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용도 스틱

申请号 KR2020060023444 申请日 2006-08-31 公开(公告)号 KR200431067Y1 公开(公告)日 2006-11-13
申请人 류병길; 发明人 류병길;
摘要 등산이나 트랙킹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보행(步行) 중에 발생될 수 있는 신체의 골절 사고시 골절 부위를 신속하게 응급 처리를 할 수 있는 부목(副木) 기능을 갖는 다용도 스틱을 개시한다.
이러한 다용도 스틱은, 수납 공간을 구비하고 이 수납 공간과 연통된 통로가 외부면 일측에 형성된 스틱 본체와, 상기 수납 공간 내부에 수납되거나 상기 통로를 통하여 외부로 펼쳐지면서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스틱 본체와 연결 고정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 일측면에 고정되어 이 연결부재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수납 공간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부목부재들과, 상기 수납 공간 내부에 위치하고 축선을 기준으로 정,역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부재를 감거나 풀기 위한 회전축을 포함한다.
등산 스틱, 스틱 본체, 복수개의 부목부재, 연결부재, 골절 부위 응급처치,발광부재
权利要求
  • 수납 공간을 구비하고 이 수납 공간과 연통된 통로가 외부면 일측에 형성된 스틱 본체;
    상기 수납 공간 내부에 수납되거나 상기 통로를 통하여 외부로 펼쳐지면서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스틱 본체와 연결 고정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 일측면에 고정되어 이 연결부재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수납 공간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부목부재들;
    상기 수납 공간 내부에 위치하고 축선을 기준으로 정,역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부재를 감거나 풀기 위한 회전축;
    을 포함하는 다용도 스틱.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틱 본체는 1개 이상의 폴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움 결합으로 연결되어 1단 이상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다용도 스틱.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부목부재는 금속류나 목재 또는 합성수지류의 판체 중에서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다용도 스틱.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신축성을 갖는 압박 붕대류의 합성섬유 원단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스틱.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스틱은 상기 스틱 본체 일측에 부착되는 발광부재를 더 포함하며,
    이 발광부재는 전기를 공급받아서 발광하는 전구 또는 LED 램프 중에서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다용도 스틱.
  • 说明书全文

    다용도 스틱{multipurpose stick}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스틱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부목부재들을 수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스틱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회전축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스틱의 부목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스틱의 발광부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은 다용도 스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틱 본연의 기능은 물론이거니와 보행 중에 발생될 수 있는 신체 골절 사고시 골절 부위를 신속하게 응급 처리를 할 수 있는 부목(副木) 기능을 갖는 다용도 스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산이나 트랙킹을 할 때는 보행시 신체에 전달되는 충격이나 하중을 분산시켜서 피로도를 줄일 수 있도록 보행용 보조 기구로 스틱이 이용된다.

    이 스틱은 대부분 가늘고 긴 폴대 형태로 이루어져서 보행자가 어느 한 손 또는 양속에 스틱은 잡은 상태로 보행 스탭에 맞춰서 지면과 접촉시키는 동작에 의해 신체에 전달되는 보행 충격을 줄이고 보행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지지대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 스틱은 보행시 지면과 접촉되면서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한 기능에 한정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스틱 본연의 기능 이외에 부가 기능성을 기대할 수 없다. 이러한 부가 기능으로는 예를들어, 보행 중에 발생될 수 있는 신체 골절 사고시 응급 처치를 할 수 있는 부목 기능이나 야간 보행시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랜턴 기능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스틱 본연의 기능은 물론이거니와 신체 골절 사고시 골절 부위를 신속하게 응급 처치할 수 있는 다용도 스틱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수납 공간을 구비하고 이 수납 공간과 연통된 통로가 외부면 일측에 형성된 스틱 본체;

    상기 수납 공간 내부에 수납되거나 상기 통로를 통하여 외부로 펼쳐지면서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스틱 본체와 연결 고정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 일측면에 고정되어 이 연결부재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수납 공간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부목부재들;

    상기 수납 공간 내부에 위치하고 축선을 기준으로 정,역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부재를 감거나 풀기 위한 회전축;

    을 포함하는 다용도 스틱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고안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스틱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면 부호 2는 스틱 본체를 지칭한다.

    이 스틱 본체(2)는 도면에서와 같이 위쪽에는 손잡이(2a)가 형성되고 아래쪽에는 지면과 접촉되기 위한 경질의 금속팁(2b)이 부착된 통상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틱 본체(2)는 내측에 수납 공간(S)이 형성되고, 외부면 일측에는 상기 수납 공간(S)과 연통되어 장홀 형태로 뚫려진 통로(S1)가 형성된다.

    상기 스틱 본체(2)는 무게가 가볍고 내구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합금 또는 티 타늄 합금과 같은 금속류 폴대(P)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틱 본체(2)는 도 1에서와 같이 1개 이상의 폴대(P)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움 결합으로 연결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길이 조절 구조는 예를들어, 낚시대나 안테나와 같이 슬라이드 동작에 의해 길이를 축소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통상의 길이 조절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틱 본체(2)는 복수개의 부목부재(4)들이 내부에 수납되거나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연결되어 통상의 부목 기능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부목부재(4)들이 도 1에서와 같이 평면 형태로 펼쳐질 수 있는 고정면(F)을 갖는 연결부재(6)에 부착되어 이 연결부재(6)의 감김 또는 풀림 동작에 의해 상기 스틱 본체(2)의 수납 공간(S)에 수납되거나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연결부재(6)는 통상의 압박 붕대와 같이 신축성을 갖는 합성섬유 원단 중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6)는 일측 테두리변이 상기 수납 공간(S)에 고정되어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통로(S1)를 통하여 상기 고정면(F)이 외부로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스틱 본체 (2)측에 연결 고정된다.

    상기 각 부목부재(4)들의 재질은 외력에 의한 형태 변형이 적고 내구성이 우수한 금속류나 목재 또는 합성수지류 중에서 선별 사용할 수 있으며, 도 1에서와 같이 직사각형의 판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스틱 본체(2)의 수납 공간(S)에 복수개 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복수개의 부목부재(4)들은 액상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부재(6)의 고정면(F)에 부착 고정하거나 이외에도 실이나 끈 등을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견고하게 부착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각 부목부재(4)들은 상기 연결부재(6)에 고정할 때 상기 스틱 본체(2) 일측에 형성된 통로(S1)를 통하여 수납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스틱 본체(2)와 평행한 배열로 이격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부목부재(4) 중에서 상기 스틱 본체(2)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위치되는 어느 하나의 부목부재(4)는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통로(S1)측에 걸려질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부목부재(4)들을 상기 스틱 본체(2) 내부에 수납할 때 상기 어느 하나의 부목부재(4)가 걸려진 상태로 위치하여 외부에서 이 부목부재(4)를 잡은 상태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6)는 상기 수납 공간(S)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스틱 본체(2) 내부에 설치된 회전축(8)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8)은 상기 수납 공간(S)에서 도 3에서와 같이 세워진 자세로 회전할 수 있도록 통상의 방법으로 고정되며, 이 회전축(8) 외부면 일측에 상기 연결부재(6)의 일측 테두리변이 고정된다.

    상기 회전축(8)은 외부에서 중심 축선을 기준으로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 킬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2a)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2a)를 어느 한 방향으로 돌리면 이 손잡이(2a)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축(8)이 중심 축선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8)를 감거나 풀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스틱은 통상의 스틱 기능은 물론이거니와 예를들어, 산행이나 트랙킹 중에 신체의 팔이나 다리의 골절시 상기 스틱 본체(2)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부목부재(4)를 인출하여 도 6에서와 같이 신체 골절 부위(L) 둘레를 감싸는 상태로 묶어서 신속하게 응급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상기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스틱은 상기 연결부재(6)를 상기 스틱 본체(2) 내부에 수납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구(10)는 통상의 자석이 사용될 수 있으며,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스틱 본체(2) 외부면과 상기 연결부재(6)측에 각각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10)들은 자력(磁)에 의해 서로 당김 작용이 가능하게 이루어져서 상기 복수개의 부목부재(4)들이 상기 수납 공간(S) 내부에 수납될 때 상기 스틱 본체(2)의 통로(S1) 입구측에서 상기 연결부재(6)의 끝단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도 2참조)

    상기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스틱은 도 7에서와 같이 발광부재(1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발광부재(12)는 전기를 공급받아서 발광하는 통상의 LED(Light Emiting Diode) 램프나 전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스틱 본체(2)에서 상기 손잡이(2a) 내부에 장착되어 외부로 발광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2a) 내부는 도 7에서와 같이 건전지(B)를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통상의 카세트 구조로 이루어져서 상기 건전지(B)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서 상기 발광부재(12)가 발광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이러한 전기적 연결 방법은 해당 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스틱 본체(2) 일측에 발광부재(12)를 설치하면, 특히 야간 산행시 통상의 손전등이나 헤드 랜턴을 휴대하거나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으며, 타인으로부터 자신의 위치를 용이하게 알릴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스틱 본연의 기능은 물론이거니와 보행 중에 신체 골절 사고가 발생하면 골절 부위를 부목부재들로 감싸서 신속하게 응급 조치를 취할 수 있는 부목 기능과 야간 산행을 위한 랜턴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한층 향상된 부가 기능성을 얻을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