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부 측면받침 베개

申请号 KR2020090013897 申请日 2009-10-26 公开(公告)号 KR200449585Y1 公开(公告)日 2010-07-21
申请人 황종범; 发明人 황종범;
摘要 본 고안 복부 측면받침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배의 측면을 받쳐 줄 수 있게 하여서 임산부나 복부 비만자와 같이 배가 많이 나온 사람의 배의 측면을 지지하여 배의 하중으로 인한 목과 어깨 및 허리의 뒤틀림 등과 같은 불균형 숙면을 방지하여 안락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배가 나온 사람이 옆으로 누웠을 때 배의 측면을 받쳐주는 복부 측면받침 베개를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옆으로 누워서 잘 때 배를 받쳐 주는 복부 측면받침 베개를 구비함으로써 나온 배의 하중으로 위한 목과 어깨 및 허리의 뒤틀림이 방지되어 편안한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복부 측면받침 베개, 임산부, 복부미만
权利要求
  • 배가 나온 사람이 옆으로 누웠을 때 배의 측면을 받쳐주는 복부 측면받침 베개를 구비하되,
    상기 복부 측면받침 베개는 일정 체적을 갖는 베개몸체(100)와 상기 베개몸체(100)의 전면에 배를 수용 지지할 수 있도록 배의 측면 형상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형성한 배 측면 지지면(110)을 형성하고,
    상기 배 측면 지지면(110)의 높낮이를 사용자의 배 돌출량에 따라 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베개몸체(100)의 내부에 배지지면 높낮이 조절구를 구비하되,
    상기 배지지면 높낮이 조절구는 베개몸체(100)의 내부에 수용되어서 공기의 주입과 배출에 따라 팽창 수축되어 높낮이를 조절하는 에어높이조절구(21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 측면받침 베개.
  • 배가 나온 사람이 옆으로 누웠을 때 배의 측면을 받쳐주는 복부 측면받침 베개를 구비하되,
    상기 복부 측면받침 베개는 일정 체적을 갖는 베개몸체(100)와 상기 베개몸체(100)의 전면에 배를 수용 지지할 수 있도록 배의 측면 형상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형성한 배 측면 지지면(110)을 형성하고,
    상기 배 측면 지지면(110)의 높낮이를 사용자의 배 돌출량에 따라 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베개몸체(100)의 내부에 배지지면 높낮이 조절구를 구비하되,
    상기 복부 측면받침 베개몸체(100)에 내부에 내측으로 갈수록 그 상하 폭이 감소되는 코어 수용홈(221)을 형성하고, 상기 코어 수용홈(221)으로 진입 및 후퇴되어 배 측면 지지면(11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 높낮이 조절 코어(22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 측면받침 베개.
  • 제 2 항에 있어서;
    배 측면 지지면(110)의 좌우 길이 방향의 호형 곡률을 높낮이 조절코어(222)로 조절할 수 있게 코어 수용홈(221)에 수용되는 높낮이 조절코어(222)를 양측으로 분할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 측면받침 베개.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임산부가 사용시 배의 아기에게 태교 음악을 들려줄 수 있게 베개몸체(100)에 음향기기부(300)를 구비하고,
    임산부와 같은 여성이 사용시 유방이 베개몸체(100)에 간섭되지 않게 상기 베개몸체(100)의 양측에 요입된 유방수용홈(111)을 형성하며,
    베개몸체(100)는 완충지지력을 갖게 스펀지, 라텍스와 우레탄폼 및 메모리폼 중 어느 하나의 다공질완충수지재로 구성하고, 베개몸체(100)의 외면을 감싸며 직물로 이루어진 베개커버(120)를 구비하며,
    옆으로 누웠을 때 윗 쪽에 위치한 손을 올려놓을 수 있게 베개몸체(100)에 결속수단에 의하여 후방 측으로 결속되며 베개몸체(100)의 길이와 같은 길이로 형성된 손거치대(4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 측면받침 베개.
  • 삭제
  • 说明书全文

    복부 측면받침 베개{A pillow}

    본 고안은 복부 측면받침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의 측면을 받쳐 줄 수 있게 한 복부 측면받침 베개를 제공하여서 임산부나 복부 비만자와 같이 배가 많이 나온 사람이 옆으로 누웠을 때 배가 측면으로 쳐지지 않게 배의 측면을 지지하여 배의 하중으로 인한 목과 어깨 및 허리의 뒤틀림 등과 같은 불균형 숙면을 방지하여 안락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잠을 잘 때 베개를 이용하여 머리를 베고 바른 자세로 누워서 잠을 자는 것이 일반적이나, 때로는 옆으로 누워서 잠을 취하기도 한다.

    그리고 비만으로 인하여 배가 나온 사람들은 바로 누워서 자게 되면 코를 많이 골고 무호흡 증이 발생하기도 하여 대부분이 옆으로 누어 잠을 자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배가 안 나온 사람은 옆으로 누워서 잠을 잘 때 베개의 높이 조절만을 통하여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임산부나 복부 비만자와 같이 배가 나온 사람은 옆으로 누워서 잠을 자게 되면 나온 배의 무게에 의하여 배가 처지므로 배를 침대 매트리스나 방바닥에 닿을 때까지 몸을 더 틀어서 자게 되는데 이상과 같이 배가 침대 매트리스나 방바닥에 닿을 때까지 몸을 더 틀어 자게 되면, 목과 어깨 눌림이 체중에 의하여 가중되어 목과 어깨 통증이 유발되고, 허리가 돌아가 등뼈에도 무리가 가게 되며, 1/3이 잠을 자는 생활습관에 의하여 등뼈가 배 쪽으로 휘어서 들어가는 등 많은 문제점이 유발되고 충분한 숙면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임산부와 복부 비만자와 같이 배가 나온 사람이 옆으로 누워잘 때 배의 하중으로 인하여 어깨 눌림 및 목과 어깨 통증 및 허리의 과도한 뒤틀림과 등뼈가 배 쪽으로 휘어지는 문제점과 원활한 숙면을 이루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배가 나온 사람이 옆으로 누웠을 때 배의 측면을 받쳐주는 복부 측면받침 베개를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옆으로 누워서 잘 때 배를 받쳐 주는 복부 측면받침 베개를 구비함으로써 나온 배의 하중에 의한 목과 어깨 및 허리의 뒤틀림이 방지되어 편안한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임산부나 복부 비만자와 같이 배가 나온 사람이 옆으로 누워 잘 때 배의 측면을 지지하여 충분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가 나온 사람이 옆으로 누웠을 때 배의 측면을 받쳐주는 복부 측면받침 베개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복부 측면받침 베개는 일정 체적을 갖는 베개몸체(100)와 상기 베개몸체(100)의 전면에 배의 측면을 수용 지지할 수 있도록 배의 측면 형상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형성한 배 측면 지지면(110)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배 측면 지지면(110)은 곡면을 이루는 배의 특성과 임산부의 임신 개월 수 에 따른 배부름 양의 차이에 따라 상하 및 좌우 길이 방향으로 호형을 이루게 요입 형성된 구형 곡면으로 형성하여 실시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도 3 과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옆으로 누웠을 때 윗 쪽에 위치한 손을 올려 놓을 수 있게 베개몸체(100)에 결속수단에 의하여 후방 측으로 결속되며 베개몸체(100)의 길이와 같은 길이로 형성된 손거치대(400)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산부와 같은 여성이 사용시 유방이 베개몸체(100)에 간섭되지 않게 상기 베개몸체(100)의 양측에 요입된 유방수용홈(111)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 측면 지지면(110)의 높낮이를 사용자의 배 돌출량에 따라 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베개몸체(100)의 내부에 배지지면 높낮이 조절구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배지지면 높낮이 조절구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부 측면받침 베개몸체(100) 내부에 내측으로 갈수록 그 상하 폭이 감소되는 코어 수용홈(221)을 형성하고, 상기 코어 수용홈(221)으로 진입 및 후퇴되어 배 측면 지지면(110)의 상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 코어(222)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코어 수용홈(221)의 바닥면과 높낮이 조절코어(222) 바닥면의 요철 마찰구조에 의하여 그 유동이 제한되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배지지면 높낮이 조절구의 다른 실시 예로는 도 6 과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부 측면받침 베개몸체(100)의 내부에 수용되어서 공기의 주입과 배출에 따라 팽창 수축되어 상하 높낮이를 조절하는 에어높이조절구(210)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며, 배면의 하중을 고루 분산시키는 것이다.

    또한, 도 5 와 도 6 및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 측면 지지면(110)의 좌우 길이 방향의 호형 곡률을 조절할 수 있도록 코어 수용홈(221)에 수용되는 높낮이 조절코어(222)를 양측으로 분할 형성하고, 분할 형성된 높낮이 조절코어(222)가 베개몸체(100)의 내부에서 측면으로 유동되어 배 측면 지지면(110)의 좌우 호형 곡률을 조절하게 구성한 것으로서, 상기 높낮이 조절코어(222)는 코어 수용홈(221)의 상부 내면과 요철 마찰구조에 의하여 그 유동이 제한되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산부가 사용시 배의 아기에게 태교 음악을 들려줄 수 있게 베개몸체(100)에 음향기기부(300)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음향기기부(300)는 별도의 음향기기(320)를 장치하여 실시하거나, 음향기기 수납부(310)를 형성하고 MP3와 같은 음향기기(320)를 수납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베개몸체(100)는 완충지지력을 갖게 스펀지, 라텍스와 우레탄폼 및 메모리폼 중 어느 하나의 다공질완충수지재로 구성하고, 베개몸체(100)의 외면을 감싸며 직물로 이루어진 베개커버(120)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개몸체(100)의 상면과 배 측면 지지면(110)에 줄형 또는 원형홈으로 이루어진 공기유동홈(101)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사용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배가 나온 사람이 옆으로 누웠을 때 배의 측면을 받쳐주는 복부 측면받침 베개를 구비하되, 복부 측면받침 베개는 일정 체적을 갖는 베개몸체(100)와 상기 베개몸체(100)의 전면에 배를 수용 지지할 수 있도록 배의 측면 형상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형성한 배 측면 지지면(110)을 형성한 본 고안은 옆으로 누워 잠을 잘 때 배의 측면을 받치게 되면, 배의 하중으로 위한 허리의 뒤틀림이 방지되어 편안한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사용에 있어서 높낮이 조절 코어(222)의 진퇴와 좌우 유동을 통하여 배 측면 지지면(110)의 곡률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배 나온 상태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 음향기기부(300)를 구비함으로써 임산부가 사용시 배속의 아기에게 태교음악을 용이하게 들려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옆으로 누워서 잘 때 배의 측면을 받쳐 주는 복부 측면받침 베개를 구비함으로써 배의 하중으로 위한 허리의 뒤틀림이 방지되어 편안한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배지지면 높낮이 조절구를 구비함으로써 배의 돌출량에 따라 배지지면의 그 높낮이와 좌우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음향기기부를 구비함으로써 임산부가 사용시 배속의 아기에게 태교음악을 용이하게 들려줄 수 있는 매우 용이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로 손거치대를 구비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4 는 도 3 에 따른 사용상태를 예시한 측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로 배지지면 높낮이 조절구를 구비한 것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 은 도 5 에 있어서 에어높이조절구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7 은 도 6 에 따른 결합 사시도.

    도 8 은 도 6 에 따른 사용상태 측 단면도.

    도 9 은 호형 곡률조절과정을 보인 배면도.

    도 10 은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공기 유동홈을 실시한 것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베개몸체

    101 : 공기유동홈

    110 : 배 측면 지지면 111 : 유방수용홈

    120 : 베개커버

    210 : 에어높이조절구

    221 : 코어 수용홈 222 : 높낮이 조절 코어

    300 : 음향기기부

    310 : 음향기기 수납부 320 : 음향기기

    400 : 손거치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