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대 가방

申请号 KR1020100000790 申请日 2010-01-06 公开(公告)号 KR1020110080525A 公开(公告)日 2011-07-13
申请人 최용석; 发明人 최용석;
摘要 PURPOSE: A reading stand bag is provided to be used a reading stand by installing an angle control unit between an upper cover and a lower cover. CONSTITUTION: A reading stand bag comprises a support leg and a jaw. The support leg(300) is rotationally installed on the inside of one of an upper cover(100) or a lower cover(200). A secondary support leg(302) is drawn from the support leg and can be connected to the support leg. A bonding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end of the secondary support leg be combined. The jaw(102)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ver.
权利要求
  •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서로 접히게 연결되고 접혔을 때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가방;
    상기 상부커버 또는 하부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한 쪽 커버의 내측에는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다리는 어느 한 쪽의 커버만을 세워지도록 지지함으로써 독서대로 사용할 수 있게 하거나,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 모두를 펼쳐지도록 지지함으로써 간이책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가방 .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는 길이연장이 가능한 안테나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가방.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는
    일측 지지다리에서 인출되어서 타측 지지다리와 연결될 수 있는 보조지지다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가방.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는
    상기 보조지지다리의 끝단이 결합 될 수 있도록 일 측에 형성된 결합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가방.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는,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커버 또는 하부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한 쪽 커버의 내측에 레일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된 레일결합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가방.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 또는 하부커버 중 상기 지지다리가 설치된 커버와 대응하는 커버의 내측에는,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다리의 끝단이 지지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가방.



  • 说明书全文

    독서대 가방 {Storage bag for use with a reading desk}

    본 발명은 도서와 학습도구를 수납하고 휴대할 수 있는 가방과 독서를 하거나 노트북으로 작업을 할 때 바른 자세에서 독서와 작업을 할 수 있게 하는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휴대와 빠른 사용을 위해 가방과 독서대를 일체로 구성하여 휴대와 사용이 편리한 독서대 가방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

    일반적으로 가방은 필요한 물품을 수납하고 휴대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독서대는 학습자가 독서 할 때 올바른 자세로 피로하지 않게 장시간 독서와 학습를 할 수 있게 하며, 책상의 공간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도 사용되는 물품이다.

    두 물품 모두 주로 학습이나 독서를 위해 필요한 물품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통상 책상에서 독서를 하는 경우를 보자면 평면의 책상면 위에 도서를 그대로 펼쳐놓고 독서를 하는 모습을 많이 볼 수 있는데, 이러한 독서 방법은 학습자가 목을 숙이거나 허리를 구부린 상태를 유지해야 독서가 가능하기 때문에 올바른 독서법이 아닌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흔히 볼 수 있는 독서법으로는 학습자가 직접 도서의 하단을 책상면에 지지하고 도서의 양쪽을 손으로 잡고 독서를 하는 법이다. 이러한 독서법은 학습자가 독서 하기에 편한 상태로 도서의 기울기를 조절하며 독서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도서의 크기와 무게에 따라 학습자의 두 손이 피로감을 느끼고 독서와 학습시간 내내 두 손이 자유롭지 못한 큰 단점이 있다.

    이상과 같은 독서 방법과 자세 때문에 학습자들은 시력저하, 손저림, 학습능률저하는 물론 독서중에 필기가 어렵고 한정된 책상공간에서 도서가 차지하는 비중이높아 학습에 필요한 소품을 모두 꺼내어 사용할 수 없는 불편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책상과는 별도로 독서 보조 수단으로서 독서대를 널리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독서대는 이미 다양한 크기로 제조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가방에 수납하여 이동 사용 정도의 크기로 제조되고 있지만, 이동하여 수업할 경우 별도로 챙겨 가방에 넣어야 하고 분실과 파손의 위험이 있다.

    더구나 대부분의 독서대는 이동을 염두하지 아니하고 가방과는 별도의 설계에 의해 휴대하기 부담스러운 부피와 무게로 제작되어서 사용자에게 무게로 인한 부담과 수납의 한계로 어려움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독서대는 사용을 위해서 도서 거치대를 세우는 등의 조립 과정이 필요한데 사용시마다 이뤄져야 하는 잦은 조립과 분해과정을 거치게 되면서 독서대의 사용수명이 짧아지는 단점도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사용자가 이동해서 학습을 할 경우 독서대 사용을 위해서는 가방과 독서대를 각각 챙겨야 하는 수고가 있고, 각각이 분리된 형태로 사용되기 때문에 분실의 위험이 있는 것은 물론, 독서대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독서대를 조립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독서대의 잦은 조립과 분해 작업으로 인하여 독서대의 사용수명이 짧아지는 단점도 있다.

    그리고 종래 독서대는 그 크기와 무게가 크고 무거우며 신속히 조립할 수 있는 구성이 아니며 휴대를 위해 일반 가방에 학습물품과 같이 수납할 때에는 수납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무거워서 휴대하고 이동하여 사용하기에 많이 부적합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가방 본체를 이루는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서로 포개지면서 소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커버가 바닥에 놓이고 상기 상부커버 또는 하부커버에 설치된 각도조절수단이 형성되어서 두 면부재 사이를 지지하도록 하여 상기 상부커버가 기울기를 가지는 경사면이 되도록 한다.

    경사를 이루는 상기 상부커버 위에는 도서를 거치하여 가방 본체를 이루는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를 이용하여 독서대로 사용할 수 있게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기술중 상기 각도조절 수단이 상기 면부재와 결합되는 결합위치에 레일이동이 가능한 레일결합부를 제안한다. 상기 레일결합부는 사용자가 가장 편안한 상태에서 독서를 할 수 있는 기울기 설정을 위하여 도서를 거치한 상기 상부커버의 기울기를 상기 각도조절수단의 고정축이 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며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에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이 지지되는 위치에는 다수의 걸림턱이 형성되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이 걸림턱에 지지되는 위치에 따라서 상기 상부커버의 기울기가 달라지는 것으로 독서대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방 본체를 이루는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을 서로 포개질 수 있도록 힌지방식으로 연결되어서 서로 포개졌을 때 내부의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학습에 필요한 소품들을 수납할 수 있는 가방에,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 사이를 지지하는 각도조절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상부커버 위에 도서를 거치하여 독서대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한 면부재에 내장되어서 별도로 독서대를 챙기지 않아도 학습물품과 도서의 휴대를 위해 사용하는 가방을 그대로 즉시 독서대로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종래 별도로 챙겨야 했던 독서대는 분실의 위험과 과중한 무게로 인하여 어려움이 있어왔는데 본 발명의 독서대 가방은 학습물품과 도서를 휴대하기 위한 사용하는 가방의 본체를 독서대로 사용할 수 있어 별도로 독서대를 챙겨야하는 번거로움과 분실의 위험을 해결함과 동시에 휴대와 설치의 편리성이 높고 각도조절수단 만으로 독서대가 구성됨으로 경량화와 사용편리성이 높은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한편 본 발명의 독서대 가방은 레일결합부와 다수의 걸림턱이 구비되어 도서를 거치하는 상기 상부커버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가장 편안하고 올바른 자세에서 독서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학습에 필요한 물품과 도서를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로 이루어진 가방에 수납하고 이동하다가 독서대가 마련되어 있지 않거나 책걸상이 부족한 강습소, 야외 학습장 또는 음식점이나 카페 등과 같은 장소에서 물품의 수납과 휴대를 위해 사용하던 가방을 그대로 독서대로 사용할 수 있는 편린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용 독서대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용 독서대가 기울기 변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각도조절수단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레일결합부와 각도조절수단의 연결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휴대용 독서대가 탁자로 활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보조지지다리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보조지지다리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되는 도면은 본 발명의 많은 실시예 중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독서대 가방의 전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독서대 가방은 가방 본체를 이루는 상부커버(100)와 하부커버(200)로 이루어지고, 각 커버가 서로 힌지(202)로 연결되어 서로 포개지면서 내부에 수납공간(400)을 가지는 가방이 되며, 이들의 포개졌을 때 열리지 않도록 걸림고리(미도시)가 결합부분 일측에 설치될 수 있고, 휴대와 운반을 위하여 손잡이(미도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100)와 하부커버(200) 사이에는 지지다리(300)가 설치되어 상기 상부커버(100)가 하부커버(200)에 대하여 기울기를 가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경사면 위에 도서를 거치하는 것으로 독서대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독서대 가방은 상기 상부커버(100)와 하부커버(200)를 모두 펼치고 설치된 상기 지지다리(300)를 지면에 지지되도록 형성하는 것으로서 간이책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다리(300)는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각 지지다리(30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는 보조지지다리(3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는 이후 설명하게 될 도 5 내지 도 7 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독서대 가방은 상기 상부커버(100)가 하부커버(200)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다리(300)300)의 고정축(110)이 레일을 따라 상기 커버의 길이방향으로 상하 움직일 수 있는 레일결합부(104)와 결합된다. 여기서 커버의 길이방향 또는 상하방향이라 함은 상기 상부커버(100)와 하부커버(200)가 힌지로 연결된 측을 하방으로 하고 상기 상부커버(100)와 하부커버(200)가 고정되지 않는 측을 상방으로 한다.

    상기 지지다리(300)가 레일을 따라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상부커버(100)가 상기 하부커버(200)와 이루는 기울기가 변화되게 되고, 상기 상부커버(100) 위에 거치된 도서의 기울기 역시 달라지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가장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독서 각도를 설정하는데 있어 상기 레일결합부(104)를 조절하는 것으로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독서대 가방은 상기 레일결합부(104)를 이용한 독서대 각도조절 방법 이외에 상기 상부커버(100)또는 하부커버(200) 중 적어도 어느 한 면부재에 다수개의 걸림턱(102)을 더 제안한다.

    상기 걸림턱(102)은 상기 상부커버(100) 또는 하부커버(200) 중 적어도 어느 한 면부재에서 상기 지지다리(300)가 지지하는 커버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며, 다수개의 걸림턱(102)이 형성된 위치에 따라 상기 지지다리(300)가 다른 기울기로 지지하게 되므로 상기 지지다리(300)가 상기 걸림턱(102)의 위치에 따라 상기 리도록 설치하는 것으로 도서를 거치한 상기 상부커버(100)가 상기 하부커버(200)와 이루는 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상기 레일결합부(104)와 더불어 상기 지지다리(300)가 자신이 원하는 각도를 이뤄낼 수 있는 위치의 걸림턱(102)에 지지되도록 결정하여 자신이 가장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각도에서 독서를 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인 레일결합부(104)를 조절하여 독서대 각도를 조절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독서대 가방은 독서대로의 사용을 가능케하는 수단으로서 지지다리(300)를 제안한다. 상기 지지다리는 통상의 안테나 구조와 같이 길게 펼쳤을때 다단구조를 가지며 여러 개의 마디가 합쳐져 길이가 축소되고 펼쳐져 길이가 연장되는 마디로 구성되며, 여러 개의 마디 중 가장 큰 직경을 가지고 있는 마디 내부로 나머지 마디들이 수납될 수 있도록 가장 큰 직경을 가지고 있는 마디를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직경이 작은 마디들이 차례로 연결되는 구조의 지지다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마디를 모두 펼쳐서 길이를 연장할 때, 한쪽 마디에서 인출되어 연장되는 다른 쪽 마디가 연결되는 부위에는 마디들이 인출되어 연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고무소재 오링을 이용한 스토퍼가 내장된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다리(300)가 연결된 상기 레일결합부(104)를 조절하며, 이는 상기 지지다리(300)의 고정축(110)의 위치가 이동되는 것으로 도서받침(500)이 형성되어 도서를 거치하는 상기상부커버(100)의 기울기가 변하게 된다. 이로써 독서대의 각도를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서받침(500)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더불어 하부면부재(200)에도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인 상기 레일결합부(104)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로서 상기 지지다리(300)는 상기 레일결합부(104)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다리(300)를 상하로 움직이는 것으로 도서가 거치되는 상기 상부커버(100)의 기울기를 조절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인 상기 레일결합부(104)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로서 상기 레일결합부(104)는 상기 지지다리(300)의 고정축(110)의 위치가 상기 레일결합부(104)의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다리(300)가 지지하고 있는 상기 상부커버(100)의 기울기가 변화될 수 있다.

    상기 레일결합부(104)는 내부에는 상기 고정축(110)과 연결된 링 형태의 판스프링(116)이 제공하는 인장력으로 상기 고정축(110)이 레일을 따라 이동한 위치를 고정시켜 주며, 이와 더불어 상기 레일결합부 안팎에 설치된 고정판(106)(108)과 상기 지지다리(300)에 대한 고정을 위해 스프링(109)에 의해 가압되는 고정판(107)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독서대 가방의 다른 실시예로서 독서대 가방이 탁자로 사용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독서대 가방은 가방 본체를 이루는 사기 상부커버(100)와 하부커버(200)을 수평으로 모두 펼치고, 상기 지지다리(300)가 지면을 지지하도록 설치하는 것으로 탁자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다리(300)는 탁자로서 적합한 높이를 제공하기 위하여 연장다리(304)가 인출될 수 있는 상술한 안테나식 구조의 지지다리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지지다리(300)는 그 몸체 일측에 보조지지다리(302)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조지지다리(302)는 상기 지지다리(300)의 몸체에 마련된 지지다리 수용공간(301)에 수납될 수 있고, 안정된 지지구조 형성을 위해 상기 지지다리(300)로 부터 인출되어서 타측에 있는 지지다리에 이르러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지지다리(30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다리(300)와 마찬가지로 길이연장이 용이한 안테나식 지지다리가 바람직하다.

    도 6은 상기 지지다리(300)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다리(300)는 몸체 일측에 지지다리 수용공간(30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다리 수용공간(301)에는 힌지로 연결된 상기 보조지지다리가 수납되었다가 필요에 의해 인출될 수 있다.

    도 7은 상기 보조지지다리(306)가 타측의 지지다리(300)에 이르러 결합하는 상태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지지다리(302))는 탁자의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위하여 상기 지지다리(300)로 부터 인출되어서 연장된 보조지지다리(306)가 타측의 지지다리(300)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홈(308)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각 지지다리(300)로 부터 인출되고 연장되어서 타측에 결합된 보조지지다리(302)(306)에 의하여 안전한 지지구조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100 : 상부커버 102 : 걸림턱
    104 : 레일결합부 106 : 고정판
    108 : 고정판 110 : 고정축
    111 : 결합홀 112 : 레일 가이드
    114 : 탄성부재 116 : 판스프링
    200 : 하부커버 202 : 힌지
    300 : 지지다리 301 : 지지다리 수용공간
    302 : 보조지지다리 304 : 연장다리
    306 : 보조지지다리 308 : 결합홈
    310 : 힌지 400 : 수납공간
    500 : 도서받침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