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대의 매트리스 구조

申请号 KR1020030098677 申请日 2003-12-29 公开(公告)号 KR1020050067676A 公开(公告)日 2005-07-05
申请人 이상헌; 发明人 이상헌;
摘要 본 발명은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침대의 지지 프레임은 일정한 상태에서 매트리스의 사용 면적을 넓히기 위한 침대의 매트리스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침대의 매트리스 구조는 사용자의 몸이 안착되는 매트리스 상측부와, 상기 매트리스 상측부의 저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매트리스 상측부의 테두리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내입되는 매트리스 하측부가 포함되는 매트리스; 상기 매트리스의 하측부가 안착되기 위한 매트리스 안착홈과, 상기 매트리스를 지지하며, 상기 매트리스 상측부가 안착되는 매트리스 상측부 안착단이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침대의 매트리스 구조에 의하여, 동일 규격의 지지프레임에 비해 매트리스의 사용 면적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权利要求
  • 사용자의 몸이 안착되는 매트리스 상측부와, 상기 매트리스 상측부의 저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매트리스 상측부의 테두리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내입되는 매트리스 하측부가 포함되는 매트리스;
    상기 매트리스의 하측부가 안착되기 위한 매트리스 안착홈과, 상기 매트리스를 지지하며, 상기 매트리스 상측부가 안착되는 매트리스 상측부 안착단이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이 포함되는 침대의 매트리스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 상측부의 테두리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내입되는 길이는 상기 매트리스 상측부 안착단의 폭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의 매트리스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 하측부는 상기 매트리스 안착홈과 동일한 너비와, 동일한 길이와, 동일한 깊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의 매트리스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 상측부는 상기 매트리스 내부에 구성된 전기적 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가 포함되는 침대의 매트리스 구조.
  • 说明书全文

    침대의 매트리스 구조{Mattress of bed}

    본 발명은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침대의 지지 프레임은 일정한 상태에서 매트리스의 사용 면적을 넓히기 위한 침대의 매트리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트리스는 사람이 바닥 또는 침대에 누울 때 깔고 눕는 것으로, 과거에는 주로 동절기에 사용되었으나, 근래에는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여 계절에 관계없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침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침대는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매트리스(10)와, 상기 매트리스(10)가 안착되는 지지 프레임(20)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저면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레그(3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매트리스(10)의 테두리부 일측면에는 상기 매트리스(10)내부에 구비된 열선 기타 전기적인 구성요소를 컨트롤할 수 있는 제어부(11)가 삽입된다.

    한편, 상기 매트리스(10)는 상기 지지 프레임(20)상에 그대로 안착되거나, 상기 지지 프레임(20)의 중앙부가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고, 상기 함몰부에 상기 매트리스(1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종래의 침대 구조의 경우 상기 지지 프레임(20)이 충분히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한 반면,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매트리스(10)의 면적은 상기 지지 프레임(20)의 면적보다 좁은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침대의 설치에 요구되는 공간에 비하여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은 좁아지기 때문에 공간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경우, 상기 제어부(11)가 상기 매트리스 가장자리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사용자의 머리부분이 상기 제어부(11)를 건드리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매트리스의 면적을 지지 프레임의 면적과 동일하게 되도록 함으로써,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뿐 아니라, 사용자에게 넓은 매트리스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침대의 매트리스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제어부가 작동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침대의 매트리스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침대의 매트리스 구조는 사용자의 몸이 안착되는 매트리스 상측부와, 상기 매트리스 상측부의 저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매트리스 상측부의 테두리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내입되는 매트리스 하측부가 포함되는 매트리스; 상기 매트리스의 하측부가 안착되기 위한 매트리스 안착홈과, 상기 매트리스를 지지하며, 상기 매트리스 상측부가 안착되는 매트리스 상측부 안착단이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이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는 동일한 규격의 지지 프레임을 가지는 종래의 침대에 비하여 더욱 넓은 면적의 매트리스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침대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침대구조의 정단면도이며, 도 4는 상기 침대구조의 측단면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침대구조는 매트리스(100)와, 상기 매트리스가 안착되는 지지 프레임(200)과, 상기 매트리스(100)와 상기 지지 프레임(200)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저면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레그(30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매트리스(100) 외부의 손상으로부터 방지하기 위하여 매트리스 커버(120)에 의하여 둘러 싸여진다.

    또한, 상기 매트리스(100)는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외곽 면적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매트리스 상측부(130)와, 상기 매트리스 상측부(130)의 저면에 하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매트리스 상측부(130)의 끝단으로부터 중심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내입(內入)되는 매트리스 하측부(14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매트리스(100)의 상측면 테두리부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매트리스(100) 내부에 구비된 전기적 요소 또는 열선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11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200)은 직사각형의 틀을 형성하며,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고 상기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 프레임(200)은 상기 매트리스 상측부가 안착되는 매트리스 상측부 안착단(210)이 테두리를 형성한다.

    상세히, 상기 매트리스 상측부 안착단(210)의 폭은 상기 매트리스 상측부(130) 끝단으로부터 상기 매트리스 하측부(140)까지 내입된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매트리스 상측부 안착단(210)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매트리스 하측부(140)의 넓이와 동일한 규격을 가지며, 상기 매트리스 하측부(140)의 높이와 동일한 깊이를 가지는 매트리스 안착홈(22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매트리스 상측부(130)는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매트리스 상측부 안착단(210)에 안착되며,상기 매트리스 하측부(140)는 상기 매트리스 안착홈(220)에 정확하에 삽입된다.

    도 3과, 도 4의 단면도로부터 알 수 있듯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매트리스 구조에 의하여, 상기 매트리스(100)와 상기 지지 프레임(200)이 조립된 상태에서는 상기 매트리스(100)의 외곽 테두리가 상기 지지 프레임(200)을 벗어나지 않고 외곽 부가 일치된다.

    또한, 상기 매트리스(100)의 외곽 테두리가 상기 지지 프레임(200)과 일치하기 때문에, 상기 매트리스(100)의 활용면적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매트리스에 구비된 제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에 구비된 제어부(110)가 상기 매트리스(100)의 테두리부분에 더 가까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세히, 종래 매트리스(10)의 테두리로부터 제어부(11)까지의 간격을 a라고 한다면, 본 발명 매트리스9100)의 테두리로부터 제어부(110)까지의 간격은 a'로 함으로써, 제어부(110)를 매트리스(100)가장자리로부터 더욱 가깝게 형성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제어부(110)가 상기 매트리스(100)의 테두리 부분에 더 가깝게 위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매트리스 커버(120)의 상측부 봉제선(121)이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경우처럼, 상측부 봉제선이 상기 매트리스의 모서리에서 매트리스의 중심방향을 향하는 사선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어부의 위치가 제한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부 봉제선(121)이 수평 상태의 직선을 이루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가 상기 매트리스(100) 측면 테두리에 최대한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의 매트리스 구조에 의하여, 동일 규격의 지지프레임에 비해 매트리스의 사용 면적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매트리스의 면적이 증가함으로써, 공간의 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의 위치가 매트리스의 테두리쪽으로 이동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사용자의 머리부분과 제어부가 간섭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작동되는 현상이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침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침대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상기 침대구조의 정단면도.

    도 4는 상기 침대구조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매트리스에 구비된 제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매트리스 110 : 제어부

    120 : 매트리스 커버 200 : 지지 프레임

    210 : 매트리스 상측부 안착단 220 : 매트리스 안착홈

    300 : 레그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