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

申请号 KR1020140023952 申请日 2014-02-28 公开(公告)号 KR1020140040786A 公开(公告)日 2014-04-03
申请人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发明人 이우금; 박용남;
摘要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purpose stick for the handicapped and the elderly which improves the convenience of a general user and a visually or auditorily handicapped user. For the purpose, the multipurpose stick for the handicapped and the elder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andle part including a battery module; a main body connected to the handle part; one or more extension parts connected to the main body to exte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handle part; and a ground part connected to the one or more extension parts and contacting with the ground. The main body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module and includes a first sensor part for detecting the existence of an object in front, a speaker part for generating sound, and a control part for controlling the speaker part to generate sound if an object is determined to exist in front after receiving a detection signal form the first sensor part. Accordingly, the multipurpose stick for the handicapped and the elder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user convenience via various functions to not only a general user but also a user with predetermined handicaps.
权利要求
  •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부 반대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연장부;
    상기 하나 이상의 연장부에 연결되고 지면과 접촉하는 접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전지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방 물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제1센서부, 음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부, 상기 제1센서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전송 받아 전방 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스피커부가 음향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부는,
    적외선을 발산하여 전방 물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모듈은,
    건전지 장착 모듈 또는 태양 전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태양 전지 모듈은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진동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주위의 소리를 감지하는 제2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센서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전송 받아 주위에 소정 크기 이상의 소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진동 모듈이 진동을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연장부는,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부 반대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에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부 반대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스위치가 작동되면 상기 제1연장부가 상기 손잡이부 반대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도록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고,
    상기 제1연장부가 연장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스위치가 작동되면 상기 제2연장부가 상기 제1연장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 반대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도록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LED 조명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
  • 说明书全文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A MULTIPURPOSRE STICK}

    본 발명은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생활이 풍요로워짐에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여가활동을 즐기고 있는데, 이러한 여가활동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등산 또는 트래킹이다. 그 예로서 전국적으로 많은 산악회가 활동하고 있으며, 토, 일요일마다 많은 등산객이 등산을 즐기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일반적으로, 스틱(STICK)은 일종의 지팡이로서 등산 또는 트래킹할 때의 보조기구로 사용되는데, 이러한 스틱은 산행 또는 트래킹을 할 때 지면을 짚음으로써 체중을 분산시켜 장시간의 산행에도 불구하고 등산객의 피로감을 경감시키는 주 기능 외에도, 수풀 등을 헤치고 나아가거나 호신용으로의 이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스틱은 일반적으로 새벽 조기등산이나 장시간에 걸친 장거리 산행, 그 외의 산책이나 도보운동 등을 행할 때 주로 사용되고 있는 일종의 보행보조 기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근래에는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건강에 대해 보다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된 결과로써 출근전의 새벽이나, 퇴근 후의 어두운 시간대에 가까운 거리의 새벽조기등산을 한다거나 저녁 어두운 시간에 야간 산행을 하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나아가서는 먼 거리의 등산이나 장거리 도보여행 등을 하는 인구들도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이른 새벽의 조기등산, 늦은 저녁 시간의 도보운동, 또는 시골에 사는 노령자들의 야간외출 등 운동이나 외출을 위한 생활활동 시간대가 어두운 시간대로 점점 확대되어 가면서 어두워 확실하게 분간되지 않는 시골길이나 노면이 고르지 못해 항상 위험이 많은 등산로 같은 곳에서는 노면을 더듬어서 상태를 확인하고, 또한 몸과 지체를 의지하여 바른 보행자세를 유지함으로써 보행의 피로를 감소하게 하는 등 안전한 보행을 위해 많은 등산인구들이 스틱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특히 저녁이나 야간에 규칙적이지 못한 노면을 산행할 경우, 종래의 등산용 스틱을 사용하게 되면 노면을 더듬어서 지면 상태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스틱을 사용하여야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한 손에 손전등을 들고서 다른 한 손을 이용하여 스틱을 사용해야 하므로,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 아래를 제대로 볼 수 없는 경우에는 실족에 의해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조난과 같은 위급상황에 처할 경우 이를 외부로 알릴만한 호루라기 또는 확성기와 같은 장비를 구비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매우 난감한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스틱의 사용량이 증가하는 것에 비해 그 기능은 아직 고전적인 지지 기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산행 또는 트래킹에 필요한 용품이 부착된 등산 스틱이 제안되었는바, 국내실용신안등록 등록번호 제20-0413382호 "다목적 산악용 스틱"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은 트래킹 또는 산행 시 특정 상황이 발생하면 그에 따른 대처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것인데, 그러나 사용자가 조난을 당했을 때에 도움을 주는 기능이 없고, 스틱의 크기를 조절하는 기능이 없으며, 시력 또는 청력에 이상이 있는 사용자에게까지 유용한 기능은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반 사용자는 물론이고 시각이나 청각에 장애가 있는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은,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부 반대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연장부; 상기 하나 이상의 연장부에 연결되고 지면과 접촉하는 접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전지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방 물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제1센서부, 음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부, 상기 제1센서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전송 받아 전방 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스피커부가 음향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센서부는, 적외선을 발산하여 전방 물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지 모듈은, 건전지 장착 모듈 또는 태양 전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태양 전지 모듈은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진동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주위의 소리를 감지하는 제2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센서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전송 받아 주위에 소정 크기 이상의 소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진동 모듈이 진동을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연장부는,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부 반대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에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부 반대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스위치가 작동되면 상기 제1연장부가 상기 손잡이부 반대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도록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고, 상기 제1연장부가 연장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스위치가 작동되면 상기 제2연장부가 상기 제1연장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 반대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도록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LED 조명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반 사용자뿐 만 아니라 소정의 장애가 있는 사용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의 다양한 기능을 통해 편리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의 손잡이부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의 본체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의 구성에 대해 도 1을 기초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1)은 손잡이부(10), 본체(30), 하나 이상의 연장부와 접지부(70)를 포함한다.

    손잡이부(10)는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는 부분으로 스위치(700)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30)는 손잡이부(10)와 연결되고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1) 전체를 지지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연장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연장부(40, 5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1)이 두 개의 연장부(40, 50)를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 것인데, 제1연장부(40)는 본체(30)에 연결되어 손잡이부(10)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연장부(50)는 제1연장부(40)에 연결되어 손잡이부(10)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연장부(40)는 상기 본체(30) 내부에 삽입되거나 빠질 수 있도록 하는 제1가이드홈(42)을 구비한다.

    또한, 제2연장부(50)는 상기 제1연장부(40) 내부에 삽입되거나 빠질 수 있도록 하는 제2가이드홈(52)을 구비한다.

    본체(30) 및 제1연장부(40)의 내부측면에는 가이드레일(도면 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제1연장부(40) 및 제2연장부(50)의 외부측면에는 가이드레일에 대응되게 제1가이드홈(42) 및 제2가이드홈(52)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의 하단부에는 각각 제1방향전환풀리(도면 미도시) 및 제2방향전환풀리(도면 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방식은 본 발명의 연장부가 구현될 수 있는 일 예이고, 이러한 방식이 아니라도 연장이 가능한 방식은 어떤 방식이라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접지부(70)는 연장부에 연결되어 지면과 접촉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1)을 지지한다.

    또한, 접지부(70)는 충격 흡수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접지부(70)는 지면과 접촉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1)을 지지하는 동시에 접촉에 따른 충격 또는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해 충격 흡수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 접지부(70)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접지부(70)가 포함하는 탄성 부재를 통해 지면 접촉으로 인한 충격 또는 진동을 감쇄시켜 사용자에게 충격 또는 진동을 제거 또는 감쇄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1)의 구성 중 손잡이부(10)에 대해 도 2를 기초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의 손잡이부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1)의 손잡이부(10)는 사용자의 손이 접촉하는 부분이다.

    또한, 손잡이부(10)는 전지 모듈(100)과 스위치(700)를 포함한다.

    전지 모듈(1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1)에 포함되는 각 구성 요소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지 모듈(100)은 건전지 등이 설치될 수 있는 건전지 장착 모듈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지 모듈(100)은 태양 전지 모듈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0) 상부에 태양 전지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치(700)는 사용자가 손잡이부(10)를 잡았을 때 손가락 부분이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스위치(7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1)의 길이를 조절할 때 사용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1)의 본체(30) 구성에 대해 도 3을 기초로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의 본체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1)의 본체(30)는 제1센서부(200), 스피커부(300)와 LED 조명등(950)을 포함한다.

    제1센서부(2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1) 전방에 물체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위치하는 곳과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제1센서부(20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피커부(300)는 제1센서부(200)에 의해 전방 물체가 감지되면 사용자에게 음향을 제공한다. 즉,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음향을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LED 조명등(950)은 비가 올 때나 야간에 조명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가 위치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전방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LED 조명등(95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1)의 특성을 잘 고려한 것으로 전기 소모가 적고 효율적으로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LED 조명등(950)은 손잡이부(10)에 설치된 스위치(700)의 작동에 따라 동작할 수 있거나 별로의 스위치를 구비하여 동작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1)의 작동 과정을 도 4를 기초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1)은 제1센서부(200), 제2센서부(600), 스위치(700), 제어부(400), 스피커부(300), 진동 모듈(500), 모터(800), LED 조명등(950), 전지 모듈(100)과 GPS 모듈(900)을 포함한다.

    제1센서부(2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1)의 전방 물체 존재 여부를 감지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제1센서부(20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송 받아 전방 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스피커부(300)가 음향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 즉, 사용자(특히 시각 장애자 등)에게 전방에 위험 요소가 있을 경우 소리로 그 위험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제1센서부(200)는 다양한 형태로 전방 물체의 존재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데, 일 예로 적외선을 발산하여 전방 물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2센서부(6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1) 주위의 소리를 감지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제2센서부(60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송 받아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1) 주위에 소정 크기 이상의 소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진동 모듈(500)이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

    즉, 사용자(특히 청각 장애자 등)에게 주위에 위험 요소가 있을 경우에 진동으로 그 위험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사용자에 의해 스위치(700)가 작동되면 제1연장부(40)가 손잡이부(10) 반대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도록 모터(8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제1연장부(40)가 연장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스위치(700)가 작동되면 제2연장부(50)가 제1연장부(40)에 연결된 상태에서 손잡이부(10) 반대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도록 모터(8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사용자의 스위치(700) 작동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모터(800)를 구동할 수 있다. 즉, 스위치(700)의 작동 횟수에 따라 모터(800)의 작동을 조절할 수도 있고, 스위치(700)의 누름 시간에 따라 모터(800)를 작동시켜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1)의 연장부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의 모터(800) 작동 과정은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1)의 길이 조절 방법의 일 예이고,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어부(400)의 모터(80) 작동 과정에 따른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1)의 길이 조절 방법의 구체적 예시를 들면, 아래와 같은 실시예로 실시될 수 있다. 즉 모터(800), 웜기어, 와이어와 풀리 등을 이용하여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1)의 다단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모터(800)의 회전축에 웜이 결합되고, 회전축의 선단에는 단축풀리가 고정결합된다. 단축풀리에는 와이어가 감겨져 있어 단축풀리의 회전방향에 따라 감기고 풀려진다.

    단축풀리가 회전하여 와이어를 감는 경우에는 접지부(70)를 끌어올려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1)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웜기어는 웜과 웜휠로 구성되는되, 상기 웜에 대응하는 웜휠이 웜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설치된다. 웜휠의 중심에는 웜휠회전축이 결합되되, 웜휠회전축은 웜휠을 기준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윔휠회전축 상에는 복수개의 신장풀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웜기어, 단축풀리 및 신장풀리는 본체(30)의 상부에 삽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방향전환풀리 및 제2방향전환폴리는 신장풀리에 감겨진 각각의 와이어의 방향을 바꿀 수 있고, 이에 따라서, 각각의 신장풀리에서 아래로 늘어뜨려진 각각의 와이어가 제1방향전환풀리 및 제2방향전환폴리에 의해서 위로 방향이 전환되어 제1연장부(40)의 일측 상부 및 제2연장부(50)의 일측 상부에 각각 연결되게 할 수 있다.

    웜휠이 웜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 웜휠에 장착된 신장풀리가 회전하여 와이어를 감으면 와이어는 제1연결부(40) 및 제2연결부(50)을 아래로 끌어내려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1)의 길이가 신장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1)의 작동방법을 살피면, 먼저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1)의 길이를 신축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스위치(700)를 OFF 상태로 둔다. 이 상태에서는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1)에 힘이 가해져도 웜기어의 특성에 따라 모터(800)가 회전되지 아니하므로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1)의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1)의 길이를 늘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위치(700) 작동에 따라, 모터(800)를 신장되는 방향으로 조절하면, 전류가 흘러 모터(800)를 회전시킨다. 모터(800)의 회전축에 결합된 웜에 의해 웜휠로 동력이 전달되고, 웜휠의 회전축에 장착된 신장풀리가 회전하며 와이어를 감는다. 와이어는 제1방향전환풀리를 거쳐 제1연장부(40)의 상부 일측에 연결되어 있다. 와이어가 감김에 따라서, 제1연장부(40)는 하부로 와이어에 의해서 아래로 끌어내려지게 된다.

    또한, 윔휠의 회전축에는 복수개의 신장풀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1)은 두개의 신장풀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웜휠의 회전축에 장착된 다른 신장풀리가 회전하며 다른 신장풀리에 연결된 또다른 와이어를 감는다. 상기 와이어는 제2방향전환풀리를 거쳐 제2연장부(50)의 상부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가 감김에 따라서, 제2연장부(50)는 하부로 상기 와이어에 의해서 아래로 끌어내려지게 된다. 이런 과정을 거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1)의 길이는 신장될 수 있다.

    한편,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1)의 길이를 단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위치(700) 작동에 따라 모터(800)의 회전이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1)의 길이를 신장하는 경우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모터(800)의 회전축에 장착된 단축풀리가 회전하여 단축풀리에 결합된 와이어를 감게 된다. 와이어의 일측은 접지부(7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와이어가 감기면서 접지부(70)를 위로 끌어올려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1)의 길이가 단축되게 된다. 이때, 복수개의 신장풀리 각각은 각각에 감겨져 있는 와이어를 풀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1)의 길이가 단축되는 것이 방해 받지 않게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1)은 스위치(700)의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길이를 원하는 데로 조절할 수 있으며,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1)에 반복적인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웜기어에 의해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체(30)에 설치되는 GPS 모듈(9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1)의 위치를 전송한다. 즉, 사용자가 산행을 하는 등의 과정에서 조난을 당하는 경우에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용도 스틱(1) 사용자의 위치를 전송하여 구조가 용이하도록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지 모듈(100)은 전기적으로 작동이 필요한 제1센서부(200), 제2센서부(600), 제어부(400), 스피커부(300), 진동 모듈(500), 모터(800), LED 조명등(950)과 GPS 모듈(9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 : 다용도 스틱 10 : 손잡이부
    30 : 본체 40 : 제1연장부
    42 : 제1가이드홈 50 : 제2연장부
    52 : 제2가이드홈 70 : 접지부
    100 : 전지 모듈 200 : 제1센서부
    300 : 스피커부 400 : 제어부
    500 : 진동 모듈 600 : 제2센서부
    700 : 스위치 800 : 모터
    900 : GPS 모듈 950 : LED 조명등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