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대 등에 있어서의 등·무릎바닥부 연동동작 기구

申请号 KR1020030039455 申请日 2003-06-18 公开(公告)号 KR100781295B1 公开(公告)日 2007-11-30
申请人 파라마운트 베드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호리타니마사오;
摘要 (과제) 등올리기 동작에 연동하여 당초는 무릎올리기 동작을 행하게 하고, 등올리기 동작 도중에 이번에는 무릎내리기 동작시키도록 한다.
(해결수단) 등바닥부(2a) 이면에 등올리기 기구인 등올리기 링크(3)를 맞닿게 하는 한편, 무릎바닥부(2c) 이면부터 다리바닥부(2d) 이면에 걸쳐서, 무릎올리기 기구인 무릎올리기 링크(4)를 맞닿게 하고, 이들 등올리기 링크(3)와 무릎올리기 링크(4)는, 등올리기 링크(3)의 등올리기 축(5)에 돌출설치한 전달 암(6)과, 무릎올리기 링크(4)의 무릎올리기 축(7)에 돌출설치한 받이 암(8)을 연결한 연동수단(9)에 의해, 연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상기 등올리기 링크(3)와 무릎올리기 링크(4)는, 길이 치수에 있어서 등올리기 링크(3) > 무릎올리기 링크(4)로 하고, 바닥부(2)가 평탄상태에 있을 때 무릎올리기 링크(4)는, 상기 등올리기 링크(3)에 비해 약간 기립한 각도로 설정한다.
바닥부, 링크, 전달 암, 연동수단, 기동암, 메인 프레임, 전동부재, 조절부재
权利要求
  • 등올리기 기구와 무릎올리기 기구를 가지고 있고,
    상기 등올리기 기구는,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을 받아서, 등바닥부를 경사지게 하는 등올리기 링크를 가지고, 상기 무릎올리기 기구는, 연동수단을 통하여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을 받아, 무릎바닥부를 경사지게 하는 무릎올리기 링크를 가지고,
    상기 등올리기 링크와 상기 무릎올리기 링크는, 상기 등올리기 링크의 등올리기 축에 돌출설치한 전달 암과, 상기 무릎올리기 링크의 무릎올리기 축에 돌출설치한 받이 암을 연결한 상기 연동수단에 의해, 연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등올리기 링크와 상기 무릎올리기 링크는, 길이 치수에 있어서 등올리기 링크가 무릎올리기 링크보다 길고, 상기 무릎올리기 링크는, 바닥부 평탄상태에서, 상기 등올리기 링크에 비해 위치 각도가 크게 설정되어 있어서,
    상기 등올리기 기구와 상기 무릎올리기 기구는, 상기 연동수단에 의해, 상기 등바닥부의 경사 동작 도중에 상기 무릎바닥부가 최대 경사각도에 도달하도록 하고, 상기 등바닥부의 경사 동작 도중부터 등바닥부의 최대 경사에 이르기까지, 상기 무릎바닥부가 평탄상태로 복귀되는 연동관계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등에 있어서의 등·무릎바닥부 연동동작 기구.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를 등에 대응하는 등바닥부와, 허리에 대응하는 허리바닥부와, 허리부터 무릎에 걸친 무릎바닥부와, 다리에 대응하는 다리바닥부로 분할하여, 상기 등바닥부와 허리바닥부 사이, 상기 무릎바닥부와 다리바닥부 사이에 각각 적당한 곡율로 만곡하는 만곡 바닥부를 설치하고, 상기 등바닥부 이면에 상기 등올리기 링크를 맞닿게 하는 한편, 무릎바닥부와 다리바닥부 사이의 만곡 바닥부 이면에, 상기 무릎올리기 링크를 맞닿게 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등에 있어서의 등·무릎바닥부 연동동작 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수단을 길이 조절 가능한 봉상체로 구성하여, 상기 등올리기 기구와 무릎올리기 기구의 연동 관계를 조절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등에 있어서의 등·무릎바닥부 연동동작 기구.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올리기 링크의 위치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하여, 상기 등올리기 기구와 무릎올리기 기구의 연동 관계를 조절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등에 있어서의 등·무릎바닥부 연동동작 기구.
  •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올리기 링크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하여 무릎올리기 최고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등에 있어서의 등·무릎바닥부 연동동작 기구.
  • 说明书全文

    침대 등에 있어서의 등·무릎바닥부 연동동작 기구{THE BACK AND KNEE BOTTOM SECTIONS COORDINATIVE OPERATING APPARATUS IN A BED OR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등·무릎바닥부 연동동작 기구를 설치한 침대 장치의 하나의 실시태양을 도시하는,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등·무릎바닥부 연동동작 기구에서의 연동동작의 설명에 제공하는, 주요부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등·무릎바닥부 연동동작 기구에서의 연동동작의 종료시에서의, 주요부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등·무릎바닥부 연동동작 기구를 설치한 침대 장치의 다른 실시태양을 도시하는,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침대 장치의 등·무릎바닥부 연동동작 기구에서, 연동동작 개시시에 있어서의, 무릎올리기 기구와 무릎바닥부와 만곡 바닥부와의 접합 관계를 도시한,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하는 침대 장치의 등·무릎바닥부 연동동작 기구에서, 연동동작 도중에, 무릎올리기 기구와 무릎바닥부와 만곡 바닥부의 접합 관계를 도시한,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하는 침대 장치의 등·무릎바닥부 연동동작 기구에서, 속 도 동작 종료시에, 무릎올리기 기구와 무릎바닥부와 만곡 바닥부의 접합 관계를 도시한,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등·무릎바닥부 연동동작 기구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주요부 측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침대 장치 2: 바닥부

    2a: 등바닥부 2b: 허리바닥부

    2c: 무릎바닥부 2d: 다리바닥부

    2e, 2f: 만곡 바닥부 3: 등올리기 링크

    4: 무릎올리기 링크 5: 등올리기 축

    6: 전달 암 7: 무릎올리기 축

    8: 받이 암 9: 연동수단

    10: 기동 암 11: 메인 프레임

    12: 전동부재 13: 조절부재

    14: 체결수단

    본 발명은, 등올리기나, 무릎올리기가 가능한 이른바 개취(gatch) 침대에 있어서, 등올리기 동작에 연동하여, 무릎올리기 내리기 동작을 행하도록 한, 침대 등에서의 등·무릎바닥부 연동동작 기구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등올리기나, 무릎올리기가 가능한 이른바 개취 침대에 있어서, (1) 등올리기 동작에 연동시켜서, 무릎올리기 동작을 하게 하는 기구의 것이 있다. 또, 이러한 기구중에는, (2) 등올리기 동작과 무릎올리기 동작의 연동관계를 단속시키는 기구의 것도 있다.

    그렇지만, 상기 (1)의 기구에서는, 등올리기에 따라서 무릎이 올라가는 것 뿐이었다. 그 때문에, 등올리기 각도가 어떤 각도 이상이 되면, 사용자는, 등바닥부와 무릎바닥부가 필요이상으로 접근하여, 하반신이 끼이는 것 같은 강한 압박을 받게 된다. 또 등바닥부가 올라간 상태에서는, 반드시 무릎바닥부가 올라간 상태에 있으므로, 사용자를 바닥부상에서 이동시켜서 바닥부측면측에 다가가게 하고, 바닥면에 발을 댄 상태로 앉게 하는 것은 곤란하다.

    다른 한편, (2)의 기구에서는, 개취시(즉, 등올리기와 무릎올리기의 동작을 동시에 행할 시)의 신체에의 압박을 완화하기 위해, 나아가서는, 사용자를 바닥부상에서 이동시켜서 바닥부측면측에 다가가게 하고, 바닥면에 발을 댄 상태로 앉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등올리기 기구와 무릎올리기 기구와의 연동 결합관계를 차단하여 대처해 왔는데, 등올리기만의 동작에 기인하는, 등바닥부와 신체 사이에 생기는 어긋남이나 자세가 흐트러지는 것에서 오는 새로운 신체에의 압박을 가져오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배경으로부터 제안된 것으로서, 등올리기 동작에 연동하여 당초는 무릎올리기 동작을 행하게 하고, 등올리기 동작 도중에서 이번에는 무릎내리기 동작을 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신체에의 압박감의 완화를 도모하고, 개취동작(즉, 등올리기 동작과 무릎올리기 동작을 동시에 행하는 동작)을 이용하여 등올리기 상태로부터 사용자의 체위를 용이하게 바꾸어 바닥부측면에서 바닥면에 발을 댄 자세로 하는 등, 간호 용이성의 향상을 도모한, 침대 등에서의 등·무릎바닥부 연동동작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청구항 1에서, 등올리기 기구와 무릎올리기 기구를 가지고 있고,
    상기 등올리기 기구는,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을 받아서, 등바닥부를 경사지게 하는 등올리기 링크를 가지고, 상기 무릎올리기 기구는, 연동수단을 통하여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을 받아, 무릎바닥부를 경사지게 하는 무릎올리기 링크를 가지고,
    상기 등올리기 링크와 상기 무릎올리기 링크는, 상기 등올리기 링크의 등올리기 축에 돌출설치한 전달 암과, 상기 무릎올리기 링크의 무릎올리기 축에 돌출설치한 받이 암을 연결한 상기 연동수단에 의해, 연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등올리기 링크와 상기 무릎올리기 링크는, 길이 치수에 있어서 등올리기 링크가 무릎올리기 링크보다 길고, 상기 무릎올리기 링크는, 바닥부 평탄상태에서, 상기 등올리기 링크에 비해 위치 각도가 크게 설정되어 있어서,
    상기 등올리기 기구와 상기 무릎올리기 기구는, 상기 연동수단에 의해, 상기 등바닥부의 경사 동작 도중에 상기 무릎바닥부가 최대 경사각도에 도달하도록 하고, 상기 등바닥부의 경사 동작 도중부터 등바닥부의 최대 경사에 이르기까지, 상기 무릎바닥부가 평탄한 상태로 복귀되는 연동관계로 되는 침대 등에 있어서의 등·무릎바닥부 연동동작 기구를 제안한다.

    삭제

    또 본 발명에서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를 등에 대응하는 등바닥부와, 허리에 대응하는 허리바닥부와, 허리로부터 무릎에 걸친 무릎바닥부와, 다리에 대응하는 다리바닥부로 분할하여, 상기 등바닥부와 허리바닥부 사이, 상기 무릎바닥부와 다리바닥부 사이에 각각 적당한 곡율로 만곡하는 만곡 바닥부를 설치하여, 상기 등바닥부 이면에 상기 등올리기 링크를 맞닿게 하는 한편, 무릎바닥부와 다리바닥부 사이의 만곡 바닥부 이면에, 상기 무릎올리기 링크를 맞닿게 하는 구성으로 한 침대 등에 있어서의 등·무릎바닥부 연동동작 기구를 제안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청구항 4에서, 상기 연동수단을 길이 조절 가능한 봉형상체로 구성하여, 상기 등올리기 기구와 무릎올리기 기구의 연동 관계를 조절 가능하게 한 침대 등에 있어서의 등·무릎바닥부 연동동작 기구를 제안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무릎올리기 링크의 위치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하여, 상기 등올리기 기구와 무릎올리기 기구의 연동 관계를 조절 가능하게 한 침대 등에 있어서의 등·무릎바닥부 연동동작 기구를 제안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무릎올리기 링크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하여 무릎올리기 최고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한 침대 등에 있어서의 등·무릎바닥부 연동동작 기구를 제안한다.

    청구항 1에 의하면, 등올리기 기구를 작동하여 등에 대응하는 등바닥부의 경사 동작에 따라, 등바닥부 경사 동작 당초는 연동수단을 통해서 무릎올리기 기구를 연동하여 무릎바닥부를 경사지게 한다. 상기 등바닥부의 경사 동작 도중에서 상기 무릎바닥부는 최대 경사 상태로 되고, 그대로 등올리기 기구를 작동하여 등바닥부의 경사 동작을 속행시키면, 연동수단을 통해서 무릎올리기 기구를 연동시킴으로써, 이번에는 상기 무릎바닥부는, 역으로 평탄상태로 복귀해 간다.

    그리고,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을 받아서, 등올리기 링크에 의해 등바닥부를 경사지게 해가면, 상기 연동수단을 통해서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을 받아서, 무릎올리기 링크는, 등올리기 링크에 비해 동작이 외관상 선행하고, 무릎올리기 링크 선단은 등올리기 동작 도중에 먼저 최고 위치에 도달하고, 무릎바닥부는, 등바닥부의 경사 동작 도중에 최대 경사각도에 도달한다.

    더욱이 등올리기 동작을 속행하기 위해 등올리기 링크의 동작에 연동시켜서 무릎올리기 링크를 동작시키면 이번에는, 무릎올리기 링크 선단은 상기 최고 위치로부터 낮아짐에 따라, 점점 무릎바닥부가 평탄상태로 되어 가고, 등바닥부의 최대 경사각도에 도달한 시점에서, 무릎바닥부는 평탄상태로 되돌아온다.

    청구항 3에 의하면,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등올리기 링크를 변위시켜서, 등바닥부를 밀어올리고, 경사지게 하는 한편, 연동수단을 통해서 무릎올리기 링크가 변위하여 무릎올리기 링크 선단을, 무릎바닥부와 다리바닥부 사이의 만곡 바닥부를 따라서 맞닿게 하여 무릎바닥부 및 다리바닥부를 경사지게 할 수 있다. 무릎올리기 링크는, 등올리기 링크에 비해 동작이 외관상 선행하고, 무릎올리기 링크 선단은 등올리기 동작 도중에 먼저 최고 위치에 도달하고, 무릎바닥부는 최대로 경사진다.

    청구항 4에 의하면, 연동수단을 길이 조절함으로써, 등올리기 기구에 대한 무릎올리기 기구의 동작 개시 시기를 바꾸어, 등올리기 기구와 무릎올리기 기구와의 연동 관계를 조절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의하면, 무릎올리기 링크의 위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등올리기 기구에 대한 무릎올리기 기구의 동작 개시 시기를 바꾸어, 등올리기 기구와 무릎올리기 기구의 연동관계를 조절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의하면, 무릎올리기 링크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무릎올리기 최고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태양)

    다음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침대 등에서의 등·무릎바닥부 연동동작 기구에 대하여, 1개의 실시태양를 도시하고,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 설명한다.

    도 1에 가리키는 침대 장치(1)에서는, 바닥부(2)는, 등에 대응하는 등바닥부(2a)와, 허리에 대응하는 허리바닥부(2b)와, 허리부터 무릎에 걸친 무릎바닥부(2c)와, 다리에 대응하는 다리바닥부(2d)로 분할되고, 상기 등바닥부(2a) 이면에 등올리기 기구인 등올리기 링크(3)을 맞닿게 하는 한편, 무릎바닥부(2c) 이면부터 다리바닥부(2d) 이면에 걸쳐서, 무릎올리기 기구인 무릎올리기 링크(4)를 맞닿게 하고 있다. 이들 등올리기 링크(3)와 무릎올리기 링크(4)는, 등올리기 링크(3)의 등올리기 축(5)에 돌출설치한 전달 암(6)과, 무릎올리기 링크(4)의 무릎올리기 축(7)에 돌출설치된 받이 암(8)을 연결한 연동수단(9)에 의해, 연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등올리기 링크(3)의 등올리기 축(5)에는, 주지의 구동원과 접속하여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을 받는 기동 암(10)을 돌출설치하고 있다.

    상기 등올리기 링크(3)는, 침대 장치(1)의 메인 프레임(11)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부착한 등올리기 축(5)에 기단측을 고정 설치하는 한편, 선단측에 전동부재(12)를 설치하여, 이 선단의 전동부재(12)를 등바닥부(2a) 이면에 등바닥부(2a) 선단 근처측으로부터 길이 방향 바닥부 중앙측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맞닿도록 하고 있다.

    상기 무릎올리기 링크(4)는, 침대 장치(1)의 메인 프레임(11)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부착한 무릎올리기 축(7)에 기단측을 고정 설치하는 한편, 선단측에 전동부재(12)를 설치하고, 이 선단의 전동부재(12)를, 무릎바닥부(2c)의 이면측에, 무릎바닥부(2c)측에서 다리바닥부(2d) 이면측에 걸쳐서 맞닿도록 하고 있다.

    상기 등올리기 축(5)에 돌출설치한 전달 암(6)과 무릎올리기 축(7)에 돌출설치한 받이 암(8)은 동일 치수이고, 이들 전달 암(6)과 받이 암(8)을 연결하는 연동수단(9)은, 봉형상체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침대 장치(1)에서의 바닥부(2)가 평탄상태에 있을 때는, 상기 전달 암(6)과 받이 암(8)은, 연직 하방을 지향하고, 상기 연동수단(9)은, 수평 방향을 지향하고 있다. 또, 상기 등올리기 축(5)에 돌출설치한 기동 암(10)도 연직하방을 지향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등올리기 링크(3)와 무릎올리기 링크(4)는, 길이 치수에서 등올리기 링크(3) > 무릎올리기 링크(4)로 하여, 상기 바닥부(2)가 평탄상태에 있을 때 무릎올리기 링크(4)는, 상기 등올리기 링크(3)에 비해 약간 기립한 각도로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침대 등에서의 등·무릎바닥부 연동동작 기구에 대하여, 다음에, 연동동작을 설명한다.

    등올리기를 행하기 위해,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을 등올리기 축(5) 가장자리의 기동 암(10)에 부여하면, 그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은, 등올리기 축(5)측의 전달 암(6)으로부터 연동수단(9)을 통하여 무릎올리기 기구인, 무릎올리기 링크(4)측의 무릎올리기 축(7)에 돌출설치한 받이 암(8)에도 부여되고, 등올리기 링크(3)와 동시에, 무릎올리기 링크(4)는 변위하기 시작한다.

    등올리기 기구인 등올리기 링크(3)는, 등올리기 링크(3) 선단의 전동부재(12)를 등바닥부(2a) 이면에 맞닿게 하면서, 등바닥부(2a) 선단 근처로부터 길이 방향 바닥부 중앙측을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등바닥부(2a)를 밀어올리고, 경사지게 할 수 있다.

    한편, 무릎올리기 기구인 무릎올리기 링크(4)는, 무릎올리기 링크(4) 선단의 전동부재(12)가, 무릎바닥부(2c)측에서 다리바닥부(2d) 이면측에 걸쳐서 맞닿아 무릎바닥부(2c)와 다리바닥부(2d)의 연결 부분을, 상방으로 굴곡시키도록 경사지게 할 수 있다.

    그런데, 등올리기 링크(3)와 무릎올리기 링크(4)는, 침대 장치(1)에서의 바닥부(2)가 당초의 포지션인 평탄상태에 있을 때(연동동작 개시시), 등올리기 링크(3)에 비해 무릎올리기 링크(4)가 약간 기립한 각도에 있으므로, 무릎올리기 링크(4)는, 등올리기 링크(3)에 비해 동작이 외관상 선행하고, 게다가, 길이 치수에 있어서 등올리기 링크(3) > 무릎올리기 링크(4)이므로, 무릎올리기 링크(4) 선단은 등올리기 동작 도중에 먼저 최고 위치에 도달하고, 무릎바닥부(2c) 및 다리바닥부(2d)는 최대 각도로 경사진다(도 2 참조).

    이 때, 사용자의 신체는, 경사 동작이 외관상 선행하는, 무릎바닥부(2c)에 의해 지지되면서, 등올리기가 진행하므로, 등올리기에 의한 신체의 어긋남이 경감되어, 압박감을 완화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등올리기 동작을 계속하여, 등올리기 링크(3)의 동작에 연동시켜서 무릎올리기 링크(4)를 동작시켜 가면, 이번에는, 무릎올리기 링크(4) 선단이 최고 위치로부터 다리바닥부(2d) 이면측을 따라서 맞닿으면서 이동해 가기 때문에, 점점 무릎바닥부(2c)와 다리바닥부(2d)의 연결개소가 강하하여 무릎바닥부(2c) 및 다리바닥부(2d)가 평탄상태로 되어 가고, 등바닥부(2a)가 최대 경사각도에 도달한 시점에서, 무릎바닥부(2c) 및 다리바닥부(2d)는 평탄상태로 돌아오고, 일련의 연동동작은 종료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는, 상반신을 일으키고, 하반신을 편 상태에 있으므로, 간호인은, 바닥부상에서 어렵지 않게 사용자의 신체의 방향을 바꾸어 바닥부 측면측으로 이동시켜, 바닥면에 다리를 댄 상태로 앉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침대 등에서의 등·무릎바닥부 연동동작 기구에서는, 등올리기 기구인 등올리기 링크(3)와 무릎올리기 기구인 무릎올리기 링크(4)는, 연동동작 개시시, 즉 바닥부(2)가 당초의 포지션인 평탄상태에 있을 때, 등올리기 링크(3)에 비해 무릎올리기 링크(4)가 약간 기립한 각도에서, 무릎바닥부(2c)에 맞닿도록 설정함으로써, 외관상, 등올리기 동작에 선행하여 무릎올리기 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에의 압박감의 완화를 도모하고, 개취 동작(즉, 등올리기 동작과 무릎올리기 동작을 동시에 행하는 동작)을 이용하여 등올리기 상태에서 사용자의 체위를 용이하게 바꾸어 바닥부 측면에서 바닥면에 다리를 댄 자세로 하는 등, 간호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등·무릎바닥부 연동동작 기구는, 이하와 같은 침대 장치에 설치할 수도 있다. 즉, 이 경우의 침대 장치(1)에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부(2)는, 등에 대응하는 등바닥부(2a)와, 허리에 대응하는 허리바닥부(2b)와, 허리부터 무릎에 걸친 무릎바닥부(2c)와, 다리에 대응하는 다리바닥부(2d)로 분할되고, 상기 등바닥부(2a)와 허리바닥부(2b) 사이에, 또 상기 무릎바닥부(2c)와 다리바닥부(2d) 사이에 각각 적당한 곡율로 만곡하도록 구성한 만곡 바닥부(2e, 2f)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등바닥부(2a) 이면에 등올리기 기구인 등올리기 링크(3)를 맞닿게 하는 한편, 무릎바닥부(2c)와 다리바닥부(2d) 사이의 만곡 바닥부(2f) 이면에, 무릎올리기 기구인 무릎올리기 링크(4)를 맞닿도록 하여(도 5 참조), 동일하게, 등올리기 링크(3)의 등올리기 축(5)에 돌출설치한 기동 암(10)에, 주지의 구동원을 접속하여, 구동원을 시동하여 등올리기 링크(3)와 함께, 무릎올리기 링크(4)를 연동시켜서 일련의 연동동작을 행하게 하도록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침대 장치(1)에서의 등·무릎바닥부 연동동작 기구에 의하면,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을 등올리기 링크(3)의 시동 암(10)에 부여함으로써, 등올리기 링크(3)를 변위시켜서, 등바닥부(2a)를 밀어올리고, 경사지게 하는 한편, 상기 등올리기 링크(3)의 기동 암(10)으로부터, 연동수단(9)을 통하여 무릎올리기 기구인, 무릎올리기 링크(4)가 받이 암(8)에 부여하고, 무릎올리기 링크(4)가 변위하여 선단의 전동부재(12)를, 무릎바닥부(2c)와 다리바닥부(2d) 사이의 만곡 바닥부(2f) 를 따라서 맞대어 무릎바닥부(2c) 및 다리바닥부(2d)를 경사지게 할 수 있다.

    이 등·무릎바닥부 연동동작 기구에서도, 등올리기 링크(3)에 비해 무릎올리기 링크(4)가 약간 기립한 각도에 있으므로, 무릎올리기 링크(4)는, 등올리기 링크(3)에 비해 동작이 외관상 선행하고, 무릎올리기 링크(4) 선단은 등올리기 동작 도중에 먼저 최고 위치에 도달하고, 무릎바닥부(2c) 및 다리바닥부(2d)는 최대 각도로 경사진다(도 6 참조). 이와 같이 하여, 경사 동작이 외관상 선행하는 무릎바닥부(2c)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 등올리기가 진행하므로, 등올리기에 의한 사용자의 신체의 어긋남이 경감되어, 압박감을 완화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등올리기 동작을 계속해 가면, 이번에는, 무릎올리기 링크(4) 선단이 최고 위치에서 만곡 바닥부(2f)의 다리 바닥부(2d) 근처측을 향하여 맞닿으면서 이동해 가므로, 점점 무릎바닥부(2c) 및 다리바닥부(2d)가 평탄상태로 되어 가고, 등바닥부(2a)가 최대 경사각도에 도달한 시점에서, 무릎바닥부(2c) 및 다리바닥부(2d)는 평탄상태로 되돌아온다(도 7 참조).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등·무릎바닥부 연동동작 기구는 이하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 8에 도시하는 등·무릎바닥부 연동동작 기구에서는, 연동수단(9)을 길이 조절 가능한 봉형상체로 구성하여, 등올리기 기구인 등올리기 링크(3)와 무릎올리기 기구인 무릎올리기 링크(4)의 연동동작 개시시에 있어서의 무릎올리기 링크(4)의 위치 각도를 바꾸고, 등바닥부(2a)의 경사 개시시와 무릎바닥부(2c) 및 다리바닥부(2d)의 경사 개시시의 타이밍을 바꾸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연동수단(9)은, 중간에 예를 들면 턴 버클 등의 주지의 조절부재(13)를 설치함으로써, 전체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등·무릎바닥부 연동동작 기구에 의하면, 연동수단(9)을 조절부재(13)를 조작하여, 길이 조절함으로써, 등올리기 링크(3)와, 무릎바닥부(2c) 및 다리바닥부(2d)와의 동작 개시시기를 바꾸고, ① 등바닥부(2a)와 무릎바닥부(2c) 및 다리바닥부(2d)의 동시 경사 개시, ② 등바닥부(2a)를 무릎바닥부(2c) 및 다리바닥부(2d)보다 먼저 경사 개시, ③ 무릎바닥부(2c) 및 다리바닥부(2d)를 등바닥부(2a)보다 먼저 경사 개시, 라는 다양한 동작 패턴으로 등올리기 기구와 무릎올리기 기구의 연동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어, 한층 더, 사용자의 부상과 질병 상황, 요망에 따른 침대 장치(1)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등·무릎바닥부 연동동작 기구에서는, 동작 개시시에 있어서의 무릎올리기 링크(4)의 위치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등바닥부(2a)의 경사 개시시와 무릎바닥부(2c) 및 다리바닥부(2d)의 경사 개시시의 타이밍을 바꾸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무릎올리기 링크(4)를 무릎올리기 축(7)에 소정 범위의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여, 체결 수단(14)에 의해 원하는 각도 위치에 무릎올리기 링크(4)를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등·무릎바닥부 연동동작 기구에 의해서도, 다양한 동작 패턴으로 등올리기 기구와 무릎올리기 기구의 연동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고, 사용자의 부상과 질병 상황, 요망에 대응한 침대 장치(1)로 할 수 있다.

    더욱, 본 발명에 관계되는 등·무릎바닥부 연동동작 기구에서는, 적절한 구 조에 의해 무릎올리기 링크(4)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면, 무릎올리기 최고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등·무릎바닥부 연동동작 기구에 의하면, 무릎올리기 링크(4)의 길이를 길게 하면, 무릎올리기 링크(4) 선단을 그 만큼 높게 할 수 있어, 무릎올리기 최고 각도가 커지고, 한편, 무릎올리기 링크(4)의 길이를 단축하면, 무릎올리기 최고 각도를 작게 할 수 있어, 사용자에 따른 적절한 무릎올리기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외관상, 무릎올리기 기구의 동작을 등올리기 기구에 비해 선행시키는 설정으로 한 간단한 기구로, 사용자는, 등바닥부와 무릎바닥부 사이에 끼이는 것과 같은 강한 압박을 받지 않고, 등바닥부가 최대 경사에 가까운 상태에서는, 무릎바닥부는, 평탄하게 돌아온 상태이므로, 바닥부상에서 이동하여, 바닥부 측면측으로 다가가서, 바닥면에 다리를 댄 상태에서 간단하게 앉을 수 있다.

    즉, 개취시(즉, 등올리기와 무릎올리기의 동작을 동시에 행할 시)의 신체에의 압박의 문제를 해결하고, 바닥부상에서 용이하게 이동하여, 바닥부 측면에 앉기 때문에, 등올리기 동작과 무릎올리기 동작의 연동 관계를 끊어서 대처할 필요는 없고, 따라서 등올리기만의 동작에 기인하는, 어긋남이나 자세가 흐트러지는데서 오는 새로운 신체에의 압박이 생길 우려는 없다.

    나아가서는, 연동수단을 길이 조절 가능하게 하거나, 무릎올리기 기구인 무릎올리기 링크의 부착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함으로써, 자유로운 동작 패턴으로 등 올리기 기구와 무릎올리기 기구의 연동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고, 사용자의 부상과 질병 상황, 요망에 대응하게 할 수 있고, 무릎올리기 기구인 무릎올리기 링크의 길이를 조절 가능한 구성으로 한 것에 있어서는, 무릎올리기 최고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에 따른 적절한 무릎올리기를 실현할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