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산 프레임용 러너 조립체

申请号 KR1020090061042 申请日 2009-07-06 公开(公告)号 KR1020100069547A 公开(公告)日 2010-06-24
申请人 첸 시아-후이; 发明人 첸시아-후이;
摘要 PURPOSE: A runner assembly for an umbrella frame is provided to secure the soft movement of a pusher element and a maintaining block using declined parts with a simple structure. CONSTITUTION: A runner assembly for an umbrella frame for a center shaft of the umbrella frame comprises the following: a tube type maintaining block(20) relatively transferable to a tube type runner(10) at the direction crossing an axis(L) of a center shaft; and a tube type pushing element(30) capable of moving along to the axis(L). The inner sleeve surface of a pushing element enables a maintaining unit(26) arranged on the pushing element to by coupled with the gearing surface of the center shaft by moving the maintaining block from a first position to a second position through pushing the pushing element into an operation position from a releasing position.
权利要求
  • 축 방향에서 축 (L)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위쪽 방향으로 향하는 맞물림 면 (110)을 가지는 중앙 샤프트 (100) 및, 우산 프레임의 리브(rib) 유닛을 부분적으로 펴도록 하는 위치와 전체적으로 펴도록 하는 위치 사이를 움직이도록 배치되어지는 펼침 유닛을 포함하는 우산 프레임용 러너 조립체로서,
    상기 펼침 유닛과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부분적으로 펴도록 하는 위치와 전체적으로 펴도록 하는 위치에 각각 상응하는 하부 위치 및 상부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상부 튜브형 끝단 (11); 및, 상기 축 방향에서 상기 상부 튜브형 끝단 (11)과 이격하여 공간을 두고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상부 튜브형 끝단 (11)과 같이 작용하여 수용 공간 (14)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 공간 (14)은 상기 축 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가로축의 첫 번째 방향 (X)으로 확장하는 안내면을 형성하는 하부 튜브형 끝단 (12);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샤프트 (100)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슬리브 되어지도록 적용되어지는 튜브형 러너 (10);
    상기 첫 번째 방향 (X)에서 상기 중앙 샤프트 (100)의 맨 윗부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튜브형 끝단 (12)과 가까이 위치한 범프 부분 (222)을 포함하는 외부 선도 표면 (221)을 가지는 선도 벽 부품 (22); 및, 상기 선도 벽 부품 (22)에 대하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중앙 샤프트 (100)의 뒤에서 후속하며, 상기 중앙 샤프트 (100)와 직면하고 있는 내부 후속 표면 (214) 및, 상기 상부 튜브형 끝단 (11)에 대하여 가까이 위치하는 종동부 부분 (213)을 포함하는 외부 후속 표면 (211)을 가지는 후속 벽 부품 (21);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 공간 (14)에서 상기 중앙 샤프트 (100)를 둘러싸고 있으며, 첫 번째 위치와 두 번째 위치 사이의 상기 안내면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지는 튜브형 유지 블록 (20);
    상기 튜브형 유지 블록 (20)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내부 슬리브 표면(31)을 가지는 튜브형 밀대 요소 (30)로서, 상기 튜브형 밀대 요소 (30)가 상기 상부 튜브형 끝단 (11)에 가까운 작동 위치(actuating position)와 상기 튜브형 밀대 요소 (30)가 상기 상부 튜브형 끝단 (11)과 멀어지는 해제 위치 (releasing position) 사이에서 상기 튜브형 러너 (10) 및 상기 튜브형 유지 블록 (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지고,
    상기 내부 슬리브 표면(31)은
    상기 첫 번째 방향 (X)에서 상기 외부 후속 표면 (211)을 직면하도록 배치되어지고, 상기 상부 튜브형 끝단 (11)으로부터 각각, 가깝게 배치된 헤드 부분 (321)과, 멀리 배치된 캠 부분 (322)을 가지며, 상기 튜브형 밀대 요소 (30)가 상기 해제 위치에서 상기 작동 위치로 움직일 때, 상기 헤드 부분 (321)은 상기 종동부 부분(following region) (213) 위로 움직이도록 가져가져서, 상기 캠 부분 (322)이 상기 종동부 부분 (213)과 맞물려서 상기 튜브형 유지 블록 (20)을 상기 첫 번째 위치에서 상기 두 번째 위치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지는 작동 표면 부품 (32); 및,
    상기 첫 번째 방향 (X)에서 상기 외부 선도 표면 (221)을 직면하도록 배치되어지고, 상기 상부 튜브형 끝단 (11)으로부터 각각, 가깝게 배치된 구속 부분 (311)과, 멀리 배치된 후퇴 부분 (312)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형 유지 블록 (20)이 상기 첫 번째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범프 부분 (222)은 상기 구속 부분 (311)과 경계를 접하게 되고, 상기 튜브형 밀대 요소 (30)가 상기 해제 위치에서 상기 작동 위치로 움직일 때, 상기 범프 부분 (222)은 상기 구속 부분 (311)위로 미끄러져 상기 후퇴 부분 (312)으로 빠지게 되어, 상기 튜브형 유지 블록 (20)이 상기 두 번째 위치로 이동되어지는 것이 허용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지는 보조 표면 부품 (31)
    을 포함하는 튜브형 밀대 요소 (30); 및,
    상기 내부 후속 표면 (214) 상에 배치되어지는 유지 요소 (26)로서, 상기 튜브형 유지 블록 (20)이 상기 두 번째 위치로 이동 되어질 때, 상기 유지 요소 (26)가 맞물림 면 (110)에 맞물리도록 가져가져, 이와 함께 유지되어져, 이에 의하여 상기 완전히 펼쳐지는 위치로부터 벗어나려는 상기 리브 유닛의 이동을 막도록 하는 유지 요소 (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프레임용 러너 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러너 (10)는 상기 축 방향에서 연장되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튜브형 끝단들 (11, 12)을 서로 연결하는 전방 및 후방 안내 벽들 (111)을 포함하 고, 상기 상부 및 하부 튜브형 끝단들 (11, 12)은 상기 첫 번째 방향 (X) 및 상기 축 방향에 모두 수직한 두 번째 방향에서 서로에 대하여 각각 이격되어 놓여지고, 상기 하부 튜브형 끝단 (12)과 함께하여 상기 안내면을 형성하여, 상기 튜브형 유지 블록 (20)이 상기 전방 및 후방 안내 벽들 (111)에 의하여 상기 첫 번째 및 두 번째 위치 사이를 이동되어지도록 가이드 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프레임용 러너 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도 벽 부품 (22)은 상기 중앙 샤프트 (100)와 직면하고 있는 내부 선도 표면 (224)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선도 표면 (224)은 상기 중앙 샤프트 (100)와 접촉하도록 가져가져 상기 튜브형 유지 블록 (20)의 이동의 확장이 상기 첫 번째 위치로 향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프레임용 러너 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선도 표면 (221)은 각각 상기 하부 튜브형 끝단 (12)으로부터 이격되어지는 편평한 부분 (223)을 가지고, 상기 편평한 부분 (223)은 상기 튜브형 밀대 요소 (30)가 상기 작동 위치에 머물러져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구속 부분 (311)에 대하여 마찰적 결합상태에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프레임용 러너 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후속 표면 (211)은 상기 하부 튜브형 끝단 (12)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후속 부분 (212)을 가지고, 상기 튜브형 유지 블록 (20)이 상기 첫 번째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후속 부분 (212)은 상기 캠 부분 (322)에 접촉되도록 가져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프레임용 러너 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요소 (26)는 상기 내부 후속 표면 (214)에 집적된 형태로 형성되어져, 상기 상부 튜브형 끝단 (11)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프레임용 러너 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요소 (26)는 상기 내부 후속 표면 (214)에 집적된 형태로 형성되어져, 상기 하부 튜브형 끝단 (12)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프레임용 러너 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러너 (10)는 상기 하부 튜브형 끝단 (12)에 배치되어지고 위쪽 방향을 향하고 있는 환상 시트 (13)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슬리브 표면 (31)은 상 기 구속 부분 (311)과 후퇴 부분 (312) 사이에 배치되어지는 환상 어깨부 (36)를 가져, 상기 환형 어깨부 (36)는 상기 환형 시트 (13)와 접하고 있어서, 상기 해제위치에서 벗어나는 상기 밀대 요소 (30)의 아래 방향으로의 이동을 막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프레임용 러너 조립체.
  • 说明书全文

    우산 프레임용 러너 조립체 {A Runner assembly for an umbrella frame}

    본 발명은 우산 프레임용 러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튜브형 밀대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러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튜브형 밀대 요소는 러너가 상부 및 하부 위치 사이를 움직이게 만들뿐만 아니라, 상기 러너를 상기 상부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미국 특허 번호 제6,758,229호에 게시된 통상의 우산 프레임의 러너 조립체는, 어깨부 (101)를 가지는 돌기와 함께 형성되어지는 중앙 샤프트 (1)에 슬라이드 가능한 러너 (2)와, 상기 러너 (2)를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러너 (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슬리브 요소 (3)를 포함하는 것이 나타내어진다. 상기 러너 (2)는 상기 슬리브 요소 (3)의 캠 표면 (301)에 의해 눌려질 수 있는 두 개의 반경방향으로 바이어스(bias)된 유지 요소들 (201)을 가지고, 이에 따라 상기 러너 (2)가 상기 어깨부 (101)에 유지되어, 상기 러너 (2)가 개방되어지는 위치에서 이에 의하여 잡혀지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미국 특허 번호 제7,281,542호에서 게시된 또 다른 통상의 우산 프레임의 러너 조립체는, 러너 (4)와, 상기 러너 (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지는 두 개의 결합편들 (5), 및 상기 러너 (4) 주위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지는 슬리브 (6)를 포함하는 것이 나타내어진다. 상기 결합편들 (5) 각각은 상기 러너 (4)에 있는 요홈 (402)에 맞물게 되는 중앙 피봇 부분 (501)을 가지고, 그리하여 이의 결합 단부 (502)는 중앙 샤프트 (미도시)의 어깨부에 유지되어지는 상기 러너 (4)에 있는 구멍 (401) 속으로 내부 링 (601)에 의하여 눌려지게 되어 상기 우산을 개방 상태로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앞에서 기술된 상기 러너 조립체를, 이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어떠한 통상의 우산 프레임들에도 동일하게 적합할 수 있도록 하고, 러너가 샤프트 상에서 상부 위치에 단단히 유지되어지는 것이 허용되어지도록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어떠한 통상의 우산 프레임들에도 적용 가능하고, 이의 러너가 샤프트 상에서 상부 위치에 단단하게 유지되어지는 것을 허용하는 우산 프레임에서 사용되어지는 러너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러너 조립체는 튜브형 러너, 튜브형 유지 블록, 튜브형 밀대 요소, 및 유지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러너는 상부 및 하부 튜브형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들은 이들 사이의 수용 공간을 정의하는 축을 따라 서로로부터 공간을 두며 분리되어 있다.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축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첫 번째 방향에서 안내면을 정의한다.

    상기 유지 블록은, 상기 안내면을 따라 가이드 되어 이동 가능한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어지고, 상기 첫 번째 방향에서 서로에 대하여 마주보는 선도(leading) 및 후속(trailing) 벽 부품을 포함한다. 상기 선도 벽 부품의 외부 선도 표면은 상기 하부 튜브형 단부에 근접하는 범프(bump) 부분을 가진다. 상기 후속 벽 부품의 외부 후속 표면은 상기 상부 튜브형 단부에 근접하는 종동부(follower) 부분을 가진다.

    상기 밀대 요소는, 작동 위치(actuating position)와 해제 위치(releasing position)사이를 상기 축을 따라서 상기 러너와 상기 유지 블록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데, 상기 작동 위치는 상기 밀대 요소가 상기 상부 튜브형 끝단에 근접하는 위치이고, 상기 해제 위치는 상기 밀대 요소가 상기 상부 튜브형 끝단으로부터 멀어지는 위치이다. 상기 밀대 요소의 내부 슬리브 표면은, 상기 첫 번째 방향에서의 상기 외부 후속 및 선도 표면을 각각 마주하는 작동 및 보조 표면 부품을 포함한다. 상기 작동 표면 부품은 헤드 부분과 캠 부분을 가지고 있어서, 상기 밀대 요소가 상기 해제 위치에서 상기 작동 위치로 이동되어질 때, 상기 헤드 부분이 상기 종동부 부분(follower region) 위로 움직이게 되어, 상기 캠 부분이 종동부 부분과 맞물리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상기 유지 블록이 첫 번째 위치에서 두 번째 위치로 전환되도록 한다. 상기 보조 표면 부품은 후퇴 부분과 구속 부분을 가지고 있어서, 상기 유지 블록이 상기 첫 번째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범프 부분이 상기 구속 부분에 대하여 접하게 되어, 상기 밀대 요소가 상기 해제 위치에서 상기 작동 위치로 이동되어질 때, 상기 범프 부분이 상기 구속 부분 위로 미끄러지게 되어 상기 후퇴 부분 쪽으로 떨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두 번째 위치로 이동되어질 수 있게 한다.

    상기 유지 요소는 상기 후속 벽 부품의 내부 후속 표면에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유지 블록이 상기 두 번째 위치로 이동되어질 때, 상기 유지 요소가 우산 프레임의 중앙 샤프트의 결합 표면과 맞물리게 되도록 한다.

    도면에서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러너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장점들을 가지고 있다.

    1. 상기 러너 (10), 유지 블록 (20), 및 밀대 요소 (20)는 구조면에서 단순하며, 기존에 알려진 일반적 우산 프레임의 중앙 샤프트 (100)에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2. 상기 유지 블록 (20) 전체가, 상기 러너 조립체가 따라서 이동되어지는 방향인 상기 축 방향을 가로지르는 상기 첫 번째 방향 (x)에서, 상기 두 번째 위치로 이동되어지기 때문에, 상기 유지 요소 (26)와 상기 맞물림 면 (110) 사이, 상기 캠 (322)과 상기 종동부 (213)사이, 및 상기 편평한 부분 (223)과 구속 부분 (311) 사이의 맞물림을 통하여, 상기 러너 (10)는 상기 중앙 샤프트 (100) 상의 상기 상부 위치에서 단단히 유지되어질 수 있다.

    3. 상기 축 방향 (L)을 따라 상기 밀대 요소 (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상기 안내 벽들 (111)과 상기 안내면을 따른 상기 유지 블록 (20)의 이동에 의해, 상기 러너 조립체의 동작이 부드럽고 성공적일 수 있다.

    4. 상기 경사부들 (323, 225)의 제공에 의해, 상기 밀대 요소 (30)가 상기 유지 블록 (20)을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하는 동작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장점과 다른 특징들은 다음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 의 바람직한 실시예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분명히 설명될 것 이다.

    본 발명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기술하기 전에, 본 명세서를 통하여 유사한 요소를 지칭하기 위해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되어졌음을 먼저 밝힌다.

    도 3과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러너 조립체의 첫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래에 알려진 우산 프레임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이런 종래 우산 프레임은 축 방향에서 축 (L)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위쪽 방향으로 향하는 맞물림 면 (110)을 가지는 중앙 샤프트 (100) 및, 리브(rib) 유닛 (미 도시)을 부분적으로 펴도록 하는 위치와 전체적으로 펴도록 하는 위치 사이를 움직이도록 배치되어지는 펼침 유닛 (미 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러너 조립체는 튜브형 러너 (10), 튜브형 유지 블록 (20), 튜브형 밀대 요소 (30) 및, 유지 요소 (26)로 구성되어짐이 도시되어진다.

    상기 튜브형 러너 (10)는 상기 중앙 샤프트 (10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슬리브 되어지도록 적용되어지고, 상부 튜브형 끝단 (11) 및 하부 튜브형 끝단 (12)을 포함하는데, 상기 상부 튜브형 끝단 (11)은 상기 펼침 유닛과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부분적으로 펴도록 하는 위치와 전체적으로 펴도록 하는 위치에 각각 상응하는 하부 위치 및 상부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고, 하부 튜브형 끝단 (12)은 상기 축 방향에서 상기 상부 튜브형 끝단 (11)과 이격하여 공간을 두고 있어서 상기 상부 튜브형 끝단 (11)과 같이 작용하여 수용 공간 (14)을 형성한다. 상기 수용 공간 (14)은 상기 축 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가로축의 첫 번째 방향 (X)으로 확장하는 안내면을 형성한다. 특히, 상기 러너 (10)는 상기 축 방향에서 연장되어서 상 기 상부 및 하부 튜브형 끝단들 (11, 12)을 서로 연결하는 전방 및 후방 안내 벽들 (111)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튜브형 끝단들 (11, 12)은 상기 첫 번째 방향 및 상기 축 방향에 모두 수직한 두 번째 방향에서 서로에 대하여 각각 이격되어 놓여지고, 상기 하부 튜브형 끝단 (12)과 함께하여 상기 안내면을 만든다. 또한, 상기 러너 (10)는 상기 하부 튜브형 끝단 (12)에 배치되어지는 환상(annular) 시트 (13)를 더 포함하는데, 이것은 위쪽 방향을 향하고 있다.

    상기 튜브형 유지 블록 (20)은 상기 수용 공간 (14)에 배치되어, 상기 중앙 샤프트 (100)를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전방 및 후방 안내 벽들 (111)에 의해 안내되어 첫 번째 위치와 두 번째 위치 사이의 상기 안내면을 따라 이동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유지 블록 (20)은 상기 첫 번째 방향 (X)에서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어 배치되는 선도 및 후속 벽 부품들 (22, 21)을 포함한다. 상기 선도 벽 부품 (22)은 상기 중앙 샤프트 (100)의 맨 윗부분에 배치되어 있으며, 외부 선도 표면 (221)과 경사부 (225)를 가지고 있고, 상기 외부 선도 표면 (221)은 각각 상기 하부 튜브형 끝단 (12)과 가까이 위치한 범프 부분 (222)과, 상기 하부 튜브형 끝단 (12)으로부터 이격되어지는 편평한(leveled) 부분 (223)을 가지고, 상기 경사부 (225)는 범프 부분 (222)과 편평한 부분 (223)사이에 위치되어진다. 상기 선도 벽 부품 (22)은 상기 중앙 샤프트 (100)와 직면하고 있는 내부 선도 표면 (224)을 더 가진다. 상기 후속 벽 부품 (21)은 상기 중앙 샤프트 (100)의 뒤에서 후속하며, 상기 중앙 샤프트 (100)와 직면하고 있는 내부 후속 표면 (214)과 상기 상부 튜브형 끝단 (11)에 대하여 가까이 위치하는 돌출된 종동부 부분 (213)과, 상기 상부 튜브 형 끝단 (11)에 이격하여 위치하는 후속 부분 (212)을 가지는 외부 후속 표면 (211)을 가진다.

    상기 튜브형 밀대 요소 (30)는 상기 유지 블록 (20)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내부 슬리브 표면을 가지고 있다. 상기 내부 슬리브 표면은 상기 전방 및 후방 안내 벽들 (111)에 각각 짝을 이루는 전방 및 후방 슬롯 부분 (31)을 가져, 상기 러너 (10) 및 상기 유지 블록 (20)에 대하여 상기 축(L)을 따라 상기 밀대 요소 (30)가 상기 상부 튜브형 끝단 (11)에 가까운 작동 위치(actuating position)와 상기 밀대요소 (30)가 상기 상부 튜브형 끝단 (11)과 멀어지는 해제 위치 (releasing position)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내부 슬리브 표면은 상기 첫 번째 방향 (X)에서 각각, 상기 외부 후속 표면 (211)을 직면하는 작동 표면 부품 (32)과, 상기 외부 선도 표면 (221)을 직면하고 있는 보조 표면 부품 (31)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작동 표면 부품 (32)은 상기 상부 튜브형 끝단 (11)으로부터 각각, 가깝게 배치된 헤드 부분 (321)과, 멀리 배치된 캠 부분 (322) 및 상기 헤드 부분 (321)과 캠 부분 (322) 사이에 배치되어지는 경사부 (323)를 가진다. 상기 보조 표면 부품 (31)은 구속 부분 (311)과 후퇴 부분 (312)을 포함하고, 상기 구속 부분 (311)은 상기 상부 튜브형 끝단 (11)에 가깝게, 상기 후퇴 부분 (312)은 상기 상부 튜브형 끝단 (11)에서 멀리 배치되어진다. 또한 상기내부 슬리브 표면은 상기 구속 부분 (311)과 후퇴 부분 (312) 사이에 배치되어지는 환상 어깨(shoulder)부 (36)를 가진다.

    상기 유지 요소 (26)는 상기 내부 후속 표면 (214)에 집적된 형태로 형성되 어져 상기 내부 후속 표면 (214) 상에 배치되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지 요소 (26)는 상기 상부 튜브형 끝단 (11)에 근접하게 배치되어진다.

    도 4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상기 러너 (10)가 상기 하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유지 블록 (20)은 상기 첫 번째 위치에 있으며, 상기 밀대 요소 (30)는 상기 해제 위치(releasing position)에 있다. 특히, 상기 범프 부분 (222)은 상기 구속 부분 (311)과 경계를 접하고 있으며, 상기 환형 어깨부 (36)는 상기 환형 시트 (13)와 접하고 있어서, 상기 해제위치에서 벗어난 상기 밀대 요소 (30)의 아래 방향으로의 이동을 예방하도록 한다. 이에 추가하여, 상기 종동부 부분 (213)은 상기 헤드 부분 (321)에 배치되어지고, 상기 후속 부분 (212)은 상기 캠 부분 (322)에 접촉되어져 있고, 상기 러너 조립체는 상기 축 (L)을 따라 상기 중앙 샤프트 (100) 위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상기 밀대 요소 (30)가 상기 중앙 샤프트 (100)에 대하여 위쪽 방향으로 움직일 때, 다시 말하면, 상기 경사부 (323)의 정렬에 의해, 상기 밀대 요소 (30)가 상기 해제 위치에서 상기 작동 위치로 움직일 때, 상기 헤드 부분 (321)은 부드럽게 상기 종동부 부분(following region) (213) 위로 움직여서 상기 캠 부분 (322)이 상기 종동부 부분 (213)과 맞물려서 상기 유지 블록 (20)에 상기 첫 번째 방향 (X)에서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유지 블록 (20)이 상기 첫 번째 위치에서 상기 두 번째 위치로 전환되게 한다. 반면에, 상기 범프 부분 (222)은 상기 구속 부분 (311)위로 미끄러져 상기 후퇴 부분 (312)으로 빠지게 되어, 상기 유지 블록 (20)이 상기 두 번째 위치로 이동되어지는 것이 허용되어지도록 한 다. 일단 상기 유지 요소 (26)가 맞물림 면 (110)에 도달하게 되어, 상기 유지 요소 (26)와 상기 맞물림 면 (110)이 맞물리게 되면, 상기 유지 블록 (20)이 상기 두 번째 위치로 이동되어져, 상기 편평한 부분 (223)은 상기 밀대 요소 (30)가 상기 작동 위치에 머물러져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구속 부분 (311)에 대하여 마찰적 결합상태에 있게 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유지 요소 (26)는 맞물림 면 (110)에 유지되어지고, 이에 의하여 상기 완전히 펼쳐지는 위치로부터 벗어나려는 상기 리브 유닛의 이동을 막도록 한다.

    게다가, 상기 밀대 요소 (30)가 상기 해제 위치가 되도록 아래 방향으로 당겨질 때, 상기 경사부 (225)의 정렬에 의해, 상기 유지 블록 (20)은 부드럽게 상기 첫 번째 위치로 이동되어질 수 있고, 상기 내부 선도 표면 (224)은 상기 중앙 샤프트 (100)와 접촉하도록 가져가져 상기 유지 블록 (20)의 이동의 확장이 상기 첫 번째 위치로 향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러너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장점들을 가지고 있다.

    1. 상기 러너 (10), 유지 블록 (20), 및 밀대 요소 (20)는 구조면에서 단순하며, 기존에 알려진 일반적 우산 프레임의 중앙 샤프트 (100)에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2. 상기 유지 블록 (20) 전체가, 상기 러너 조립체가 따라서 이동되어지는 방향인 상기 축 방향을 가로지르는 상기 첫 번째 방향(X)에서, 상기 두번째 위치로 이동되어지기 때문에, 상기 유지 요소 (26)와 상기 맞물림 면 (110) 사이, 상기 캠 (322)과 상기 종동부 (213)사이, 및 상기 편평한 부분 (223)과 구속 부분 (311) 사이의 맞물림을 통하여, 상기 러너 (10)는 상기 중앙 샤프트 (100) 상의 상기 상부 위치에서 단단히 유지되어질 수 있다.

    3. 상기 축 방향 (L)을 따라 상기 밀대 요소 (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상기 안내 벽들 (111)과 상기 안내면을 따른 상기 유지 블록 (20)의 이동에 의해, 상기 러너 조립체의 동작이 부드럽고 성공적일 수 있다.

    4. 상기 경사부들 (323, 225)의 제공에 의해, 상기 밀대 요소 (30)가 상기 유지 블록 (20)을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하는 동작이 가능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러너 조립체의 두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는, 구조적인 측면에서 상기 첫 번째 실시예와 유사하게 도시되어지고, 상부 측으로 마주보는 맞물림 면 (110)을 형성하는 바이어스된 (biased) 활 (111)을 가지는 통상의 중앙 샤프트 (100)에 사용되도록 적용되어진다. 상기 유지 요소 (26)는 상기 하부 튜브형 끝단 (12)에 근접하게 배치되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러너 조립체는 어떠한 통상의 우산 프레임에도 사용이 적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킨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도 1은 기존 러너 조립체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다른 기존 러너 조립체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러너 조립체 첫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첫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하부 위치에서의 러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첫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상부 위치에서의 러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러너 조립체 두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하부 위치에서의 러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두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상부 위치에서의 러너를 도시한 도면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