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상의 일부가 출몰 가능한 침대

申请号 KR1020050017339 申请日 2005-03-02 公开(公告)号 KR1020060096656A 公开(公告)日 2006-09-13
申请人 정영룡; 发明人 정영룡;
摘要 본 발명은 침상을 고정파트와 가변파트로 나누어 슬라이드 가능토록 결합하고 슬라이드면에 베어링 호차가 설치되어 침대 비사용시에 메트리스를 내리는 일 없이 가변파트를 극히 용이하게 밀어넣을 수 있어 사장되는 공간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슬라이드면의 흠집 발생 및 외관 손상이 방지되어 상품화를 구현하도록 하는 침상의 일부가 출몰 가능한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직사각형태의 외곽을 형성하는 외곽프레임과 직사각 내부에 간격을 맞추어 배치되는 서브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침상과, 상기 침상의 네 귀퉁이에 설치되는 기둥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침대에 있어서, 상기 침상은 고정파트와 가변파트로 분할 결합형성되며, 상기 고정파트는 외곽프레임 및 서브프레임이 중공관체로 되고 선단이 개방된 형태로 마감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마감프레임의 양측에 보조기둥이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가변파트는 외곽프레임 및 서브프레임이 상기 고정파트의 대응하는 프레임에 끼워져 슬라이드 가능토록 구성되며, 고정파트의 외곽프레임 또는 가변파트의 외곽프레임에는 슬라이드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한 미끄럼부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权利要求
  • 직사각형태의 외곽을 형성하는 외곽프레임과 직사각 내부에 간격을 맞추어 배치되는 서브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침상(100)과, 상기 침상의 네 귀퉁이에 설치되는 기둥프레임(200)으로 이루어지는 침대에 있어서,
    상기 침상(100)은 고정파트(100a)와 가변파트(100b)로 분할 결합형성되며,
    상기 고정파트(100a)는 외곽프레임(110a) 및 서브프레임(120a)이 중공관체로 되고 선단이 개방된 형태로 마감프레임(130)에 고정되며, 상기 마감프레임(130)의 양측에 보조기둥(230)이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가변파트(100b)는 외곽프레임(110b) 및 서브프레임(120b)이 상기 고정파트(100a)의 대응하는 프레임에 끼워져 슬라이드 가능토록 구성되며,
    고정파트(100a)의 외곽프레임(110a) 또는 가변파트(100b)의 외곽프레임(110b)에는 슬라이드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한 미끄럼부재(15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상의 일부가 출몰 가능한 침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프레임(110a)(110b)은 사각파이프로, 상기 서브프레임(120a)(120b)은 환봉으로 구성되며,
    상기 미끄럼부재(150)는 상기 가변파트(100b)의 외곽프레임(110b)인 사각파 이프에 설치되어 고정파트의 외곽프레임(110a)인 사각파이프의 상ㆍ하ㆍ좌ㆍ우면에서 구르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 호차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상의 일부가 출몰 가능한 침대.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파트(100b)의 외곽프레임 사각파이프(110b)에 설치되는 미끄럼부재(150)는,
    상기 사각파이프(110b)의 상하면 관통공(111)을 통하여 돌출되어 가변파트 (100b) 슬라이드시 상기 고정파트(100a) 사각파이프(110a)의 상면 또는 하면에 롤링마찰되도록 핀(152) 고정되고 사각파이프(110b)의 선단부를 포함하여 복수 위치에 설치되는 제1베어링 호차(151)와,
    상기 사각파이프(110b)의 좌우 양측면으로 돌출되어 가변파트(100b) 슬라이드시 상기 고정파트(100a)의 사각파이프(110a) 좌면 또는 우면에 롤링마찰되고 복수 위치에 설치되는 제2베어링 호차(15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상의 일부가 출몰 가능한 침대.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어링 호차(151)의 직경치수(d)는 설치되는 상기 고정파트 사각파 이프(110a)의 내부공간 상하간 길이(h)에 대하여 -1㎜ 전후의 공차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베어링 호차(151)는 하중압에 의하여 상기 고정파트 사각파이프(110a)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한쪽에만 마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상의 일부가 출몰 가능한 침대.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베어링 호차(152)는 가변파트 사각파이프(110b)의 좌면과 우면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가변파트 사각파이프(110b)는 상기 제2베어링 호차(152)의 설치를 위한 호차홀(112)이 오목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상의 일부가 출몰 가능한 침대.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파트의 외곽프레임(110a) 개구부와 가변파트의 외곽프레임(110b)에는 설정위치 이상으로의 이탈 저지를 위한 스토퍼(153)(154)가 각각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상의 일부가 출몰 가능한 침대.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파트(110b)에 설치되는 스토퍼(154)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롤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상의 일부가 출몰 가능한 침대.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침상(100)은 상기 가변파트(100b)를 최대한 인출한 상태에서 고정파트(100a)와 가변파트(100b)가 침상 전체길이의 적어도 1/5 이상 겹쳐지며, 상기 가변파트(100b)를 고정파트(100a)에 완전히 밀어넣으면 침상 길이가 1/3 이상 줄어들게 형성되고,
    상기 가변파트 외곽프레임(110b)의 제1베어링 호차(151)가 접하게 되는 고정파트의 기둥프레임(210) 부분에는 완충부재(211)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상의 일부가 출몰 가능한 침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파트(100a)와 가변파트(100b)로 이루어지는 침상은 연장형성되는 각 기둥프레임(200)에 지지되어 1층과 2층에 구비되는 2층침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상의 일부가 출몰 가능한 침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파트(100a)를 지지하는 기둥프레임(200)의 하단에는 높낮이조절받침(251)이 설치되고, 상기 가변파트(100b)를 지지하는 기둥프레임 하단에는 이동 캐스터(253)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상의 일부가 출몰 가능한 침대..
  • 说明书全文

    침상의 일부가 출몰 가능한 침대{A BED IS ABLE TO APPEARING AND DISAPPEAR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 일부 상세도

    도 4a는 도 2의 BB선 일부 상세 단면도

    도 4b는 도 4a에 대응하는 다른 실시예의 도면

    도 5는 도 1의 가변 몰입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의 침상의 일부가 출몰 가능한 침대

    100: 침상 100a: 고정파트 100b: 가변파트

    110a: 고정파트 외곽프레임(사각파이프)

    110b: 가변파트 외곽프레임(사각파이프) 111: 관통공

    112: 호차홀 120a: 고정파트 서브프레임

    120b: 가변파트 서브프레임 130: 마감프레임 150: 미끄럼부재

    151: 제1베어링 호차 152: 제2베어링 호차 153,154: 스토퍼

    200: 기둥프레임 230: 보조기둥

    본 발명은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침상을 고정파트와 가변파트로 나누어 슬라이드 가능토록 결합하고 슬라이드면에 베어링 호차가 설치되어 침대 비사용시 메트리스를 내리는 일 없이 가변파트를 극히 용이하게 밀어넣을 수 있어 사장되는 공간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슬라이드면의 흠집 발생 및 외관 손상이 방지되어 상품화를 구현하도록 하는 침상의 일부가 출몰 가능한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일정공간을 고정적으로 점유하는 구조물로 여겨지고 있으나, 비사용시 침대의 점유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공간활용을 위한 절첩형 침대가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공간활용을 위한 종래 기술의 침대는 주로 프레임의 핀결합을 이용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절첩하는 일명 '관절 절첩식' 또는 링크장치를 채용하는 일명 '자바라'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침대는 비사용시 점유공간을 줄일 수는 있으나 침상에서 메트리스의 처리가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으로 인하여 실용화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침상을 고정파트와 가변파트로 나누어 슬라이드 가능토록 결합하고 슬라이드면에 베어링 호차가 접하도록 하여 침대 비사용시에 메트리스를 내리는 일 없이 가변파트를 극히 용이하게 밀어넣을 수 있어 사장되는 공간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침상의 일부가 출몰 가능한 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래 사용할 경우에도 슬라이드면의 흠집 발생 및 외관 손상이 방지되어 상품화를 구현하도록 침상의 일부가 출몰 가능한 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침상의 일부가 출몰 가능한 침대는,

    직사각형태의 외곽을 형성하는 외곽프레임과 직사각 내부에 간격을 맞추어 배치되는 서브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침상과, 상기 침상의 네 귀퉁이에 설치되는 기둥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침대에 있어서,

    상기 침상은 고정파트와 가변파트로 분할 결합형성되며,

    상기 고정파트는 외곽프레임 및 서브프레임이 중공관체로 되고 선단이 개방된 형태로 마감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마감프레임의 양측에 보조기둥이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가변파트는 외곽프레임 및 서브프레임이 상기 고정파트의 대응하는 프 레임에 끼워져 슬라이드 가능토록 구성되며,

    고정파트의 외곽프레임 또는 가변파트의 외곽프레임에는 슬라이드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한 미끄럼부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외곽프레임은 사각파이프로, 상기 서브프레임은 환봉으로 구성되며,

    상기 미끄럼부재는 상기 가변파트의 외곽프레임인 사각파이프에 설치되어 고정파트의 외곽프레임인 사각파이프의 상ㆍ하ㆍ좌ㆍ우면에서 구르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 호차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가변파트의 외곽프레임 사각파이프에 설치되는 미끄럼부재는,

    상기 사각파이프의 상하면 관통공을 통하여 돌출되어 가변파트 슬라이드시 상기 고정파트 사각파이프의 상면 또는 하면에 롤링마찰되도록 핀 고정되고 사각파이프의 선단부를 포함하여 복수 위치에 설치되는 제1베어링 호차와,

    상기 사각파이프의 좌우 양측면으로 돌출되어 가변파트 슬라이드시 상기 고정파트의 사각파이프 좌면 또는 우면에 롤링마찰되고 복수 위치에 설치되는 제2베어링 호차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베어링 호차의 직경치수는 설치되는 상기 고정파트 사각파이프의 내부공간 상하간 길이에 대하여 -1㎜ 전후의 공차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베어링 호차는 하중압에 의하여 상기 고정파트 사각파이프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한쪽에만 마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2베어링 호차는 가변파트 사각파이프의 좌면과 우면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가변파트 사각파이프는 상기 제2베어링 호차의 설치를 위한 호차홀이 오목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고정파트의 외곽프레임 개구부와 가변파트의 외곽프레임)에는 설정위치 이상으로의 이탈 저지를 위한 스토퍼가 각각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상기 가변파트에 설치되는 스토퍼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롤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침상은 상기 가변파트를 최대한 인출한 상태에서 고정파트와 가변파트가 침상 전체길이의 적어도 1/5 이상 겹쳐지며, 상기 가변파트를 고정파트에 완전히 밀어넣으면 침상 길이가 1/3 이상 줄어들게 형성되고,

    상기 가변파트 외곽프레임의 제1베어링 호차가 접하게 되는 고정파트의 기둥프레임 부분에는 완충부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고정파트와 가변파트로 이루어지는 침상은 연장형성되는 각 기둥프레임에 지지되어 1층과 2층에 구비되는 2층침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침상의 일부가 출몰 가능한 침대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도면 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 일부 상세도, 도 4a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침상의 일부가 출몰 가능한 침대(1)는, 직사각형태의 외곽을 형성하는 외곽프레임과 직사각 내부에 간격을 맞추어 배치되는 서브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침상(100)과, 상기 침상의 네 귀퉁이에 설치되는 기둥프레임(200)으로 이루어지는 침대에 있어서, 상기 침상(100)은 고정파트(100a)와 가변파트(100b)로 분할되어 결합형성되며, 상기 고정파트(100a)는 외곽프레임(110a) 및 서브프레임(120a)이 중공관체로 되고 선단이 개방된 형태로 마감프레임(130)에 고정되며, 상기 마감프레임(130)의 양측에 보조기둥(230)이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가변파트(100b)는 외곽프레임(110b) 및 서브프레임(120b)이 상기 고정파트(100a)의 대응하는 프레임에 끼워져 슬라이드 가능토록 구성되며, 고정파트(100a)의 외곽프레임(11 0a) 또는 가변파트(100b)의 외곽프레임(110b)에는 슬라이드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한 미끄럼부재(150)가 설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외곽프레임(110a)(110b)은 사각파이프로, 상기 서브프레임(120a)(120b)은 환봉으로 구성되며, 상기 미끄럼부재(150)는 상기 가변파트(100b)의 외곽프레임(110b)인 사각파이프에 설치되어 고정파트의 외곽프레임(110a)인 사각파이프의 상ㆍ하ㆍ좌ㆍ우면에서 구르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 호차로 구성된다.

    상기 가변파트(100b)의 외곽프레임 사각파이프(110b)에 설치되는 미끄럼부재(150)는 상기 사각파이프(110b)의 상하면 관통공(111)을 통하여 돌출되어 가변파트 (100b) 슬라이드시 상기 고정파트(100a) 사각파이프(110a)의 상면 또는 하면에 롤링마찰되도록 핀(152) 고정되고 사각파이프(110b)의 선단부를 포함하여 복수 위치에 설치되는 제1베어링 호차(151)와, 상기 사각파이프(110b)의 좌우 양측면으로 돌출되어 가변파트(100b) 슬라이드시 상기 고정파트(100a)의 사각파이프(110a) 좌면 또는 우면에 롤링마찰되고 복수 위치에 설치되는 제2베어링 호차(152)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베어링 호차(151)의 직경치수(d)는 설치되는 상기 고정파트 사각파이프(110a)의 내부공간 상하간 길이(h)에 대하여 -1㎜ 전후의 공차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베어링 호차(151)는 하중압에 의하여 상기 고정파트 사각파이프(110a)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한쪽에만 마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침상에 하중이 실리는 것을 고려하여 상기 제1베어링 호차(151)의 고정핀(151) 위치설정을 조정하여 고정파트의 외곽프레임(110a) 중공공간에서 가변파트의 외곽프레임(110b)이 상부로 치우쳐 배치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베어링 호차(151)는 가변파트(100b)의 선단부에 노출되는 위치와 가변파트가 최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마감프레임(130)에 가까운 위치에 각각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베어링 호차(152)는 가변파트 사각파이프(110b)의 좌면과 우면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어도 무방하며, 상기 가변파트 사각파이프(110b)는 상기 제2 베어링 호차(152)의 설치를 위한 호차홀(112)이 오목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베어링 호차(152)는 사각파이프 좌/우면에 대향하여 균형적으로 배치되어도 무방하다(도 4b 참조).

    상기 호차홀(112)은 사각파이프의 일부를 천공한 뒤에 별도의 홀컵을 덧대어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파트의 외곽프레임(110a) 개구부와 가변파트의 외곽프레임(110b)에는 설정위치 이상으로의 이탈 저지를 위한 스토퍼(153)(154)가 각각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변파트(110b)에 설치되는 스토퍼(154)는 예컨대 수지재처럼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롤러타입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침상(100)은 상기 가변파트(100b)를 최대한 인출한 상태에서 고정파트(100a)와 가변파트(100b)가 침상 전체길이의 적어도 1/5 이상 겹쳐지며, 상기 가변파트(100b)를 고정파트(100a)에 완전히 밀어넣으면 침상 길이가 1/3 이상 줄어들게 형성되고, 상기 가변파트 외곽프레임(110b)의 제1베어링 호차(151)가 접하게 되는 고정파트의 기둥프레임(210) 부분에는 완충부재(211)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고정파트(100a)와 가변파트(100b)가 중복적으로 겹쳐지는 길이는 전체 길이의 약 1/3 이다.

    상기 고정파트(100a)와 가변파트(100b)로 이루어지는 침상(100)은 연장형성되는 각 기둥프레임(200)에 지지되어 1층과 2층에 구비되는 2층침대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2층침대는 필요에 따라 단층침대로 분리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 다.

    한편, 상기 서브프레임(120a)(120b)은 고정파트(100a)에 가변파트(100b)가 끼워지는 환봉으로 이루어짐으로 별도의 미끄럼부재가 부여되지 않아도 슬라이드 운동이 무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파트(100a)를 지지하는 기둥프레임(200)의 하단에는 높낮이조절받침(251)이 설치되고, 상기 가변파트(100b)를 지지하는 기둥프레임 하단에는 이동 캐스터(253)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침상의 일부가 출몰 가능한 침대의 작용 및 사용상태를 살펴본다.

    본 발명은 침상(100)이 고정파트(100a)와 가변파트(100b)로 분할 구성되고 슬라이드 결합되어 인출 및 몰입 단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슬라이드 출몰되는 가변침상의 구성에서 가장 어려운 문제는 슬라이드부분에 긁힘이 발생되어 표면의 도료가 벗겨지는 등 외관을 손상시켜 상품성을 잃게 되는 것이었다.

    그런데, 상기 제1베어링 호차(151)와 제2베어링 호차(152)로 이루어진 본 발 명의 미끄럼부재(150)는 이를 완전히 해결한다.

    상기 가변파트(100b)의 사각파이프(110b) 상면과 하면으로 돌출되는 상기 제1베어링 호차(151)는 사각파이프에 가해지는 수직방향 하중을 지지하면서 상기 공차형성으로 인하여 침상 상부로부터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슬라이드 마 찰이 고정파트 사각파이프(110a)의 하면과 발생되지만 메트리스가 얹혀지고 사용자가 눕는 등으로 하중압력이 가해지면 고정파트 사각파이프(110a)의 상면과 발생되어 상/하면 중 어느 한쪽에만 접하고 다른 한쪽은 고정파트의 사각파이프와 이격됨으로 역방향에 대한 간섭없이 회전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침상에 하중압에 의한 일부 변형이 발생될 경우에도 상기 공차에 의하여 유동적으로 마찰이 이루어지면서 슬라이드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제1베어링 호차(151)가 가변파트(100b)의 선단부와 가변파트가 최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마감프레임(130)에 가까운 위치에 각각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복수의 제2베어링 호차(152)가 양측을 잡아줌으로 균형적인 배치 및 슬라이드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침대는 사용시에는 상기 가변파트(100b)를 상기 스토퍼(153)(154)가 걸리는 부분까지 최대한 인출한다. 이때 고정파트(100a) 내에 가변파트(100b)가 침상길이의 적어도 1/5 이상, 바람직하기는 1/3 정도가 중복적으로 겹쳐 지지됨으로 파이프의 휨이나 변형이 최소화되는 견고한 지지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채용되는 메트리스는 3단 절첩형 메트리스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침대 비사용시에는 먼저 메트리스를 1단만 접어 길이를 2/3로 줄이고, 상기 가변파트(100b)를 밀어넣으면 부드럽게 슬라이드되어 고정파트(100a)의 프레임 내로 기둥프레임(200)이 결합된 단부를 제외하고 완전히 몰입된다.

    이때 상기 완충부재(211)로 인하여 가변파트(100b)가 고정파트의 기둥(210)에 충격없이 접하게 되며, 침대 전체 길이의 1/3 정도가 단축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특히 군의 내무반이나 학생 기숙사와 같이 침상이 양측으로 배열되고 가운데로 좁은 통로가 형성되는 경우, 침대 비사용시에 상기와 같이 가변파트를 밀어넣으면 좁았던 통로공간이 현저히 확장되고, 사장되는 공간을 힘들이지 않고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미끄럼부재(150)로 인하여 슬라이드면에 흠집이 발생되지 않아 외관 손상이 방지됨으로 상품성을 유지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상의 일부가 출몰 가능한 침대는 침상을 고정파트와 가변파트로 나누어 슬라이드 가능토록 결합하고 슬라이드면에 베어링 호차가 접하도록 하여 침대 비사용시에 메트리스를 내리는 일 없이 가변파트를 극히 용이하게 밀어넣을 수 있어 사장되는 공간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미끄럼부재로 인하여 슬라이드면에 흠집 발생 및 외관 손상이 방지되어 상품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