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용도 신체휴식 보조도구

申请号 KR1020120050405 申请日 2012-05-11 公开(公告)号 KR1020130130247A 公开(公告)日 2013-12-02
申请人 김지인; 주식회사 델라텍스; 发明人 김지인;
摘要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assistance tool for resting a body. The assistance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ushion bar (110) made of a cushion material and formed into a rounded and long bar, wherein the cushion material provides a user with a comfortable contact feeling and houses pressure applied to the body part of the user when touching the body part of the user; a foldable shaft part (120) installed inside the cushion ba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shion bar, folded by an external force folding the cushion bar, and is maintained to be folded unless other external forces are not applied; and an outer skin (130)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cushion bar (110).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freely transform the shape of the assistance tool while the user comfortably takes a rest,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use the assistance tool with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tastes of the user.
权利要求
  •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접촉하였을 경우, 사용자에게 편안한 접촉감각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서 가해진 압박력을 수용하는 쿠션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원형의 긴 봉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쿠션봉(110)과;
    상기 쿠션봉의 내부에서 상기 쿠션봉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외부에서 힘을 가하여 상기 쿠션 봉을 절곡시킬 경우에 그 힘에 의해 절곡되어지고, 다른 외부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그 절곡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는 절곡축부(120)와;
    상기 쿠션봉(110)의 외부를 감싸는 외피(130);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용도 신체휴식 보조도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절곡축부(120)는, 다수의 절곡 연결관(20)들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의 절곡 연결관(20)은 전방에 형성된 구형홈부(22)와, 후방에 형성된 절곡 구형부(24)와, 상기의 전방 구형홈부와 상기의 후방 절곡 구형부의 사이에 존재하는 축관부(25)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절곡 연결관(20)은 그 앞쪽에 존재하는 전방 절곡 연결관(20A)과 그 뒤쪽에 존재하는 후방 절곡 연결관(20B)에 일종의 관절형태의 연결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용도 신체휴식 보조도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의 관절형태의 연결관계는,
    상기의 절곡 연결관(20)에 있어서 상기의 구형홈부(22)가 그의 내부에 그 앞쪽에 존재하는 절곡 연결관(20A)의 후방 절곡 구형부(24a)를 삽입시켜 결합시키고 있는 상태이고, 상기 절곡 연결관(20)에 있어서 상기의 절곡 구형부(24)가 그 뒤쪽에 있는 절곡 연결관(20B)의 전방 구형홈부(22b)의 내부로 삽입되어 끼워져 있는 상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 다용도 신체휴식 보조도구.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홈부(22)는 더욱 확장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내부에 삽입된 절곡 구형부(24)가 회전하면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턱(26)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절곡 연결관(20)은 탄성력을 가진 연질 합성수지 또는 연질 고무재질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절곡 연결관(20)의 결합체로 형성된 축관부(120)의 주위를 쿠션재질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다용도 신체휴식 보조도구.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축관부(120)의 주위에 존재하는 쿠션 재질은 은 나노를 함유한 항균성 발포형 라텍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용도 신체휴식 보조도구.

  • 说明书全文

    다용도 신체휴식 보조도구{Multiple Appliances for Resting User's Body}

    본 발명은 다용도 신체휴식 보조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장인들이 사무실에서 작업을 하거나, 학생들이 가정에서 공부를 하는 중에, 또는 가정이나 직장에서 작업 중 휴식을 취하는 중에, 다양한 형태로 그 형상을 자유롭게 변형시키면서 자신의 신체부위에 적합한 형상으로 휴식을 즐길 수 있도록 보조해주는 다용도 신체휴식 보조도구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직업에 충실하게 살아가고 있다. 사람들이 선택하고 있는 직업은 매우 다양하여, 이를 일률적으로 정의하기는 어렵다. 다양한 직업들 중에서도, 대부분의 도시 근로자들은 정해진 사무실에 출근하여 하루의 일정을 소화한다. 사무실에서의 작업은 주로 책상에 앉아 주어진 사무를 처리하는 것으로 마무리되어지고 있다.

    한편, 오늘날의 학생들은 많은 시간을 책상에 앉아 자신에게 주어진 공부를 해내느라 여념이 없다. 학생들이 책상에 앉아 지내는 시간은 그들이 책상을 떠나 활동하는 시간보다도 훨씬 더 많은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사무실에 출근하여 하루 종일 사무직을 수행하는 직장인이건, 하루 종일 책상에 앉아 공부를 하는 학생들이건, 이들은 주어진 일들을 처리하거나 마무리하기 위하여 자신의 주의력을 다하여 최선을 다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간의 주의력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는 것이어서, 무한정으로 주의력을 집중할 수는 없는 것이고, 짬짬이 시간을 내어 휴식을 취해주어야 한다. 휴식없는 작업은 오래 지탱될 수 없기 때문이다.

    오늘날 직장인들이 휴식을 취하는 방식에는 간단히 커피를 마시거나, 사무실 밖으로 나가 담배를 피우거나, 다른 사무원들과 잡담을 나누는 것으로 해결하고 있다. 학생들의 경우에는, 아무래도 다른 친구들과 잡담을 나누는 것이 대표적인 휴식의 수단으로 여겨진다. 한편, 일반 가정에서는 가족들과 정겨운 이야기를 나누거나 TV 시청을 하는 것으로 하루의 고된 일과를 마무리하게 된다.

    직장인들이나 학생들 또는 일반가정의 일원들이 이러한 휴식시간을 맞이하여, 비록 짧은 시간이나마, 신체에 대한 가벼운 운동을 하거나, 그와 더불어 혈액순환을 촉진시킬 수 있는 휴식도구를 필요로 하고 있지만, 여태까지 이러한 형태의 짧은 휴식시간 동안에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신체 휴식을 위한 보조도구가 전혀 존재하지 않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들이 작업 중에, 또는 작업 이후 휴식 중에, 적절한 방식으로 그 형태를 변형시켜 자신의 신체를 기댈 수 있도록 하거나 자신의 신체를 그 위에 얹어놓을 수 있도록 하거나 자신의 신체에 휘감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분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다용도 신체휴식 보조도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신의 신체에 접촉되는 부분을 연질의 쿠션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휴식 중의 신체를 더욱 편안하고 안정되게 유도함과 동시에, 그 내부의 절곡축부를 구성하는 절곡 연결관을 연질 고무재로 구성함으로써, 가볍고 위생적인 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다용도 신체휴식 보조도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절곡축부를 구성하는 절곡 연결관을 연질 고무재로 구성함에 따라, 다용도 신체휴식 보조도구를 사용할 경우에 절곡 연결관의 쿠션력 및 신체에 대한 지압효과도 함께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신체휴식 보조도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접촉하였을 경우, 사용자에게 편안한 접촉감각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서 가해진 압박력을 수용할 수 있으며, 원형의 긴 봉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쿠션봉과; 상기 쿠션봉의 내부에서 상기 쿠션봉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외부에서 힘을 가하여 상기 쿠션 봉을 절곡시킬 경우에 그 힘에 의해 절곡되어지고, 다른 외부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그 절곡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는 절곡축부와; 상기 쿠션봉의 외부를 감싸고 보호하는 외피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쿠션봉은 발포형 라텍스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곡축부는, 다수의 절곡 연결관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 것이고, 상기 절곡 연결관은 각각의 타측에 형성된 구형홈부에 각각의 일측에 형성된 절곡 구형부가 삽입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곡 연결관은 연질 합성수지 또는 연질 고무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들이 작업 중에, 또는 작업 이후 휴식 시간 중에, 간단히 자신의 신체를 기대거나, 자신의 신체 부위에 휘둘러 감싸거나, 자신 신체를 얹어놓음으로써, 짧은 시간 동안에 효율적으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 하나의 형태를 가진 것이 아니고, 사용자가 자신의 의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여태까지 알려진 정형적인 모습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태까지 알려지지 않은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태까지 알려진 허리받침, 등받침, 다리받침, 방석, 목 배개 등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고, 그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무실 근로자들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지만, 학업에 지친 학생들의 경우에도, 짧은 시간 동안에 효율적인 휴식을 취함으로써, 학습의 집중도를 높일 수 있고, 학습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쿠션봉과 내부의 절곡축부를 매우 가볍고 다루기 쉬운 재질로 구성하고, 그 형태를 사용자의 의도대로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식도중에라도 싫증나는 형태를 바꿀 수 있고 새로운 형태로 재구성할 수 있도록 하여, 누구에게나 친근하고 편안한 감정을 제공하고, 작업자 또는 학생들이 그 휴식을 자유롭게 누릴 수 있도록 보조하는데 한껏 기여하고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용도 신체휴식 보조도구를 구성하는 쿠션봉과 절곡축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곡축부를 구성하는 절곡 연결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신체휴식 보조도구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신체휴식 보조도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허리받침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 4b는 등받침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 4c는 다리받침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 4d는 방석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 4e는 일반베개로 사용하는 상태를, 그리고
    도 4f는 목배게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용도 신체휴식 보조도구(100)를 구성하는 쿠션봉(110)과 절곡축부(12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곡축부를 구성하는 절곡 연결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신체휴식 보조도구(100)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접촉하였을 경우, 사용자에게 편안한 접촉감각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서 가해진 압박력을 수용하는 쿠션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원형의 긴 봉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쿠션봉(110)과, 상기 쿠션봉의 내부에서 상기 쿠션봉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외부에서 힘을 가하여 상기 쿠션 봉을 절곡시킬 경우에 그 힘에 의해 절곡되어지고, 다른 외부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그 절곡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는 절곡축부(120)와, 상기 쿠션봉(110)의 외부를 감싸는 외피(13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신체휴식 보조도구(100)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접촉하였을 경우 사용자에게 편안한 접촉감각을 제공하는 쿠션봉(11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쿠션봉(110)은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재질의 특성과 형태적인 특성을 감안하여 선택된 것임을 밝힌다.

    상기의 쿠션봉(110)은 사용자가 본 발명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대부분 그의 신체부위에 접촉시켜서 사용하므로, 그의 신체 부위에 접촉시 편안한 감촉을 제공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점을 고려한 것이다. 사용자에게 편안한 감촉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그 재질이 부드러워야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작업 중에, 또는 작업을 일시 중지하고 휴식을 취하는 도중에 사용하는 것이므로, 사용자에게 불편한 느낌을 주거나, 무엇인가 방해되는 느낌을 주게 될 경우, 사용자의 휴식시간은 깨져버리기 쉽고, 다시 긴장된 상태로 되돌아가기 쉬우므로,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상기 쿠션봉(110)의 재질을 부드럽고 편안한 느낌의 재질로 선택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들의 휴식을 보조하기 위한 도구라는 점에서, 사용자에게 편안한 감정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압박을 가하거나, 무언가 부딪히는 느낌을 주어서는 안된다는 점과, 사용자는 자신의 지친 심신을 쉬고자 할 경우, 무엇엔가 기대거나 자신의 신체를 얹어놓으려는 욕망을 무의식 중에 가지게 되고, 이러한 무의식은 자신도 모르는 상태에서 그 무엇을 끌어당겨 그것을 껴안거나 휘두르거나 깔고 앉는 자세를 취하게 되는데, 그러한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그러한 무의식적 행동을 깨뜨릴 정도의 불편한 감정을 느끼도록 해서는 안된다는 점을, 더욱 고려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러한 무의식적 행동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하고,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압박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무의식중에 취한 행동에 대한 압박력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재질로서 쿠션재질을 선택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쿠션봉(110)의 형태에 있어서도, 사용자가 그 휴식시간 중에 무의식적으로 다양한 신체적 동작을 행하고, 그 동작의 결과 자신의 신체부위에 자유롭게 접촉시킬 수 있는 형태의 제품을 필요로 한 것으로 판단하여, 그 형태적 변형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원형의 긴 봉의 형태로 제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쿠션봉(110)의 쿠션재질을 발포형 라텍스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발포성 라텍스 재질은 라텍스 원료를 가황시켜 제조할 때 발포시킨 것으로서,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발포성 라텍스 재질은 라텍스 원료를 가황시켜 제조하는 과정에서 은 나노 입자를 포함시켜 항균성을 부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 사용과정 또는 보관 중에, 혹시라도 발생할지도 모를 인체에 해로운 미생물의 감염으로부터 이를 방지하고, 더욱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므로,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추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쿠션봉(110)의 발포형 라텍스 재질의 양쪽 끝단에 관통홀(112)을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쿠션봉(110)의 내부에서 상기 쿠션봉(110)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절곡축부(120)를 포함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신체휴식 보조도구(100)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그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절곡축부(120)는 외부에서 힘을 가하여 상기 쿠션봉(110)을 절곡시킬 경우에, 그 힘에 의해 절곡되어지고, 다른 외부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그 절곡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는 부분이다. 상기의 절곡축부(120)는 다수의 절곡 연결관(20)이 서로 앞뒤로 결합되어 형성된 것이고, 외부에서 힘을 가할 경우, 그 힘이 가해진 방향으로 절곡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절곡 연결관(20)의 앞쪽에 결합된 전방 절곡 연결관(20A)과 상기 절곡 연결관(20)의 뒤쪽에 결합된 후방 절곡 연결관(20B)의 결합상태를 잘 살펴보면, 본 발명의 형태 변화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절곡축부(120)의 길이는 절곡축부(120)의 양단이 상기 쿠션봉(110)의 측부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쿠션봉(11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곡 연결관(20)은 전방에 형성된 구형홈부(22)와, 후방에 형성된 절곡 구형부(24)와, 상기의 전방 구형홈부와 상기의 후방 절곡 구형부의 사이에 존재하는 축관부(25)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절곡 연결관(20)은 그 앞쪽에 존재하는 전방 절곡 연결관(20A)과 그 뒤쪽에 존재하는 후방 절곡 연결관(20B)에 일종의 관절형태의 연결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의 절곡 연결관(20)이 관절형태의 연결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의도한 대로 자유롭게 꺾여지고 그 형상을 변경할 수 있으며, 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절형태의 연결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곡 연결관(20)은 전방에 있는 상기의 구형홈부(22)가 그 앞쪽에 존재하는 절곡 연결관(20A)의 후방 절곡 구형부(24a)와 결합되어지게 되는데, 이는 상기 구형홈부(22)의 내부에 상기 절곡 연결관(20A)의 후방 절곡 구형부(24a)를 삽입시켜 결합시키고 있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절곡 연결관(20)은 후방에 있는 상기의 절곡 구형부(24)가 그 뒤쪽에 있는 절곡 연결관(20B)의 전방 구형홈부(22b)와 결합되어지게 되는데, 이는 상기 절곡 구형부(24)가 상기 절곡 연결관(20B)의 전방 구형홈부(22b)의 내부로 삽입되어 끼워져 있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절곡 연결관(20)은 그 전방에 존재하는 절곡 연결관(20A) 및 그 후방에 존재하는 절곡 연결관(20B)에 결합되어지게 되며, 이는 각각의 절곡 구형부(24)가 각각의 구형홈부(22)의 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힘이 가해질 경우 그 힘의 반대방향으로 구형으로 미끄러지면서 움직이게 되므로, 일종의 관절형태의 연결관계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형홈부(22)는 더욱 확장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내부에 삽입된 절곡 구형부(24)가 회전하면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턱(26)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절곡축부(120)를 구성하는 다수의 절곡 연결관(20)들이 관절형태의 연결관계를 좀 더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절곡 연결관(20)의 절곡 각도를 좀 더 확장시킬 수 있으므로, 더 많이 자유롭게 꺾어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곡 연결관(20)은, 탄성력을 가진 연질 합성수지 또는 연질 고무재질로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용도 신체휴식 보조도구(100)를 사용할 경우에 절곡 연결관(20)의 쿠션력도 함께 제공될 수 있고, 사용시 좀 더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금속재질이 아닌 연질 합성수지 또는 연질 고무재질로 구성함으로써, 녹이 슬지 않고, 가벼워서, 사용자들이 오랫동안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쿠션봉(110)의 외부를 감싸고 보호하고 있는 외피(13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외피(130)는 1차적으로 상기 쿠션봉(110)을 감싸고 있는 직물이나 가죽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재봉작업을 통해 상기 쿠션봉(110)을 감싸거나 지퍼를 닫음을 통해 쿠션봉(110)을 감싸게 되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제봉에 의해 쿠션봉(110)을 감싼 상태를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의 외피(130)는 2차적으로 사용자에게 편안한 느낌을 주는 디자인을 도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신체휴식 보조도구(100)는 사용자가 책상에 앉아서 작업을 행할 경우, 또는 학생들이 학과 공부를 할 경우, 또는 작업 이후 짧은 휴식시간 동안에, 간단히 자신의 신체 부위에 받쳐서 사용하거나, 자신의 신체부위에 휘감아서 사용하거나, 편안하게 바닥에 깔아 놓고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밖에 다양한 형태로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용도 신체휴식 보조도구(100)의 사용 상태에 관한 대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신체휴식 보조도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4a는 허리받침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 4b는 등받침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 4c는 다리받침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 4d는 방석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그리고, 도 4e 및 도 4f는 배개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신체휴식 보조도구(100)는 허리받침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사무실 작업자들이 의자에 앉아 작업할 경우에, 본 발명의 보조도구를 절반으로 접어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하는 것이다. 예컨대,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상기의 쿠션봉(110)을 절반으로 접어서 본 발명을 디귿자 형태로 변형시키고, 그것을 시트와 등받이 사이에 위치시켜 사용자의 허리받침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 작업자는 매우 편안한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그의 피로감은 쉽게 찾아들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신체휴식 보조도구(100)는 다른 형태로 허리받침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다용도 신체휴식 보조도구(100)를 절반으로 접지 않고, 오히려 길게 펴서 사용자의 허리를 감아 사용함으로써, 좀 더 편안한 자세로 업무 등을 볼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신체휴식 보조도구(100)는 동일한 형태를 취하면서도 그 사용되는 부분을 달리함으로써, 또 다른 형태의 휴식 보조도구로서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은 사용자의 등받침용으로 사용될 경우에,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상기의 쿠션봉(110)을 사용자의 등의 싸이즈와 맞게 절곡시킨 다음, 상하방향으로 배열시켜 등받이에 밀착시키고 등받침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아울러 본 발명의 다용도 신체휴식 보조도구(100)를 등받침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본 발명의 형태를 자유롭게 절곡시켜 허리, 등 부위의 경직된 부분을 눌러서 지압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지압 효과는 상기 쿠션봉(110)의 내부에 존재하는 절곡축부(120)에 의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용도 신체휴식 보조도구(100)는 다리받침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쿠션봉(110)을 수평으로 펴거나 절반으로 접어 다리를 올려놓을 수 있다. 사용자는 편안하게 누워서 휴식을 취하면서, 다리 받침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하체로 쏠린 혈액이 신체의 상부로 원활하게 순환하도록 도움으로써, 피로회복의 효율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용도 신체휴식 보조도구(100)는 사용자의 방석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봉(110)을 원형으로 절곡시켜 의자의 시트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본 발명의 다용도 신체휴식 보조도구(100)를 원형으로 변형시킨 다음, 그것을 의자 시트에 올려놓고, 그 위에 앉게 될 경우, 방석의 용도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항문 질환이 있는 상황에서는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작업도구로서도 기능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용도 신체휴식 보조도구(100)는 일반 베개 또는 목배개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쿠션봉(110)을 수평으로 펴거나 절반으로 접어 머리나 목을 받혀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다용도 신체휴식 보조도구(100)를 배개로 사용할 경우에는, 다용도 신체휴식 보조도구(100)를 자유로이 절곡시켜 가장 편안한 자세로 숙면을 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용도 신체휴식 보조도구(100)를 목베개로 사용할 경우에는,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쿠션봉(110)의 중앙을 접어 목을 받침에 따라 목베개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용도 신체휴식 보조도구(100)는 사용자들이 작업 중에, 또는 작업 이후 휴식을 취하는 동안에, 다양한 형태로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신체휴식 보조도구(100)가 휴식을 원하는 사용자의 적극적인 의사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무의식적인 행동에 따라, 아무런 저항도 없이, 자유자재로 변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그 변형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그 사용자가 다른 형태를 원할 경우 역시 다른 형태로 쉽게 변형될 수 있도록 기술적 구성을 결합시킴으로써 소정의 목적을 완전하게 달성한 것이다. 이 점에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휴식을 취하고자 하는 마음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그와 동시에 그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자신의 생각대로 마음 편하게 그 형태를 변경시키고, 그 변형된 형태를 자신의 신체 부위에 접촉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편안한 상태에서 휴식시간을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자유로운 의사에 따라 즉각적으로 허리받침, 등받침, 다리받침, 방석, 또는 베개로 사용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짧은 시간 동안에 충분한 휴식을 누릴 수 있도록 보조해주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 다용도 신체휴식 보조도구
    110 : 쿠션봉
    112 : 관통홀
    120 : 절곡축부
    20 : 절곡 연결관
    22 : 구형홈부, 24 : 절곡 구형부,
    25 : 축관부, 26 : 이탈 방지턱,
    130 : 외피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