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시 자동발광되는 발광우산

申请号 KR1020110114470 申请日 2011-11-04 公开(公告)号 KR1020130049442A 公开(公告)日 2013-05-14
申请人 주식회사 신광하이테크; 发明人 김선철;
摘要 PURPOSE: A luminescence umbrella is provided to automatically emit light when unfolding the umbrella without a separate control device in rainy day. CONSTITUTION: A luminescence umbrella which automatically emits light comprises: a fixture which is fixed at the upper end of an umbrella rib and is coupled with a plurality of umbrella ribs;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members(20) which is protruded at the other end of the umbrella ribs and emits light; a first electrode material forming a first electrode part at the bottom; a second electrode material forming a second electrode part at the bottom; an elastic member(50) which is fix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electrode material; a conductor(60) which controls luminescence of the light emitting member; and a power suppler(70) mounted at the umbrella ribs.
权利要求
  • 우산대(100)의 상단부에 고정설치되어, 다수의 우산살(101) 일단이 결합되는 고정체(10);
    상기 다수의 우산살(101) 타단에 돌출형성되어 발광되는 다수의 발광부재(20);
    상기 고정체(10)의 하단에 고정설치되며, 저면에 제 1전극부(31)를 형성하는 제 1전극체(30);
    상기 제 2전극체(30)의 하단에 고정설치되며, 저면에 제 2전극부(41)를 형성하는 제 2전극체(40);
    상기 제 2전극체(40)의 하단에 고정설치되는 탄성부재(50);
    상기 탄성부재(50)의 하단에 연결설치되며, 우산 작동대(110)에 의해 승, 하강되어 제 2전극부(41)와 통전 또는 비통전되면서, 상기 발광부재(20)의 발광을 제어되도록 하는 통전체(60);
    상기 우산대(100)에 설치되는 전원 공급대(7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시 자동발광되는 발광우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전극체(30)는
    상기 다수 발광부재(20)의 각 음극전선이 모두 제 1전극부(31)에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음극전선 중 하나가 우산대(100) 내부를 통해 전원 공급대(70)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체(10)의 저면에 형성된 끼움부(13)에 대응되며 체결되는 다수의 끼움돌기(32)를 상면에 돌출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시 자동발광되는 발광우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전극체(40)는
    상기 다수 발광부재(20)의 각 양극전선이 모두 제 2전극부(41)에 연결되고, 상기 제 1전극체(30)의 저면에 형성된 내입부(33)에 대응되며 체결되는 다수의 돌출돌기(42)를 상면에 돌출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시 자동발광되는 발광우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체(60)는
    상기 전원 공급대(70)와 연결된 통전 전극체(61)를 상면에 형성하여,
    상기 우산 작동대(110)가 승강시 우산 작동대(110)의 상승력에 의해, 탄성부재(50)를 압축하면서 제 2전극부(41)에 통전 전극체(61)가 접촉되면서 통전되어, 다수의 발광부재(20)가 발광하도록 하고,
    상기 우산 작동대(110)가 하강시 통전체(60)가 동반 하강되어, 통전 전극체(61)가 제 2전극부(41)와 이격되면서 다수의 발광부재(20)가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시 자동발광되는 발광우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전극체(40)는
    상기 제 2전극부(41)의 하단으로 연장형성되는 고리부(43);
    상기 고리부(43)에 일단이 고정설치되되, 하단이 상기 통전체(60)의 통전 전극체(61)와 이격되도록 탄성부재(50)의 내부에 설치되는 통전 압축부재(44);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시 자동발광되는 발광우산.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 압축부재(44)는
    상기 통전체(60)에 의해 탄성부재(50)가 압축된 이후, 상기 탄성부재(50) 내부에서 상기 통전 전극체(61)와 접촉되면서 압축되어 상기 제 2전극부(41)와 통전 전극체(61)를 상호간 통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시 자동발광되는 발광우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대(70)는
    상기 우산대(100)의 최하단에 내설되며, 제 1전극부(31)와 제 2전극부(41)에 각각 연결되는 제 1, 2전원연결부(71, 72)가 내부에 형성된 내입체(73);
    상기 내입체(73)의 하단에 착탈가능하게 대응체결되되, 내장된 배터리의 양극이 제 2전원연결부(72)와 접촉되도록 하는 배터리함(74);
    상기 배터리의 음극이 제 2전원연결부(71)와 통전되도록, 상기 배터리함(74) 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연결체(75);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시 자동발광되는 발광우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대(100)에는
    상기 제 1전극부(31) 및 제 2전극부(41)와 연결되며 내설되어 있는 복수의 전선부재(L)를 상호간 사용자 임의로 단락시킴으로써, 발광부재(20)의 전원을 강제로 차단시켜 소등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80);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시 자동발광되는 발광우산.
  • 说明书全文

    사용시 자동발광되는 발광우산{LIGHTING UMBRELLA}

    본 발명은 우산의 각 우산살 단부에 발광부재를 설치하되, 이러한 발광부재들이 우산의 접철(펼침과 접힘)동작으로 점등 및 소등될 수 있도록 한 발광우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천시에 내리는 비를 피하기 위해 우산막을 넓게 펼치어 들고 다니는 우산은, 넓게 펼쳐지는 우산막과, 상기 우산막의 저면에 봉착되어 우산막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우산살대와, 상기 우산살대들과, 상기 우산살대가 펼쳐지거나 접혀짐이 가능하도록 상기 우산살대에 각각 일측이 연결된 지지살들과 상기 지지살들이 타측이 연결된 슬라이딩구가 슬라이딩됨에 동시에 우산막을 펼쳤을때 우산막의 중심이 되는 우산대와, 상기 우산대의 하단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우산을 들고다니기에 용이하도록 한 손잡이로 구성되어, 그 종류에 따라 우산막이 자동적으로 펼쳐지는 자동우산과 사용자가 지지살들을 슬라이딩시켜 우산살대를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우산막이 수동적으로 펼쳐지는 수동우산으로 분류된다.

    이와 같은 우산은, 통상적으로 비가오는 우천시에 쓰고다니는 것이 보편적인바, 비가 내리는 우천시에는 날이 흐리게 되고 또한 해가 진 저녁일 경우에는 그 어두움이 더해 운전자의 가시거리가 짧아지게 됨으로써, 우산을 쓰고 보행하는 보행자를 운전자가 식별하기 용이하지 않음에 따라 사고발생위험이 따르게 된다.

    특히, 어두운 골목길을 보행하거나 또는 인적이 드문 외곽 등에서 야간에 우산을 쓰고 보행하는 보행자의 식별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우산을 쓴 보행자를 차량으로 받게 되는 교통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에 사용되는 우산에 있어서, 우산살의 단부마다 발광부재를 설치하여 발광부재의 발광을 통해 우산을 사용하는 보행자의 위치가 운전자 또는 다른 보행자에게 확실히 식별가능토록 하되, 별도의 제어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우천 시, 사용자가 우산을 펼침과 동시에 자동으로 발광부재가 발광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우산을 사용하지 않고 보관하거나 비가 그쳐 우산을 접는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발광부재가 소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사용시 자동발광되는 발광우산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우산대(100)의 상단부에 고정설치되어, 다수의 우산살(101) 일단이 결합되는 고정체(10); 상기 다수의 우산살(101) 타단에 돌출형성되어 발광되는 다수의 발광부재(20); 상기 고정체(10)의 하단에 고정설치되며, 저면에 제 1전극부(31)를 형성하는 제 1전극체(30); 상기 제 1전극체(30)의 하단에 고정설치되며, 저면에 제 2전극부(41)를 형성하는 제 2전극체(40); 상기 제 2전극체(40)의 하단에 고정설치되는 탄성부재(50); 상기 탄성부재(50)의 하단에 연결설치되며, 우산 작동대(110)에 의해 승, 하강되어 제 2전극부(41)와 통전 또는 비통전되는 통전체(60); 상기 우산대(100)에 설치되는 전원 공급대(7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우산살 각 단부에 형성된 발광부재의 발광으로 인하여, 비오는 흐린 날, 야간 시 등에 우산을 사용하는 보행자의 위치를 운전자가 확실히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사고위험과 인명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보시 보행자의 주변을 우산의 발광부재가 밝혀줌으로써, 보행자의 밤길 및 흐린날 시야 확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조작장치 없이, 우산을 펼치게 되는 동작만으로도 우산의 발광부재가 발광하고, 우산을 접는 동작시에는 발광되었던 발광부재가 소등되도록 하여, 조작이 간편하고 손쉬운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우산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우산의 사용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작동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체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전극체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전극체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전체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부재의 발광되도록 복수개의 전선부재를 통해 통전되는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내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첫번째 실시예에 따른 제 2전극부와 통전 전극체의 통전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작동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전극체의 두번째 실시예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통전체의 두번째 실시예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11은 도 9와 도 10이 적용된 두번째 실시예에 따른 제 2전극부와 통전 전극체의 통전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작동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입체 내부의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대의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 단면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시 자동발광되는 발광우산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시 자동발광되는 발광우산은 우산에 다수의 발광부재(20)를 설치하고, 다수의 발광부재(20)를 우산의 접철(펼쳐짐과 접힘)동작만으로도 발광시키거나 소등시킬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고정체(10), 발광부재(20), 제 1전극체(30), 제 2전극체(40), 탄성부재(50), 통전체(60), 전원 공급대(70), 통전 압축부재(44), 제어부(80)를 포함한다.

    우선, 본원발명의 사용시 자동발광되는 발광우산이 적용되는 우산은, 하단부에 손잡이를 형성하는 우산대(100), 상기 우산대(100)의 상단부에서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우산살(101)과 우산포(102), 상기 우산대(100)의 외주연에 상, 하로 이동가능토록 설치되는 우산 작동대(110), 일단이 상기 우산 작동대(110)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우산포(102) 내측에서 우산살(101)의 중단에 힌지결합되는 보조 우산살(111), 일단은 상기 보조 우산살(111) 중단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우산 작동대(110) 외주연에 연결되는 지지대(112)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우산 작동대(110)를 잡고 우산대(100)의 길이방향을 향해 상승시키면 우산살(101), 보조 우산살(111), 우산포(102)가 펼쳐지고, 사용자가 우산대(100)의 길이방향으로 향해 우산 작동대(110) 잡아 하강시키면 우산살(101), 보조 우산살(111), 우산포(102)가 접혀지는 동작을 기본으로 한다.

    상기 고정체(1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된 우산대(100) 최상단부의 외주연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서, 원형단면을 가지며,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끼움공(H)을 천공형성하여 우산대(100)의 최상단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고, 상부에는 우산의 꼭지커버(103)가 고정설치된다.(이러한, 상기 끼움공(H)은 전술된 고정체(10) 뿐만 아니라, 제 1전극체(30), 제 2전극체(40), 통전체(60) 또한 모두 동일하게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천공되어 있어야 함이다.)

    이러한 고정체(10)의 외주연에는 외부에서부터 끼움공까지 관통된 고정핀 공(11)을 천공하여, 상기 고정핀 공(11)에 다양한 고정수단(ex: 핀, 볼트 등)을 체결하여 고정체(10)가 우산대(1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고정체(10)의 외주연에는 다수의 우산살(101)의 개수에 맞춰 다수의 우산살 고정홈(12)이 파여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우산살(101)의 일단부가 우산살 고정홈(12)에 내입되어 연결되는 형태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체(10)의 저면에는 다수의 끼움부(13)가 내부로 파여지는 형태로 다수 형성되도록 하여, 후술될 제 1전극체(30)와의 결합을 용이하도록 하며, 이는 제 1전극체(30)를 설명시 상세히 기재하도록 한다.

    상기 발광부재(20)는 도 1,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된 다수의 우산살(101) 단부(타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LED 등이 사용되며, 상기 각각의 발광부재(2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각 발광부재(20)의 복수개 전선부재(L)(음극전선(L1), 양극전선(L2))들은 발광부재(20)에서부터 다수의 우산살(101) 내부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내설된 후, 우산살(101) 일단부 부위(우산살(101)이 고정체(10)에 끼움결합되는 부분)에서 우산대(100)를 향해 돌출되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제 1전극체(30)는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단면을 가지되, 상기 고정체(10)와 마찬가지로 우산대(100)가 내부 중앙을 관통할 수 있도록 끼움공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천공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전술된 끼움부(13)에 대응되며 끼워지는 다수의 끼움돌기(32)를 형성하여, 상기 우산대(100)의 최상단 외주연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체(10)의 하단에서 제 1전극체(30)가 대응되어 끼움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전극체(30)의 저면에는 판재형상을 가지며, 링 형상을 가지는 금속재질(ex: 알루미늄, 구리, 철, 스테인레스 등, 이러한 재질은 후술될 제 2전극체(4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의 제 1전극부(31)가 형성되도록 하고, 이러한 제 1전극부(31)에는 상기 다수의 발광부재(20)와 각각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전선부재(L)(더욱 자세히는 음극전선(L1))이 모두 브레이징 접합되어 통전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 1전극부(31)와 브레이징 접합되어 통전된 다수의 전선부재(L)(음극전선(L1)) 중 하나만이 제 1전극체(30)의 끼움공에 관통된 우산대(100)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후술될 우산대(100) 하단부의 제 1전원연결부(71)에 연결된다.

    더불어, 이러한 상기 제 1전극체(30)는 저면에 내부로 파여지는 다수의 내입부(33)를 형성하도록 하여, 후술될 제 2전극체(40)와의 체결이 용이해지도록 하며, 이는 제 2전극체(40)의 설명시 상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상기 제 2전극체(40)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된 제 1전극체(30)의 하단에 대응되어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상기 제 2전극체(40)의 상면에는 전술된 제 1전극체(30) 저면의 다수 내입부(33)와 대응되는 다수의 돌출돌기(42)를 형성하여, 상기 돌출돌기(42)가 제 1전극체(30) 저면의 내입부(33)와 끼움결합되면서 제 2전극체(40)가 제 1전극체(30) 하단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제 2전극체(40) 또한 전술된 고정체(10)와 제 1전극체(30)와 마찬가지로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천공되는 끼움공을 천공형성하여, 우산대(100)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고정체(10), 제 1전극체(30), 제 2전극체(40) 중앙에 우산대(100)가 끼워져 있는 형태이다.)

    또한, 상기 제 2전극체(40)의 하단부에는 판재형상을 가지며, 링 형상을 가지는 금속재질의 제 2전극부(41)가 형성되도록 하되, 이러한 상기 제 2전극부(41)에는 다수의 발광부재(20)와 각각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전선부재(L)(더욱 자세히는 양극전선(L2))이 모두 브레이징 접합되어 통전되도록 한다.

    상기 탄성부재(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된 제 2전극체(40)의 저면에 상부가 고정설치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스프링 등이 사용되어 있으며, 이러한 탄성부재(50)의 하단은 후술될 통전체(60)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탄성부재(50)는 초기상태(우산이 접혀져 있는 상태)시, 인장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제 2전극체(40)와 후술될 통전체(60)가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동작상태(우산이 펼쳐진 상태)가 되면, 탄성부재(50)는 후술될 통전체(60)에 의해 압축되어 통전체(60)가 제 2전극체(40)와 접촉되되,(더욱 자세히는 통전체(60)의 통전 전극체(61)와 제 2전극체(40)의 제 2전극부(41)가 접촉) 다시 우산을 접게 되면, 탄성부재(50)가 원상복귀되면서 인장되어 제 2전극체(40)에 접촉되어 있던 통전체(60)를 하강시켜 단락시키게 된다. 이는 하기의 통전체(60) 설명시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통전체(6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된 탄성부재(50)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면에는 제 2전극체(40)와 대응되는 링 형태의 통전 전극체(61)가 형성되어 있으며(물론, 상기 통전 전극체(61) 또한 전류가 통전되는 금속재질이다.), 또 다른 전선부재(양극전선)의 일단을 통전 전극체(61)에 브레이징 접합시킨 후, 통전체(60)의 중앙에 천공형성된 끼움공에 끼워져 있는 우산대(100)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후술될 우산대(100) 하단부의 제 2전원연결부(72)에 연결된다. (더불어, 하단부에는 우산을 펼쳤을 시, 우산살(101)과 보조 우산살(111)과의 간격을 위해 연장부(63)를 더 연장형성하도록 한다.)

    즉, 상기 우산대(100)의 최상단 외주연에 고정체(10)가 고정되어 있고, 이러한 고정체(10)의 하단에 제 1, 2전극체(30, 40)가 연속으로 고정설치되되, 상기 통전체(60)는 제 2전극체(40)의 하단에서 탄성부재(50)에 의해 상호간 연결이 되는 형태가 되는 것이되, 탄성부재(50)가 인장되어 있는 초기상태의 경우에는 제 2전극체(40)의 저면에 형성된 제 2전극부(41)와 통전체(60)의 상면에 형성된 통전 전극체(61)가 상호간 이격되어 있는 형태가 되는 것이고, 사용자가 우산을 펼치기 위해 우산대(100) 외주연에 형성되어 있는 우산 작동대(110)를 우산대(100)를 따라 상부로 밀어올리게 되면, 상기 우산 작동대(110)가 통전체(60)의 하단(더욱 자세히는 연장부(63))과 접촉된 후 통전체(60) 또한 밀어올리면서, 밀어올려지는 통전체(60)에 의해 탄성부재(50)가 압축되면서 통전체(60)의 통전 전극체(61)가 제 2전극체(40) 저면의 제 2전극부(41)에 접촉되어 통전되는 것이다.

    물론, 사용자가 우산을 접기 위해, 상기 우산 작동대(110)를 잡고 우산대(100) 하단으로 밀어 내리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50)를 압축하던 가압력이 사라짐에 따라, 탄성부재(50) 또한 원상복귀되면서 인장되어 통전체(60)를 하단부로 밀어 내림으로써, 제 2전극부(41)와 통전 전극체(61)가 단락되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체(10), 제 1, 2전극체(30, 40)는 우산대(100)를 중앙에 관통시키며 우산대(100)에 고정설치되는 것이지만, 상기 통전체(60)는 우산 작동대(110)에 의해 우산대(100)를 중앙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상, 하로 유동이 가능토록 설치해야 하는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상기 통전체(60)의 상면에 형성된 통전 전극체(61)는, 상기 탄성부재(50)가 압축시, 압축된 탄성부재(50) 내에서 제 2전극부(41)와 접촉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탄성부재(50)가 압축된 두께만큼 상기 통전 전극체(61)의 상면에는 통전 전극체(61)와 동일한 금속재질을 가지는 다수의 전극돌기(62)를 돌출형성하여, 탄성부재(50)가 압축될 시, 압축된 탄성부재(50) 내에서 통전 전극체(61)가 제 2전극부(41)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원 공급대(70)는 도 12,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된 우산대(100)의 최하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입체(73), 배터리함(74), 연결체(75)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입체(73)는 내부가 비어있는 우산대(100) 최하단에 내설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전극체(30)와 연결되어 우산대(100) 내부로 연장형성된 전선부재(음극전선)이 연결되는 제 1전원연결부(71)와, 상기 통전체(60)의 통전 전극체(61)와 연결되어 우산대(100) 내부로 연장형성된 전선부재(상기 통전 전극체(61)가 양극전선과 연결된 제 2전극부(41)와 통전되는 것이기에, 이는 양극전선에 해당됨은 당연하다.)가 연결되는 제 2전원연결부(72)가 내부 상단에 형성되어 있다.

    (본원발명에서는 제 2전원연결부(72)를 봉 형태로 하여 내입체(73)의 내부 상면에서 수직하방으로 돌출형성하였고, 제 1전원연결부(71)는 링 형태의 판재형상(금속재질)으로 하여 제 2전원연결부(72)를 중심에 두고 제 2전원연결부(72)와는 이격되도록 내입체(73)의 내부 상면에 형성하였다.)

    상기 배터리함(74)은 내부에 다수의 배터리(B)가 연속연결되며 내장설치되도록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하우징으로, 상기 배터리함(74)을 내입체(73)에 체결하게 되면, 내부에 내장된 배터리의 양극(+)이 제 2전원연결부(72)와 접촉되어 통전되는 형태가 된다. 이러한 상기 배터리함(74)은 상단 외주연에 수나사산을 돌출형성하고, 전술된 내입체(73)의 내주연에는 암나사산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배터리함(74)과 내입체(73)가 상호간 착탈이 가능한 나사체결이 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체(75)는 배터리함(74)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내설되는 금속재질의 판재 또는 봉 형태로써, 일단이 상기 배터리함(74)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의 하단부(음극)에 접촉되도록 하고, 타단은 전술된 제 1전원연결부(71)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여, 배터리 전원 음극(-)이 발광부재(20)의 복수개 전선부재 중 음극전선과 연결된 제 1전원연결부(71)와 연결되고, 배터리 전원 양극(+)이 발광부재(20)의 복수개 전선부재 중 양극전선과 연결된 제 2전원연결부(72)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80)는 도 1에 도시된 바오 같이, 우산대(100)에 외주연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우산대(100) 내부에는 다수의 발광부재(20)와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하는 복수개의 전선부재(L)가 내입되어 있는 형태이다. 이로써, 상기 제어부(80)는 이러한 상기 복수개의 전선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복수개의 전선부재 상호간을 단락시킬 수 있는 장치로써, 사용자가 우산을 펼치면 다수의 발광부재(20)가 발광되고, 사용자가 우산을 접으면 다수의 발광부재(20)가 소등되는 본 발명의 형태에서, 사용자는 우산대(100)에 형성된 제어부(80)를 통해, 우산을 펼쳐 발광부재(20)가 켜진 상태에서, 우산을 접지않고 사용자가 제어부(80)를 조작(ON)하여, 우산대(100) 내에서 복수개의 전선부재를 통해 인가되던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다수의 발광부재(20)를 강제 소등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 중 제 2전극부(41)의 두번째 실시예로,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에 고리부(43)와 통전 압축부재(44)를 더 구비할 수가 있는데,

    상기 고리부(43)는 제 2전극체(40)의 저면에 형성된 제 2전극부(41)와 동일한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하단으로 복수 또는 다수개가 연장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통전 압축부재(44)는 이러한 다수의 고리부(43)에 상단이 결합되어 하단이 통전부와 이격되도록 매달아 설치한 것으로 스프링 등이 사용된다. 물론, 이러한 상기 고리부(43)와 통전 압축부재(44)는 제 2전극부(41)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전원이 인가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전술된 탄성부재(50)의 내부에 위치되는 것이다.

    즉, 상기에서는 통전체(60)의 상면에 형성된 통전 전극체(61)가 제 2전극체(40) 저면의 제 2전극부(41)와 대응접촉되어 복수개의 전선부재 중 양극전선과 연결되는 형태이지만, 상기 고리부(43)와 통전 압축부재(44)가 더 구비되게 되면, 승, 하강되는 통전체(60)가 탄성부재(50)를 최대한 압축시켜 제 2전극부(41)와 접촉되도록 하지 않아도, 통전 전극체(61)가 탄성부재(50) 내에 설치되어 있는 통전 압축부재(44)의 하단과 접촉되는 부분까지만 탄성부재(50)를 압축시키면 되는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제 2전극부(41)(저면에 고리부(43)와 통전 압축부재(44)를 더 구비하는 것)를 사용할 시, 상기 제 2전극부(41)와 접촉되어 통전되는 통전체(60)는 도 6과 같이 전극돌기(62)가 있는 통전체(60)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돌기(62) 없는 통전체(60)를 사용해도 무방할 것이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우산을 펼치기 위해 우산 작동대(110)를 상부로 밀어올리게 되면, 우산 작동대(110)에 의해 통전체(60)가 상승하게 되고, 상승되는 통전체(60)가 상승하면서 탄성부재(50)가 먼저 압축되되, 탄성부재(50)가 완전히 압축되기 전, 통전 압축부재(44)가 통전 전극체(61)와 접촉되면서 압축되는 형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통전체(60)의 통전 전극체(61)가 제 2전극체(40)의 제 2전극부(41)와 접촉될때까지 탄성부재(50)를 완전히 압축시키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통전 압축부재(44)가 구비됨으로 인하여, 상기 탄성부재(50)의 압축력이 저하되는 경우를 대비할 수가 있고, 통전 전극체(61)가 제 2전극부(41)와 접촉되도록 완전압축되어 있는 탄성부재(50)가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힘에 의해, 통전 전극체(61)와 제 2전극부(41) 상호간이 우산을 펼쳤음에도 불구하고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 및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동을 도 7, 8, 10을 참조로 설명하도록 한다.

    1. 우산이 접혀져 있는 상태.

    상기 고정체(10), 제 1전극체(30), 제 2전극체(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간 우산대(100)의 상단에 순차적으로 연결고정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통전체(6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대(100)의 외주연에서 제 2전극체(40)의 하단에 위치되되, 최초 인장되어 있는 탄성부재(50)에 의해 제 2전극체(40)와 접촉되지 않고 이격된 상태에 있게 된다.

    즉, 상기 다수 발광부재(20)의 각 음극전선은 제 1전극체(30)의 제 1전극부(31)와 연결되어 있고, 이러한 다수의 음극전선 중 하나는 우산대(100) 내부를 통해 베터리의 음극과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인하여, 다수의 발광부재(20) 각각의 음극전선은 배터리의 음극과 각각 연결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게 되며,

    상기 다수 발광부재(20)의 각 양극전선은 제 2전극체(40)의 제 2전극부(41)와 연결되어 있되, 통전체(60)의 통전 전극체(61)는 베터리의 양극과 연결되어 있어, 통전체(60)를 상부로 들어올려 통전 전극체(61)를 제 2전극부(41)에 접촉시키기 전까지 다수의 발광부재(20)에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게 되어 소등되어 있는 형태가 된다.

    2. 우산이 펼쳐지는 상태.

    상기와 같이 우산이 접혀져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우산 작동대(110)를 상부로 밀어올려 우산을 펼치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산 작동대(110)는 상승하면서 통전체(60)의 하단부에 접촉되어 통전체(60)를 동반 밀어올리게 되고, 밀어올려지는 통전체(60)는 제 2전극체(40)와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탄성부재(50)를 압축하면서, 제 2전극부(41)에 통전체(60)의 통전 전극체(61)를 접촉시켜, 다수 발광부재(20)에 전원이 동시에 인가되어 발광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가 우산을 다시 접기 위해, 상승되어 있던 우산 작동대(110)를 하단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탄성부재(50)를 압축시켰던 힘이 사라지면서 탄성부재(50)가 원상복귀하기 위해 통전체(60)를 하단으로 밀어냄으로써, 제 2전극부(41)와 통전 전극체(61)가 단락되어 다수 발광부재(20)가 소등하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제 2전극부(41)에 통전 압축부재(44)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이 접혀져 있는 초기 상태에, 전술된 바와 같이, 제 2전극체(40)와 통전체체(60)가 탄성부재(50)에 의해 상호간 이격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면서, 제 2전극부(41) 저면에 형성된 통전 압축부재(44) 또한 탄성부재(50) 내에서 인장되어 있는 최초의 형태를 가지되, 통전 압축부재(44) 또한 통전 전극체(61)와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우산을 펼치기 위해, 상기 우산 작동대(110)를 상부로 들어올리면, 상기 우산 작동대(110)에 의해 통전체(60)가 상승하게 되고, 상승하는 통전체(60)에 의해 우선적으로 탄성부재(50)가 압축하게 되며, 이렇게 압축되는 탄성부재(50)가 완전히 압축하기 전, 통전체(60)의 통전 전극체(61)가 탄성부재(50) 내에서 통전 압축부재(44)의 하단부에 접촉되면서 통전 압축부재(44)를 압축하면서 전원이 연결되는 형태가 되어, 다수 발광부재(20)가 발광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고정체 11: 고정핀 공
    12: 우산살 고정홈 13: 끼움부
    20: 발광부재 30: 제 1전극체
    31: 제 1전극부 32: 끼움돌기
    33: 내입부 40: 제 2전극체
    41: 제 2전극부 42: 돌출돌기
    43: 고리부 44: 통전 압축부재
    50: 탄성부재 60: 통전체
    61: 통전 전극체 62: 전극돌기
    63: 연장부 70: 전원 공급대
    71: 제 1전원연결부 72: 제 2전원연결부
    73: 내입체 74: 배터리함
    75: 연결체 80: 제어부
    100: 우산대 101: 우산살
    102: 우산포 103: 꼭지커버
    110: 우산 작동대 111: 보조 우산살
    112: 지지대
    L: 전선부재 L1: 음극전선
    L2: 양극전선 B: 배터리
    H: 끼움공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