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납장이 구비된 아기용 안전침대

申请号 KR2020060009023 申请日 2006-04-05 公开(公告)号 KR200419103Y1 公开(公告)日 2006-06-15
申请人 김주환; 发明人 김주환;
摘要 본 고안은 수납장이 구비된 아기용 안전침대에 관한 것으로, 2층으로 분할된 박스형의 침대본체 상층에는 매트리스가 안착되어 유아(아기)의 수면을 도모하도록 침대부를 구성되고, 상기 침대부로부터 하층인 하부공간에는 다수의 중소형 물품을 정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수납부를 형성하되, 상기 수납부에는 힌지에 의해 회동되는 한편, 볼(Ball)에 의한 고정구가 면접촉되며 열림 및 잠금을 조장하도록 수납도어가 부설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수납된 물품의 출입을 간편하고 자유롭게 이용하도록 도모함은 물론, 수납부의 바닥판에 덧대어진 다수개의 보강지지대에 의해 수납부의 바닥판이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강성과 내구성이 보강되도록 형성되는 수납장이 구비된 아기용 안전침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사각형상의 모서리마다 상,하로 높이를 갖는 각각의 기둥(11)에 의해 박스형 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중간부분에 기둥(11)의 중앙부와 각각 연결되며 몸체를 상,하로 구획하는 매트리스지지판(110)과, 상기 매트리스지지판(110)의 외주면에 수직으로 세워져 창살처럼 형성되는 다수개의 가이드봉(120)과, 상기 가이드봉(120) 및 기둥(11)들의 상단부에 수직으로 안착되어 사각형상의 선단부를 형성하도록 상부틀(130)이 마련되어 이루어진 침대부(100)와; 상기 침대부(100)의 매트리스지지판(110)으로부터 수직,하방으로 연장되되, 전후방에 걸쳐 창살처럼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봉(210)과, 상기 지지봉(210) 및 기둥(11)들의 하단부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형성된 바닥판(220)과, 상기 바닥판(220)과 지지봉(210)에 의해 형성된 수납공간(230)과, 상기 수납공간(230)으로 물건을 용이하게 출입시킬수 있도록 전방 일측에 지지봉(210)의 간섭을 피하며 힌지(241)에 의해 여닫이 되도록 형성되는 수납도어(240)와, 상기 수납도어(240)의 개폐시 잠금을 조장하는 고정구(250)가 마련되어 이루어진 수납부(200);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안전침대, 수납, 매트리스, 가이드, 지지봉, 기둥, 힌지, 고정구
权利要求
  • 사각형상의 모서리마다 상,하로 높이를 갖는 각각의 기둥(11)에 의해 박스형 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중간부분에 기둥(11)의 중앙부와 각각 연결되며 몸체를 상,하로 구획하는 매트리스지지판(110)과, 상기 매트리스지지판(110)의 외주면에 수직으로 세워져 창살처럼 형성되는 다수개의 가이드봉(120)과, 상기 가이드봉(120) 및 기둥(11)들의 상단부에 수직으로 안착되어 사각형상의 선단부를 형성하도록 상부틀(130)이 마련되어 이루어진 침대부(100)와;
    상기 침대부(100)의 매트리스지지판(110)으로부터 수직,하방으로 연장되되, 전후방에 걸쳐 창살처럼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봉(210)과, 상기 지지봉(210) 및 기둥(11)들의 하단부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형성된 바닥판(220)과, 상기 바닥판(220)과 지지봉(210)에 의해 형성된 수납공간(230)과, 상기 수납공간(230)으로 물건을 용이하게 출입시킬수 있도록 전방 일측에 지지봉(210)의 간섭을 피하며 힌지(241)에 의해 여닫이 되도록 형성되는 수납도어(240)와, 상기 수납도어(240)의 개폐시 잠금을 조장하는 고정구(250)가 마련되어 이루어진 수납부(2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이 구비된 아기용 안전침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200)는
    바닥판(220) 저면에 횡방향 또는 종방향 중 일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상기 바닥판(220)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다수개의 보강지지대(280)가 부설되어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이 구비된 아기용 안전침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고정구(250)는
    바닥판(220)에 형성된 고정구홈(221)으로 삽입되는 텐션스프링(260)과, 상기 텐션스프링(260)의 상방에 안착되어 상방향으로 밀어올려지되, 고정구홈(221)의 관통된 단부(221a)에 걸려 외측으로 이탈하지 못하나, 몸체 일부분이 관통된 단부(221a) 상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볼(270)이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이 구비된 아기용 안전침대.
  • 说明书全文

    수납장이 구비된 아기용 안전침대{Safety-bed for baby with chest}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납도어의 고정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수납부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면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침대본체 11 ... 기둥

    100 ... 침대부 110 ... 매트리스지지판

    120 ... 가이드봉 130 ... 상부틀

    200 ... 수납부 210 ... 지지봉

    220 ... 바닥판 221 ... 고정구홈

    221a ... 단부 230 ... 수납공간

    240 ... 수납도어 241 ... 힌지

    250 ... 고정구 260 ... 텐션스프링

    270 ... 고정볼 280 ... 보강지지대

    300 ... 매트리스

    본 고안은 수납장이 구비된 아기용 안전침대에 관한 것으로, 2층으로 분할된 박스형의 침대본체 상층에는 매트리스가 안착되어 유아(아기)의 수면을 도모하도록 침대부를 구성되고, 상기 침대부로부터 하층인 하부공간에는 다수의 중소형 물품을 정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수납부를 형성하되, 상기 수납부에는 힌지에 의해 회동되는 한편, 볼(Ball)에 의한 고정구가 면접촉되며 열림 및 잠금을 조장하도록 수납도어가 부설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수납된 물품의 출입을 간편하고 자유롭게 이용하도록 도모함은 물론, 수납부의 바닥판에 덧대어진 다수개의 보강지지대에 의해 수납부의 바닥판이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강성과 내구성이 보강되도록 형성되는 수납장이 구비된 아기용 안전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기용 침대는 0세에서 4세 이하인 유아를 재우거나 우유를 주는 등의 한정된 공간으로써, 상기 침대에서 유아가 돌아다니다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침대의 외주면에 창살 같은 가이드 봉을 설치하여 상술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아기용 침대는 보통 테이블 위에 매트리스를 안착한 뒤, 요나 이불을 깔아 유아의 안락을 도모하는 것으로, 상기 침대는 오로지 수면이나 이유식을 해결하는 특정 공간으로 밖에 사용할 수 없어 아이의 기저귀나 생필품 등을 별도의 서랍장에 수납하여 보관하여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2층으로 분할된 박스형의 침대본체 상층에는 매트리스를 안착하여 유아(아기)의 수면을 도모하도록 침대부를 구성하고, 상기 침대부로부터 하층인 하부공간에는 다수의 중소형 물품을 정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수납부를 형성하되, 상기 수납부에는 힌지에 의해 회동하는 한편, 볼(Ball)에 의한 고정구가 면접촉되며 열림 및 잠금을 조장하도록 수납도어가 부설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수납된 물품의 출입을 간편하고 자유롭게 이용하도록 도모함은 물론, 수납부의 바닥판에 덧대어진 다수개의 보강지지대에 의해 수납부의 바닥판이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강성과 내구성이 보강된 수납장이 구비된 아기용 안전침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사각형상의 모서리마다 상,하로 높이를 갖는 각각의 기둥(11)에 의해 박스형 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중간부분에 기둥(11)의 중앙부와 각각 연결되며 몸체를 상,하로 구획하는 매트리스지지판(110)과, 상기 매트리스지지판(110)의 외주면에 수직으로 세워져 창살처럼 형성되는 다수개의 가이드봉(120)과, 상기 가이드봉(120) 및 기둥(11)들의 상단부에 수직으로 안착되어 사각형상의 선단부를 형성하도록 상부틀(130)이 마련되어 이루어진 침대부(100)와; 상기 침대부(100)의 매트리스지지판(110)으로부터 수직,하방으로 연장되되, 전후방에 걸쳐 창살처럼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봉(210)과, 상기 지지봉(210) 및 기둥(11)들의 하단부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형 성된 바닥판(220)과, 상기 바닥판(220)과 지지봉(210)에 의해 형성된 수납공간(230)과, 상기 수납공간(230)으로 물건을 용이하게 출입시킬수 있도록 전방 일측에 지지봉(210)의 간섭을 피하며 힌지(241)에 의해 여닫이 되도록 형성되는 수납도어(240)와, 상기 수납도어(240)의 개폐시 잠금을 조장하는 고정구(250)가 마련되어 이루어진 수납부(200);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납부(200)는 바닥판(220) 저면에 횡방향 또는 종방향 중 일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상기 바닥판(220)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다수개의 보강지지대(280)가 부설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수납부의 고정구(250)는 바닥판(220)에 형성된 고정구홈(221)으로 삽입되는 텐션스프링(260)과, 상기 텐션스프링(260)의 상방에 안착되어 상방향으로 밀어올려지되, 고정구홈(221)의 관통된 단부(221a)에 걸려 외측으로 이탈하지 못하나, 몸체 일부분이 관통된 단부(221a) 상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볼(270)이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2층으로 구성된 사각박스 형태의 몸체로써, 상부가 개구된 침대부와, 상기 침대부 하방에 형성된 수납부로 구성되어 침대본체를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침대부(100)는 사각형상의 모서리마다 상,하로 높이를 갖는 각각의 기둥(11)에 의해 박스형 몸체가 형성된다.

    이는 통상의 침대를 이루는 네 모서리의 골조 기둥으로써, 사각 또는 원형의 일반적인 목재로 이루어진 기둥이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침대부(100)는 기둥(11)의 중앙부와 각각 연결되며 몸체를 상,하로 구획하는 매트리스지지판(110)이 형성되는 바, 이는 아기(유아)의 수면을 최적화 할 수 있도록 평평한 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평평한 판 위에는 쿠션체의 매트리스가 안착되어 침대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매트리스지지판(110)의 외주면에는 기둥과 동일한 방향으로 수직되게 세워져 창살처럼 형성되는 다수개의 가이드봉(120)이 마련되는 바, 이는 아기(유아)의 낙하 또는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안전한 수면환경을 제공하도록 형성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봉(120) 및 기둥(11)들의 상단부에는 수직으로 안착되어 사각형상의 선단부를 잇도록 형성되는 상부틀(130)이 마련되는 바, 이는 침대부의 개구된 상방을 안전하게 마무리하는 한편, 전체적인 침대본체(10)의 틀을 견고하게 보강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상부틀(130)은 작업자 또는 사용자의 취사선택에 따라 그 형상과 모양을 달리하며 기호에 맞춰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수납부(200)는 침대부(100)의 매트리스지지판(110)으로부터 수직,하방으로 연장되되, 전후방에 걸쳐 창살처럼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봉(210)에 의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봉(210) 및 기둥(11)들의 하단부에는 이들과 수직으로 결합되는 한편,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형성된 바닥판(220)이 마련된다.

    이러한 바닥판(220)의 좌,우 양측단에는 지지봉과 함께 수납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별도의 격벽(12)이 형성됨으로써, 보다 견고하고 안전한 수납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수납공간(230)에는 물건을 용이하게 출입시킬 수 있도록 전방 일측에 지지봉(210)의 간섭을 피하며 힌지(241)에 의해 여닫게되도록 형성되는 수납도어(240)가 부설된다.

    이러한 수납도어(240)는 상,하 단부에 지지봉(210)과 수평인 지지틀(242)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틀(242)은 창살처럼 형성된 별도의 지지기둥(243)에 연결되어 일체의 수납도어(240)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납도어(240)의 하단 지지틀(242) 일측에는 후술되는 고정구의 고정볼(270)과 대응되어 열림과 잠금을 조장하는 걸림턱(242a)이 형성되는 바, 이는 상기 고정볼(270)의 외주면과 대응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에 걸림시 자연스럽게 타고 넘을 수 있도록 부드러운 체결을 조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납부의 고정구(250)는 바닥판(220)에 형성된 고정구홈(221)으로 삽입되는 텐션스프링(260)과, 상기 텐션스프링(260)의 상방에 안착되어 상방향으로 밀어올려지되, 고정구홈(221)의 관통된 단부(221a)에 걸려 외측으로 이탈하지 못하나, 몸체 일부분이 관통된 단부(221a) 상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볼(270)이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수납부(200)는 바닥판(220) 저면에 횡방향 또는 종방향 중 일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상기 바닥판(220)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다수개의 보강지지대(280)가 부설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강지지대는 "ㄱ (기억자)" 형으로 꺽여진 통상의 '앵글' 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2층으로 분할된 박스형의 침대본체 상층에는 매트리스를 안착하여 유아(아기)의 수면을 도모하도록 침대부를 구성하고, 상기 침대부로부터 하층인 하부공간에는 다수의 중소형 물품을 정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수납부를 형성하되, 상기 수납부에는 힌지에 의해 회동하는 한편, 볼(Ball)에 의한 고정구가 면접촉되며 열림 및 잠금을 조장하도록 수납도어가 부설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수납된 물품의 출입을 간편하고 자유롭게 이용하도록 도모함은 물론, 수납부의 바닥판에 덧대어진 다수개의 보강지지대에 의해 수납부의 바닥판이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강성과 내구성이 보강되는 효과가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