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 및 이동 그립 헤드를 갖는 지팡이

申请号 KR1020080040400 申请日 2008-04-30 公开(公告)号 KR1020090114652A 公开(公告)日 2009-11-04
申请人 엠팩트 주식회사; 发明人 정수종; 신대식; 한기수;
摘要 PURPOSE: A stick with fixed and movement grip heads is provided, which makes the old, the weak or the disabled easily use the stick by raising use convenience and functional. CONSTITUTION: A stick with fixed and movement grip heads comprises a fixed grip head(10); a fixed grip head stick(30) of the tube-shape which is inserted into the fixed grip head; a main body member(21) in which an extended grip part(22) and one stick are penetrated and which has a through-hole which is formed to be slid; a stopper(23); and a movable grip head(20) consisting of a stopper holder(24) supporting one stopper.
权利要求
  • 고정 그립 헤드(fixed grip head)와;
    상기한 고정 그립 헤드에 삽지(揷止)되는 관체형(管體形)의 스틱(stick)과;
    연장 그립부(extended grip part)와 상기한 스틱이 관통되며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통공을 갖는 본체부와, 스토퍼(stopper)와, 상기한 스토퍼를 지지하는 스토퍼 홀더(stopper holder)로 구성되는 이동 그립 헤드(movable grip head)로 구성되며:
    상기한 스토퍼의 작동에 의해 상기한 이동 그립 헤드가 스틱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함과 아울러 회전 운동 가능하고 상기한 상하 이동 또는 회전 운동한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 가능하게 형성되는
    고정 및 이동 그립 헤드를 갖는 지팡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토퍼가 스틱 관통용 통공을 갖는 환형부와 레버를 가지며, 상기한 스토퍼 홀더가 스틱 관통용 통공과 상기한 스토퍼의 환형부가 수납되는 환형 오목부 및 레버 통과를 위한 개구를 가지고, 상기한 스토퍼의 연장된 레버 단부와 상기한 이동 그립 헤드의 저면이 탄성 수단에 의해 탄발적(彈發的)으로 연결되어, 평상의 상태에서는 상기한 스토퍼의 환형부가 그에 관통된 스틱에 대하여 경사지게 위치하여 고정되고, 상기한 레버가 압압(壓壓)된 상태에서는 상기한 스토퍼의 환형부가 그에 관통된 스틱에 대하여 직교하게 위치함으로써 고정 해제되 는 고정 및 이동 그립 헤드를 갖는 지팡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이동 그립 헤드의 본체부 저면에 경사면을 갖는 환형 경사 돌출부가 형성되고, 스토퍼의 레버가 압압되지 않은 고정 상태에서 상기한 경사면과 스토퍼의 환형부가 당접(當接)하게 위치하는 고정 및 이동 그립 헤드를 갖는 지팡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 그립 헤드가 스틱의 일측 방향에 위치하는 메인 그립부와 타측 방향에 위치하는 보조 그립부로 형성되는 T형 그립 헤드로 형성되는 고정 및 이동 그립 헤드를 갖는 지팡이.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 및 이동 그립 헤드와 스틱이 비중 1.74∼1.84g/㎤의 마그네슘 합금으로 형성되는 고정 및 이동 그립 헤드를 갖는 지팡이.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틱의 스틱 단부에 볼트부가 형성되고 그에 인접한 상방 내측 영역에 1열 또는 2열의 통공 또는 오목부가 수직으로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한 볼트부에 플러그가 나합되고, 일단부에 통공을 통하여 압압식 탄발 버튼이 탄성 수단에 의하여 취부되어 있는 슬라이딩 접철 스틱이 상기한 스틱의 하방으로부터 슬라이딩 삽입되어 소정의 상기한 통공 또는 오목 부에 상기한 압압식 탄발 버튼을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고정 및 이동 그립 헤드를 갖는 지팡이.
  •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슬라이딩 접철 스틱 외에, 스틱도 복수단으로 슬라이딩 접철 가능하게 형성되는 고정 및 이동 그립 헤드를 갖는 지팡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틱의 단부에 너트부가 형성되고, 일단에는 금속 팁 또는 탄성체가 취부(取付)되고 타단에는 볼트부가 형성된 조립식 말단 스틱이 나합되는 고정 및 이동 그립 헤드를 갖는 지팡이.
  • 제8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립식 말단 스틱이, 일단에 금속 팁 또는 탄성체가 취부되고 중앙 외주연면에 볼트부가 형성되며 타단에 너트부가 형성된 말단부와, 상기한 말단부의 너트부에 나합하기 위한 일단의 볼트부와 타단에 스틱에의 고정을 위한 볼트부가 형성된 몸체로 구성되는 고정 및 이동 그립 헤드를 갖는 지팡이.
  • 제9항에 있어서, 상기한 말단부의 중앙 외주연면의 볼트부에 트래킹 바스켓(tracking basket)이 착탈 가능하게 나합되는 등산용의 고정 및 이동 그립 헤드를 갖는 지팡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이동 그립 헤드의 연장 그립부에 복수개의 중량 경 감 및 논슬립(non-slip)용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한 복수개의 통공 중 어느 하나에 손목 보호끈이나 손목 보호대가 결착되어 있는 고정 또는 이동 그립 헤드를 갖는 지팡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 그립 헤드의 보조 그립부에 중량 저감 및 논슬립(non-slip)용 요입부가 형성되는 고정 또는 이동 그립 헤드를 갖는 지팡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 또는 이동 그립 헤드나 스틱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야간 시인성 향상을 위한 형광 도료가 코팅되어 있는 고정 및 이동 그립 헤드를 갖는 지팡이.
  • 说明书全文

    고정 및 이동 그립 헤드를 갖는 지팡이{WALKING OR ALPINE STICKS HAVING FIXED AND MOVABLE GRIP HEADS}

    본 발명은 고정 및 이동 그립 헤드를 갖는 지팡이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헤드를 간단하고도 용이하게 고정 그립 헤드와 이동 그립 헤드로 분리 또는 결합함으로써 단수(單手) 지팡이 또는 양수(兩手) 지팡이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우수한 내구성 및 강도를 갖는 경량화 지팡이에 관한 것으로서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지체장애인용으로서 뿐만 아니라 등산용 지팡이로서도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팡이(단장(短杖))는 보조 보행 용품 중의 하나로서 체중을 지탱하여 근력이 저하되거나 관절이나 신경계통이 손상된 약한 다리의 지지력을 보조하거나 체중을 덜어주고 좌우 다리의 불균형을 보정해 줌으로써 체력 소모나 보행의 고통을 완화 내지 경감시켜 자연스러운 보행에 기여함과 아울러, 넘어져 부상당하지 않도록 돕는 기능을 하거나, 또는 산행 중 체력 소모를 경감시키거나 넘어져 부상당하는 일을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지팡이는 이러한 실용적인 용도 외에도 역사적으로나 지역에 따라 권 력자나 승려 또는 주술사 등의 신분이나 권위를 상징하는 용도로도 사용되어 왔으며, 서양에서는 11세기경 귀부인의 액세서리로 이용되었고 16∼18세기에는 등나무 지팡이가 신사의 중요한 액세서리로 사용되던 시기가 있었으며, 동양에서도 장수와 선비의 절개를 상징하는 죽장과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명아주대로 된 청려장(靑藜杖)이 널리 사용된 시기가 있었으나, 현재는 노약자의 보행 보조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외에, 건강, 레저 및 스포츠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안전 및 체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등산용품으로서 트래킹(tracking)용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2004년 현재 우리나라의 65세 이상의 인구는 약 42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8.7%를 차지하고 있고 2009년에는 65세 이상 인구가 530만 명에 이르게 되며 이중 약 87%가 당뇨병, 고혈압, 실혈관계질환, 뇌혈관질환, 관절염 등 노인성 만성 질환을 앓게 될 것으로 추산되고 있고 이들 중 약 35%가 타인의 도움 없이는 일상생활 유지가 곤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실버산업 시장규모는 2005년에 25조원에 달하였으며 2010년에는 약 37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참고로, 일본은 1,600조원으로 예상), 향후 실버산업의 확장으로 인한 수요의 급증이 예상됨에도 우리나라의 실버산업은 기술 취약성으로 인하여 약 80%에 이르는 높은 실버산업 제품 수입 의존도를 보이면서 대외에 종속되어 있으며, 지팡이의 경우에 있어서도 목재로 된 것은 중국과 같은 개도국으로부터 대량 수입되고 있고 티타늄 또는 강화탄소섬유로 제작된 것도 일부이지만 선진국으로부터 고가에 수입되고 있다.

    한편,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건강, 레저 및 스포츠 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져서 등산이나 트래킹을 즐기는 인구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근자에 들어서는 등산용 또는 트래킹용 지팡이에 대한 수요도 점차 증대되고 있다.

    종래 지팡이의 재료로는 주로 견고하고 가벼운 등나무, 대나무, 물푸레나무, 벚나무, 명아주 나무 등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며, 특수한 용도로서는 쇠나 청동으로 제작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근자에 들어서는 실용적인 면을 강조하여 견고하면서도 경량화하기 위하여 손잡이 헤드 부분은 목재나 플라스틱을 사용하고 지대를 이루는 스틱 부분은 비중 2.70g/㎤인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인 비중 약 2.80g/㎤인 두랄루민으로 된 제품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경량화를 위하여 채택하고 있는 목재나 플라스틱으로 제작한 그립 헤드는 떨어뜨리거나 강하게 부딪치는 경우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그립 헤드를 알루미늄이나 그 합금으로 제작하게 되면 경량화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지팡이는 지대 스틱 부분의 높이 조절이나 접이 또는 조립이 가능하지 않은 일자형 통지팡이와, 2단 내지 4단으로 구성된 지대 스틱 부분을 슬라이딩시켜 금속제 버튼 등을 지대 스틱의 개구에 끼워 고정하는 등과 같은 적절한 길이 조절 고정 수단을 채택한 슬라이딩 타입의 길이 조절 타입 지팡이, 분리된 지대 스틱의 단부에 탄성 로프가 결합되어 W 자형으로 접는 형식의 접이 타입 지팡이, 지대 스틱 부분이 분리 가능하고 나사 체결 수단 등과 같은 조임 수단에 의해 조립 고정하는 조립식 지팡이로 대별될 수 있다.

    한편, 손잡이 부분을 구성하는 그립 헤드의 형태에 따라 I자형 그립 헤드 지팡이, T자형 그립 헤드 지팡이, r자형 그립 헤드 지팡이로 분류되기도 한다.

    또한, 등산용 지팡이(alpine stick)의 경우에는 지대 스틱의 상부에 충격방지용 안티쇼크 스프링이 내장되어 있는 종류도 있으며, 등산용 지팡이는 그립 헤드에 손목 지지용 손잡이 끈이 취부(取付)됨이 통상적이며 손잡이 끈에 별도로 나침반이 부착되어 있는 것도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지팡이의 그 어느 것도 손잡이를 구성하는 그립 헤드 부분이 고정 그립 헤드와 위치 이동 가능한 이동 그립 헤드로 간단하고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한 이동 그립 헤드의 용이한 위치 이동과 이동된 상태에서의 임의의 위치에서 간단히 고정됨으로써 노약자나 장애인이 앉은 상태에서 일어설 경우 양수 지팡이로 기능하여 안정적인 보조구로서 기능할 수 있음은 물론, 등산 시 등에 있어서도 이동 그립 헤드의 위치를 임의 변경 가능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제고한다는 획기적 기술적 사상을 갖는 지팡이는 현재까지 제안되거나 암시 내지 시사되어 있는바 전혀 없으며, 더욱이 지팡이를 경량화하면서도 내구성 및 강도를 증대시킬 목적으로 지대 스틱을 가장 일반적으로는 알루미늄이나 두랄루민, 드물 게는 고가의 티타늄으로 제작한 외에 다른 금속 소재를 적용한 경우 또한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지팡이로서 만족스러운 정도의 충분한 내구성 및 강도를 가지면서도 충분히 경량화되어 있고 그 형상 및 외관이 미려하여 고급스러운 심미감(審美感)을 발현하며, 특히 우수한 기능성을 갖는 지팡이의 개발이 사회복지분야 및 등산 레저 분야에 요청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손잡이를 이루는 그립 헤드를 사용 목적이나 필요에 따라 그 형태 및 위치를 손쉽게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 편의성 및 기능성을 제고한 노약자나 장애인용 지팡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본 발명의 상기한 첫 번째 목적에 더하여 충분한 내구성 및 강도를 가져 스틱부는 물론 그립 헤드에 대한 파손의 우려가 없으면서도 경량이며 그 형상 및 외관이 미려하여 고급감 및 심미감(審美感)을 발현할 수가 있는 지팡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본 발명의 상기한 첫 번째 및 두 번째 목적에 더하여, 스틱의 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향상된 사용 편의성 및 휴대성을 갖는 지팡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전술한 제반 목적에 더하여 등산용 지팡이로도 병용(倂用) 가능한 다용도 기능성 지팡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목적은 전술한 제반 목적에 더하여 노약자나 장애인의 야간 도보 시나 등산인의 야간 산행 시 향상된 시인성(視認性)을 갖게 하거나, 및/또는 충격방지용 안티쇼크 스프링을 내장하여 안전성을 부여하거나, 및/또는 손목 지지를 가능하게 하여 사용 편의성을 부가한 지팡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樣態)에 따르면, 고정 그립 헤드(fixed grip head)와; 상기한 고정 그립 헤드에 삽지(揷止)되는 관체형(管體形)의 스틱(stick)과; 연장 그립부(extended grip part)와 상기한 스틱이 관통되며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통공을 갖는 본체부와, 스토퍼(stopper)와; 상기한 스토퍼를 지지하는 스토퍼 홀더(stopper holder)로 구성되는 이동 그립 헤드(movable grip head)로 구성되며: 상기한 스토퍼의 작동에 의해 상기한 이동 그립 헤드가 스틱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함과 아울러 회전 운동 가능하고 상기한 상하 이동 또는 회전 운동한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 가능한 고정 및 이동 그립 헤드를 갖는 지팡이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한 스토퍼가 스틱 관통용 통공을 갖는 환형부와 레버를 가지고, 상기한 스토퍼 홀더가 스틱 관통용 통공과 상기한 스토퍼의 환형부가 수납되는 환형 오목부 및 레버 통과를 위한 개구를 가지며, 상기한 스토퍼의 연장된 레버 단부와 상기한 이동 그립 헤드의 저면이 탄성 수단에 의해 탄발적(彈發的)으로 연결되어, 평상의 상태에서는 상기한 스토퍼의 환형부가 그에 관통된 스틱에 대하여 경사지게 위치하여 고정되고, 상기한 레버가 압압(壓壓)된 상태에서는 상기한 스토퍼의 환형부가 그에 관통된 스틱에 대하여 직교하게 위치함으로써 고정 해제되는 고정 및 이동 그립 헤드를 갖는 지팡이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한 이동 그립 헤드의 본체부 저면에 경사면을 갖는 환형 경사 돌출부가 형성되고, 스토퍼의 레버가 압압되지 않은 고정 상태에서 상기한 경사면과 스토퍼의 환형부가 당접(當接)하게 위치하는 고정 및 이동 그립 헤드를 갖는 지팡이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전히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 그립 헤드가 스틱의 일측 방향에 위치하는 메인 그립부와 타측 방향에 위치하는 보조 그립부로 형성되는 T형 그립 헤드로 형성되는 고정 및 이동 그립 헤드를 갖는 지팡이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고정 및 이동 그립 헤드와 스틱이 비중 1.74∼1.84g/㎤의 마그네슘 합금으로 형성되는 고정 및 이동 그립 헤드를 갖는 지팡이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스틱의 스틱 단부에 볼트부가 형성되고 그에 인접한 상방 내측 영역에 1열 또는 2열의 통공 또는 오목부가 수직으로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한 볼트부에 플러그가 나합되고, 일단부에 통공을 통하여 압압식 탄발 버튼이 탄성 수단에 의하여 취부되어 있는 슬라이딩 접철 스틱이 상기한 스틱의 하방으로부터 슬라이딩 삽입되어 소정의 상기한 통공 또는 오목부에 상기한 압압식 탄발 버튼을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고정 및 이동 그립 헤드를 갖는 지팡이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한 슬라이딩 접철 스틱 외에, 스틱도 복수단으로 슬라이딩 접철 가능하게 형성되는 고정 및 이동 그립 헤드를 갖는 지팡이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스틱의 단부에 너트부가 형성되고, 일단에 금속 팁 또는 탄성체가 취부되고 타단에 볼트부가 형성된 조립식 말단 스틱이 나합되는 고정 및 이동 그립 헤드를 갖는 지팡이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조립식 말단 스틱이 일단에 금속 팁 또는 탄성체가 취부되고 중앙 외주연면에 볼트부가 형성되며 타단에 너트부가 형성된 말단부와, 상기한 말단부의 너트부에 나합하기 위한 일단의 볼트부와 타단에 스틱에의 고정을 위한 볼트부가 형성된 몸체로 구성되고, 상기한 말단부의 중앙 외주연면의 볼트부에 트래킹 바스켓(tracking basket)이 착탈 가능하게 나합되는 등산용의 고정 및 이동 그립 헤드를 갖는 지팡이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선택적 양태에 따르면, 고정 또는 이동 그립 헤드나 스틱의 적어도 일부에 야간 시인성 향상을 위한 형광 도료가 코팅되거나, 또는 당업계 공지의 충격방지용 안티쇼크 스프링을 내장하거나, 또는 등산업계 공지의 손목 지지끈이나 손목 보호대 또는 나침반을 취부하여 사용 편의성을 부가한 등산용의 고정 및 이동 그립 헤드를 갖는 지팡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및 이동 그립 헤드를 갖는 전혀 새로운 개념의 지팡이는 사용자의 필요 및 사용 목적에 따라 그립 헤드의 형태 및 위치를 손쉽게 조절 가능하므로 사용 편의성 및 기능성이 매우 높고, 충분한 내구성 및 강도를 가지면서도 경량이며 그 형상 및 외관이 미려하여 고급감을 발현하며, 선택적으로는 스틱의 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형태로 함으로써 향상된 사용 편의성 및 휴대성을 부여할 수 있음과 아울러, 또한 선택적으로는 등산용 지팡이로도 병용(倂用) 가능하므로 다용도 기능성을 부여할 수가 있고, 부수적으로는 야광 도료를 적어도 일부에 코팅함으로써 노약자나 장애인의 야간 도보 시 또는 등산인의 야간 산행 시 향상된 시인성(視認性)을 갖게 하여 안전성 및 구조 가능성을 높인다거나, 또는 충격방지용 안티쇼크 스프링을 내장하여 손목 부상의 위험성을 저감시킨다거나, 또는 손목 지지끈이나 손목 보호대 또는 나침반 등을 취부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제고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및 이동 그립 헤드를 갖는 지팡이(1)의 그립 헤드(도면부호 미부여)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조립도로서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로 하며, 그 주요 구성은 고정 그립 헤드(10)와, 상기한 고정 그립 헤드(10)에 삽지 고정되는 관체형의 스틱(30)과, 상기한 스틱(30)이 관통되는 통공(21a)을 갖는 본체부(21)와 그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연장 그립부(22) 및 돌출부(22e)를 가지며 상기한 스틱(30)이 관통되고 탄성 수단(26)에 의하여 상기한 스틱(30)에 대한 잠금 고정 및 잠금 해제 가능하게 취부되는 스토퍼(23)와 상기한 스토퍼(23)를 지지하는 스토퍼 홀더(24)로 구성되는 이동 그립 헤드(20)로 구성되며, 상기한 스토퍼(23)의 작동에 의해 상기한 이동 그립 헤드(20)는 스틱(30)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함과 아울러 회전 운동 가능하고 상기한 상하 이동 또는 회전 운동한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그립 헤드(도면부호 미부여)는 고정 그립 헤드(10)와 이동 그립 헤드(20)로 구성된다.

    스틱(30)의 일단부가 저면에 삽지 고정되는 고정 그립 헤드(10)는 긴 연장부로 형성되는 메인 그립부(11)와 그 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연장부로 형성되는 보조 그립부(12)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T자형으로 형성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하다면 r자형 또는 n자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그 전체적인 형상은 본 발명에 있어 제한적이지 않으며 임의 선택적이다.

    또한, 상기한 스틱(30)은 경량화를 위해서 관체형(管體形)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예에서의 고정 그립 헤드(10)는 인체공학적 설계에 의하여 형상된 그립성을 갖도록 디자인되어 있으며, 메인 그립부(11)는 전체적으로 부드럽게 약간 라운드 처리된 상향 곡면 경사부(11a)와 하향 곡면 단부(11b)를 가지며 그 측면은 측방 곡면 오목부(11c)가 형성되고 저면은 약간 상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상향 만곡 저면(11g)으로 형성되어 쥐기 편하고 일단 쥐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형태로 형상화 되어 있으며, 이와 일체로 형성되는 보조 그립부(12) 또한 전체적으로 부드럽게 라운드 처리된 상향 곡면 경사부(12a)와 하향 곡면 단부(12b)를 가지며 그 측면은 측방 곡면 오목부(12c)가 형성되고 저면은 약간 상향으로 치켜져 경사진 상향 경사 저면(12e)으로 형성되어 쥐기 편하고 일단 쥐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형태로 형상화되어 있다.

    상기한 고정 그립 헤드(10)의 메인 그립부(11)와 보조 그립부(12)는 경량화를 위해서 그 내부가 각각 공동부(도면부호 미부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한 메인 그립부(11)와 보조 그립부(12) 사이는 상면 중앙 오목부(13)와 중앙 평활 저면(13a)으로 형성되며, 상기한 중앙 평활 저면(13a)으로부터는 스틱(30)을 고정하기 위한 스틱 삽지 고정부(14)가 하방으로 돌출 연장 형성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1f는 후술하는 홈이며, 12f는 요입부로서 중량 저감 및 상대적 짧은 길이를 갖는 보조 그립부(12)의 슬립 우려를 해소하기 위하여 부여된 논슬립(non-slip)용 요입부이다.

    도시된 예에서의 이동 그립 헤드(20) 역시 인체공학적 설계에 의하여 형상된 그립성을 갖도록 디자인되어 있으며, 본체부(21)는 경사 형성된 스커트(21b)를 갖게 형성되고 그 상면은 상기한 고정 그립 헤드(10)의 중앙 평활 저면(13a)과 매치(match)되어 당접할 수 있도록 평활면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는 종 방향으로 상기한 스틱(30) 관통용 통공(21a)이 형성되며, 상기한 본체부(21)의 일측에는 돌 출부(22e)가 형성되고 그 양측에는 그립성 향상을 위한 오목부(22f)가 형성되고, 상기한 본체부(21)의 일측 및 상기한 돌출부(22e)의 상방에는 연장 그립부(22)가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연장 그립부(22)는 만곡 돌출 평활 상면(22a)이 형성되어 상기한 고정 그립 헤드(10)의 메인 그립부(11)의 상향 만곡 저면(11g) 및 보조 그립부(12)의 상향 경사 저면(12e)(180ㅀ 회전 시)과 매치되어 당접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그 연장 단부 중앙에는 돌기(22b)가 형성되어 전술한 고정 그립 헤드(10)의 메인 그립부(11)의 저면 선단부에 인접한 영역에 형성된 홈(11f)에 고정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한 홈(11f)은 약간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의 깊이가 주변보다 깊게 형성되며, 상기한 이동 그립 헤드(20)의 회전에 의해 상기한 돌기(22b)가 홈(11f)을 타고 들어가 중앙에 안착됨으로써 상기한 고정 그립 헤드(10)의 메인 그립부(11)의 상향 만곡 저면(11g)에 매치되어 결합 고정된 이동 그립 헤드(20)의 연장 그립부(22)의 상향 곡면 경사부(12a)가 외부의 물리적 충격이나 힘에 의해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2c는 연장 그립부(22)의 곡면 단부이며, 22d는 중량 경감 및 논슬립(non-slip)용 통공으로서 그 어느 하나에 공지의 손목 지지끈이나 손목 보호대(미도시)를 부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그 결착을 위한 통공으로서도 기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이동 그립 헤드(20)의 본체부(21)의 저면에는 일단으로 갈수록 돌출되는 형태의 경사면(21d)을 갖는 환형 경사 돌출부(21c)와 그 일단의 수평 단 부(21e)가 형성되고, 후술하는 스토퍼(23)의 레버(23a)가 압압되지 않은 고정 상태에서 상기한 경사면(21d)과 스토퍼(23)의 환형부(23b)가 견고하게 당접(當接)하여 위치할 수 있게 되나, 본 발명에 있어서 그 형상 및 존재 여부는 선택적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한 이동 그립 헤드(20)의 본체부(21)의 저면에 위치하는 스토퍼(23)는 레버(23a)와 그 일단에 스틱(30) 관통용 통공(23c)이 형성된 환형부(23b)로 형성되며, 상기한 스토퍼(23)는 예컨대 스프링과 같은 탄성 수단(26)에 의해 상기한 본체부(21)의 돌출부(22e) 저면에 탄발적으로 지지된다.

    한편, 상기한 스토퍼(23)를 수납하도록 하방으로부터 고정 나사(미도시)와 같은 적절한 체결 수단에 의해 상기한 본체부(21)에 고정되는 스토퍼 홀더(24)는 스틱(30)이 관통되는 통공(24a)과 상기한 레버(23a)의 동작을 가능하게 일측이 개방된 개구(24b)를 가지며, 상기한 개구(24b)는 상기한 스토퍼(23)의 환형부(23b)가 안치될 수 있도록 그에 대응하는 형상의 환형 오목부(24c)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4d와 24e는 각각 환형 오목부(24c)의 내주면 및 외주면이고, 24f는 체결 나사공이다.

    따라서, 평상의 고정 상태에서는 스토퍼 홀더(24)의 환형 오목부(24c) 내에 안착되어 있는 스토퍼(23)의 환형부(23b)는 통공(21a,23c,24a)을 관통하는 스틱(30)에 대하여 경사지게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한 스토퍼(23)의 환형부(23b)의 내주면(도면부호 미부여)은 스틱(30)의 외주면(도면부호 미부여)에 대하여 맞닿아 고정시키게 되므로 스틱(30)에 대한 이동 그립 헤드(20)의 상하 이동이나 회전은 가능하지 않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한 스토퍼(23)의 레버(23a)를 누르고 있는 잠금 해제 상태 하에서는 스토퍼(23)의 환형부(23b)가 통공(21a, 23c, 24a)을 관통하는 스틱에 대하여 직교하게 위치하므로, 상기한 스토퍼(23)의 환형부(23b)의 내주면(도면부호 미부여)은 스틱(30)의 외주면(도면부호 미부여)에 대하여 간극을 유지하게 되므로 스틱(30)에 대한 이동 그립 헤드(20)의 상하 이동이나 회전이 비로소 가능하게 되며, 상기한 레버(23a)에 대한 누름을 해제하면 탄성 수단(26)에 의해 레버(23a)는 원위치하여 다시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형태의 스토퍼(23) 구성에 이해서만 스틱(30)에 대한 이동 그립 헤드(20)의 잠금 및 잠금 해제가 가능한 것은 아니며, 다양한 공지의 수단에 의해서도 이러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예컨대 손으로 누르면 클램핑이 해제되고 손을 치우면 탄발 수단에 의한 탄발력에 의해 클램핑되는 방식의 다양한 형태를 갖는 클램프(clamp) 구조를 채택하더라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나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한 스토퍼(23)의 구성은 본 발명에 있어 선택적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및 이동 그립 헤드를 갖는 지팡이(1)의 제작 소재로서는 비중이 알루미늄의 2/3, 강철의 1/4에 불과한 마그네슘의 합금(비중 약 1.74∼1.84g/㎤)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티타늄이나 강화 탄소섬유 또는 보론섬유 복합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훨씬 저가라는 장점이 있는 한편,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인 두랄루민, 초두랄루민, 초초 두랄루민에 비하여도 1/3 이상 경량이라는 장점이 있다.

    마그네슘은 1808년 영국의 화학자 H.데이비가 마그네시아알바를 금속칼륨으로 환원시켜 발견한 금속으로서 지상에서 매우 풍부한 광물이며, 외관은 은백색이고 비등점은 알루미늄과 거의 같은 650℃로서 마그네슘-알루미늄 등과 같이 타 금속과의 합금으로 주로 사용되며, 자연계에 유리(遊離)상태로는 산출되지 않지만, 탄산염, 황산염, 규산염 등의 형태로 지구상에 널리 그리고 다량으로 존재하는 지구상에서 8번째로 풍부한 경량 금속으로서, 비강도, 치수안정성, 기계 가공성, 진동 흡수성 등이 우수한 최경량의 기계 구조용 소재이다.

    마그네슘 합금은 기존의 플라스틱에 비해 강도 및 강성이 우수하고 가공성이 양호하며 박형화가 가능하므로, 근래 들어 설계, 정밀금형, 정밀가공, 금속공학, 도장 등 여러 분야의 응용이 필요한 고정밀, 고부가가치의 제품으로서 자동차, 우주항공, 전기, 전자분야에서 그 사용 및 시장 규모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상기한 마그네슘 합금은 실용 금속 중 가장 경량이며(비중: Mg 1, Al 1.5, Zn 3.6, Cu 4.9, Fe 4.4), 도전율이 매우 높고 벌크(bulk)형이므로 전자파 차폐 효과가 완벽하며, 진동 흡수성이 우수하여 반복 운동이나 단속 운동 부분에 사용함으로써 기계 장치의 변형이나 파괴를 방지하고 수명을 연장시킴과 동시에 소음 감소가 가능하며, 경시(經時) 치수 변화가 거의 없고 온도 변화에 의한 치수 안정성이 높아서 혹독한 사용 조건에 적용 가능하고, 철강, 알루미늄, 기타 합금 등에 비하여 동일 중량당 강도(비강도)나 내력이 우수하며(마그네슘 합금의 비강도는 철강의 약 1.5배), Al합금이나 연강에 비하여 충돌에 대한 내찍힘성이 양호하고, 절삭 저항이 작아서 빠른 속도의 기계 가공이 가능하며 가공 소요 동력이 철강의 약 1/10, Al의 약 1/3수준으로 가공성이 양호하고, 비중 및 열용량이 적고 방출열 및 용해열도 Al합금에 비하여 적으므로 주조성이 우수하다는 특성을 가지나, Mg 용탕은 철과 반응하지 않으므로 다이캐스트 주조법이 적합하다.

    이하의 표 1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마그네슘 합금의 전형적인 예로써의 AZ91D(Al 9%, Zn 1%)의 물리적 특성을 타 소재와 비교한 것이다.

    재질 마그네슘 알루미늄 아연 플라스틱 철강
    구분 AZ91D ADC12 ZDC2 ABS ABS(GF30%) 탄소강
    인장강도(㎏/㎟) 23.9 33.5 29 9.8 12 517
    0.2%내력 15.3 17 - - - -
    신율(%) 3 2.5 10 60 2.7 22
    경도(HB) 63 - - - - -
    전단강도(Kg/㎟) 14.1 20 22 - - -
    비중(g/㎤) 1.81 2.7 6.6 1.03 1.3 7.86
    비강도(δ/p) 13.2 12.41 - 9.51 9.23 80
    융점(℃) 595 580 387 - - 1520
    비열(㎉/℃) - 0.23 - 0.35 - -
    열팽창율(㎛/m) 27.4 21 27 - - -
    열전도율(W/m℃) 79 100 113 0.91 - 42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마그네슘 다이캐스트 합금으로는 AZ91계 합금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타 신율 및 인성이 우수한 AM60, 또는 크리프성이 좋은 AS41, AS21 등도 사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슘 합금으로 제작되는 고정 및 이동 그립 헤드를 갖는 지팡이(1)는 내식성 증대 및 제품의 외관 특성과 내마모 특성 등의 표면 기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화성처리(chemical coating treatment), 양극 산화, 전기도금, 무전해 도금, 다양한 유기 또는 무기 도료의 도장(painting) 공정으로 후처리하게 되나, 중금속인 6가 크롬은 인체에 치명적일 뿐만 아니라 심각한 환경오염 문제를 유발하게 되므로 이를 이용한 처리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한 표면 후처리의 일례로서는 전기화학적 표면처리를 수행하여 두께 0.01∼1.0㎛의 전기화학 도금층을 형성시키고 그 적어도 일부 표면상에 구리로 된 두께 3∼60㎛의 하지 도금층 형성시킨 다음, 다시 구리-주석 합금 도금층 또는 구리-주석-아연 합금 도금층으로 된 두께 1∼10㎛의 금속 알레르기 방지층을 형성시키거나, 또는 제품 고급화를 위하여 다시 은, 금, 팔라듐, 이리듐, 루티늄, 또는 로듐과 같은 귀금속 도금층을 두께 0.1∼3.0㎛로 형성할 수도 있다.

    첨부 도면으로 다시 환원하여 설명하면, 도 3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및 이동 그립 헤드(10, 20)를 갖는 지팡이(1)의 사용 상태 예시도이다.

    도 3은 이동 그립 헤드(20)를 스틱(30)에 대하여 180° 회전 시켜 고정 그립 헤드(10)의 보조 그립부(12)의 상향 경사 저면(도 1 및 2에서의 도면부호 12e 참조)이 이동 그립 헤드(20)의 연장 그립부(22)의 만곡 돌출 평활 상면(22a)의 기부와 매치되어 당접하게 위치된 상태로서 양수 지팡이로서 기능하게 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한손으로는 스틱(30)을 쥐고 다른 한손으로는 이동 그립 헤드(20)를 쥔 상태에서 한 손가락으로 스토퍼(23)의 레버(23a)를 누르면서 스틱(30)에 대하여 180° 회전시킨 다음 상기한 레버(23a)로부터 손가락의 누름을 푸는 것에 의해 간단하고도 손쉽게 그 상태 그대로 견고히 고정된다.

    이어서, 도 4는 이동 그립 헤드(20)를 스틱(30)에 대하여 약 90° 회전시킨 상태에서 고정 그립 헤드(10)와 이격하게 약간 하방으로 이동시켜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마찬가지로 양수 지팡이로서 기능하게 되는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한손으로는 스틱(30)을 쥐고 다른 한손으로는 이동 그립 헤드(20)를 쥔 상태에서 한 손가락으로 스토퍼(23)의 레버(23a)를 누르면서 스틱(30)에 대하여 약 90° 회전시킨 다음 하방으로 약간 당긴 상태에서 상기한 레버(23a)로부터 손가락의 누름을 푸는 것에 의해 간단하고도 손쉽게 도시된 상태 그대로 견고히 고정된다.

    한편, 도 5는 이동 그립 헤드(20)를 스틱(30)에 대하여 약간 회전시킨 상태에서 하방으로 상당 거리 이동시켜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앉았다가 일어설 때 두 손을 이용하여 손쉽게 일어설 수 있도록 하는 일 예시 형태를 나타낸다.

    이 또한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한손으로는 스틱(30)을 쥐고 다른 한손으로는 이동 그립 헤드(20)를 쥔 상태에서 한 손가락으로 스토퍼(23)의 레버(23a)를 누르면서 약간 회전시켜 스틱(30)의 하방으로 쭉 당기고 그 상태에서 상기한 레버(23a)로부터 손가락의 누름을 푸는 것에 의해 간단하고도 손쉽게 도시된 상태 그대로 견고히 고정된다.

    사용자는 한 손은 이동 그립 헤드(20)를 쥐고 다른 한 손으로는 고정 그립 헤드(10)를 쥐게 되며, 이 때 이동 그립 헤드(20)의 높이는 상대적으로 훨씬 낮은 높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노약자나 지체 장애인이라 할지라도 종래의 일반 지팡이에 비하여 훨씬 적은 힘으로 안정적이고도 안전하게 일어설 수가 있게 된다.

    이어서,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및 이동 그립 헤드를 갖는 지팡이(1)의 단부에 대한 예시도로서, 이에 대해 차례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6a는 선택적으로 (메인) 스틱(30)의 말단부에 천연고무나 라텍스 등과 같은 탄성체(50)를 삽지함으로서 지팡이 사용 시 충격 완화와 소음 방지를 도모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6b는 (메인) 스틱(30)의 스틱 단부(30a)에 너트부(30b)를 형성하고 일단부에 볼트부(32b)를 갖는 조립식 말단 스틱(32)을 상기한 너트부(30b)에 나합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조립식 말단 스틱(32)은 사용자의 신장에 맞는 다양한 길이 및 형태를 갖는 규격화된 것들 중 사용자가 선택하여 사용할 있으며, 그 말단부에는 지팡이 사용 시 충격 완화와 소음 방지를 위한 탄성체(50)가 삽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c 및 도 6d는 각각 일단에 금속 팁(32e) 또는 탄성체(50)가 취부되고 중앙 외주면에 볼트부(미도시)가 형성되며 타단에 너트부(미도시)가 형성된 말단부(32d)와, 상기한 말단부(32d)의 너트부(미도시)에 나합하기 위한 일단의 볼트부(32c)와 타단에 스틱(30)에의 고정을 위한 볼트부(32b)가 형성된 몸체(32a)로 구성되는 등산용의 조립식 말단 스틱(32)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말단부(32d)의 중앙 외주면의 볼트부(미도시)에는 원추형의 트래킹 바스켓(tracking basket)(32f)이 착탈 가능하게 나합될 수 있으며, 상기한 트래킹 바스켓(32f)의 원형부에는 파형 또는 톱니형 골과 마루(도면부호 미부여)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지팡이 단부가 바위틈에 끼여 빠지기 곤란하게 되거나 또는 눈이나 낙엽 속에 박혀 빠지기 곤란하게 되는 일을 방지하게 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당업계 공지이다.

    마지막으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및 이동 그립 헤드를 갖는 지팡이(1)가 다단 슬라이드 접철식으로 된 경우에 대한 예시 단면도로서, 도시된 예에서는 스틱(30)의 스틱 단부에 볼트부(30c)가 형성되고 그에 인접한 상방 영역에는 1열 또는 2열의 통공(30d)이 수직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한 볼트부(30c)에는 수지제 또는 금속제의 플러그(40)가 그에 형성된 너트부(40a)에 의해 나합된다.

    한편, 슬라이딩 접철 스틱(31)은 그 일단부에 통공(31a)을 통하여 압압식 탄발 버튼(31b)이 판스프링(31c) 등과 같은 탄성 수단에 의하여 취부되어 있어서, 상기한 슬라이딩 접철 스틱(31)을 플러그(40)의 통공(40b)을 통하여 관체형의 스틱(30) 내로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슬라이딩시켜 끼워 넣으면, 전술한 1열 또는 2열로 수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30d) 중 임의의 위치의 것에 상기한 압압식 탄발 버튼(31b)을 끼워 넣어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며, 이러한 구조는 당업계 공지이다.

    또한 상기한 스틱(30)에 1열 또는 2열의 통공(30d)을 형성하는 대신 외관미를 고려하고 빗물 유입 방지를 위하여 스틱(30) 내부에 나사형 오목부(미도시)를 형성하거나, 또는 걸쇠 체결 형태를 채택할 수도 있으며, 슬라이딩 접철 스틱(31) 외에, 스틱(30)도 복수단으로 슬라이딩 접철 가능하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조 모두는 당업계 공지이므로 이에 대한 부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또는 이동 그립 헤드를 갖는 지팡이는 고정 또는 이동 그립 헤드나 스틱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야간 시인성 향상을 위한 형광 도료를 코팅하거나, 또는 당업계 공지의 충격방지용 안티쇼크 스프링을 내장하거나, 또는 등산업계 공지의 손목 지지끈이나 손목 보호대 또는 나침반을 취부하여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일구체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정신 및 영역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사항으로부터 다양한 변화와 수정이 가능할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팡이의 그립 헤드부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조립도이다.

    도 3 내지 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지팡이의 사용 상태 예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지팡이의 단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팡이가 다단 슬라이드 접철식인 경우의 접철부에 대한 예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발명에 따른 지팡이

    10: 고정 그립 헤드

    11: 메인 그립부

    11a: 상향 곡면 경사부 11b: 하향 곡면 단부

    11c: 측방 곡면 오목부 11d: 공동부

    11e: 저면부 11f: 홈

    11g: 상향 만곡 저면

    12: 보조 그립부

    12a: 상향 곡면 경사부 12b: 하향 곡면 단부

    12c: 측방 곡면 오목부 12e: 상향 경사 저면

    12f: 요입부

    13: 상면 중앙 오목부 13a: 중앙 평활 저면

    14: 스틱 삽지 고정부

    20 : 이동 그립 헤드

    21: 본체부

    21a: 통공 21b: 스커트

    21c: 환형 경사 돌출부 21d: 경사면

    21e: 수평 단부

    22: 연장 그립부

    22a: 만곡 돌출 평활 상면 22b: 돌기

    22c: 곡면 단부 22d: 통공

    22e: 돌출부 22f: 오목부

    23: 스토퍼

    23a: 레버 23b: 환형부

    23c: 통공

    24: 스토퍼 홀더

    24a: 통공 24b: 개구

    24c: 환형 오목부 24d: 내주면

    24e: 외주면 24f: 나사공

    26: 탄성 수단

    30: 스틱

    30a: 스틱 단부 30b: 너트부

    30c: 볼트부 30d: 통공

    31: 슬라이딩 접철 스틱

    31a: 통공 31b: 압압식 탄발 버튼

    31c: 판 스프링

    32: 조립식 말단 스틱

    32a: 몸체 32b, 32c: 볼트부

    32d: 말단부 32e: 팁(tip)

    32f: 트래킹 바스켓(tracking basket)

    40: 플러그

    40a: 너트부 40b: 통공

    50: 탄성체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