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효과 장치를 구비한 체감형 극장의자

申请号 KR2020040018973 申请日 2004-07-05 公开(公告)号 KR200362923Y1 公开(公告)日 2004-09-22
申请人 (주)드리맥스; 发明人 최장일; 김정욱;
摘要 본 고안은 특수효과 장치를 구비한 체감형 극장의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체감형 극장의자는 의자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의자 및 관객의 하중을 지지하며 의자를 순간적으로 일정거리 만큼 떨어뜨릴 수 있는 시트드롭(SEAT DROP) 장치와, 튜브(TUBE)와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관객의 다리 부분을 건드릴 수 있도록 고안된 레그티클링(LEG TICKLING) 장치와, 압축공기를 관객의 안면에 강하게 분사하는 페이스젯(FACE JET) 장치와, 순간적으로 소량의 물을 분사하는 워터젯(WATER JET) 장치와, 편심추를 이용하여 영상내용에 따라 관객들이 진동을 느낄 수 있도록 고안된 바이브레이터(VIBRATOR) 장치와 각 특수효과 장치들에 신호를 인가하는 효과 제어장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체감형 극장의자에 의해 영화의 장면마다 관객들에게 촉감을 제공하고 영화에서 벌어지는 것과 유사한 주위 상황을 연출하여 영화를 보는 관객들이 영화적 재미와 더불어 부가적으로 현실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재미있게 영화를 관람하고 영화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权利要求
  • 영화적 재미를 증가시키기 위해 특수효과 장치를 구비한 체감형 극장의자 시스템으로,
    주컴퓨터의 영상신호 전송에 따라 특수효과 신호를 발생시키는 각 효과 제어장치와;
    상기 효과 제어장치로부터 특수효과 발생 신호를 전송받아 시트드롭 효과를 연출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효과 제어장치로부터 특수효과 발생 신호를 전송받아 레그티클링 효과를 연출하는 효과장치와;
    상기 효과 제어장치로부터 특수효과 발생 신호를 전송받아 바이브레이터 효과를 연출하는 효과장치와;
    상기 효과 제어장치로부터 특수효과 발생 신호를 전송받아 페이스젯 효과를 연출하는 효과장치와;
    상기 효과 제어장치로부터 특수효과 발생 신호를 전송받아 워터젯 효과를 연출하는 효과장치와;
    시트를 포함하여 관객이 특수효과발생을 사전 인지하지 못하도록 상기 특수효과 발생장치를 내부에 장착한 후 마감재로 마감되어 일체화된 체감형 극장의자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시트드롭 효과 연출을 위하여 타이어형 압축공기 실린더를 사용하여 구동프레임을 접고 폄으로써 상부프레임을 들어올리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프레임.
  • 제 1항에 있어서,
    레그티클링 효과연출을 위하여 원통형 압축공기 실린더와, 작은 톱니바퀴와 휠의 회전거리비를 이용하여 튜브를 밖으로 밀어내고 고정바에 의해 미끄러짐 없이 일정한 거리를 왕복할 수 있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레그티클링 효과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바이브레이터 효과연출을 위하여 모터에 편심추을 달아 진동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바이브레이터 효과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안정적인 페이스젯과 워터젯 효과 연출을 위해 덮개와 고정판를 통해 일체화하고 관객들이 사전에 인지할 수 없도록 작은 구멍을 통하여 물방울과 공기를 분사할 수 있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젯과 워터젯 효과장치.
  • 说明书全文

    특수효과 장치를 구비한 체감형 극장의자 {Theater seats with built-in special effect devices}

    본 고안은 특수효과 장치를 구비한 체감형 극장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특수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장치를 부착한 극장식 의자를 제작하여 각 효과장치들을 영화의 각 장면에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단순히 영화만을 시청하는 것이 아니라 관객들이 전혀 예상치 못했던 영화 속 장면의 일부를 현실세계에서 연출하여 관객들의 직접적인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관객들이 보다 더 영화에 몰입하고 재미있게 영화를 관람할 수 있도록 고안된 극장의자 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영화관은 일반영화를 상영하는 개봉관, 테마파크 등 유희를 목적으로 하는 장소에서의 특수영상관, 박물관/홍보관/기업전시관에서 교육 및 홍보를 목적으로 하는 전시영상관 등으로 크게 나뉠 수 있다. 그리고 극영화, 다큐멘터리 영화를 포함하며 대부분의 영화관에서 상영되는 영화의 영화적 재미나 가치는 그 영화의 완성도 즉, 작가의 사상이 표현된 시나리오 및 기획의 수준, 배우의 연기력, 적절한 세트 및 화면구성 등에 의해서 평가 받게 되는데 대부분의 경우 인간의 오감 중 시각과 청각만을 활용해 내용을 관객들에게 전달함으로써 관객들이 영화 속의 주인공이 되어 좀 더 영화에 몰입하고 영화에 참여하고 반응하며 상호작용 할 수 있는 기회가 극히 제한되어 왔다.

    한편, 근래에 들어와서는 신호의 쌍방향 교신이 가능한 디지털 미디어의 확산과 영화산업의 중흥을 계기로 새로운 형태의 영화시장에 대한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대두되고 있다. 영화를 촬영할 때 입체촬영 장비를 사용함으로써 이차원 영상뿐 아니라 동일한 내용이지만 현실감을 보다 증강시킨 삼차원 입체영화가 동시에 개봉되기도 하고 이의 상영을 위한 전문 입체영상관도 생겨나고 있으며, 극장의 의자에 진동장치를 달아 영화 속의 중저음 사운드와 연동하여 자동 진동토록 함으로써 보다 깊은 느낌의 음향 체험을 할 수 있는 체감형 의자를 채택하는 영화관도 생겨나고 있다. 또한 제한적이긴 하지만 관객들이 현실감을 좀 더 느끼도록 하기 위하여 영상신호에 향 발생신호를 내장한 후 신호에 따라 향이 발생되도록 하여 관객들의 후각을 자극함으로써 보다 영화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또한 박물관 및 기업홍보관 등에서 방영하는 전시 및 홍보영상의 경우에도 다큐멘터리 형태의 사실전달 위주의 나열식 내용구성보다는 시나리오를 통해 입체 또는 컴퓨터 그래픽 특수 시각효과 등을 적절히 활용한 극을 구성하여 관객들이 영상에 몰입토록 함으로써 영상 관람 후 자연스레 지식이 습득될 수 있도록 영상시스템을 구성하는 사례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각과 청각에 의존하는 기존의 방식과는 다른 독특하고 다양한 체험을 원하는 현대인의 심리를 반영하여 인간의 오감 중 촉감 즉, 기분 나쁘지 않을 정도의 간단한 신체자극을 통해 관객들이 깜짝 놀라게 하거나 영상내용과 유사한 환경효과를 연출함으로써 더욱 더 재미있게 영상물을 관람하고 영화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으며, 영상물이 가지고 있는 메시지를 관객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코자 하는 노력도 다각도로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관객들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것으로써 압축공기, 물방울 및 튜브 등을 이용, 인간의 촉감을 자극할 수 있는 여러 특수효과 장치들을 의자내부에 배치하여 이러한 장치들로 하여금 관객들이 영화를 관람하는 동안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관객의 신체의 일부를 자극하게 하여 관객들의 직접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영화관람의 재미와 더불어 부가적으로 영화의 내용과 유사한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여 관객들이 보다 흥미롭게 영화를 관람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영화에 더욱 더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는 인체의 오감 중 촉감을 자극할 수 있는 간단한 장치들이 제안되어 있으며 영화의 시나리오 중 아래와 같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날 수 있는 몇 가지 상황을 설정하여 이를 관객들에게 촉감제공의 형태로 실현할 수 있는 장치를 제시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첫째, 가스 폭발 또는 총알 등 빠른 속도의 공기 흐름

    둘째, 순간적인 낙하, 떠밀림, 충격 등의 표현

    셋째, 지진, 땅의 울림, 강렬한 사운드 등 음향효과의 극대화

    넷째, 공포스러운 장면에서의 예상치 못한 신체 접촉

    다섯째, 물방울 또는 분비물, 피와 같은 액체의 튐

    특히, 상기 특수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들은 관객들이 사전에 미리 효과 발생을 눈치챌 수 없도록 철저히 숨겨져 있어야 하는 것이 효과를 통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본 전제조건이며, 장기간 반복적인 효과연출에도 일정기간 경과 후 효과발생에 전혀 변함이 없도록 내구성을 갖추는데 주안점을 두고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체감형 극장의자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체감형 극장의자의 외견 중 앞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체감형 극장의자의 외견 중 뒷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체감형 극장의자의 효과장치 배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시트드롭(SEAT DROP) 효과를 연출하기 위한 베이스프레임(BASE FRAME)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BASE FRAME)의 분리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레그티클링(LEG TICKLING) 효과를 연출하기 위한 효과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페이스젯(FACE JET) 및 워터젯(WATER JET) 효과를 연출하기 위한 효과장치의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바이브레이터(VIBRATOR) 효과를 연출하기 위한 효과장치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0 : 의자 시트(SEAT).

    401 : 팔걸이.

    402 : 베이스프레임(BASE FRAME) 마감재.

    403 : 타이어형 압축공기 실린더(CYLINDER).

    404 : 레그티클링(LEG TICLING) 효과장치.

    405 : 바이브레이터(VIBRATOR) 효과장치.

    406 : 페이스젯(FACE JET) 및 워터젯(WATER JET) 효과장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반 극장용 의자와 유사하게 관객들이 편안히 앉을 수 있도록 제작된 시트(SEAT) 부분과, 4~5명의 승객 하중을 감안 시트 전체를 들어올리고 한꺼번에 떨어뜨릴 수 있도록 고안된 시트드롭 프레임(SEAT DROP FRAME)과, 기어 회전거리비 및 소형 타이밍 벨트 장치를 이용 평소에는 숨겨져 있지만 압축공기 유입에 따라 밖으로 노출되어 관객들의 다리 부분을 이리저리 건드릴 수 있도록 고안된 레그티클링 튜브(LEG TICKLING TUBE) 장치와, 모터에 편심 회전추를 달아 관객들이 크고 작은 진동을 느낄 수 있도록 제작된 바이브레이터(VIBRATOR) 장치와, 가는 압축공기 노즐(NOZZLE) 및 공기유입량을 순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밸브를 구비한 페이스젯(FACE JET) 장치와, 소량의 물방울을 관객들의 안면에 분사하는 워터젯(WATER JET) 장�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체감형 극장의자의 효과발생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 기술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나리오에 따라 프로그래밍(PROGRAMMING)된 영상신호에 삽입된 효과발생 신호를 전송하는 주컴퓨터(100)와, 이 주컴퓨터(100)로부터 전송된 효과발생 신호에 의해 영상에 부합되는 효과를 생성하는 각 효과별 제어장치(101)를 구비하고 있다. 이 효과제어장치(101)와 주컴퓨터(100)는 통신수단에 의해 효과발생 신호를 주고받는다. 통신수단은 주컴퓨터(100)의 효과발생신호를 전송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제 1신호변환기(102)와,이 제 1신호변환기(102)로부터 전송된 전송신호를 효과발생 신호로 변환하여 각 효과제어장치(101)로 보내는 제 2신호변환기(103)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 1신호변환기(102)와 제 2신호변환기(103)는 통신선로를 통해 유선으로 효과발생 신호를 주고받게 된다. 또한 효과 제어장치(101)는 시트드롭 효과 제어장치(104)와, 레그티클링 효과 제어장치(105)와, 바이브레이터 제어장치(106)와, 페이스젯 효과 제어장치(107)와, 워터젯 효과 제어장치(108)로 이루어져 있으며 독립적인 효과 연출이 가능토록 각각 별개의 모듈(MODULE)로 구성되어 있고 각 효과제어장치(101)을 통해 발생된 효과 실행 신호는 관객 개별의자(109) 내부에 장착된 효과발생 장치(110)로 각각 전달되어 효과를 발생시키게 된다.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인 체감형 극장의자의 전면 및 후면의 외견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 2와 3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4~5명이 한 개 조로 구성되어 있는 체감형 극장의자 모습은 시트(200, 300)와, 팔걸이(201)와, 베이스프레임 마감재(202, 301)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 극장의자와 크게 달라보이지 않고 효과 발생을 위한 장치는 외부로 드러나 있지 않기 때문에 관객들이 사전에 효과발생을 눈치채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각 효과장치의 배치 및 설치위치를 개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모든 효과 장치들은 의자 하부 마감재(402) 안에 숨겨져 있거나 관객들이 내부구조를 직접 볼 수 없도록 덮개로 보호되어 있다. 관객들이 앉을 수 있는좌석 시트(400) 하부에는 타이어형 압축공기 실린더(403)의 공기 유입에 의해 시트드롭 효과를 발생시키는 구동프레임(407)과, 레크티클링 효과발생 장치(404)와, 바이브레이터 효과발생장치(405)를 구비하고 있으며 의자 후면에는 페이스젯과 워터젯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한 효과장치(406)가 배치되어 있다.

    도 5와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시트드롭장치 베이스프레임의 구조도 및 조립도이다. 도 5와 6에 따르면 베이스프레임은 크게 세부분 즉, 상부프레임(500, 600)과, 구동프레임(601)과, 하부프레임(502, 602)으로 나뉘는데 좌우로 분리된 구동프레임(601)의 중앙부분에는 타이어 형태의 압축공기 실린더(606)가 장착되어 있다. 신호에 의해 시트 및 승객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압축공기가 실린더 내에 유입되면 실린더(606)가 팽창하여 접혀져 있는 구동프레임(601)을 아래로 밀며 동시에 상부프레임(500, 600)을 들어올리게 되는데 이 때 관객들이 자신들의 몸이 들려지는 것을 전혀 눈치채지 못하도록 유량조절장치를 이용하여 1분에 5센티미터 상승하는 속도로 서서히 압축공기를 주입한다. 시트가 정점에 도착하여 압축공기 주입이 완료된 후, 영화가 진행되고 시나리오에 따라 시트드롭 효과 실행 신호가 주컴퓨터(100)에 의해 발생되면 시트드롭 효과 제어장치(104)는 실린더(606)에 공기배출 명령을 내리게 되는데 이에 따라 실린더 내부의 공기는 짧은 시간 내에 배출 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상부프레임(500, 600)은 자중 및 승객의 하중에 의해 실린더(606)의 줄어든 부피만큼 순간적으로 떨어진다. 이때 구동프레임(601)은 실린더(606)의 복원력에 의해 프레임 중앙부분에위치한 리드홀(LEAD HOLE)(609)의 축이동을 통해 중앙부분이 접히며 상승하여 빠른 시간에 시트드롭 효과가 완성되도록 돕는다. 상부프레임(500, 600)의 윗부분에는 팔걸이(505)가 부착되어 있고 아랫부분에는 바이브레이터 효과장치(504, 604)가 부착되었으며 하부프레임(502, 602)의 상단에는 레그티클링 효과장치(503, 603)가 부착되어 숨겨져 있다. 상부프레임(500, 600)과 하부프레임(502, 602)이 합판 등으로 마감되고 시트가 올려지면 관객들은 베이스프레임의 전체 구조를 알 수 없게 되므로 효과발생을 미리 인지하지 못하게 된다.

    도 6은 레그티클링 장치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효과를 발생시키는 메인튜브(708)와,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실린더 축의 직선운동을 만듦으로써 메인튜브(708) 전체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원통형 압축공기 실린더 장치(701)와, 회전거리비를 이용 실린더 축의 이동거리 보다 수배이상 증가된 값을 튜브(708)에 전달하여 주는 작은 톱니형 기어장치(703)와, 이와 일체화 되어 있는 휠(704)과, 동력을 전달하여 주는 소형 타이밍벨트(705)와, 실린더의 운동거리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며 타이밍벨트가 헛돌지 않도록 잡아주는 고정바(702)와, 상기 각 부품들을 보호하는 덮개(70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그래밍에 의해 실행 신호가 발생하면 압축공기가 실린더(701) 내부에 유입되어 실린더 축이 고정바(702)를 밀게 되며 고정바의 직선운동이 작은 톱니형 기어장치(703)를 통해 실린더의 운동거리보다 톱니바퀴(703)와 휠(704)의 회전거리비의 배수만큼 크게 베이스프레임 마감재(202)의 작은 구멍(203)을 통하여 튜브(708)를 밖으로 밀어낸다. 이 때, 튜브(708)의 내부에는 효과발생 신호와 동시에 자동적으로 압축공기가 유입되게 되며, 실린더(701) 운동에 의해 튜브(708)의 밖으로 배출된 부분은 고정이 아니고 자유로 유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압축공기의 흐름에 따라 이리저리 흔들리게 된다. 또한, 레그티클링 장치가 숨겨진 부분이 관객의 무릎 바로 아래쪽이기 때문에 효과가 발생되면 관객들은 쥐 또는 다른 생물체가 다리사이를 지나다니거나 다리를 기어오르는 체험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 7에는 의자의 뒤 판에 부착하여 페이스젯 효과와 워터젯 효과를 발생시키는 장치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며 압축공기 분사노즐(801)과, 물 분사노즐(802)과, 물의 유량을 제어하는 밸브(803)와, 물과 공기의 유입통로인 튜브(807, 808)와, 연결 피팅(804, 805)와, 압축공기 분사노즐(801)과 물 분사노즐(802)이 흔들림이 없도록 고정시켜 주는 고정판(806)과, 각 노즐을 보호하며 관객들의 시야에서 감추기 위한 덮개(80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페이스젯 효과발생 신호가 인가되면 튜브(807)을 따라 압축공기가 유입되며 짧은 시간 동안 압축공기 분사노즐(801)을 통해 관객들의 안면을 향하여 강하게 공기가 분사된다. 또한 워터젯 명령에 의해 튜브(808)을 따라 유입된 물은 유량제어밸브(803)의 순간적인 통로 개폐에 따라 페이스젯과 마찬가지로 관객들의 안면을 향해 소량의 물방울을 분사하게 된다. 이 때, 분사되는 압축공기와 물은 덮개(800)의 상부 좁은 구멍(809)을 통해 빠져나오게 되므로 관객들은 어느 장소에서 효과가 발생했는지 알 수 없게 된다.

    도 8에는 바이브레이터 효과장치의 구조도로서 소형 디씨모터(DC MOTOR)와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사각기둥 형태의 편심추(901)와, 효과장치를 베이스프레임에 부착시키기 위한 연결판(90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해 바이브레이터 효과발생 신호가 인가되면 편심추(901)가 빠른 속도로 회전하며 원심력 및 무게중심 이동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킨다. 또한 상황에 따라서는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디씨 모터(DC MOTOR)를 채택하여 진동의 강약을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의 설명에 의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이탈하지 않은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특수효과 장치를 구비한 체감형 극장의자 시스템은 영화의 각 장면에 부합되는 특수효과를 자유로이 연출하는 것이 가능하여 기존의 시각과 청각 뿐만 아니라 촉감을 이용하여서도 관객들이 현실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관객들은 영화의 장면에서처럼 바닥이 꺼지며 떨어진다든지 총알이 눈앞으로 다가오는 느낌을 영화에서는 표현이 불가능한 체감 연출을 통하여 영화적 재미와 더불어 부가적으로 누릴 수 있으므로 관객들이 영화의 내용에 훨씬 더 몰입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관객들에게 기록영화에서처럼 메시지 전달을 강요하지 않아도 관객들이 영화에 더 몰입할 수 있으므로 자연스럽게 교훈을 전달할 수 있어 교육적 효과가 배가된다. 더욱이, 본 고안에 채택된 특수효과 장치들은 대부분의 영화에서 굳이 발생될 효과를 고려하여 시나리오를 제작하지 않는다고 하여도 대부분의 영화에서 한 번 이상 발생 가능한 상황을 감안하여 고안된 효과 장치들로써 범용성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영화가 바뀌어도 간단한 프로그래밍 작업을 통하여 새로운 영화에 대한 효과연출이 가능하므로 지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타 극장 또는 전시관과의 차별화를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