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정 복합 체어

申请号 KR2020150008631 申请日 2015-12-30 公开(公告)号 KR200480594Y1 公开(公告)日 2016-06-13
申请人 문보영; 发明人 문보영;
摘要 교정복합체어가개시된다. 교정복합체어는, 등받이부에설치되어사용자의후두부부분을지지하는후두지지부와, 등받이부의측면에돌출되며삽입부가형성된돌출프레임과, 돌출프레임에일측이회전가능하게설치되어삽입부에선택적으로삽입또는회전인출되며회전인출된상태에서사용자의목 부분에위치하는걸림지지부와, 등받이부에설치되어착석상태의사용자에게진동을부여하는제1 진동기를포함한다.
权利要求
  • 등받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후두부 부분을 지지하는 후두 지지부; 상기 등받이부의 측면에 돌출되며 삽입부가 형성된 돌출 프레임; 상기 돌출 프레임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삽입부에 선택적으로 삽입 또는 회전 인출되며, 회전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목 부분에 위치하는 걸림 지지부; 상기 등받이부 또는 후두 지지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기를 포함하는 교정 복합 체어에 있어서,
    상기 진동기는,
    상기 등받이부에 설치되어 착석 상태의 사용자에게 진동을 부여하는 제1 진동기와, 상기 후두 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후두부 부분에 진동을 부여하는 제2 진동기를 포함하되,
    상기 등받이부에는 상기 후두 지지부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머리부를 지지하는 보조 지지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등받이부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등부분에 접촉되도록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에어 쿠션부와, 상기 에어 쿠션부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펌프를 포함하고,
    시트부 또는 상기 등받이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발열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와 상기 진동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교정 복합 체어.
  • 삭제
  • 삭제
  • 삭제
  • 说明书全文

    교정 복합 체어{CORRECTION COMPLEX CHAIR}

    본 고안은 자세 교정과 안마 기능의 구현이 가능한 교정 복합 체어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현대인들은 매우 바쁜 업무, 학업 등으로 인한 좌식생활이 길어지면서 의자와 함께하는 시간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활동성이 떨어져 심혈관질환, 당뇨병, 비만 등 심각한 질환에 노출될 수 있으며, 좌식생활 중 잘못된 자세로 장시간 착석할 경우 각종 척추질환에 노출될 수 있다.

    특히 대부분의 아이가 초등학교에 입학한 후 45분간의 수업시간 동안 의자에 앉아 있어야 하며, 각종 과제의 수행 및 구조화된 학교 시스템에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 경우에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증상을 보이는아이는 심각한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성인들의 경우에서도 반복적인 다리 떨기와 자세변화 등의 산만한 행동에 따라 집중력이 떨어지나, 이를 스스로 인지하여 교정하기에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

    아울러, 장시간 의자에 앉아 있는 경우, 거북목 현상과 같이 목과 어깨 부분의 과도한 긴장에 의해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비정상적인 체형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5-0063978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스트레스의 해소 및 체형의 교정이 가능한 교정 복합 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등받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후두부 부분을 지지하는 후두 지지부와, 등받이부의 측면에 돌출되며 삽입부가 형성된 돌출 프레임과, 돌출 프레임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삽입부에 선택적으로 삽입 또는 회전 인출되며 회전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목 부분에 위치하는 걸림 지지부와, 등받이부에 설치되어 착석 상태의 사용자에게 진동을 부여하는 제1 진동기를 포함한다.

    후두 지지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후두부 부분에 진동을 부여하는 제2 진동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등받이부에는 후두 지지부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머리부를 지지하는 보조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등받이부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등부분에 접촉되도록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에어 쿠션부와, 에어 쿠션부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부 또는 등받이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발열되는 가열부와, 가열부와 진동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등받이부를 뒤로 젖혀 회전시키는 경우, 걸림 지지부에 의해 목부분이 자연스럽게 견인되는 바, 사용자의 경추, 흉추, 요추 등이 스트레칭되어 긴장 상태가 완화되고 바른 체령 교정이 가능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기를 작동하여 후두부와 어깨 또는 등부분에 적절한 진동을 부여하여 안마를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여, 착석한 사용자의 피로 경감 작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정 복합 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교정 복합 체어에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돌출 프레임에 걸림 지지부가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걸림 지지부가 돌출 프레임에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정 복합 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교정 복합 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교정 복합 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교정 복합 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교정 복합 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정 복합 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교정 복합 체어에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정 복합 체어(100)는, 등받이부(13)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후두부 부분을 지지하는 후두 지지부(20)와, 등받이부(13)에 돌출되며 삽입부(31)가 형성된 돌출 프레임(30)과, 돌출 프레임(30)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삽입부(31)에 선택적으로 삽입 또는 회전 인출되며, 회전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목 부분에 위치하는 걸림 지지부(40)와, 등받이부(13)의 측면에 설치되어 착석 상태의 사용자에게 진동을 부여하는 제1 진동기(51)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시트부(11)와, 시트부(11)의 상측으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등받이부(13)를 포함하는 의자(10)에 적용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의자의 등받이부(13)에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후두 지지부(20)가 설치될 수 있다.

    후두 지지부(20)는 등받이부(13)의 상측에 돌출되어 사용자의 머리 후두부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후두 지지부(20)는 등받이부(13)의 상측에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머리 후두부와 목 부분의 사이 부분을 접촉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후두 지지부(20)는 사용자가 등받이부(13)에 등부분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후두부가 자연스럽게 접촉되도록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후두 지지부(20)는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등받이부(13)에 등부분을 밀착시킨 상태로 등받이부(13)에 상체를 기대는 경우, 등받이부(13)가 사용자의 상체 체중에 의해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에서 후두부와 목 부분의 사이 위치를 안정적으로 접촉 지지할 수 있다.

    후두 지지부(20)는 사용자의 후두부와 접촉되는 과정에서 안락감을 부여하도록 쿠션 기능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등받이부(13)의 측면에는 돌출 프레임(30)이 설치될 수 있다.

    돌출 프레임(30)의 등받이부(13)의 측면에서 의자의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 프레임(30)이 설치되는 것은,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체형 교정을 위한 걸림 지지부(40)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돌출 프레임(30)은 일측은 등받이부(13)의 측면에 연결되고 타측은 등받이부(13)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부(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부(31)에는 걸림 지지부(4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돌출 프레임에 걸림 지지부가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걸림 지지부가 돌출 프레임에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지지부(40)는 삽입부(31)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측이 돌출 프레임(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걸림 지지부(40)의 일부분을 파지한 상태에서 삽입부(31)로부터 인출하는 경우, 걸림 지지부(40)는 사용자의 목 부분을 전방에서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 지지부(40)를 돌출 프레임(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착석한 사용자의 목 부분을 일정 압력 범위 내에서 등받이 방향으로 걸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한 바, 목 부분의 비정상 체형을 바르게 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목 부분의 비정상 자세를 바르게 하여 의자에 장시간 착석한 상태에서 목 부분에 가해지는 긴장 상태를 완화하는 것이 가능하여, 피로 상태의 적절한 해소 작용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등받이부(13)를 뒤로 젖혀 회전시키는 경우, 걸림 지지부(40)에 의해 목부분이 자연스럽게 견인되는 바, 사용자의 경추, 흉추, 요추 등이 스트레칭되어 긴장 상태가 완화되고 바른 체형 교정이 가능하다.

    한편, 의자에는 착석한 사용자의 피로 회복을 위한 진동기(50)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진동기(50)는, 등받이부(13)에 설치되어 착석 상태의 사용자에게 진동을 부여하는 제1 진동기(51)와, 후두 지지부(2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후두부 부분에 진동을 부여하는 제2 진동기(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진동기(51)는 등받이부(13)의 상측 즉, 착석한 사용자의 어깨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어깨 부분에 적절한 진동을 부여할 수 있다.

    제1 진동기(51)는 본 실시예에서 등받이부(13)에 2개로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제1 진동기(51)는 2개로 설치되는 것을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 또는 3개를 초과하여 복수개의 열과 행을 이루면서 등받이부(13)의 전체 면적에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진동기(51)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정된 시간 동안 설정된 압력을 사용자에게 가하도록 자동 제어될 수 있다. 제1 진동기(51)는 본 실시예에서 고정 장착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최초 설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진동기(53)는 후두 지지부(2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후두부 부분에 진동을 부여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2 진동기(53)는 후두 지지부(20)에 복수개로 설치되어 사용자의 후두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후두부에 적절한 진동을 부여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진동기(53)는 제1 진동기(51)의 작동과 동시에 작동되거나, 독립적으로 작동 또는 교번 작동되어 후두부 부분에 진동을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진동기(50)는 제1 진동기(51) 및 제2 진동기(53)에 의해 사용자의 어깨 또는 후두부 부분에 적절한 진동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여,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체형 교정 기능과 더불어 안마 기능에 의해 피로감의 적절한 해소가 가능하다.

    한편, 등받이부(13)에는 후두 지지부(2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머리부를 지지하는 보조 지지부(60)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보조 지지부(60)는 후두 지지부(20)의 상측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머리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보조 지지부(60)는 등받이부(13)의 상측에서 돌출된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신체 크기에 대응하여 돌출된 길이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등받이부(13)는 사용자가 착석한 방향으로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착석한 상태에서 척추 부분이 등받이부(13)의 라운드 형상의 돌출 부분에 의해 적절하게 이완 및 자세 교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교정 복합 체어(100)는,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걸림 지지부(4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목부분을 전방에서 걸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등받이부(13)에 기대어 착석한 상태에서 목부분을 걸림 지지부(40)를 이용하여 바르게 걸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바른 체형 교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진동기(50)를 작동하여 후두부와 어깨 또는 등부분에 적절한 진동을 부여하여 안마를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여, 착석한 사용자의 피로 경감 작용도 함께 가능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정 복합 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정 복합 체어(200)는, 시트부(11) 또는 등받이부(13)의 적어도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발열되는 가열부(110)와, 가열부(110)와 진동기(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가열부(110)는 후두 지지부(20) 또는 등받이부(13)에 설치되어.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후두부 또는 등부분에 접촉된 상태로 적절한 온도로 발열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기(50)를 이용한 안마 기능과 함께 가열부(110)의 가열 작동에 의한 찜질 기능을 함께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120)는, 가열부(110)를 설정된 시간에 적절하게 작동 제어하는 것으로서, 복수개의 작동 버튼을 포함하는 제어 패널로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본 실시예에서 가열부(11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작동 제어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무선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교정 복합 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교정 복합 체어(300)는,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를 센싱하는 압력 센서(210)와, 압력 센서(210)의 센싱 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의 기호에 대응하는 음향을 송출하는 음향 송출부(230)를 포함한다.

    압력 센서(210)는 의자의 시트부(11) 또는 등받이부(13)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체중에 의한 압력 변화를 센싱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음향 송출부(230)는 압력 센서(210)의 센싱 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로 확인되면 기설정된 음악 등을 송출하여, 사용자에게 편안한 사용감을 부여하도록 할 수 있다. 음향 송출부(230)는 등받이부(13) 등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스피커로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교정 복합 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교정 복합 체어(400)는,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를 센싱하는 압력 센서(210)와, 압력 센서(210)의 센싱 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의 기호에 대응하는 향을 발산하는 향 발산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센서(210)는 의자의 시트부(11) 또는 등받이부(13)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체중에 의한 압력 변화를 센싱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향 발산부(310)는 압력 센서(210)의 센싱 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로 확인되면 기설정된 향을 발산하여, 사용자에게 편안한 사용감을 부여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교정 복합 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교정 복합 체어(500)는, 등받이부(13)에 에어 쿠션부(410)가 설치된다.

    에어 쿠션부(410)는 등받이부(13)를 뒤로 젖혀 회전시키는 경우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되도록 할 수 있다. 에어 쿠션부(410)의 에어의 주입은 등받이부(13)를 젖히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에어 펌프(411)를 이용하여 에어의 주입이 가능하다. 물론 사용자의 에어 펌프 조작에 의해 에어가 주입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등받이부(13)의 회전을 센싱하는 센서(미도시)에 의해 에어의 주입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에어 쿠션부(410)가 팽창되면 사용자의 몸이 등받이부(13)의 하방향으로 부드럽게 내려가는 것이 가능하여, 걸림 지지부(40)에 의한 견인 작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교정 복합 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교정 복합 체어(500)의 걸림 지지부(540)는 견인 밴드로 설치된다. 이하에서 걸림 지지부는 견인 밴드와 동일 참조 번호 540을 사용한다.

    견인 밴드(540)는 사용자가 등받이부(13)를 젖혀 회전시키는 경우 목 부분을 견인하여 사용자의 경추, 흉추, 요추 등이 스트레칭되도록 하는 바, 긴장 상태가 완화되고 바른 체형 교정이 가능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견인 밴드(540)는 벨트로부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고정 덕끈 형태로 일체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의자 11...시트부
    13...등받이부 20...후드 지지부
    30...돌출 프레임 31...삽입부
    40...걸림 지지부 50...진동기
    51...제1 진동기 53...제2 진동기
    60...보조 지지부 110..가열부
    120..제어부 210..압력 센서
    230..음향 송출부 310..향 발산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