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철식 기도용 의자 및 테이블

申请号 KR2020120003490 申请日 2012-04-27 公开(公告)号 KR2020130006419U 公开(公告)日 2013-11-06
申请人 황성수; 发明人 황성수;
摘要 본 고안은 접철식 기도용 의자 및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종교인이 종교 활동으로 개인 기도를 할 때 무릎을 꿇은 자세로 행함으로써 다리가 저려 오는 육체적인 고통을 해소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의자로서의 편안한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기도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판에 홈을 내고, 이 홈 지지대의 끝단이 삽입되도록 돌기를 줌으로써 상판과 지지대간의 밀착 결합이 가능하게 되어 상판에 대한 지지대의 지지력이 향상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효과로서는 경첩을 매립되도록 지지대와 상판 사이에 설치함으로 지지대와 상판 사이의 틈 간격이 밀착되므로 경첩사용횟수가 늘어나더라도 경첩이 느슨하지 않게 되는 점을 들 수 있다.
权利要求
  • 인체의 대퇴부를 받쳐주는 상판(310)과, 경첩(500)에 의해 상기 상판(310)의 양측 하부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대(320-1,320-2)을 포함하는 기도의자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20-1,320-2)의 상단에는 단면의 일측변이 직선인 타원형 형상의 돌기부(420)가 형성되며,
    상기 상판(310)의 양측 하단에는 상기 돌기부(420)가 삽입되어 정합되는 돌기 결합홈(410)이 형성되고, 인체의 장단지가 위치할 장단지 삽입홈(600-1,600-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기도용 의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20-1,320-2)는 하단말단이 두 갈래로 갈라진 형상이며, 갈라진 형상의 말단에 미끄럼 방지 또는 바닥 긁힘 방지를 위한 고무 부재(32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기도용 의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20-1,320-2)의 바깥쪽 상단에는 잠금(lock)을 위한 록(700)이 설치되며,
    상기 상판(310)의 하단에는 상기 록(700)과 결합하는 록 체결홈(7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기도용 의자.
  • 제 1 항에 있어,
    상기 상판(310)의 표면상에는 책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책 미끄럼 방지홀(3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기도용 의자.
  • 상판(810)과, 경첩(500)에 의해 상기 상판(810)의 양측 하부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대(820)을 포함하는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상판(810)의 하단에는 보강대(830)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대(830)와의 사이에 일자로 나란하게 돌기 결합홈(813)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820)의 상단에는 상기 돌기 결합홈(813)과 결합되기 위한 단면의 일측변이 직선인 타원형 형상의 돌기부(823)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대(830)를 수납하는 보강대 요홈부(830)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대(830)의 중앙에 힌지축(841)으로 결합되는 회전 지지바(8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테이블.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820)는 하단말단이 두 갈래로 갈라진 형상이며, 갈라진 형상의 말단에 미끄럼 방지 또는 바닥 긁힘 방지를 위한 고무 부재(32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테이블.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820)의 바깥쪽 상단에는 잠금(lock)을 위한 록이 설치되며, 상기 상판(810)의 하단에는 상기 록과 결합하는 록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테이블.
  • 说明书全文

    접철식 기도용 의자 및 테이블{Collapsible Chair for prayer and Table}

    본 고안은 접철식 기도용 의자 및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교회 또는 집안에서 기도를 할 때 무릎을 꿇은 자세로 장시간 기도하게 됨으로써 혈액순환이 저하되어 다리가 저려지는 육체적인 고통을 해소해줄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관절염환자가 무릎을 꿇고 기도시 관절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 의자로서 편안한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기도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책을 읽을 때 책을 받치는 독서대 기능을 함께 발휘할 수 있는 기도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기도용 의자와 동일한 절첩식 다리를 갖는 테이블을 제공 하여 보관시 다리를 접어 부피를 줄이므로서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 접철식 기도용 의자 및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교의례는 그 성질상 성속(聖俗)의 분리에 중점을 두는 소극적 의례와 성속의 결합을 꾀하는 적극적 의례로 구분된다. 그 중 기도는 적극적 의례 중의 하나로서 초자연적 존재와의 교류를 목표로 이루어지는 행위라 할 수 있다.

    초자연적인 존재와 교류를 위하여 기도를 할 경우 대부분 예를 다하기 위하여 무릎을 굽힌 상태에서 기도를 하곤 한다.

    무릎을 굽힌 자세는 체중에 대한 하중이 대퇴부를 통하여 종아리 및 무릎에 그대로 전달되어 오랜 시간동안 지속될 경우 혈액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다리가 저리거나 경련이 일어나기도 한다.

    또한, 무름관절이 약하거나, 무릎관절염이 있는 환자가 기도할 경우에는 무릎을 꿇지 못하게 됨에 따라서 의자가 아닌 바닥에서 기도할 경우에는 상당히 난감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06-0072117호,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194265호, 제20-0229932호, 제20-0302801호, 제20-0340428호 등이 제안되었다.

    이중, 등록실용신안 제20-0229932호를 도시한 도면이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기도의자(a)는 상판(b)과 지지대(c), 상판과 지지대를 연결하는 경첩(d)이 있고 지지대 바닥면의 가장자리에 2개씩 매입된 높낮이 조절용 너트(e)에 삽입된 높낮이 조절용 레바(f)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평소 도 2와 같이 보관중이다가 사용할 때는 도 2의 c'의 일정한 각으로 절삭된 지지대의 윗부분이 펼쳐져 상판의 하면에 밀착되면서 수직으로 지지하던 종래의 기도의자보다 더 안전한 지지각을 형성하여 상반신의 체중을 받쳐주게 되어있다.

    그런데,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경우, 경첩에 의해 지지대가 상판에 결합되므로 지지대의 끝단과 상판사이에 틈이 있게 되므로 지지대의 지지력이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사용횟수가 늘어남에 따라 경첩이 느슨하게 되어 지지대와 상판 사이의 틈 간격이 증가되므로 약한 힘에도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지대의 아래쪽 끝단은 바닥이 미끄러운 경우 의자를 제자리에 고정시키지 못하고 미끄러지거나, 의자를 옮길 때 바닥이 긁힐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독서대로 대용하는 경우, 상판이 미끈하면서도 경사지게 되므로 책을 놓으면 아래로 떨어지기 쉬우므로 독서대로의 사용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06-0072117호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194265호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229932호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302801호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340428호

    본 고안은 위에서 제기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지지대가 상판과 밀착하게 결합시켜 지지력이 향상되는 접철식 기도용 의자 및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횟수가 늘어나더라도 지지대와 상판 사이의 틈 간격이 증가되지 않으며 경첩이 느슨하지 않게 하는 접철식 기도용 의자 및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바닥이 미끄러운 경우도 의자를 제자리에 고정시키면서도 의자를 옮길 때 바닥이 긁히지 않는 접철식 기도용 의자 및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독서대 겸용 테이블로 대용하는 경우, 상기 기도용 의자으이 절첩식 다리와 동일한 구성으로 다리를 형성하여 다리 접철식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위에서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접철식 기도용 의자 및 테이블을 제공한다. 이 기도용 의자는, 인체의 대퇴부를 받쳐주는 상판(310)과, 경첩(500)에 의해 상기 상판(310)의 양측 하부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대(320-1,320-2)를 포함하는 기도의자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20-1,320-2)의 상단에는 단면의 일측변이 직선인 타원형 형상의 돌기부(420)가 형성되며, 상기 상판(310)의 양측 하단에는 상기 돌기부(420)가 삽입되어 정합되는 돌기 결합홈(410)이 형성되고, 인체의 장단지가 위치할 장단지 삽입홈(600-1,600-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320-1,320-2)는 하단말단이 두 갈래로 갈라진 형상이며, 갈라진 형상의 말단에 미끄럼 방지 또는 바닥 긁힘 방지를 위한 고무 부재(32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320-1,320-2)의 바깥쪽 상단에는 잠금(lock)을 위한 록(700)이 설치되며, 상기 상판(310)의 하단에는 상기 록(700)과 결합하는 록 체결홈(7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310)의 표면상에는 책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책 미끄럼 방지홀(3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판(810)과, 경첩(500)에 의해 상기 상판(810)의 양측 하부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대(820)를 포함하는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상판(810)의 하단에는 보강대(830)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대(830)와의 사이에 일자로 나란하게 돌기 결합홈(813)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820)의 상단에는 상기 돌기 결합홈(813)과 결합되기 위한 단면의 일측변이 직선인 타원형 형상의 돌기부(823)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대(830)를 수납하는 보강대 요홈부(830)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대(830)의 중앙에 힌지축(841)으로 결합되는 회전 지지바(8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테이블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지지대(820)는 하단말단이 두 갈래로 갈라진 형상이며, 갈라진 형상의 말단에 미끄럼 방지 또는 바닥 긁힘 방지를 위한 고무 부재(32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820)의 바깥쪽 상단에는 잠금(lock)을 위한 록이 설치되며, 상기 상판(810)의 하단에는 상기 록과 결합하는 록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판에 홈을 내고, 이 홈 지지대의 끝단이 삽입되도록 돌기를 줌으로써 상판과 지지대간의 밀착 결합이 가능하게 되어 상판에 대한 지지대의 지지력이 향상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효과로서는 경첩을 매립되도록 지지대와 상판 사이에 설치함으로 지지대와 상판 사이의 틈 간격이 밀착되므로 경첩사용횟수가 늘어나더라도 경첩이 느슨하지 않게 되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지지대의 끝단에 고무재질의 고무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바닥이 미끄러운 경우에도 의자를 제자리에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의자를 옮길 때 바닥이 긁히지 않는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상판상에 다수의 홀을 형성시킴으로써 이 형성된 홀에 의해 책이 아래쪽으로 흘러내리지 않게 되는 점을 들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기도의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기도의자의 보관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도용 의자의 구성을 보인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지지대(320-1)의 끝단이 상판(310)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지지대(320-1)가 경첩에 의해 상판(310)에 결합 체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판(310)에 장단지 삽입홈(600-1,600-2)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지지대(320-1)에 록(700)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구성을 보인 일부 외관 사시도로서, 테이블의 바깥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테이블을 테이블의 내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기도용 의자 및 테이블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도용 의자(300)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도용 의자(300)는, 인체의 대퇴부를 받쳐주는 상판(310)과, 상기 상판(310)의 양측 하부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대(320-1,32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대(320-1,320-2)는 제 1 지지대(320-1)와 제 2 지지대(320-2)로 구성되며, 이들 제 1 지지대(320-1)와 제 2 지지대(320-2)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판(310)과 결합된다. 지지대(320-1,320-2)와 상판(310)의 결합은 경첩을 이용하는 방식이 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320-1,320-2)에는 문양(232)이 형성되며, 하단말단이 두 갈래로 갈라진 형상이 되도록 지지대 갈림홈(321)이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대(320-1,320-2)는 4개의 발이 달린 다리처럼 기능하여 안정적으로 방바닥에 안착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갈림홈(321)을 두지 않고 지지대(320-1,320-2)의 밑변을 일자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갈라진 지지대(320-1,320-2)의 말단에는 고무 부재(325)가 설치된다. 이 고무 부재(325)는 여기서, 상기 지지대(320-1,320-2)는 미끄럼 방지 또는 바닥 긁힘 방지를 위한 목적이다.

    또한, 상판(310) 상에는 독서를 위해 책 등을 얹어 놓는 경우, 흘러 내림을 방지하는 책 미끄럼 방지홀(311)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기도용 의자의 경우, 상판(310)은 일정한 경사가 있도록 지지대(320-1,320-2)와 결합된다. 따라서, 지지대(320-1,320-2)의 앞과 뒤의 높이가 차이를 갖게 된다. 부연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320-1,320-2)의 앞단쪽이 후단쪽 보다 높게 되며, 이로 인해 상판의 경사각(α)이 발생한다. 즉, 방바닥인 기준점과 비교하여 상판(310)의 뒷단이 경사각만큼 기울어지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지지대(320-1)의 끝단이 상판(310)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대(320-1)의 끝단은 이 상판(310)에 결합되기 위해 단면의 일측변이 직선인 타원형 형상의 돌기부(420)가 형성된다.

    상기 상판(310)의 양측 하단에는 상기 돌기부(420)가 삽입되어 정합되는 돌기 결합홈(410)이 형성된다. 물론, 이 돌기 결합홈(410)의 형상은 돌기부(420)의 형상과 유사한 요홈 형상이 된다.

    물론, 도 4는 지지대(320-1)가 경첩에 의해 상판(310)과 결합되어 접철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경첩에 의해 지지대(320-1)가 상판(310)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 5에 도시된다.

    이러한, 돌기부(420)와 돌기 결합홈(410)의 구조로 인해, 지지대(320-1,320-2)가 펼쳐 졌을 때, 지지대(320-1,320-20가 돌기 결합홈(410)에 꽉 끼워져 지지력이 향상되며 안정감을 주게 된다. 또한, 사용횟수가 증가하더라도 경첩의 훼손이 최소화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지지대(320-1)가 경첩에 의해 상판(310)에 결합 체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경첩(500)이 각각 상판(310)과 지지대(320-1)에 고정 체결됨으로써, 지지대(320-1)가 상판(310)에 결합된다.

    물론, 경첩(500)을 상판(310) 및/또는 지지대(320-1)의 표면에 완전히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상판(310)쪽에는 상판측 경첩 고정홈(510)이 형성되고, 지지대(320-1)쪽에는 지지대측 경첩 고정홈(520)이 형성된다.

    따라서, 경첩 고정 나사못(501)을 이용하여 경첩(500)을 상판측 경첩 고정홈(510) 및 지지대측 경첩 고정홈(520)에 밀착시켜 고정 체결한다. 이를 보여주는 도면이 부분 확대도로 좌측에 도시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판(310)에 장단지 삽입홈(600-1,600-2)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기도용 의자(300)를 깔고 앉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의 대퇴부는 상판(310) 표면에 닿고, 제 1 지지대(320-1)와 제 2 지지대(320-2) 및 상판(310)에 의해 만들어진 하단 공간에는 사용자의 장단지가 삽입된다. 이때, 장단지의 위쪽은 장단지 삽입홈(600-1,600-2)에 닿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지지대(320-1)에 록(lock;700)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지지대(320-1)의 바깥쪽 상단 측면에 록(700)이 설치되고, 상판(310)의 하단에는 록(700)과 결합하는 록 체결홈(710)이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대(320-1)를 펼친 후 이 록(700)을 이용하여 지지대(320-1)와 상판(310)의 바깥쪽을 체결하게 되므로 지지대(320-1)의 안정감을 향상시키게 된다.

    부연하면, 지지대(320-1)의 안쪽에는 경첩이 설치되고, 바깥쪽에는 록(700)이 설치되므로 지지대(320-1)가 펼쳐진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바깥쪽 및/또는 바깥쪽으로 꺾이지 않아 사용자가 앉는 경우에도 파손될 가능성이 줄어들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록(700)은 이해를 위한 것으로 다른 방식의 록(lock)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구성을 보인 일부 외관 사시도로서, 테이블의 바깥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은, 상판(810)과, 경첩(500)에 의해 상기 상판(810)의 양측 하부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대(820)를 포함한다.

    상판(810)과 지지대(820)가 결합하는 구조를 이해하기 쉽게 도시한 부분 확대도가 위쪽에 도시된다. 이 부분 확대도를 참조하면, 상판(810)의 하단에는 보강대(830)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대(830)와의 사이에 일자로 나란하게 돌기 결합홈(813)이 한 쌍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돌기 결합홈(813)의 형상은 일측 변이 직선인 타원형이 된다.

    상기 돌기 결합홈(813)과 결합되기 위해 상기 지지대(820)의 상단에는 단면의 일측변이 직선인 타원형 형상의 돌기부(823)가 형성된다. 또한, 지지대(820)에는 상기 보강대(830)를 수납하는 보강대 요홈부(830)가 형성된다.

    물론,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경첩(500)이 상판(810) 및 지지대(820)의 좌우측에 설치되며, 보강대(830) 내측으로 회전 지지바(840)가 체결 수단(예를 들면 나사못을 들 수 있음)에 의해 조립 설치된다.

    회전 지지바(840)가 설치되어 동작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 도 9에 도시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테이블을 테이블의 내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보강대(830)의 중앙에 힌지축(841)으로 회전 지지바(840)가 결합된다. 회전 지지바(840)는 힌지축(841)을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접혀있던 지지대(820)를 펴서 이 회전 지지바(840)를 중앙쪽으로 회전시키면 회전 지지바(840)가 지지대(820)를 지지하게 되므로 지지대(820)가 안쪽으로 휘는 것을 방지하여 수직선에 가깝게 직립된다.

    물론, 지지대(820)를 접는 경우 회전 지지바(84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완전히 젖히게 되면, 지지대(820)를 내측으로 접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보강대(830)와 회전 지지바(840)가 완전히 보강대 요홈부(도 8의 821)에 삽입되는 형태가 되며, 이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 8의 부분 확대도에 도시된다.

    또한, 도 8 및 도 9에서 설명한 테이블의 경우에도 지지대(820)는 하단말단이 두 갈래로 갈라진 형상이며, 갈라진 형상의 말단에 미끄럼 방지 또는 바닥 긁힘 방지를 위한 고무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7과 유사하게 상기 지지대(820)의 바깥쪽 상단에는 잠금(lock)을 위한 록이 설치되며, 상기 상판(810)의 하단에는 상기 록과 결합하는 록 체결홈이 형성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테이블의 경우 지지대(820)의 높이는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판(810)의 기울기가 없게 되므로 상판(810)은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교회 또는 집안에서 기도를 할 때 무릎을 꿇은 자세로 장시간 기도하게 됨으로써 혈액순환이 저하되어 다리가 저려지는 육체적인 고통을 해소해줄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관절염환자가 무릎을 꿇고 기도시 관절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고 기 도 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책을 읽을 때 책을 받치는 독서대 기능을 함께 발휘할 수 있는 특징과, 또한, 본 고안은 기도용 의자와 동일한 절첩식 다리를 갖는 테이블을 제공 하여 보관시 다리를 접어 부피를 줄이므로서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 이점이 있다.

    300: 기도용 의자 310,810: 상판
    311: 책 미끄럼 방지홀
    320-1: 제 1 지지대 320-2: 제 2 지지대
    321: 지지대 갈림홈 323: 문양
    325: 고무 부재
    410,813: 돌기 결합홈 420,823: 돌기부
    500: 경첩 501: 경첩 고정 나사못
    510: 상판측 경첩 고정홈 520: 지지대측 경첩 고정홈
    600-1: 제 1 장단지 삽입홈 600-2: 제 2 장단지 삽입홈
    α: 상판의 경사각
    820: 지지대
    830: 보강대 840: 회전 지지바
    841: 힌지축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