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 지팡이

申请号 KR1020130014578 申请日 2013-02-08 公开(公告)号 KR101400792B1 公开(公告)日 2014-06-03
申请人 이세영; 发明人 이세영;
摘要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cane which includes a distress sensing means, a distress signal sound generating means, a smoke generating means, and a control board. When a safety cane user encounters distress during outdoor activities such as mountain climbing, etc. and is under a condition in which he or she cannot operate a switch, for example, being unconscious, the safety cane automatically generates distress signals such as a sound and smoke to notify the location of the user, thereby enabling people in need of assistance to be detected at an early stage for rescue.
权利要求
  • 지팡이 본체와, 지팡이 본체에 결합되며 내부 설치공간과 외벽이 구비된 손잡이와, 상기 설치공간에 구비된 전원부, 조난감지수단, 조난신호음발생수단 및 제어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조난감지수단은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았는지 놓았는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로 이루어진 지팡이에 있어서,
    조난자의 위치가 연막에 의해 표시되어 조난자를 쉽게 수색할 수 있도록
    상기 설치공간(21)에 설치되는 케이싱(61)과 상기 케이싱(61)의 일단에 설치되는 전기식 기폭장치(62) 및 상기 케이싱(61) 내에 충전되는 연막제(63)가 구비된 연막발생수단(6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기판(70)에는 조난감지수단(40)의 감지신호에 따른 중앙처리장치(71)의 연막발생명령을 상기 연막발생수단(60)에 전달하는 연막발생구동부(73)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지팡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난감지수단(40)은 조난을 당해 지팡이가 흔들리지 않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기판(70)의 중앙처리장치(71)에 전달하여 상기 연막발생수단(60)에 의해 연막이 발생되도록 지팡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자이로센서(4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지팡이.
  • 삭제
  • 삭제
  • 삭제
  • 说明书全文

    안전 지팡이{Safety Stick}

    본 발명은 안전 지팡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지팡이 사용자가 등산이나 기타 야외 활동 중에 조난을 당하여 정신을 잃거나 스위치 조작을 할 수 없는 상태에 놓인 경우 자동적으로 소리와 연막 등의 조난신호가 발생하여 조난자의 위치를 알림으로써 조난자를 조기에 발견하여 구조할 수 있도록 한 안전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팡이는 등산용이나 신체노약자용 및 환자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지팡이 본체와 손잡이가 T자형을 이루는 것과 1자형을 이루는 것이 있다.

    이러한 지팡이는 안전한 산행과 보행을 위한 보조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근래 들어 많은 사람들이 등산이나 기타 야외활동을 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실족에 의한 추락에 의한 조난사고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조난사고의 경우 휴대하고 있는 휴대폰을 이용하여 구조요청을 할 수 있으나, 깊은 산중이나 지역적 특성상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곳에서는 구조요청과 조난자 수색이 어려워서 조기에 구조되었다면 사망에 이르지 않을 수 있던 상황에서도 사망사고가 종종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55258호는 배터리와 스위치 및 램프를 구비하여 등산이나 보행을 보다 안전하게 한 조명기능을 갖는 등산용 지팡이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0-0007550호는 조명장치와 위치정보제공수단이 구비되어 등산 시에는 지주에 의해 몸의 일부를 지탱하여 산행에 도움을 주며, 야간에는 조명장치로 조명함으로써 보행을 안전하게 할 수 있고, 지피에스를 이용한 위치정보제공수단에 의하여 사용자의 진행속도 및 진행방향 등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위치정보제공수단이 마련된 등산용 지팡이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과 공개실용신안의 지팡이들은 조명장치를 구비한 것으로서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는 길을 밝힐 수 있어 산행과 보행을 안전하게 할 수 있으며, 공개실용신안의 지팡이는 지피에스를 이용한 위치정보제공수단을 구비하고 있어 사용자의 진행속도와 진행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조명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스위치를 조작해야 하므로 등산이나 보행 중 조난을 당하여 정신을 잃은 상태에서는 조명장치가 무용지물이 되어 조난 위치를 알릴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팡이 사용자가 등산이나 기타 야외 활동 중에 조난을 당하여 정신을 잃거나 스위치 조작을 할 수 없는 상태에 놓인 경우 자동적으로 소리와 연막 등의 조난신호가 발생하여 조난자의 위치를 알림으로써 조난자를 조기에 발견하여 구조할 수 있도록 한 안전 지팡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팡이 본체와, 지팡이 본체에 결합되며 내부 설치공간과 외벽이 구비된 손잡이와, 상기 설치공간에 구비된 전원부, 조난감지수단, 조난신호음발생수단 및 제어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조난감지수단은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았는지 놓았는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로 이루어진 지팡이에 있어서, 조난자의 위치가 연막에 의해 표시되어 조난자를 쉽게 수색할 수 있도록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일단에 설치되는 전기식 기폭장치 및 상기 케이싱 내에 충전되는 연막제가 구비된 연막발생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기판에는 조난감지수단의 감지신호에 따른 중앙처리장치의 연막발생명령을 상기 연막발생수단에 전달하는 연막발생구동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조난감지수단은 조난을 당해 지팡이가 흔들리지 않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기판의 중앙처리장치에 전달하여 상기 연막발생수단에 의해 연막이 발생되도록 지팡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자이로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조난감지수단, 조난신호음발생수단, 연막발생수단, 제어기판을 구비하여 지팡이 사용자가 등산이나 기타 야외 활동 중에 조난을 당하여 정신을 잃거나 스위치 조작을 할 수 없는 상태에 놓인 경우 자동적으로 소리와 연막 등의 조난신호가 발생하여 조난자의 위치를 알림으로써 조난자를 조기에 발견하여 구조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 지팡이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사시도,
    도 2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 지팡이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 지팡이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안전 지팡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 지팡이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지팡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팡이본체(10)와 손잡이(2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팡이 본체(10)와 손잡이(20)가 1자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T자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손잡이(20)는 외벽(22)에 의해 내부에 설치공간(21)이 형성되는 중공형(中空形)으로 형성된다.

    상기 외벽(22)에는 배터리를 수납하기 위한 배터리수납공(23)과, 복수개의 미세공으로 이루어지는 스피커홀(25)이 구비되며, 상단에는 연막방출구(26)가 구비된다.

    상기 배터리수납공(23)은 배터리커버(24)에 의하여 개폐된다.

    상기 스피커홀(25)은 이에 대응하는 외벽 내측에 방수필름을 부착하는 것에 의하여 방수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막방출구(26)에는 마개(27)가 끼워져서 평상시에는 연막방출구(26)는 통하여 설치공간(21)이 노출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방수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전원부(30), 조난감지수단(40), 조난신호음발생수단(50)과, 연막발생수단(60), 및 제어기판(70)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부(30)는 상기 설치공간(21)의 내부에 상기 배터리수납공(23)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배터리수납케이스(31)와, 상기 배터리수납케이스(31)에 수납되는 배터리(32) 및, 상기 손잡이(20)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32)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전원스위치(33)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수납케이스(31)는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전기전자기기에서 배터리를 수납하는 데 사용하는 통상적인 구조로서, 케이스본체(31a)와 상기 케이스본체(31a)의 양단에 구비되는 +-단자(31b, 31c)를 구비한다.

    상기 배터리(32)는 시중에서 손쉽게 구입할 수 있는 AA형 또는 AAA형 배터리나 수은전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원스위치(33)는 사용자가 손잡이(20)를 잡고 지팡이를 사용할 때 임의로 온ㆍ오프되지 않는 구조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도시예와 같이 슬라이드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난감지수단(40)은 상기 손잡이(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잡이(20)를 잡았는지 놓았는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41)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센서(41)는 사용자가 손잡이(20)를 잡았을 때에는 전원이 차단되고, 사용자가 손잡이(20)를 잡았을 때에는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도시예에서는 상기 감지센서(41)로서 푸시스위치를 사용한 예를 들고 있으나, 이로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근접스위치나 소프트 터치식 스위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난신호음발생수단(50)은 상기 설치공간(21)에 설치되는 스피커(51)를 포함한다.

    상기 스피커는 상기 스피커홀에 대응하여 상기 손잡이의 외벽 내측에 부착되어 스피커에서 발생한 조난신호음이 상기 스피커홀(25)을 통하여 외부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막발생수단(60)은 상기 설치공간(21)에 설치되는 케이싱(61)과, 상기 케이싱(61)의 일단에 설치되는 전기식 기폭장치(62) 및, 상기 케이싱(61) 내에 충전되는 연막제(63)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61)의 상단부는 개방되어 있고, 이에 파열막(64)을 부착하여 연막발생동작이 시작할 때 파열되면서 연막이 방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기판(70)은 상기 조난감지수단(4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조난신호음발생수단(50)과 연막발생수단(60)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71)와, 상기 중앙처리장치(71)의 지령에 따라 조난신호음발생수단(50)을 구동하는 조난신호음발생구동부(72)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71)의 지령에 따라 연막발생수단(60)을 구동하는 연막발생구동부(73)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전원부(30)의 전원스위치(33)가 온으로 되어 배터리(32)의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20)를 잡았을 때에는 상기 조난감지수단(40)을 구성하는 조난감지센서(41)가 이를 감지하게 되고 그 감지신호가 중앙처리장치(71)에 전달되어 중앙처리장치(71)가 사용자가 손잡이(20)를 잡고 사용 중임을 확인하여 조난신호음발생구동부(72)와 연막발생구동부(73)가 각각 조난신호음발생수단(50) 및 연막발생수단(60)에 대한 조난신호음발생 구동신호와 연막발생 구동신호를 보내지 않도록 구성되며, 사용자가 손잡이(20)를 놓쳤을 때에는 상기 조난감지수단(40)이 이를 감지하게 되고 그 감지신호가 중앙처리장치(71)에 전달되어 중앙처리장치(71)가 사용자가 손잡이(20)를 놓친 상태임을 확인하여 조난신호음발생구동부(72)와 연막발생구동부(73)가 각각 조난신호음발생수단(50) 및 연막발생수단(60)에 대한 조난신호음발생 구동신호와 연막발생 구동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장치(71)는 상기 전원스위치(33)가 온으로 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20)를 잡지 않은 경우, 즉각적으로 조난신호음발생구동부(72)을 통해 조난신호음발생수단(50)에 조난신호음발생명령을 보내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연막발생구동부(73)를 통해 연막발생수단(60)에 연막발생명령을 보내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막발생수단(60)은 하나만 구비할 수도 있으나 지팡이 손잡이(20) 내에 설치되는 관계로 연막발생 시간을 길게 할 수 없으므로 복수개(도시예에서는 2개)를 설치하고, 중앙처리장치(71)는 연막발생명령을 시차를 두고 다단계로 보내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정시간과 시차는 사용자가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조과정에서 설정된 시간으로서 충분한 실험데이터를 토대로 하여 설정하는 것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지팡이의 사용과 조난신호 발생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전원스위치(33)를 온으로 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20)를 잡게 되면, 상기 조난감지수단(40)의 조난신호감지센서(41)가 이를 감지하게 되고, 그 감지신호가 중앙처리장치(71)에 전달되고, 중앙처리장치(71)는 사용자가 사용 중임인 것으로 인식하고, 조난신호음발생구동부(72)와 연막발생구동부(73)에 조난신호음발생 신호와 연막발생 신호를 보내지 않게 된다.

    상기 전원스위치(33)를 온으로 한 상태에서 손잡이(20)가 손에서 떨어지게 되면, 상기 조난감지수단(40)의 조난감지센서(41)가 손잡이(20)가 손에서 떨어졌음을 감지하게 되고, 이 감지신호는 중앙처리장치(71)에 전달되고, 중앙처리장치(71)는 즉각적으로 조난신호음발생구동부(72)를 통해 조난신호음발생수단(50)에 조난신호음발생명령을 보내게 되고, 상기 조난신호음발생수단(50)의 스피커(51)에서 조난발생을 알리는 조난신호음이 발생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지팡이를 잠시 내려놓거나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전원스위치(33)를 오프로 하여 조난신호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전원스위치(33)를 오프로 하지 않고 지팡이를 내려놓거나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조난신호음이 발생하였을 때 전원스위치(33)를 오프시킴으로써 조난신호음을 멈추게 함과 아울러 설정시간 이후의 연막발생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산행이나 기타 야외활동을 하다가 조난을 당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조난신호음이 발생하게 되며, 전원스위치(33)가 계속하여 온으로 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중앙처리장치(71)는 일정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연막발생구동부(73)를 통하여 연막발생수단(60)에 연막발생명령을 보내게 된다.

    연막발생수단(60)에서는 연막발생명령에 따라 전기식 기폭장치(62)에 의해 기폭된 연막제(63)가 연소되면서 연막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연막제(60)에 의하여 발생한 연막의 압력에 따라 상기 케이싱(61)의 개방부를 복개하고 있는 파열막(64)이 파열되면서 케이싱(61)의 개방부와 상기 손잡이(20)의 연막방출구(26)를 통하여 연막이 방출된다.

    따라서 조난신호음발생수단(50)에서 발생하는 조난신호음과 연막발생수단(60)에서 발생하는 연막에 의하여 조난자의 위치가 표시되므로 동행자나 주변의 등산객 또는 구조대로 하여금 조난자를 쉽게 수색해 낼 수 있게 되어 사망사고에 이를 수 있는 상황을 배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시예와 같이 2개의 연막발생수단(60)을 설치한 경우, 중앙처리장치(71)는 최초 하나의 연막발생수단(60)에 대해서만 연막발생명령을 보내고, 일정한 시차를 두고 나머지 연막발생수단(60)에 대해 연막발생명령을 보내어 2개의 연막발생수단(60)이 시차를 두고 연막을 발생하게 된다.

    즉, 조난 초기에 하나의 연막발생수단(60)에 의해 연막이 발생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나머지 연막발생수단(60)에 의해 연막을 발생되므로 동행자나 주변의 등산객 또는 구조대가 조기에 조난자를 찾지 못하고 다시 수색을 재개할 때 조난자를 쉽게 찾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난을 당한 사용자가 스스로 조난상황을 벗어날 수는 없으나 의식이 있는 경우, 1차 연막발생 후 전원스위치(33)를 오프로 해두었다가 구조대가 수색을 재개할 때 전원스위치(33)를 온으로 함으로써 연막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조난자 자신의 위치를 알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 지팡이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지팡이는 상기 자이로센서(42)를 더 포함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지팡이를 잡고 산행이나 야외활동을 할 때에는 지팡이가 흔들리게 되므로 이를 자이로센서(42)가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제어기판(70)의 중앙처리장치(71)에 보내어 중앙처리장치(71)가 사용자가 지팡이를 정상적으로 사용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조난신호음발생이나 연막발생이 일어나지 않게 한다.

    사용자가 조난을 당한 경우에는 지팡이가 흔들리지 않으므로 이를 자이로센서(42)가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제어기판(70)의 중앙처리부(71)에 보내게 되고, 중앙처리부(71)는 중앙처리장치(71)는 조난상황임을 인식하고 조난신호음발생구동부(72)와 연막발생구동부(73)를 통해 조난신호음발생수단(50)과 연막발생수단(60)에 조난신호음발생 구동신호와 연막발생 구동신호를 보내게 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조난신호음과 연막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 지팡이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지팡이는 지피에서(GPS) 신호발생기(80)를 더 포함하여 조난자의 위치를 지피에스 신호에 의하여 수색해 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지피에스 신호발생기(80)는 통상적으로 위치추적에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자체의 구성은 본 발명의 요지를 해당하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지팡이 본체 20 : 손잡이
    30 : 전원부 40 : 조난감지수단
    50 : 조난신호음발생수단 60 : 연막발생수단
    70 : 제어기판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