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이 편리한 조립식 침대

申请号 KR1020120107873 申请日 2012-09-27 公开(公告)号 KR101355123B1 公开(公告)日 2014-01-27
申请人 사회복지법인 주내자육원; 发明人 조숙경;
摘要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venient fold-up bed which has a very simple structure; which can be easily assembled and transported; and which has excellent space utilization. The convenient fold-up bed comprises a first body part (110) which has an accepting part (111)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body part (110) and a guide part (112)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a second body part (120) around the guide part (112), and which supports a bed (200); the second body part (120) which has a guide groove (121) inside to correspond to the guide part (112) and which opens or closes the accepting part (111) of the first body part (110) inserted into the second body part (120); a bed support (100) having a hinge type support part (130) to be folded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10, 120) using a hinge (H) to lock the sliding movements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and the bed (200) detachably attached to the top of the bed support (100).
权利要求
  •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형성되는 수납부(111)와, 저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부(112)를 갖추고서, 제2본체부(120)에 가이드부(112)를 매개로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침상(200)을 받쳐 지지하는 제1본체부(110)와; 내부에 가이드부(112)에 상응하는 가이드홈(121)을 갖추고서,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1본체부(110)의 수납부(111)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2본체부(120)와;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 사이에 힌지(H)를 매개로 접첩가능하게 설치되어 슬라이딩을 제한하는 경첩형 지지부(130)를 갖춘 침상받침대(100)와:
    침상받침대(100) 상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침상(2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이 편리한 조립식 침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부(110)의 일측에는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직하게 연장되는 헤드보드(300)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이 편리한 조립식 침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부(110)의 일 측면에 맞대어지는 헤드보드(300)의 일면에는 단턱부(320)가 더 보강 구비되며, 단턱부(320)를 매개로 침상(200)의 일단을 받쳐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이 편리한 조립식 침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부(110)의 수납부(111)는 내측으로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격판(114)을 매개로 수납공간을 분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이 편리한 조립식 침대.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상받침대(100)와 침상(200) 및 헤드보드(300)는 목재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이 편리한 조립식 침대.
  • 说明书全文

    사용이 편리한 조립식 침대{A Fold-Up Bed Using Easily}

    본 발명은 사용이 편리한 조립식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일정한 형틀에 탄성체의 스프링을 다수 설치하고, 섬유재로 감싼 매트리스를 설치하여 취침시 사용하는 것으로서, 매트리스는 주로, 취침시 편안한 자세를 유지시켜 주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원형복구 기능을 겸한 라텍스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매트리스의 내부에는 쿠션기능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스프링이 설치되는 바, 이러한 스프링은 완충작용이 뛰어나기는 하나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는 외력에 의해 변형을 일으킨 물체의 힘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복귀되는 탄성력이 완화되어 사용시 허리가 굽어진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되는 악영향, 즉 허리가 굽어지므로 인한 디스크 및 척추변형의 주원인이 되는 폐단을 안고 있다.

    상기와 같은 해소하고 근래에는 나무 또는 돌과 같은 부재를 이용하여 매트리스를 대신하고 있으며, 종래의 기술로는 등록실용 제20-0334687호가 있다.

    상기 등록실용 제20-0334687호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머리받침부에 수납홈과 진열부가 구비되고, 측판에는 수납부가 형성되어 보조침대가 슬라이드방식으로 수납되며, 보조침대에는 히팅장치에 의해 온열되는 돌판이 구비된 것이 개시되어 있는 것으로서, 보조침대에 구비된 돌판과 히팅장치를 통해 침대를 보다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기술의 경우 그 구조가 상당히 복잡할 뿐만 아니라, 보조침대의 경우 돌판이 설치되어 있어 숙련된 기술자가 아니면 사용자가 용이하게 운반한다는 것이 상당히 곤란하고, 늘리거나 줄일 수 있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공간활용 면에 있어서 상당히 불리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조가 매우 단순하고, 조립 및 운반이 상당히 용이하면서도 공간활용도가 상당히 우수한 사용이 편리한 조립식 침대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형성되는 수납부와, 저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갖추고서, 제2본체부에 가이드부를 매개로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침상을 받쳐 지지하는 제1본체부와; 내부에 가이드부에 상응하는 가이드홈을 갖추고서,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1본체부의 수납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며 침상을 받쳐 지지하는 제2본체부와; 제1본체부와 제2본체부 사이에 힌지를 매개로 접첩가능하게 설치되어 슬라이딩을 제한하는 경첩형 지지부를 갖춘 침상받침대와:

    침상받침대 상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침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본체부의 일측에는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직하게 연장되는 헤드보드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본체부의 일 측면에 맞대어지는 헤드보드의 일면에는 단턱부가 더 보강 구비되며, 단턱부를 매개로 침상의 일단을 받쳐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본체부의 수납부는 내측으로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격판을 매개로 수납공간이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침상받침대와 침상 및 헤드보드는 목재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구조가 매우 단순하여 조립 및 취급이 상당히 용이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제1본체부와 제2본체부를 늘리거나 줄여 필요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운반이 상당히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본체부로부터 제1본체부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인출하게 되면, 제2본체부와 제1본체부 사이에 힌지를 매개로 설치된 경첩형 지지부가 자연스럽게 펼쳐지게 되지만, 반대로 제2본체부의 내측으로 제1본체부를 밀어 수납하고자 하는 경우 펼쳐진 경첩형 지지부를 사람(사용자)이 힘을 가해 밀지 않는 이상 수납을 할 수 없게 되는데, 이와 같은 작용을 통해 외력이 제2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작용하더라도 제2본체부와 제1본체부의 설치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뿐만 아니라 제2본체부와 제1본체부의 중간에 경첩형 지지부가 설치되므로 외력이 작용한다 하더라도 변형 없이 현재 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본체부에 형성된 수납부를 통해 옷이나 침구류, 기타 물건을 넣어 보관할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 면에서 상당히 편리한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이 편리한 조립식 침대의 삽탈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이 편리한 조립식 침대의 각기 다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이 편리한 조립식 침대의 단면결합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이 편리한 조립식 침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이 편리한 조립식 침대는, 침상받침대(100)와 침상(200)으로 구성되며, 여기에 헤드보드(300)가 더 보강 구비된다.

    상기 침상받침대(100)는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 및 경첩형 지지부(130)로 구성되어 상부로 끼워지는 침상(200)을 받쳐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2본체부(120)의 내측으로 제1본체부(110)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제1본체부(110)의 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부(112)가 형성되고, 제2본체부(120)의 내부에는 가이드부(112)와 상호 결합되어 가이드부(112)를 안내하는 가이드홈(12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가이드부(112)와 가이드홈(121)을 매개로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가 서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의 경우 하나의 실시 예로서, 가이드부(112)와 가이드홈(121)을 사각으로 도시 및 기재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공지의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상기 경첩형 지지부(130)는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 사이에 힌지를 매개로 접첩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의 슬라이딩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경첩형 지지부(13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한 쌍의 사각형상의 판재로 구성되되, 한 쌍의 판재는 힌지(H)를 매개로 절첩가능하게 상호 연결되고, 한 쌍의 판재에 말단은 각각 제1본체부(110)의 내면과 제2본체부(120)의 일측 외면에 힌지(H)를 매개로 절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힌지(H)는 해당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힌지(H)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공지의 그 어떠한 것도 적용실시 가능하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본체부(120)로부터 제1본체부(110)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인출하게 되면, 제2본체부(120)와 제1본체부(110) 사이에 힌지(H)를 매개로 설치된 경첩형 지지부(130)가 자연스럽게 펼쳐지게 되지만, 반대로 제2본체부(120)의 내측으로 제1본체부(110)를 밀어 수납하고자 하는 경우 펼쳐진 경첩형 지지부(130)를 사람(사용자)이 힘을 가해 밀지 않는 이상 수납을 할 수 없게 되는데, 이와 같은 작용을 통해 외력이 제2본체부(120)의 길이방향으로 작용하더라도 제2본체부(120)와 제1본체부(110)의 설치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뿐만 아니라 제2본체부(120)와 제1본체부(110)의 중간에 경첩형 지지부(130)가 설치되므로 외력이 작용한다 하더라도 변형 없이 현재 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침상(200)은 박스타입의 평평한 판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2본체부(120)와 제1본체부(110)의 상부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사용자가 그 위에 눕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본체부(110)의 타측면, 바람직하게는 제2본체부(120)에 삽입되는 면의 반대편 면에는 헤드보드(300)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헤드보드(30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을 이루되, 하단부에는 제1본체부(110)의 타면 하단부에 형성된 결합홈(113)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결합돌기(310)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헤드보드(300)에는 단턱부(320)가 구비되며, 여기서 단턱부(320)는 침상(200)의 일측 하단을 받쳐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1본체부(110)의 결합홈(113)과 헤드보드(300)의 결합돌기(310)에 형상을 사각형으로 도시 및 기재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예컨대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과 같이 공지의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1본체부(110)와 헤드보드(300)의 결합을 끼움에 의한 결합방식으로만 기재 및 도시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예컨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결합홈(113)에 결합돌기(310)를 압입하여 고정한 이후에 체결수단(나사볼트)을 매개로 2차 고정할 수도 있을 것이므로 이에 한정하여 해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상기 제1본체부(110)의 수납부(111)는 내측으로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격판(114)을 매개로 수납공간이 분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침상받침대(100)와 침상(200) 및 헤드보드(300)는 목재로 제조하되, 그 중에서도 편백(扁柏)나무를 이용하여 제조함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상기 편백나무는 노송나무라고도 하는데, 편백나무 및 그 잎으로부터 휘발성 물질의 편백정유(essentialoil) 즉, 피톤치드(phytoncide)가 배출되며, 이와 같은 편백정유(essentialoil)는 항균효과, 항산화효과, 진정작용, 스트레스 완화효과, 새집 증후군을 일으키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인 포름알데히드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효과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침대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제2본체부(120)의 내면과 제1본체부(110)의 일측 외면에 각각 경첩형 지지부(130)의 말단부를 힌지(H)를 매개로 절첩하게 설치해 준다.

    상기와 같이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가 상호 결합되면 제1본체부(110)의 타측 외면에 형성된 결합홈(113)으로 헤드보드(300)의 결합돌기(310)를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립이 되면 침상(200)을 침상받침대(100) 상부에 끼워 그 조립을 완료하며, 이를 도 1과 같이 도시하였다.

    상기와 같이 조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침상받침대(100)를 침상(200)의 길이에 맞게 늘려 주고자 하는 경우에는, 우선 침상(200)을 침상받침대(100)로부터 이탈시켜 준다.

    그 다음, 제1본체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본체부(120)를 헤드보드(300)의 반대편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주며, 이때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 사이에 설치된 경첩형 지지부(130)는 접혔던 상태가 서서히 펼쳐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가 완전히 이격되면 사용자는 침상(200)을 침상받침대(100)의 상부에 끼워 결합한다.

    이때, 상기 침상받침대(100)의 일측 하단은 헤드보드(300)의 단턱부(320)에 얹혀져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침상(200)의 상면에는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매트(미도시)를 설치하면 되며, 제1본체부(110)에 형성된 수납부(111)에는 옷이나 침구류, 기타 물건을 넣어 보관하면 된다.

    한편, 공간활용을 위해 접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침상받침대(100)로부터 침상(200)을 분리시켜 준다.

    그리고, 펼쳐진 경첩형 지지대(130)를 일 방향으로 밀고 있는 상태에서 제2본체부(120)를 헤드보드(300)를 향해 밀어주게 되면, 가이드홈(121)이 가이드부(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는 서로 합쳐지게 되며,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도 6과 같이 도시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침대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를 서로 합쳐 준 상태에서 제1본체부(110)로부터 헤드보드(300)를 분리시켜 준다.

    그리고, 서로 합쳐진 제1·2본체부(110,120)와 침상(200) 및 헤드보드(300)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운반한 다음 앞서 언급한 조립 순으로 재조립해 주면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침상 110: 제1본체부 111: 수납부
    120: 제2본체부 130: 지지부 200: 침상
    300: 헤드보드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