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선용 자세보정기

申请号 KR2019990026388 申请日 1999-11-29 公开(公告)号 KR200178627Y1 公开(公告)日 2000-04-15
申请人 김병문; 发明人 김병문;
摘要 본 고안은 좌선용 자세 보정기에 관한 것이며 본원 소유의 실용신안등록제 153620호 좌선용 자세보정기를 개량하여 구조를 간단히 하여 착용과 휴대를 간편히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허리조임밸트와 좌판밸트부를 구분하여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면서 허리조임밸트에 허리받침판을 탈 부착할 수 있도록하며, 허리조임밸트를 구성하는 허리조임 밴드와 연결밴드를 연결편과 결합편으로 결합하고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그 구조가 간단하여 휴대가 간편하고 착용이 편리하여 좌선을 하기위한 가부좌를 취할 때 자세를 바르게하고 신체의 불균형을 예방하므로서 자세를 바르게 유지하기 위한 고통과 체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权利要求
  • 요입부 벨크로테이프(2a)를 구비한 허리받침판 부착밴드(2) 양측의 연결편 (3)에는 조절밴드(4)를 조절편(4a)으로 연결하고 조절밴드(4)의 일연에는 결합구 (5)를 연결하고, 결합편(9)의 중공관(9a)을 끼운 연결밴드(7) 양측으로 구성한 연결구(8)를 결합구(5)에 결합하여 허리조임밸트(1)를 구비하고, 동허리조임밸트(1)의 허리받침판연결밴드(2)에는 허리받침판(6) 후방의 연결편(6a) 내측에 형성한 요철부 벨크로테이프(10)를 탈부착이 이루어지게하고 동허리 받침판(6) 전면의 요입부 벨크로테이프(11)에는 쿳션재(12)에 형성한 요철부 벨크로테이프(12a)와 탈부착이 이루어지게 하며, 좌판밸트(20)를 구성하는 좌판밴드(21)에서 연장된 밴드(22) 선단의 연결구 (22)를 허리조임 밸트(1)의 결합구(9)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좌선용 자세보정기(독립항)
  • 제1항에 있어서
    허리조임밸트(1)의 허리받침판(6)에 연결밴드(42)를 조절편(41)으로 연결한 결합구(43)에 연결밴드(30) 일방의 연결구(32)로 결합하고, 타단의 연결구(33)를 전방의 결합구(9)에 결합 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조절용 자세 보정기(종속항)
  • 说明书全文

    좌선용 자세보정기 { A posture compensator for sitting in meditation }

    본 고안은 좌선용 자세 보정기에 관한 것이며 불교계에서 수도승이 좌선을 하거나 일반인이 명상 또는 단전호흡을 위하여 가부좌시에 자세를 정확하고 바른 자세를 유지하여 장 시간을 보낼 때 자세유지를 위한 체력소모와 고통을 줄일 수 있는 좌선용 자세 보정기에 관한 것이다.

    가부좌 자세는 다리를 접는 법에 따라 결가부좌와 반가부좌로 나누는데 우선 결과부좌란 앉은 후 오른손과 왼손을 사용하여 오른발을 들어 왼쪽 허벅지 위에 얹고 왼쪽발을 들어 오른쪽 허벅지에 얹어 양무릎을 바닥에 닿게 하고 허리를 펴 몸의 중심이 양쪽 무릎과 척량골(척추와 골반을 잇는 뼈)을 연결할 때 이루어지는 정삼각형의 중심에 오도록 하는 자세이고, 반가부좌는 한쪽 다리를 접어 발뒤꿈치가 외음부 옆에 닿게하고 그 위에 다른 한쪽 다리를 접어 발뒤꿈치가 반대쪽 옆에 오도록 하여 상하로 발목을 교차시키고 양 무릎이 바닦에 닿게하고 허리를 펴 몸의 중심이 양쪽 무릎과 척량골을 연결할 때 이루어지는 정삼각형의 중심에 오도록 하는 자세이다.

    종래에는 책상과의 접하는 시간이 많은 학생이나 사무원들의 경우 허리 보조를 위한 요대나 허리교정을 위한 교정기등이 여러가지 알려져 있으나 단전호흡 또는 명상이나 수도승이 좌선을 하기 위하여 위와 같은 가부좌 자세를 취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가부좌에서 선택하는 가부좌의 자세를 취할 때 단련이 되지 않은 경우 장시간 유지하는데는 다리는 앞으로 펴지고 허리는 뒤로 밀리면서 상체가 앞으로 굽어지게 되는 등 자세가 쉽게 흐트러지게 되어 바른자세를 유지하는데는 고통과 체력 소모가 심하게 되는 폐단이 있어 이를 해소하고자 자세의 흐트러짐 없이 장시간 유지하는데 보조하여주는 좌선용 자세보정기를 본원이 고안하여 실용신안등록제153620호로 권리를 취득한 바 있으나 이는 어깨밴드, 하복부조절밸트, 허리조절밸트, 좌판부를 구분하여 각 구비하여 각 결합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착용시 번거로움은 물론 휴대가 불편한 결점이 있어 왔다.

    이에 본 고안은 본원의 실용신안등록제163520호 좌선용 자세보정기를 개량하여 구조를 간단히하고 착용을 편리하게 하며 휴대를 간편히 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허리교정밴드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

    도5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배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허리조임밸트 2 : 허리받침판 부착밴드

    2a,11 : 요입부 벨크로테이프 3 : 연결편

    4a,41 : 조절편 5,9,43 : 결합구

    6 : 허리받침판 6a : 연결편

    7,30,42 : 연결밴드 8,23,32,33 : 연결구

    10,12a : 요철부 벨크로테이프 12 : 쿳션재

    20 : 좌판밸트 21 : 좌판밴드

    22 : 밴드

    요입부 벨크로테이프(2a)를 구비한 허리받침판 부착밴드(2) 양측의 연결편 (3)에는 조절밴드(4)를 조절편(4a)으로 연결하고 조절밴드(4)의 일연에는 결합구 (5)를 연결하고, 결합편(9)의 중공관(9a)을 끼운 연결밴드(7) 양측으로 구성한 연결구(8)를 결합하여 허리조임밸트(1)를 구비하고, 동허리조임밸트(1)의 허리받침판연결밴드(2)에는 허리받침판(6) 후방의 연결편(6a) 내측에 형성한 요철부 벨크로테이프(10)를 탈부착이 이루어지게하고, 동허리받침판(6) 전면의 요입부 벨크로테이프 (11)에는 쿳션재(12)에 형성한 요철부 벨크로테이프(12a)와 탈부착이 이루어지게 하며, 좌판밸트(20)를 구성하는 좌판밴드(21)에서 연장된 밴드(22) 선단의 연결구 (22)를 허리조임 밸트(1)의 결합구(9)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또 도2와 같이 허리조임밸트(1)의 허리받침판(6)에 연결밴드(42)를 조절편 (41)으로 연결한 결합구(43)에 연결밴드(30) 일방의 연결구(32)로 결합하고 타단의 연결구(33)를 전방의 결합구(9)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100은 좌판을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이용하여 수도승이 수도를 위한 가부좌를 하거나 일반인이 단전호흡을 위한 가부좌 자세를 취하고자 할 때에는 허리조임밸트(1)의 허리받침판부착밴드(2)에 허리받침판(6)후방의 연결편(6a)을 씌워 연결편(6a)의 요철부 벨크로테이프(10)를 허리받침판 부착밴드(2)의 요입부 벨크로테이프(2a)와 접착시켜 고정이 이루어지게 하고, 허리받침판(6)의 요입부 벨크로테이프(11)에 쿳션재 (12)의 요철부벨크로테이프(12a)를 결합시키고 허리받침판(6)이 척추의 허리부에 위치되도록 착용하고, 조절편(4a)으로 조절밴드(4)의 길이를 조정해 결합구(5)를 사용자의 옆구리(골반 뼈) 앞쪽에 위치시키고 연결구(8)를 결합하여 허리조임밸트 (1)를 착용하고, 좌판밴드(21)위에 앉아 가부좌 자세를 취한 다음 좌판밴드(21)에서 연장된 밴드(22)의 연결편(23)을 허� �조임밸트(1)의 연결밴드(7)에 끼워진 결합편(9)과 결합하고, 연장된 밴드(22)의 길이를 조절하여 허리조임밸트(1)와 좌판밸트 (20)의 조임상태를 조정하면 가부좌의 상태를 보좌하게 되는 것이다.

    즉 허리조임밸트(1)의 허리받침판(6)은 사용자의 허리가 후방으로 밀려 굽지 않도록 세우고 받혀주는 기능을 보강하게 되고 좌판밴드(21)에는 사용자의 체중이 실려 고정된 상태에서 허리조임밸트(1)와 좌판밸트(20)의 결합으로 허리조임밸트 (1)에 연결된 밴드(22)가 당김상태가 되어 사용자의 다리가 앞으로 밀려나가지 않도록 당겨주게 되므로 좌선상태의 인체를 바르게 유지시킬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명상 또는 단전호흡을 위하여 가부좌 자세를 취할 때 사용자의 다리가 좌선 상태에서 앞으로 밀려나올려고 작용되는 힘과 허리부의 척추가 뒤로 밀려나가려고 작용되는 힘이 상호 역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을 허리조임밸트(1)와 좌판 밸트(20)간에 연결되는 연장부밴드(22)가 잡아 자세를 바르게 유지하여 주게 되므로서 사용자가 좌선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통에서 해방되고 체력소모를 줄이게 되므로서 장시간을 바른자세로 좌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좌선을 완료한 후에는 좌판밸트(20)에서 연장된 밴드(22)의 연결편(23)을 허리조임 밸트(1)의 결합편(9)에서 분리시키고 좌판밸트(20) 없이 허리조임밸트(1)만 착용하게 되더라도 허리받침판(6)이 허리부의 척추를 받혀주는 기능을 갖게 되고

    또 허리조임밸트(1)의 허리받침판(6)에 연결밴드(42)를 조절편(41)으로 결합하고 하방으로 위치한 결합구(43)에 연결밴드(30) 일방의 연결구(32)를 결합하고, 연결밴드(30)을 다리사이에서 앞쪽으로 당겨내어 앉은 자세를 취한 후 허리조임밴드(1) 앞 부분에 위치한 결합구(9)에 여결구(33)를 결합하여 길이를 조정하면 체중과 관계없이 밴드로 당겨주므로 체중을 움직이면서 더 강하게 당길수 있어 요가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고 활동시에는 연결밴드(30)만 분리하여 휴대할 수 있게 되므로 편리하게 된다.

    또 좌판 밴드(21)위에 휘지 않는 좌판(100)을 깔고 발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두고 앉아 허리조임밸트(1)의 결합구(9)와 좌판밴드(20)의 연결편(32)을 결합해 조절하면 다리와 관계없이 허리와 좌판이 서로 당겨주므로 다리가 불편하거나 허리가 불편한 디스크 환자등의 경우의 좌선시에도 통증을 완화시키게 된다.

    또 책상과 접하는 시간이 많은 학생이나 사무원들의 경우 의자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 허리받침판(6)과 결합되는 연결밴드(42)를 의자 하방의 지지대에 결합하면 앉은 자세에서 허리조임밸트(1)가 허리받침판(6)을 전방으로 당겨 주게되어 허리부위가 후방으로 밀리지 않고 바른자세로 장시간을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인체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혈액순환등을 원활히 할 수 있게 되므로 학업이나 업무에 장시간을 몰입할 수 있게 된다.

    또 허리조임밸트(1)를 구성하는 연결밴드(7)에 결합편(9)을 연결하는 중공관 (9a) 대용으로 코일상태의 스프링을 이용하여 연결밴드(7)에 결합편(9)을 연결할 수도 있게 된다.

    또 허리조임밸트(1)에 부착시킨 허리받침판(6)을 떼어내면 허리조임밸트(1)를 허리띠로 겸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또 허리조임밸트(1), 허리받침판(6), 좌판밸트 (20)를 분리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휴대가 간편하고 착용이 편리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그 구조가 간단하여 휴대가 간편하고 착용이 편리하여 좌선을 위한 가부좌 자세를 취할 때 자세를 바르게 보조하고 교정하여 신체의 불균형을 예방하므로 자세유지를 위한 고통과 체력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되며 가부좌 상태로 장시간을 유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