작을, 모든 바닥부가 하강하고 평탄한 상태로부터, 등바닥부를 피벗식 회전운동에 의하여 상승시켜서 경사상태로 되는 경우의 동작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등바닥부가 피벗식 회전운동에 의하여 상승하여 가장 기울어진 상태로부터, 모든 바닥부를 하강하여 평탄한 상태로 되는 경우의 동작은, 상승시키는 경우와 정확하게 반대의 경과를 역으로 설명하는 것이기 때문에,이 설명은 생략한다.

    이 하강하는 경우의 동작에 있어서도, 무릎바닥부가 일정한 위치에 상승하여 있는 상태 또는 가장 높은 위치에 상승하여,이후는 하강하는 동작이 행해지기 때문에, 하강의 때에도 무릎바닥부의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바닥부 위에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이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바닥부 전체가 평탄하게 된 때의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위치변동을 억제하여,간호자가 반듯이 누워있는 위치를 원래대로 되돌리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로서, 하강되는 경우에 각 바닥부가 거쳐가는 경과를, 상승시키는 경우와 반대의 경과로 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등바닥부를 하강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는,등바닥부의 하강에 앞서서,먼저 무릎바닥부를 상승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기 때문에,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등부분을 승강시키기 위한 등바닥부와,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무릎부분을 승강시키기 위한 무릎바닥부를 갖추고 있고,각각의 바닥부는, 각각에 설치한 승강기구에 의하여 승강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는 침대나 스트레쳐 등의 앙와대에 있어서, 모든 바닥부가 하강하여 있는 평탄한 상태로부터, 등바닥부가 피벗식 회전운동에 의하여 상승한 경사상태로 되는 때에는, 먼저 무릎바닥부의 상승을 개시함과 동시에,이 상승개시시점으로부터 적절하게 지연된 시점에서 등바닥부의 상승을 개시하고,그 후는, 무릎바닥부는, 설정되어 있는 가장 높은 상승 위치에서 유지되거나, 또는 그 가장 높은 상승 위치를 거쳐서 하강시킴과 동시에, 등바닥부는 소정의 상승 위치까지 상승하도록 연동하여 동작 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아래에 기술하는 바와 같은 효과가 있다.

    a, 모든 바닥부가 하강하여 있는 평탄한 상태로부터, 등바닥부가 피벗식 회전운동에 의하여 상승한 상태로 되는 때에는, 먼저 무릎바닥부의 상승을 개시하기 때문에, 이 무릎바닥부의 상승에 의하여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허리의 위치가 무릎바닥부에 의하여 유지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등바닥부가 상승을 개시하여 점점 급경사로 되게 하여도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이 밀려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b. 등바닥부의 상승과 무릎바닥부의 상승이 그대로 계속 진행되면, 등바닥부와 무릎바닥부가 이루는 각도가 점점 좁아지게 되기 때문에,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하복부가 이들 바닥부에 의하여 점점 굴곡되어, 결국에는 압박감을 느끼게 되지만,본 발명에서는, 무릎바닥부의 상승이 계속 진행하는 것이 아니고,미리 설정된 상승 위치까지 한정되기 때문에, 그 후는, 그 위치에 유지되거나, 또는 하강하거나 하기 때문에, 등바닥부와 무릎바닥부가 이루는 각도는, 일정한 각도보다도 좁아지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하복부가 이들 바닥부에 의하여 점점 굴곡되어, 압박감을 느끼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c. 무릎바닥부의 상승개시시점으로부터 지연되고,등바닥부가 상승을 개시한 시점 및/또는 무릎바닥부가 가장 높은 상승 위치에 도달한 시점을 설정가능하게 하면,바닥부 위에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 등의 각종 조건에 따라 적절한 제어 동작을 할 수가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