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행보조기형 지팡이

申请号 KR1020120053397 申请日 2012-05-21 公开(公告)号 KR1020130129499A 公开(公告)日 2013-11-29
申请人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发明人 박주환;
摘要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king stick which is capable of easily setting in a standing position around a user when the user is not using the walking stick. The cross section of the walking stick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bottom to the upper side, and the walking stick is combined to legs with an empty space or the upper side of the legs. A handle for the user to grab the walking stick is included in the walking stick. The walking stick maintains the standing position after the user let goes of the hands, and has an anti-slipping function.
权利要求
  • 바닥부에서 상부로 올라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그 내부는 비어있는 다리; 및
    상기 다리의 상부에 결합되고, 보행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를 포함하는 지팡이로서, 상기 지팡이는 상기 보행자가 손을 놓아도 서 있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용 지팡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의 단면 형상은 원형 또는 육각형, 팔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용 지팡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의 단면 형상은 다른 방향에 비해 어느 한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모양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용 지팡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의 단면 형상은 타원 또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용 지팡이.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의 단면 형상은 육각형 또는 팔각형이고, 상기 다른 방향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방향은 서로 마주보는 꼭지점을 연결한 대각선의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용 지팡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는 금속판재를 절곡 가공하여 만들어지고, 상기 바닥부의 모서리는 컬링(curling)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용 지팡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의 바닥부에 외접하는 원의 직경은 20㎝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용 지팡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다리의 단면에서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용 지팡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보행자의 파지를 보조하도록 굴곡진 파지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용 지팡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금속판재로 만들어지고, 상기 손잡이는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용 지팡이.
  • 说明书全文

    보행보조용 지팡이{WALKING STICK USED FOR WALKING ASSISTANT MEANS}

    본 발명은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사용자 주위에 쉽게 세워놓을 수 있는 지팡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바닥부에서 상부로 올라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그 내부는 비어있는 다리 및 상기 다리의 상부에 결합되고, 보행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지팡이로서, 보행자가 손을 놓아도 스스로 서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잘 미끄러지지 않는 보행보조용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

    보행에 어려움이 있는 노인과 장애인들이 가장 많이 선택하는 보행보조도구로 보행보조기(워커)와 목발, 지팡이가 있다. 이와 같이 형태와 기능이 다른 여러 종류의 보행보조도구는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 장애상황과 주요 사용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어 사용된다.

    보행보조기(워커)는 4개의 발을 가지고 있어서 사용자가 잡고 있지 않아도 넘어지지 않아 세워둘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은 사용자가 쉽게 넘어지지 않도록 한다는 점에서 장점도 있지만,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다는 단점도 가진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접이식 보행보조기(워커)도 소개되어 있다.

    목발과 지팡이는 1개의 발을 가지고 있어서 세워둘 수가 없고, 사용자가 잡고 있지 않으면 힘없이 넘어진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은 사용자가 가지고 이동하기에는 가볍고 구조가 단순하다는 장점도 있지만, 사용중에 목발과 지팡이를 놓치거나 바닥에서 미끄러지면 사용자를 넘어지게 한다는 문제도 있다. 특히 사용자가 목발과 지팡이를 손에서 놓쳐서 바닥에 떨어뜨리면 사용자는 몸을 바닥으로 숙여서 주워야 하기 때문에 하지가 약하고 균형감각이 떨어지는 노인과 장애인들은 낙상의 위험에 쉽게 노출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노인과 장애인들은 발이 3∼4개 달린 지팡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기존의 보행보조도구가 가진 구조적 문제점을 자세히 분석하면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보행보조기(워커)는 위에서 아래로 보았을 때 "ㄷ" 자 또는 "U" 자 형으로 생겨 있어 그 가운데의 공간에 보행자가 들어가 손잡이를 잡고 보행보조기의 4개의 발에 의지하여 걷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행보조기는 4개의 발에 의해 사용자가 잡고 있지 않아도 세워둘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는 목발과 지팡이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바닥 지지면(base of support, BOS)을 확보해서 안정성(stability)을 유지하면서 운동성(mobility)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보행보조기는 사용자가 보행중에 보행보조기를 잡거나 기대어서 휴식을 가질 수 있을 만큼 구조적으로 안전하지만, 다음의 2가지 구조적인 문제점을 가진다.

    첫째, 크기가 큰 보행보조기는 균일하지 못한 바닥 지지면에서는 4개의 발 중 1개 이상의 발이 바닥에 닿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로 인해 옆이나 앞과 뒤로 넘어질 수도 있다. 또한 크기가 큰 보행보조기를 가지고 계단을 오르거나 내릴 수 없고, 가파른 언덕을 오르고 내릴 수도 없는데, 이는 반드시 4개의 발이 바닥면에 닿아야 하기 때문이다.

    둘째, 보행보조기는 무게가 무거워서 사용자의 양쪽 상지근력이 모두 충분한 경우에야 사용이 가능하다. 한쪽의 상지가 약하거나 사용하기 어려울 경우에는 보행보조기의 양쪽을 동시에 동일하게 움직일 수가 없기 때문에 보행보조기의 사용이 제한된다.

    목발은 하지와 골반대에 가해지는 체중을 상지와 견갑대로 분산시켜서 사용하는 보행보조도구이다. 흔히, 팔과 몸통 사이의 접혀진 겨드랑이 사이로 목발의 상부를 끼어서 사용하는데, 이 과정에서 목발은 겨드랑이 사이를 지나가는 액와신경을 압박하게 되어 저린 통증과 액와신경마비를 유발하기도 한다. 그래서 겨드랑이가 아닌 팔꿈치와 전완으로 체중을 지지하는 목발도 존재한다.

    이러한 목발은 다음의 5가지 구조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보행보조기와 지팡이에 비해 길이가 가장 길어서 사용자가 조작하기에 힘이 든다. 이는 큰 지렛대의 역할을 하여 작은 힘으로 체중을 쉽게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순작용도 있지만, 반대로 겨드랑이와 견갑대에 가해지는 충격과 회전력은 2차적인 손상을 유발시키고 길이에 비해 바닥면을 지지하는 발이 매우 좁기 때문에 충격량의 충분한 흡수를 어렵게 만든다.

    둘째, 움직이는 보행도중 목발의 상부가 겨드랑이에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 상지와 견갑골의 내전근육과 흉부근육의 지속적인 구심성 수축이 필요하기 때문에 목발의 사용은 노인과 장애인에게 과도한 피로감을 부여하게 된다.

    셋째, 보행중 넘어질 때 목발을 놓지 않으면 크게 다칠 수 있으며, 실제로 병원에서는 더 큰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환자들에게 넘어질 때 목발을 몸에서 멀리 던지는 것을 교육하고 있지만, 순간적인 상황에서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순발력 있게 목발을 던지는 것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넷째, 체중심의 축의 역할을 하는 목발 상부의 높이는 높고 목발의 바닥 지지면은 좁아서 구조적으로 가장 불안하고, 사용자가 가장 쉽게 넘어질 수 있는 구조이다.

    다섯째, 보행중 목발을 놓치게 되면 사용자는 몸을 숙여서 바닥에서 주워야 하기 때문에 하지가 약하고 균형감각이 떨어지는 노인과 장애인들은 2차적인 낙상의 위험에 쉽게 노출된다.

    지팡이는 보행보조기와 목발에 비해 길이가 가장 짧고 가장 대중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지팡이발의 좁은 바닥 지지면으로 인해 안정성(stability)과 고정성(fixation)이 없으며, 이러한 지팡이는 다음의 2가지 구조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지팡이는 굵기가 가늘고 원통형이라서 사용하지 않을 때 사용자 주위에 세워놓기가 어렵고, 만약 지팡이가 넘어지면 사용자는 몸을 숙여서 주워야 하는데 지팡이는 원통형이라 목발과 달리 구르기 쉽고 굵기 또한 가늘어서 잡기도 어려울 때가 많다.

    둘째, 발이 4개 달린 지팡이는 편마비가 있는 사용자의 경우 좌, 우 마비에 따라 지팡이의 방향이 달라지게 조절하여 사용하도록 만들어졌는데, 일반인의 경우 사용자의 장애에 따라 지팡이의 방향을 다르게 설정해주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4발 지팡이에 관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7355호에서 발췌한 도면인데, 도시된 지팡이는 오른쪽 편마비 환자가 사용하는 4발 지팡이로서 왼손으로 지팡이를 잡아서 사용해야 한다. 즉, 도면을 보면, 4발 지팡이의 발이 왼쪽이 더 넓게 배치되어 있으며, 만약 왼쪽 편마비 환자가 사용한다면 오른손으로 4발 지팡이를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지팡이의 기둥을 풀어서 4발 지팡이의 발이 오른쪽이 더 넓게 배치되도록 구조를 변경하여야 한다.

    만약, 사용자나 보호자가 실수로 반대로 지팡이의 구조를 변경한다면 현실적으로는 4발 지팡이 자체가 사용자의 보행을 방해하게 되면서 사용자가 지팡이에 걸려 넘어지게 만들게 된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735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보행보조기(워커)보다는 구조가 단순하고 크기도 작으면서 기존의 목발과 지팡이보다 우수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보행보조용 지팡이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사용자 주위에 쉽게 세워놓을 수 있고, 만약 넘어지더라도 멀리 굴러가지 않아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라도 쉽게 주울 수 있는 보행보조용 지팡이를 제공하는 것에 또 하나의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보행보조용 지팡이는 바닥부에서 상부로 올라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그 내부는 비어있는 다리 및 상기 다리의 상부에 결합되고, 보행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지팡이로서, 상기 지팡이는 상기 보행자가 손을 놓아도 서 있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다리의 단면 형상은 원형 또는 육각형, 팔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의 단면 형상은 다른 방향에 비해 어느 한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모양을 가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다리의 단면 형상은 타원 또는 다각형일 수 있는데, 특히 상기 다리의 단면 형상은 육각형 또는 팔각형이면서 다른 방향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방향은 서로 마주보는 꼭지점을 연결한 대각선의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다리는 금속판재를 절곡 가공하여 만들어지고, 상기 바닥부의 모서리는 컬링(curling) 가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의 바닥부에 외접하는 원의 직경은 20㎝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다리의 단면에서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보행자의 파지를 보조하도록 굴곡진 파지홈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다리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금속판재로 만들어지고, 상기 손잡이는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보행보조용 지팡이는 바닥지지면이 종래의 목발이나 지팡이보다 크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을 때 보행보조기(워커)처럼 쉽게 세워둘 수 있고, 바닥이 미끄러워도 잘 미끄러지지 않으며, 보행 도중 보행보조도구를 놓쳐도 쉽게 쓰러지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보행보조용 지팡이 다리의 단면이 육각형, 팔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형상 또는 타원과 같은 형상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보행 도중 보행보조도구를 놓쳐도 멀리 굴러가지 않아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힘들이지 않고 주워들 수 있으며, 좌우 대칭 형상으로 만들어져 편마비 환자들의 좌우 손의 사용방향과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므로 보호자의 도움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진다.

    또한, 무거운 보행보조기가 아닌 지팡이처럼 가볍게 만들어서 누구나 사용하기에 편하며, 덩치가 커서 계단을 오르고 내리는데 제한이 되었던 기존의 보행보조기 대신에 지팡이처럼 쉽게 계단을 오르내리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행보조용 지팡이는 높은 안정성을 확보하여 낙상의 위험을 감소시키고 효율적인 운동성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4발 지팡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4발 지팡이에서 다리 부분에 대한 부분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용 지팡이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보행보조용 지팡이에 대한 측면도 및 정면도.
    도 5는 도 3의 보행보조용 지팡이에 대한 평면도 및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용 지팡이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용 지팡이(1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용 지팡이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보행보조용 지팡이에 대한 측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보행보조용 지팡이에 대한 평면도 및 배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용 지팡이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용 지팡이(10)는 보행시 바닥면에 닿는 바닥부(1a)를 가진 다리(1)와, 상기 다리(1) 상부에 결합되는 손잡이(2)로 구성된다.

    상기 다리(1)는 보행보조용 지팡이(10)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몸체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바닥부(1a)에서 상부로 올라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다리(1)의 단면적이 바닥부(1a)에서 가장 큰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바닥지지면이 크고, 또한 보행보조용 지팡이(10) 전체의 무게 중심이 아래로 내려가기 때문에 보행보조기(워커)나 4발 지팡이처럼 쉽게 세워둘 수 있고, 바닥이 미끄러워도 잘 미끄러지지 않으며, 보행 도중 지팡이(10)를 놓쳐도 쉽게 쓰러지지 않게 된다.

    또한, 근력이 약한 노약자도 쉽게 다룰 수 있도록 다리(1)의 내부는 비어 있는 중공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경량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다리(1) 전체의 무게가 크게 무거워지지 않는다면 다리(1)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를 취하지 않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다리(1)의 바닥부(1a) 단면을 크게 만들수록 안정성은 커지겠지만, 계단 보행시 다리(1)의 바닥부(1a)가 계단에 충분히 걸쳐질 수 있도록, 다리(1)의 바닥부(1a)에 외접하는 원의 직경은 20㎝를 초과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다리(1)의 단면 형상은 육각형, 팔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보행 도중 보행보조용 지팡이(10)를 놓쳐도 멀리 굴러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다리(1)의 단면 형상이 원형이라도 다리(1) 자체가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멀리 굴러가지는 않지만, 가능한 움직임이 빨리 정지되어야 쉽게 주워들 수 있을 것이기 때문에 다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다각형 단면은 육각형이나 팔각형 이외의 형상도 가능하며, 다만 다각형의 경우 각의 수가 너무 많아지면 원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충분한 구름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없을 염려가 있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다리(1)의 단면 형상은 다른 방향에 비해 어느 한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모양을 가질 수도 있다. 이는 보행방향, 즉 전후방향을 따라 바닥부(1a)가 긴 모양을 가지도록 만드는 것인데, 보행자의 보행 사이클에서 나타나는 뒷꿈치의 충격 흡수 이후에 발가락으로 뒤로 미는 보행 패턴이 지팡이(10) 다리(1)의 바닥부(1a)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따라 보행자는 매우 편안한 느낌으로 본 발명의 보행보조용 지팡이(1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다리(1)의 단면 형상은 매우 다양하며, 예를 들어 타원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타원인 경우라면 장축 방향을 따라 다리(1)의 단면이 긴 모양을 가지게 되며, 다각형의 경우에는 가장 긴 대각선 방향을 따를 것이다. 즉, 다각형 단면이 육각형 또는 팔각형이라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방향은 서로 마주보는 꼭지점을 연결한 대각선의 방향이라 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다각형 단면의 다양한 실시예 중에서 육각형의 경우를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타원에 가까운 둥근 직사각형의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물론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므로, 도시된 구성 이외에 어느 한 방향으로 길쭉한 다양한 형상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다리(1)는 금속판재를 절곡 가공하여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때 바닥부(1a)의 모서리는 컬링(curling) 가공으로 접음으로써 강도를 보강하여 다리(1)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막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다리(1)의 상부에 결합되는 손잡이(2)는 약 10㎝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데, 그 배치방향은 손등이 정면으로 보이도록 손잡이(2)를 잡았을 때 다리(1)의 긴 쪽이 전후방향(보행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방향을 따른다. 즉, 다리(1)의 단면에서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특히,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지팡이(10)에 충분한 힘이 전달되고 보행 패턴과 지팡이(10)의 움직임이 일치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손잡이(2)에는 상기 보행자의 파지를 보조하도록 굴곡진 파지홈(2a)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다리(1)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금속판재로 만들어지고, 손잡이(2)는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져 부식에 강하면서도 경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행보조용 지팡이(10)의 전체 길이는 사용자의 키에 따라 선택될 수 있도록 80㎝(소), 90㎝(중), 100㎝(대)와 같이 몇 단계의 길이로 나누어 제작될 수 있으며, 또는 손잡이(2) 부분에 별도의 길이조절장치(미도시)를 부가하여 전체 길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보행보조용 지팡이에 의해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쉽게 세워둘 수 있고, 바닥이 미끄러워도 잘 미끄러지지 않으며, 보행 도중 보행보조도구를 놓쳐도 쉽게 쓰러지지 않고 멀리 굴러가지도 않아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힘들이지 않고 주워들 수 있으며, 좌우 대칭 형상으로 만들어져 편마비 환자들의 좌우 손의 사용방향과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고, 기존의 덩치가 큰 보행보조기 대신에 지팡이처럼 쉽게 계단을 오르내릴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용 지팡이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지팡이 1 : 다리
    1a : 바닥부 2 : 손잡이
    2a : 파지홈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