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형 침대

申请号 KR2020060021531 申请日 2006-08-10 公开(公告)号 KR200435214Y1 公开(公告)日 2007-01-11
申请人 윌리 더블유. 킴; 发明人 윌리더블유.킴;
摘要 관절형(articulated) 침대가 좌측부, 우측부, 헤드부, 및 푸트부(foot section)를 포함하며 매트리스 지지 영역을 형성하는 복수의 매트리스 지지부들과 고정 프레임을 가진다. 상기 좌측부 및 우측부는 힌지 가능하게 상호 결합되어 어느 하나를 들어올리는 것에 의하여 환자는 회전되거나 측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복수의 리프트 아암들과 리프트 드라이버들이 수평 위치와 상승 위치 사이에서 각각의 상기 지지부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정 프레임과 결합된다. 상기 부분들은 개별적으로 혹은 일제히 상승될 수 있다.
침대, 관절형, 병원, 요양소, 환자, 회전, 상호 결합(interleaved)
权利要求
  • 관절형 침대로서,
    매트리스의 적어도 일부를 그 위에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1 부분으로서, 제1 측면 레일과 각각의 제1 매트리스 지지 바아를 일체화하도록 상기 제1 측면 레일에 고정된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가지며 제1축 둘레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 단부로부터 떨어진 지점에서 상기 제1축 둘레로 각각 힌지 결합되는 복수의 제1 매트리스 지지 바아들과 제1 측면 레일을 가지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되며 그 위에 매트리스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축 둘레로 상기 제1 측면 레일과 상기 복수의 매트리스 지지 바아들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측면 레일을 들어올리는 리프팅 기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관절형 침대.
  •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1 매트리스 지지 바아는 상기 제1 측면 레일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침대.
  •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1 매트리스 지지 바아가 힌지 결합되는 지점은 상기 제2 단부에 혹은 인접하여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침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매트리스 지지 바아들 아래에서 상기 제1축을 따라 연장하며 각각의 제1 매트리스 지지 바아에 상기 제1축 둘레로 힌지 연결부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힌지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침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기구는 상기 제1 측면 레일을 따라 연장하도록 배치되며 들어올려지도록 구성된 제1 리프팅 바아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측면 레일과 상기 제1 리프팅 바아는 상기 제1 리프팅 바아를 들어올리면 상기 제1 측면 레일을 들어올리고 동시에 상기 제1축 둘레로 상기 제1 측면 레일과 복수의 상기 제1 매트리스 지지 바아들을 회전시키도록 서로 결합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침대.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기구는 또한 상기 제1 리프팅 바아에 수직으로 장착되고, 상기 제1 리프팅 바아를 들어올리도록 상기 제1축 둘레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두 개의 리프팅 아암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침대.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레일은 그 아래로부터 형성된 오목홈을 가지며, 상기 오목홈은 아래로부터 상기 제1 리프팅 바아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침대.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리프팅 기구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프레임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침대.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측면 레일을 따라 연장하며 그 위에 상기 제1 리프팅 바아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측면 바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침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각각의 제2 매트리스 지지 바아를 제2 측면 레일에 일체화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측면 레일에 고정된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각각 가지며 서로 평행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제2 매트리스 지지 바아들과 제2 측면 레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침대.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의 각각의 상기 제2 매트리스 지지 바아는 제2축 둘레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 단부로부터 떨어진 지점에서 상기 제2축 둘레로 힌지 결합되며, 상기 리프팅 기구는 상기 제2 부분과 결합하며 상기 제1축에 평행한 상기 제2축 둘레로 상기 제2 측면 레일과 상기 복수의 제2 매트리스 지지 바아들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측면 레일을 들어올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침대.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매트리스 지지 바아들의 두 개의 인접한 바아들이 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제2 매트리스 지지 바아들의 하나가 상기 공간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침대.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1 매트리스 지지 바아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1 측면 레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침대.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또한 각각의 제2 매트리스 지지 바아를 제2 측면 레일에 일체화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측면 레일에 고정된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각각 가지며 서로 평행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제2 매트리스 지지 바아들과, 상기 제1 측면 레일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제1 측면 레일을 따라 연장하는 제2 측면 레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침대.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상기 제2 매트리스 지지 바아는 제1축 둘레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 단부로부터 떨어진 지점에서 상기 제1축 둘레로 힌지 결합되며, 상기 리프팅 기구는 상기 제1축 둘레로 상기 제2 측면 레일과 상기 복수의 제2 매트리스 지지 바아들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측면 레일을 들어올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침대.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기구는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제1축 둘레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측면 레일들을 동시에 들어올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침대.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3축 둘레로 상기 제1 측면 레일과 상기 복수의 제1 매트리스 지지 바아들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또 다른 리프팅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침대.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기구와 다른 리프팅 기구는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침대.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에 수직인 제4축 둘레로 상기 제2 측면 레일과 상기 복수의 제2 매트리스 지지 바아들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또 다른 리프팅 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침대.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리프팅 기구는 상기 제1 측면 레일 및 복수의 제1 매트리스 지지 바아들과 같이 상기 제2 부분의 일부를 상기 제3축 둘레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침대.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각각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매트리스 지지 바아를 더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매트리스 지지 바 아의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제1 측면 레일이나 상기 제2 측면 레일의 어디에도 고정되지 않으며, 상기 각각의 매트리스 지지 바아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1 단부로부터 떨어진 지점에서 상기 제1축 둘레로 힌지 결합되며, 상기 각각의 매트리스 지지 바아는 상기 제1축 둘레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침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침대의 좌측 혹은 우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침대.
  •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혹은 우측부는 매트리스가 그 위에 지지되는 영역들의 반 이상을 점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침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침대의 좌측 혹은 우측부의 헤드부 혹은 다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침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레일은 매트리스가 그 위에 위치되는 상기 침대의 측면 가장자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침대.
  • 제 25항에 있어서, 그 위의 매트리스 장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침대.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说明书全文

    관절형 침대{Articulating Bed}

    도 1은 현재 설명되는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그 분해 도면이며;

    도 3은 상승된 헤드 및 푸트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4는 상승된 우측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는 상승된 좌측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의 6 - 6선을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4의 7 - 7선을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베이스 프레임 20: 좌측부

    22, 32, 42, 52: 리프트 아암 22', 32': 리프트 바아

    30: 우측부 40: 헤드부

    50: 푸트부 A: 매트리스 지지영역

    본 고안은 관절형(articulated) 침대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양호한 방식으로 환자를 회전시킬 수 있는 관절형의 병원 혹은 요양소(convalescent) 침대에 대한 것이다.

    다와카미 등(Dawakami et al.,)의 US 2005/0166323 및 다구치 등(Taguchi et al.,)의 US 2005/0160530은 각각 이동성 침대를 개시하며; 웨이(Wei)의 US2003/0121098은 침대에 한정된 환자용 회전 기구를 개시하며; 테굴베(Tekulve)의 US 6826793은 관절형 침대 프레임을 개시하며; 폴(Paul)의 US 6789280은 관절형 의료 침대를 개시하며; 헨슬리(Hensley)의 US 6393641은 관절형 침대 프레임을 개시하며; 하이예스 등(Hayes et al.,)의 US 5205004는 수직으로 조정가능하고 기울일 수 있는 침대 프레임을 개시하며; 수기트 등(Suggitt et al.,)의 US 5515561은 관절형 침대를 개시하며; 엘리옷(Elliott)의 US 5537701은 조정가능한 관절형 침대를 개시하며; 배쓰릭 등(Bathrick et al.,)의 US 5568661은 프레임에 장착된 파워 모듈을 구비한 관절형 침대를 개시하며; EP 0581474는 침대 구조를 개시하며; GB 2269916은 병원 침대를 개시하며; WO 200/018901은 선형 액튜에이터를 개시한다.

    상기 설명한 관련 기술은 부분적이거나 완전한 이동 및 기울어짐을 구비한 여러 침대 프레임들을 개시한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여기 설명된 바와 같은 관절형 프레임을 개시한 바가 없으며, 특히 관절형 침대가 상호 연결된 부분들을 어떻게 가질 수 있는 지 설명한 바가 없다. 본 명세서는 다음의 요약에 설명된 바와 같은 알려지지 않은 이점들을 제공함에 있어서 선행기술에 대해 구별된다.

    본 명세서는 아래 기재하는 목적들을 발생하는 구조 및 용도 상의 일정한 이점들을 교시한다.

    관절형 침대는 매트리스 지지 영역을 형성하는 복수의 매트리스 지지부들이 위치하는 고정 프레임을 가지는 데, 상기 지지부는, 좌측부, 우측부, 헤드부 및 푸트부를 포함한다. 상기 좌측부 및 우측부는 어느 하나를 상승시켜 환자가 측면으로 회전하거나 이동될 수 있도록 힌지가능하게 상호 결합된다. 복수의 리프트 아암들과 리프트 드라이버들이 지지부들의 각각을 수평 위치와 상승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고정 프레임에 상호 결합된다. 상기 부분들은 개별적으로 혹은 함께 상승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부분들이 각각 매트리스 지지 영역의 반 이상을 각각 점유하므로 어느 하나를 상승시키면 환자를 회전시키는 데 아주 효과적이다.

    상기 설명한 장치 및 사용 방법에 내재하는 제1 목적은 선행 기술에서 개시되지 않은 이점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환자를 뒤집는 성능에서 아주 효과적인 병원 혹은 요양소의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따라서 저가인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이동이 자동화될 수 있는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첨부 도면들에는 본 고안의 최선의 모드의 실시예들의 적어도 하나가 예시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들과 이점들은 현재 설명되는 장치 및 사용 방법의 원리를 예로서 예시하는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이루어지는 이하의 더욱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상기 설명한 도면들은 이하의 설명에서 더욱 상세하게 한정될 바람직한 최선의 모드 실시예로 기재된 장치 및 그 사용 방법을 예시한다.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은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여기 설명된 본 고안을 변형시키고 수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예시된 내용은 예로서의 목적들로 이루어진 것이며 본 고안의 장치 및 사용 방법에 대한 범위의 한정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아니됨을 알아야 한다.

    이하에서는 병원이나 요양소의 침대로 특수한 용도를 가지는 관절형 침대 장치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2 도시와 같이, 상기 장치는, 다리들(15) 위에 장착된 고정 베이스 프레임(10)을 구비하는 데,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은 용접 구조의 박스 튜브로 이루어진 일체로 된 내부 H-프레임(10')을 가진 L-채널 부재로 이루어진 외부 림(10")을 구비한다. 커버 프레임(20)은 처음에는 외부 림(10")의 대응 부분 위로 겹쳐지며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외부 림(10") 위로 올려질 수 있는 둘레부를 제공한다.

    도 1 도시와 같이, 매트리스 지지영역("A")을 같이 형성하는 복수의 매트리스 지지부들은 전부 위로 향하는 표면을 가진다. 상기 지지부들은 좌측부(20), 우측부(30), 헤드부(40), 및 푸트부(50)를 포함한다. 이들 부분들은 도 1 및 도 6 도시와 같이, 평평하게 배치된 애티튜드(attitude)와 도 3, 4, 5 및 7 도시와 같은 상승된 애티튜드 사이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네 부분들(20, 30, 40 및 50)을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리프팅 기구들(60)이 사용된다. 복수의 쌍을 이루는 리프트 아암들(22, 32, 42 및 52)이 도 2 도시와 같이 힌지가능하게 H-프레임(10')에 장착되어 측면으로(22와 32의 쌍) 및 길이방향으로(42와 52의 쌍) 연장한다. 아암들(22와 32)은 각 측면에서 베이스 프레임(10) 위에 위치하는 리프트 바아(22' 및 32')에서 종료한다(용접된다). 아암들(22 및 32)의 단부들은 자유 단부들이다. 도 2, 6 및 7 도시와 같이 전기 모터(62)가 장착되며, 요크들(66)에 피벗가능하게 결합된 이송 너트들(65)을 이동시키도록 구동 스크류들(64)을 사용한다. 스크류들(64)을 따라 너트들(65)이 이동하면, 요크들(66)은 여러 부분들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쌍을 이루는 리프트 아암들(22, 32, 42 및 52)을 민다. 모든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매트리스 지지판들(25)이 힌지들(25';도 2)에 의하여 리프트 아암들(42 및 52)에 장착된다. 도 5 도시와 같이, 부분들(40 및 50) 사이에 위치된 판들(25)은 리프트 아암들(22 및 32) 위에 장착되어 같이 이동한다. 본 고안에서 중요한 유용성 및 신규성은 상기 좌측부(20) 및 우측부(30)가 힌지가능하게 상호 결합되는 것인 데, 이는 이들 부분들이 각각 표면 영역("A")의 50% 이상을 점유함을 의미한다. 이는 도 4 및 도 5에 명확하게 도시되는 데, 도 4에 도시된 우측부는 상승되면 영역("A")의 중앙을 넘어 좌측으로 연장하며 도 5에 도시된 좌측부는 상승되면 또한 영역("A")의 중앙을 넘어 우측으로 연장한다. 환자가 표면 영역("A")의 어디에 위치하든 환자가 이동될 수 있으므로 환자를 회전시키는 데 있어서 선행 기술의 관절형 침대 보다 더욱 효과적이므로 유익하다. 예컨대, 환자가 영역("A")의 중앙에 있 으면, 부분들(20 및 30)을 상승시키면, 환자는 완전히 뒤집어지거나 뒤집는 것은 없이 상승된 부분에 의하여 측면으로 이동된다. 환자가 뒤집어지지 않으면, 부분들(20 및 30)의 다른 하나를 상승시켜 확실하게 환자를 뒤집을 수 있다. 선행 기술의 침대들은 한 번에 매트리스 표면 영역의 약 50% 이하만을 상승시키므로 예컨대, 침대의 중앙에 위치된 크고 무거운 환자를 회전시킬 수 없다.

    작동시, 부분(20; 도 5)은 피벗 축 둘레로 회전할 수 있으나; 부분(30; 도 4)은 또 다른 피벗 축 둘레로 회전할 수 있다. 도 3에서, 부분들(40 및 50)은 또 다른 피벗 축 둘레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부분들은 다른 부분에 무관하게 상승될 수 있으며 각각의 부분은 혼자서 혹은 다른 부분과 같이 상승될 수 있다.

    상기 상세하게 설명된 가능성은 기록된 선행기술에 대해 신규한 것으로 생각되며 본 고안의 장치 및 사용 방법의 적어도 일 측면의 작동 및 상기 설명한 목적들의 달성에 대해 중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실시예들을 기재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단어들은 통상 정의된 의미들의 측면에서 이해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의 특수한 정의(공통으로 정의된 의미들의 범위를 넘는 구조, 소재 혹은 행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요소가 본 명세서의 취지에서 하나 이상의 의미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면, 그 사용은 명세서 및 상기 요소를 설명하는 단어 혹은 단어들에 의하여 지지되는 모든 가능한 의미들에 일반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 기재된 단어들 혹은 도면 요소들의 정의들은 문자로서 기재된 요소들의 조합만이아니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 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모든 균등한 구조, 소재 혹은 행위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의미에서 두 개 혹은 세 요소들의 균등한 치환이 기재된 요소들 및 그 여러 실시예들의 어느 하나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청구범위의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요소들에 대해 하나의 요소가 대체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인식되는 지금 알려졌거나 혹은 후에 고안되는 청구된 주제로부터의 변경은 의도된 범위 내의 균등물들이며 그 다양한 실시예들인 것으로 명백하게 생각된다. 따라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지금 알려졌거나 혹은 후에 알려지는 명백한 치환들은 정의된 요소들의 범위 내인 것으로 규정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상기 구체적으로 예시되고 기재된 것들과, 개념적으로 균등한 것들과, 명백하게 치환될 수 있는 것들, 및 본질적인 아이디어를 구성하는 것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하기 첨부된 청구항들과 관련하여서만 해석되어야 하며, 청구된 주제가 특허받으려 의도한 것이라는 각각의 명기된 고안자의 믿음이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드러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관절형 침대에 의하면, 환자를 뒤집는 성능에서 아주 효과적이며, 구조가 간단하고 저가인 침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동이 자동화될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