받침대를 구비한 지팡이

申请号 KR2020150001456 申请日 2015-03-09 公开(公告)号 KR2020160003137U 公开(公告)日 2016-09-21
申请人 김영민; 发明人 김영민;
摘要 지팡이의긴 폴대; 상기폴대의일방에설치한손잡이; 상기폴대의타방에설치한제1받침대; 상기제1받침대는상기폴대의하부를둥근볼의형태를구성하고상기둥근볼의형태를구성한하부에스프링을두고상기스프링의하부에상기제1받침대에하우징부를두되상기스프링과볼이하우징되도록둥근형태로구성하여어느방향으로힘을가하든지가하는방향은수축되고가해지는힘이보다적게가해지는방향으로이완됨으로써상기지팡이를착용시에상기제1받침대의하부에위치한제2받침대의면이바닥면에수평으로접하여접촉력을크게하는것을특징으로하는받침대를구비한지팡이에관한것이다.
权利要求
  • 지팡이의 긴 폴대;
    상기 폴대의 일방에 설치한 손잡이;
    상기 폴대의 타방에 설치한 제1받침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받침대를 구비한 지팡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전방에 랜턴을 두되, 상기 랜턴을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를 구비한 지팡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 손목을 걸을 수 있도록 띠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를 구비한 지팡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대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한 것으로, 나사를 조절하여 풀고 잠금으로 상기 폴대의 길이를 조절하고 조절한 것을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를 구비한 지팡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대는 여러 개의 소형 폴대를 구성한 것으로 상기 폴대를 접이식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기 작은 폴대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각각의 폴대의 일방에 탄성 띠를 두어 접을 시에 상기 소형 폴대간 좌우로 힘을 가하여 접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받침대를 구비한 지팡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받침대의 하부에는 요철이 있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한 4개의 제2받침대를 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를 구비한 지팡이.
  • 제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받침대는 상기 폴대의 하부를 둥근 볼의 형태를 구성하고 상기 둥근볼의 형태를 구성한 하부에 스프링을 두고 상기 스프링의 하부에 상기 제1받침대에 하우징부를 두되 상기 스프링과 볼이 하우징 되도록 둥근 형태로 구성하여 어느 방향으로 힘을 가하든지 가하는 방향은 수축되고 가해지는 힘이 보다 적게 가해지는 방향으로 이완됨으로써 상기 지팡이를 착용 시에 상기 제1받침대의 하부에 위치한 제2받침대의 면이 바닥면에 수평으로 접하여 접촉력을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를 구비한 지팡이.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받침대는 상기 폴대의 하부를 둥근 볼의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둥근 볼의 형태를 구성한 하부에 스프링을 두고 상기 스프링의 하부에 상기 제1받침대에 하우징부를 두되 상기 스프링과 볼이 하우징 되도록 둥근 형태로 구성하여 어느 방향으로 힘을 가하든지 가하는 방향은 수축되고 가해지는 힘이 보다 적게 가해지는 방향으로 이완됨으로써 상기 지팡이를 착용 시에 상기 제1받침대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제2받침대의 면이 바닥면에 수평으로 접하여 접촉력을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를 구비한 지팡이.
  • 说明书全文

    받침대를 구비한 지팡이{The cane attached prop}

    본 고안은 미끄러지지 아니하면서 지팡이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적합한 기구이다.

    일반적으로 지팡이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미끄러운 곳을 통과하게 될 경우에 미끄러지는 것을 피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어두운 장소를 지날 때에 한 손에는 랜턴을 들고 또 다른 한 손에는 지팡이를 들고 가는 경우에 불편한 점이 있다는 결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지팡이를 착용하는 사람들은 신장이 각각 다른데도 동일한 크기의 지팡이를 사용하게 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른 길이를 요구하는 사람들의 요구에 적절히 응답할 수 없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지팡이를 장기간 보관하거나 여행시에 지팡이의 부피를 줄일 수 없어 긴상태의 길이를 유지하느라 불편함이 있었다.

    지팡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할 수 있는 방법은 자주 교체하는 수밖에 없었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고안을 하게 된 배경이다.

    미끄러움을 방지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어두운 길에도 별도로 후레쉬를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다.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언제나 필요한 길이로 사용할 수 있다.

    작은 실수로 지팡이를 손에서 미끄러져 나가는 일이 없다.

    보관과 이동시 길이를 줄여서 부피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잠시 지팡이를 두게 될 경우에도 세워놓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팡이의 긴 폴대와 상기 폴대의 일방에 설치한 손잡이와 상기 폴대의 타방에 설치한 제1받침대를 구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의 전방에 랜턴을 두되 상기 랜턴을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대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한 것으로 나사를 조절하여 풀고 잠금으로 상기 폴대의 길이를 조절하고 조절한 것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대는 여러 개의 소형 폴대로 구성한 것으로 상기 폴대를 접이식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기 작은 폴대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각각의 폴대의 일방에 탄성 띠를 두어 접을 시에 상기 소형 폴대 간 좌우로 힘을 가하여 접을 수 있는 것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받침대의 하부에는 요철이 있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한 4개의 제2받침대를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받침대는 상기 폴대의 하부를 둥근 볼의 형태를 구성하고 상기 둥근볼의 형태를 구성한 하부에 스프링을 두고 상기 스프링의 하부에 상기 제1받침대에 하우징부를 두되, 상기 스프링과 볼이 하우징 되도록 둥근 형태로 구성하여 어느 방향으로 힘을 가하든지 가하는 방향은 수축되고 가해지는 힘이 보다 적게 가해지는 방향으로 이완됨으로써 상기 지팡이를 착용 시에 상기 제1받침대의 하부에 위치한 제2받침대의 면이 바닥면에 수평으로 접하여 접촉력을 크게 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야간에도 안전하게 미끄러지지 않고 걸을 수 있고, 잠시 지팡이를 두게 될 경우에도 평지에는 아무 곳이나 세워 놓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접을 수 있어서 적은 부피를 차지하며,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언제 어느 때라도 쉽게 길의 조절이 가능하다.

    제1도는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랜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표시한 도.
    제3도는 지팡이의 폴대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
    제4도는 지팡이를 보관에 편리하도록 접었을 때의 상태도.
    제5a도는 지팡이의 제1받침대 및 제2받침대를 나타내는 상세도.
    제5b도는 지팡이의 제1받침대를 전도하여 저면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세도.
    제6도는 지팡이를 잡고 지팡이를 사용하기 위하여 앞으로 내놓은 상태도.
    제7도는 실제 착용시의 상태도.

    제1도는 지팡이의 전체 사시도로써,

    지팡이의 긴 폴대와;

    상기 폴대의 일방에 설치한 손잡이와;

    상기 폴대의 타방에 설치한 제1받침대(540)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받침대를 구비한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

    도면부호 110에 해당하는 부호는 손잡이 띠를 나타내는 것으로 손에서 쉽게 지팡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면부호 120은 랜턴으로서 어두운 곳을 다닐 때에 편리하도록 한 것으로 상하로 빛을 조명할 수 있도록 지팡이에 장착한다. 상부에는 LED 램프를 온/오프(ON/OFF) 할 수 있는 것으로 스위치가 부착되어 있다. 이는 야간에도 지팡이를 들고 빛의 각도를 조절하여 마음대로 빛을 조절하는 편리함에 목적을 둔 것이다.

    지팡이에 150번에 해당하는 핀을 두어 적절한 접촉력으로 방향을 유지 및 전환하도록 한 것이다.

    부호 140은 지팡이의 손잡이를 둔 것이다.

    제1도는 랜턴과 손잡이와 길이조절부로 이루어진 상부와 보관시 장소를 적게 차지하도록 탄력 있는 끈을 두어 접기에 용이하게 하고 하부는 접착면에 직각을 이루도록 하며 지팡이를 세워둘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2도는 제1도에서 설명한 것처럼 랜턴을 임의로 방향을 상하로 조절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의 전방에 랜턴을 두되 상기 랜턴을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3도에서 표시한 것과 같이, 도면부호300은 상기 폴대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한 것으로, 나사를 조절하여 풀고 잠금으로 상기 폴대의 길이를 조절하고 조절한 것을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제4도에 있어서, 상기 폴대는 여러 개의 소형 폴대(420,430)로 구성한 것으로 상기 폴대(420,430)를 접이식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기 작은 폴대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각 각의 폴대의 일방에 탄성 띠(410)를 두어 접을 시에 상기 소형 폴대 간 좌우로 힘을 가하여 접을 수 있는 것을 보이는 구성도면이다.

    제5도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받침대(540)의 하부에는 요철이 있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한 4개의 제2받침대(550a,550b,550c,550d)를 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더욱이 제5도에서는 상기 제1받침대(540)는 상기 폴대의 하부를 둥근 볼의 형태를 구성하고(510) 상기 둥근볼(510)의 형태를 구성한 하부에 스프링(520)을 두고 상기 스프링의 하부에 상기 제1받침대에 하우징부(530)를 두되 상기 스프링(520)과 볼이 하우징 되도록 둥근 형태로 구성하여 어느 방향으로 힘을 가하든지 가하는 방향은 수축되고(제7도에서 사람 쪽에 해당함.) 가해지는 힘이 보다 적게 가해지는 방향으로 이완됨으로써(사람과 반대쪽인 전방방향) 상기 지팡이를 착용 시에 상기 제1받침대(540)의 하부에 위치한 제2받침대(550a,b,c,d)의 면이 바닥면에 수평으로 접하여 접촉력을 크게 하는 것으로 구성한다.

    제1받침대는 본 고안에 가장 주요한 구성으로써 우선 지팡이를 잠시 세우고자 할 때에는 지지할 벽이나 기타의 장소를 찾아야 하거나 그런 장소가 아닐 경우에 지팡이를 땅바닥에 내려놓아야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한 것으로 스스로 서 있을 수 있도록 지팡이의 하부에 지지체를 둔 것이다.

    또한 다른 목적으로는 지팡이를 들고 딱딱한 길을 걸을 때나 미끄러지기 쉬운 길을 걸을 때 죽 시멘트나 대리석이 설치된 곳을 걸을 때는 지팡이가 미끄러져서 지팡이를 착용하는 노인들에게는 넘어지기 쉽고 큰 사고로 연결이 되기 쉬운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볼과 스프링을 두어 어느 정도의 힘을 가할 때에는 접촉면과 동일하게 접촉되도록 접착력을 극대화하여 지팡이로 인하여 제기되는 각종사고로부터 예방이 가능한 것이다.

    110:손잡이 띠 , 120:LED램프
    130:랜턴스위치, 140:손잡이
    150:삽입핀, 300:폴대길이 조절잠금장치
    410:탄성띠, 430,420:소형폴대
    510:둥근볼의 형태, 520:스프링
    530:하우징, 540:제1받침대
    550:제2받침대와 대응되는 부분
    560:덮개판, 550a,550b,550c,550d:제2받침대
    570:제2받침대의 하부에 스프링과 둥근 볼을 결착시키는 나사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