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자 겸용 기도의자

申请号 KR2020020033303 申请日 2002-11-07 公开(公告)号 KR200302801Y1 公开(公告)日 2003-01-29
申请人 김용식; 发明人 김용식;
摘要 본 고안은 기도자가 기도를 할 경우에는 의자로서의 편안한 기능을 십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기도 이외의 시간에는 액자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연출할 수 있도록 하여 기도시간의 편리함과 더불어 제품의 보관 그리고 이에 더하여 실내 장식미까지 고려한 복합적인 효과가 있는 액자 겸용 기도의자에 관한 것으로; 인체의 대퇴부를 받쳐주는 좌석판(10)과, 상기 좌석판(10)의 양측 하부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판(20)을 포함하는 액자 겸용 기도의자(100)에 있어서, 상기 좌석판(10) 위에 부여된 인쇄부(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하고; 상기 좌석판(10)의 상하면에 인체의 대퇴부 또는 종아리의 형상을 받아들여 안착시키도록 깍여진 안착홈(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权利要求
  • 인체의 대퇴부를 받쳐주는 좌석판(10)과, 상기 좌석판(10)의 양측 하부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판(20)을 포함하는 액자 겸용 기도의자(100)에 있어서,
    상기 좌석판(10) 위에 부여된 인쇄부(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겸용 기도의자(100).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판(10)의 배면 상측에 결합된 클립(1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겸용 기도의자(100).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20)의 상측에 뚫려진 횡방향 걸이용 구멍(2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겸용 기도의자(100).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20)의 상하 중심선상에 뚫려진 종방향 걸이용 구멍(2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겸용 기도의자(100).
  • 인체의 대퇴부를 받쳐주는 좌석판(10)과, 상기 좌석판(10)의 양측 하부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판(20)을 포함하는 액자 겸용 기도의자(100)에 있어서,
    상기 좌석판(10)의 상하면에 인체의 대퇴부 또는 종아리의 형상을 받아들여 안착시키도록 깍여진 안착홈(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겸용 기도의자(100).
  • 说明书全文

    액자 겸용 기도의자{CHAIR FOR PRAYER WITH THE USE OF HANGING PANEL}

    본 고안은 액자 겸용 기도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로서의 편안한 기능과 액자로서의 장식적인 기능을 함께 발휘할 수 있는 액자 겸용 기도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교의례는 그 성질상 성속(聖俗)의 분리에 중점을 두는 소극적 의례와 성속의 결합을 꾀하는 적극적 의례로 구분된다. 그 중 기도는 적극적 의례 중의 하나로서 초자연적 존재와의 교류를 목표로 이루어지는 행위라 할 수 있다.

    초자연적인 존재와 교류를 위하여 기도를 할 경우 대부분 예를 다하기 위하여 무릎을 굽힌 상태에서 기도를 하곤 한다.

    무릎을 굽힌 자세는 체중에 대한 하중이 대퇴부를 통하여 종아리 및 무릎에 그대로 전달되어 오랜 시간동안 지속될 경우 혈액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다리가 저리거나 경련이 일어나기도 한다.

    한편,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기도의자는 단지 의자로서의 기능만을 강조하여 보관이 용이하지 않고 수납하는데 어려움이 많았으며, 특히 기도자의 기도정진을 위한 특별한 의미가 없어 기도시에만 국한되어 필요되는 부수품에 지나지 않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기도자가 기도를 할 경우에는 의자로서의 편안한 기능을 십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기도 이외의 시간에는 액자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연출할 수 있도록 한 액자 겸용 기도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라 기도시의 액자 겸용 기도의자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기도시의 액자 겸용 기도의자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실내장식시의 액자 겸용 기도의자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라 벽면장식시의 액자 겸용 기도의자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라 벽면장식시의 액자 겸용 기도의자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벽면장식시의 액자 겸용 기도의자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벽면장식시의 액자 겸용 기도의자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기도시의 액자 겸용 기도의자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좌석판 11 : 인쇄부

    12 : 클립 13 : 안착홈

    20 : 지지판 21 : 횡방향 걸이용 구멍

    22 : 종방향 걸이용 구멍 30 : 경첩

    100 : 액자 겸용 기도의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인체의 대퇴부를 받쳐주는 좌석판과, 상기 좌석판의 양측 하부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판을 포함하는 액자 겸용 기도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석판 위에 부여된 인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인체의 대퇴부를 받쳐주는 좌석판과, 상기 좌석판의 양측 하부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판을 포함하는 액자 겸용 기도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석판의 상하면에 인체의 대퇴부 또는 종아리의 형상을 받아들여 안착시키도록 깍여진 안착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액자 겸용 기도의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이들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라 기도시의 액자 겸용 기도의자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기도시의 액자 겸용 기도의자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무릎을 굽힌 상태에서 미 도시된 발목부분이 지지판(20) 사이로 들어가면서 대퇴부가 좌석판(10)에 안착되는 구조로 사용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고, 도면 중 미 설명부호 30은 지지판(20)을 좌석판(10)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경첩을 지시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액자 겸용 기도의자(100)는 인체의 대퇴부를 받쳐주는 좌석판(10)을 기본으로 하고, 이 좌석판(10)의 양측 하부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판(20)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로 된 기도의자는 의자로서의 기능만이 단지 강조되어 기도 이외의 시간에는 보관 및 수납상의 어려움이 있어 왔고,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액자 겸용 기도의자(100)는 기도자의 기도정진을 위한 특별한 의미가 부여된 문자 또는 그림 등과 같은 인쇄부(11)를 좌석판(10) 위에 부여하여 순수한 의자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실내 장식용 액자로서의 기능을 함께 병합시킨 것이다.

    만약, 기도자의 기도정진을 위한 특별한 의미가 부여되지 않은 순수한 의자로서의 기도의자라면 기도 이외의 동안에는 실내의 별도 공간에 대충 정리해야만할 대상에 불과하겠지만, 기도문이나 기도그림 또는 그밖의 장식적인 인쇄부(11)가 부여된 기도의자라면 기도 이외의 기간이더라도 가능한 한 모든 사람들이 보고 즐길 수 있는 공간에 배치시켜 오히려 실내 장식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본 고안의 중추적 의미가 있다 하겠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실내장식시의 액자 겸용 기도의자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로서 가정용 선반이나 장식장 등에 지지판(20)을 약간 벌린 상태로 횡방향으로 세워놓아 액자로서의 활용상태를 보여주는 바람직한 예라 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라 벽면장식시의 액자 겸용 기도의자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라 벽면장식시의 액자 겸용 기도의자를 나타내는 배면도로서 횡방향 액자기능을 연출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벽면장식시의 액자 겸용 기도의자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벽면장식시의 액자 겸용 기도의자를 나타내는 배면도로서 종방향 액자기능을 연출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액자는 작품을 벽면에서 독립된 공간으로 부각시켜 감상자의 시선을 집중시킴과 동시에 다른 실내장식과 연관시켜 주변환경을 조화롭게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기도자의 기도문이나 기도회화 등이 표현된 인쇄부(11)에 대한 시선의 집중화를 기하고 실내의 장식미를 연출할 수 있도록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 걸이용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액자 겸용 기도의자(1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판(10)의 배면 상측에 클립(12)을 포함할 수 있고, 지지판(20)의 상측에 횡방향 걸이용 구멍(21)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20)의 상하 중심선상에 종방향 걸이용 구멍(22)을 추가할 수도 있다.

    클립(12), 횡방향 걸이용 구멍(21) 및 종방향 걸이용 구멍(22) 등은 본 고안에 따른 액자 겸용 기도의자(100)를 의자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액자로서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구성들로서 이들 구성에 대한 대체 가능한 구조, 예를 들면 고정홈이나 고정철편 등도 이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기도시의 액자 겸용 기도의자(100)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로서 인체구조학적인 면을 고려한 것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액자 겸용 기도의자(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판(10)의 상하면에 인체의 대퇴부 또는 종아리의 형상을 그대로 받아들여 안착시킬 수 있도록 안착홈(13)을 더 포함하여 장시간동안 기도를 하는 기도자의 신체구조학적인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를 들어, 무릎을 굽힌 상태에서 대퇴부와 종아리의 접촉부위는 무릎을 기준으로 발목 및 히프를 향하여 멀어질수록 더욱 넓어지면서 이격되는 공간을 유지하므로 본 고안에 따른 액자 겸용 기도의자(100)는 좌석판(10)의 상하면에 무릎을 굽힌 상태를 감안하여 인체의 대퇴부 또는 종아리의 형상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안착홈(13)을 제공하여 기도자가 기도생활을 수행함에 있어서 일조를 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액자 겸용 기도의자(100)에 의하면, 기도자가 기도를 할 경우에는 안착홈(13)의 구조를 제공하여 의자로서의 편안한 기능을 십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기도 이외의 시간에는 클립(12), 횡방향 걸이용 구멍(21) 또는 종방향 걸이용 구멍(22)을 각각 부여하여 액자로서의 기능을 충분히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도시간의 편리함과 더불어 제품의 보관 그리고 이에 더하여 실내 장식미까지 고려한 복합적인 효과가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