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산

申请号 KR1020110130030 申请日 2011-12-07 公开(公告)号 KR1020130063602A 公开(公告)日 2013-06-17
申请人 김실호; 发明人 김실호;
摘要 PURPOSE: An umbrella is provided to decrease possible causes of malfunction, remarkably reduce manufacturing costs, and efficiently prevent an umbrella from overturning. CONSTITUTION: An umbrella includes a supporter(10) which has a stick shape and includes a frame supporter in an one-end area; several umbrella frames(30) which are radially hinge-coupled to the frame supporter and repeatedly operate between a folding state that the umbrella frames are gathered closely to the supporter and a unfolding state that the umbrella frames are spread to be space from the supporter; a tension member which horizontally connects the adjacent umbrella frames each other; a blocking sheet(50) which is supported by the umbrella frames; a slider(70) in which numerous connecting holders are passed between the umbrella frames along the circumference direction, and which is provided to lif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er so if ascend, the umbrella frames are spread and if descend, the umbrella frames are folded; and a catching member(90) which allows the slider to be caught at the determined position of the supporter.
权利要求
  • 우산에 있어서,
    일단부 영역에 살지지부를 갖는 막대 형태의 지지대;
    상기 살지지부에 방사상으로 힌지결합되며, 상기 지지대에 근접하게 회동 집합되는 접힘상태와 상기 지지대로부터 이격되게 펼쳐지는 펼침상태 간을 회동하는 복수의 우산살;
    상기 우산살들에 의해 지지되는 차단시트;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우산살들이 통과하는 복수의 연동걸이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승시 상기 우산살들을 펼침상태로 되게 하고, 하강시 상기 우산살들을 접힘상태로 끌어 모으는 슬라이더; 및
    상기 지지대와 상기 슬라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지지대의 소정 위치에서 걸림고정 가능하게 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 제 1항에 있어서,
    인접한 상기 우산살들을 가로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장력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살은 상기 살지지부에 근접한 영역 중 적어도 일부 구간이 나머지 영역에 비해 비교적 강성이 높은 보강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살은,
    일단이 상기 살지지부에 힌지결합되어 접힘상태와 펼침상태 간을 회동하는 베이스살부재와,
    일단이 상기 베이스살부재의 자유단에 마련된 절첩힌지부에 힌지결합되어 접힘상태와 펼침상태 간을 회동하는 절첩살부재와,
    상기 절첩살부재로부터 절첩힌지부를 넘어 연장되는 연동레버와,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어 승강이동하며, 상승이동시 상기 절첩살부재의 펼침방향으로 회동하고 하강이동시 상기 절첩살부재가 접힘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연동레버를 구동시키는 연동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레버는 상기 절첩힌지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연동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연동링크는 상승이동시 상기 연동걸림부에 걸려 상기 연동레버를 상기 절첩살부재의 펼침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펼침연동턱과, 상기 펼침연동턱으로부터 승강이동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마련되어 하강이동시 상기 연동걸림부에 걸려 상기 연동레버를 상기 절첩살부재의 접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접힘연동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우산살의 접힘상태에서 상기 지지대의 타단부 방향으로 접근하도록 하방으로 연장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 说明书全文

    우산{AN UMBRELLA}

    본 발명은 우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막대형의 지지대에 금속 재질이나 대오리 살과 같은 우산살이 연결되고, 우산살에는 차단시트를 덮어서 우산살의 펼침과 접힙에 의하여 차단시트가 펼쳐지거나 접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비단 우산뿐만 아니라 양산이나 파라솔 등도 상기한 우산과 유사한 구조를 이루며, 이러한 우산 등의 구조는 방수천을 지지하면서 펼침 및 접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지지대의 슬라이더와 우산살 사이에 중간살과 같은 부재가 더 연결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조의 우산은 중간살이 우산살의 수만큼 존재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여 고장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이 상승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중간살을 제거하여 구조를 매우 단순화함으로써 고장발생의 원인을 줄이고 제조비용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우산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우산에 있어서, 일단부 영역에 살지지부를 갖는 막대 형태의 지지대와, 상기 살지지부에 방사상으로 힌지결합되며, 상기 지지대에 근접하게 회동 집합되는 접힘상태와 상기 지지대로부터 이격되게 펼쳐지는 펼침상태 간을 회동하는 복수의 우산살과, 상기 우산살들에 의해 지지되는 차단시트와,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우산살들이 통과하는 복수의 연동걸이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승시 상기 우산살들을 펼침상태로 되게 하고, 하강시 상기 우산살들을 접힘상태로 끌어 모으는 슬라이더와, 상기 지지대와 상기 슬라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지지대의 소정 위치에서 걸림고정 가능하게 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인접한 상기 우산살들을 가로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장력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산살은 상기 살지지부에 근접한 영역 중 적어도 일부 구간이 나머지 영역에 비해 비교적 강성이 높은 보강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우산살은, 일단이 상기 살지지부에 힌지결합되어 접힘상태와 펼침상태 간을 회동하는 베이스살부재와, 일단이 상기 베이스살부재의 자유단에 마련된 절첩힌지부에 힌지결합되어 접힘상태와 펼침상태 간을 회동하는 절첩살부재와, 상기 절첩살부재로부터 절첩힌지부를 넘어 연장되는 연동레버와,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어 승강이동하며, 상승이동시 상기 절첩살부재의 펼침방향으로 회동하고 하강이동시 상기 절첩살부재가 접힘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연동레버를 구동시키는 연동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동레버는 상기 절첩힌지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연동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연동링크는 상승이동시 상기 연동걸림부에 걸려 상기 연동레버를 상기 절첩살부재의 펼침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펼침연동턱과, 상기 펼침연동턱으로부터 승강이동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마련되어 하강이동시 상기 연동걸림부에 걸려 상기 연동레버를 상기 절첩살부재의 접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접힘연동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우산살의 접힘상태에서 상기 지지대의 타단부 방향으로 접근하도록 하방으로 연장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중간살을 제거하여 구조를 매우 단순화함으로써 고장발생의 원인을 줄이고 제조비용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우산살들을 가로방향으로 연결하는 장력부재를 더 구비하여 우산의 뒤집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슬라이더의 지지력이 강하게 작용할 수 있는 영역에 보강부재를 마련하여 전체적인 내구성이 향상되었다.

    넷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슬라이더의 접힘 및 펼침 동작에 연동하여 절첩되는 절첩살부재를 더 포함하여 2단 내지 3단 절첩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우산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우산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우산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우산은, 막대 형태의 지지대(10)에 방사상으로 힌지결합되는 복수의 우산살(30)을 가지고, 우산살(30)들에 의해 차단시트(50)가 지지되며, 우산살(30)들은 슬라이더(70)에 의해 승강되고, 슬라이더(70)는 걸림부재(90)에 의해 소정 위치에서 걸림 고정된다.

    상기 지지대(10)는 일단부 영역에 상기 우산살(30)을 지지하는 살지지부(12)를 갖는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지지대(10)의 타단부는 손잡이 부분이 형성되어 U자 형으로 굽어져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형상의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우산이나 양산처럼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지 않고 지면에 고정시키는 비치용 파라솔 등은 지지대의 타단부가 쐐기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우산살(30)은 상기 지지대(10)의 살지지부(12)에 방사상으로 힌지결합되며, 상기 지지대(10)에 근접하게 회동 집합되는 접힘상태와 상기 지지대(10)로부터 이격되게 펼쳐지는 펼침상태 간을 회동한다.

    여기서, 상기 우산살(30)은 상기 살지지부(12)에 근접한 영역 중 적어도 일부 구간이 나머지 영역에 비해 비교적 강성이 높은 보강영역(32)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보강영역(32)은 강화플라스틱 등을 사용하여 강풍에 의한 우산살(30)의 휘어짐을 최소화한다.

    그리고, 상기 우산살(30)은 상기 힌지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방으로 완만하게 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상기 우산살(30)의 상부에서 작용하는 외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쉽게 말해, 상기 우산살(30)은 차단시트(5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강풍 등에 의해 상기 차단시트(50)에 외력이 발생하면 완만한 경사면을 통해 외력을 분산시켜 상기 우산살(30)이 강풍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차단시트(50)는 상기한 우산살(30)들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 우산의 경우에는 빗물을 차단하는 방수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양산이나 파라솔의 경우에는 햇빛을 차단하기 위한 차양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70)는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우산살(30)들이 통과하는 복수의 연동걸이(72)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승시 상기 우산살(30)들을 펼침상태로 되게 하고, 하강시 상기 우산살(30)들을 접힘상태로 끌어 모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연동걸이(72)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우산살의 강도나 길이 등을 고려하여 고리 형상 등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70)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가이드부재(7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재(74)는 상기 우산살이 접힘상태에서 상기 지지대(10)의 타단부 방향으로 접근한다. 따라서 우산살(30)을 펼칠 때 슬라이더(70)를 지지대(10)의 상부까지 밀어올리는 번거로움 없이 상기 가이드부재(74)를 통해 상기 우산살(30)의 펼침 및 접힘 동작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90)는 상기 지지대(10)와 상기 슬라이더(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더(70)가 상기 지지대(10)의 소정 위치에서 걸림고정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걸림부재(90)는 상기 슬라이더(70)를 걸림고정시키는 걸림턱(92)과, 상기 걸림턱(92)과 연동하여 걸림높이를 조절하는 펼침버튼(94)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걸림턱(92)은 상기 지지대(10)의 소정 위치에 마련되는데, 상기 가이드부재(74)의 하단에 걸려 상기 가이드부재(74)를 지지한다. 돌출된 걸림턱(92)은 펼침버튼(94)과 연동되어 상기 펼침버튼(94)을 누르면 상기 지지대(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92)에 걸려있던 가이드부재(74)가 하강하게 된다.

    상기 걸림부재(90)는 펼침버튼(94)이 없는 걸림턱(92)만의 단독 구성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상기 걸림턱(92)을 눌러서 이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대(10)에는 걸림턱(92)이 아닌 걸림홈(미도시)이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더(70)와 가이드부재(7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걸림돌기(미고시)가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구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슬라이더(70)를 걸림고정 및 걸림해제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구성의 걸림부재(90)가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한 각 우산살(30)과 교차 연결되어 상기 우산살(30) 및 차단시트(50)를 지지하는 장력부재(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력부재(40)는 우산살(30) 간의 간격을 유지하여 강풍에 의해 우산살(30)이 뒤집히는 것을 방지한다.

    상세히 도시하고 있지는 않으나 상기 장력부재(40)는 줄 등을 상기 각 우산살(30)에 묶어서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장력부재(40)가 우산살(30)에서 미끄러져 흘러내릴 수도 있으므로 상기 우산살(30)에 연결고리(미도시)를 고정하여 상기 연결고리를 통해 장력부재(40)를 연결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장력부재(40)는 우산살(30)의 자유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유단부는 장력부재(40)를 묶거나 걸 수 있도록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연결고리(미도시)를 우산살(30)에 고정하여 상기 연결고리를 통해 장력부재(40)를 연결할 수도 있다.

    도 3에 예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우산살(30)은 다단으로 절첩되어 2단우산이나 3단우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우산살(30)은, 일단이 살지지부(12)에 힌지결합되어 접힘상태와 펼침상태 간을 회동하는 베이스살부재(31)와, 일단이 베이스살부재(31)의 자유단에 마련된 절첩힌지부(33)에 힌지결합되어 접힘상태와 펼침상태 간을 회동하는 절첩살부재(34)와, 절첩살부재(34)로부터 절첩힌지부(33)를 넘어 연장되는 연동레버(35)와, 슬라이더(70)에 연결되어 승강이동하며, 상승이동시 절첩살부재(34)의 펼침방향으로 회동하고 하강이동시 절첩살부재(34)가 접힘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연동레버(35)를 구동시키는 연동링크(3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동레버(35)는 절첩힌지부(3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연동걸림부(36)를 가지며, 연동링크(37)는 상승이동시 연동걸림부(36)에 걸려 연동레버(35)를 절첩살부재(34)의 펼침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펼침연동턱(38)과, 펼침연동턱(38)으로부터 승강이동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마련되어 하강이동시 연동걸림부(36)에 걸려 연동레버(35)를 절첩살부재(34)의 접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접힘연동턱(39)이 마련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 예에 의해, 슬라이더(70)를 승강시켜 베이스살부재(31)가 펼쳐지면 슬라이더(70)와 함께 승강한 연동링크(37)가 연동레버(35)를 절첩살부재(34)의 펼침방향으로 회동시켜 우산살(30)이 펼침상태가 되도록 하고, 슬라이더(70)를 하강시켜 베이스살부재(31)가 접혀지면 슬라이더(70)와 함께 하강한 연동링크(37)가 연동레버(35)를 절첩살부재(34)의 접힘방향으로 회동시켜 우산살(30)이 접힘상태가 되도록 한다.

    지금까지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중간살을 제거하여 구조를 매우 단순화함으로써 고장발생의 원인을 줄이고 제조비용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우산살(30)들을 가로방향으로 연결하는 장력부재(40)를 더 구비하여 우산의 뒤집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슬라이더(70)의 지지력이 강하게 작용할 수 있는 영역에 보강부재를 마련하여 전체적인 내구성이 향상되었다.

    넷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슬라이더(70)의 접힘 및 펼침 동작에 연동하여 절첩되는 절첩살부재(34)를 더 포함하여 2단 내지 3단 절첩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비가 올 때 사용하는 우산을 예로 들었으나, 양산이나 파라솔 등과 같이 상기 우산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상술한 실시 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라면 하기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지지대 12: 살지지부
    30: 우산살 31: 베이스살부재
    32: 보강영역 33: 절첩힌지부
    34: 절첩살부재 35: 연동레버
    36: 연동걸림부 37: 연동링크
    38: 펼침연동턱 39: 접힘연동턱
    40: 장력부재 50: 차단시트
    70: 슬라이더 72: 연동걸이
    74: 가이드부재 90: 걸림부재
    92: 걸림턱 94: 펼침버튼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