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라솔

申请号 KR1020070029071 申请日 2007-03-26 公开(公告)号 KR1020070077144A 公开(公告)日 2007-07-25
申请人 정기석; 发明人 정기석;
摘要 A parasol is provided to improve durability by making various frames and a combining unit of FRP(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and to easily perform repair and exchanging works by individually separating the frames. In the parasol, a parasol main shaft pipe unit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main shaft pipe body(100); upper, middle, and lower frame combining hubs(110,120) penetrating throug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shaft pipe body; a press button(141); and a hanging piece(142). A frame unit comprises main and auxiliary frames(200,210) of which each end is joined with the frame combining hubs, radially aligned and combined; a ventilating hole frame(240); a support frame(250); and frame combining tools and a parasol cloth combining holder joined to the main, auxiliary, and ventilating hole frames to connect the frames to each other. A parasol cloth unit(30) is equipped with connecting rings(310,311) for binding the main and ventilating hole frames and the parasol cloth, and joined with the main and ventilating hole frames through strap rings(302,312) and a hanging ring(313). A parasol support unit(40) has a support pipe(400) combined with the lower part of the main shaft pipe body and a support(410) assembled in a cross form.
权利要求
  • 파라솔에 있어서,
    원통형태로 형성된 주축관체(100)와, 상기 주축관체(100) 외주면상에 통과되는 상 · 중 · 하부 프레임 결합허브(110, 120, 130)와, 누름버튼(141)과 걸림쇠(142)가 구비된 파라솔 주축관부(10)와;
    끝단부가 상기 프레임 결합허브(110, 120, 130)와 결합되어 방사형으로 배열 결합되는 주프레임(200)과 보조프레임(210), 환기구프레임(240) 및 지지프레임(250)으로 구성되며, 상기 주 · 보조 · 환기구프레임(200, 210, 240)에 설치되어 각각의 프레임(200, 210, 240, 250)을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된 프레임 결합구(220a, 220b, 220c) 및 파라솔포 결합용 홀더(230)로 구성된 프레임부(20)와;
    상기 주 및 환기구프레임(200, 240)과 파라솔포를 결속시키는 연결고리(301, 311)가 구비되되, 끈고리(302, 312) 및 걸고리(313)에 의해 주 및 환기구프레임(200, 240)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파라솔포부(30)와,
    상기 주축관체(100)의 하부와 결합되는 받침관(400)과, '十'자 형태로 조립되는 받침대(410)로 구성되는 파라솔 받침부(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
  • 제 1항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 결합허브(110)는, 주축관체(100)의 최상부에 설치되되, 환기구프레임(240)과 결합되도록 결합공(111)이 방사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111) 양측면에 한 쌍의 결합돌기(112)가 형성되며,
    중부 프레임 결합허브(120)는, 주축관체(100)의 중앙부에 설치되되, 주프레임(200)과 결합되도록 결합공(121)이 방사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121) 양측면에 한 쌍의 결합돌기(122)가 형성되며,
    하부 프레임 결합허브(130)는 주축관체(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되, 보조프레임(210)과 결합되도록 결합공(131)이 방사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131) 양측면에 한 쌍의 결합돌기(13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
  • 제 1항에 있어서,
    파라솔포 결합용 홀더(230)는, 머릿부(231)의 단면적을 몸체부(232)에 비해 크게 형성시켜 체결공(231a)을 형성하며, 머릿부 하단의 몸체부(232)를 소정각도 일부 절개한 절개홈(232a)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
  • 제 1항에 있어서,
    파라솔 받침부(40)는 원통형의 받침관(400)과 상기 원통형의 받침관(400)의 하부에 결합되되, 중앙의 조립공(411)에 조립나사(420)에 의해 '十'자 형태로 조립되는 받침대(41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
  • 说明书全文

    파라솔 { Parasol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부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상태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g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파라솔 10 : 파라솔 주축관부

    100 : 주축관체 110 : 상부 프레임 결합허브

    120 : 중부 프레임 결합허브 111, 121, 131 : 결합공

    112, 122, 132 : 결합돌기 130 : 하부 프레임 결합허브

    141 : 누름버튼 142 : 걸림쇠

    20 : 프레임부 200 : 주프레임

    201, 211, 241 : 요홈 210 : 보조프레임

    212, 251 : 핀체결공 220: 프레임 결합구

    221 : 지지덧살 222 : 핀공

    223 : 핀 230 : 파라솔포 결합용 홀더

    231 : 머릿부 231a : 체결공

    232 : 몸체부 232a : 절개홈

    240 : 환기구프레임 250 : 지지프레임

    252 : 걸이부 30 : 파라솔포부

    300 : 상부 파라솔포 310 : 하부 파라솔포

    301, 311 : 연결고리 302, 312 : 끈고리

    313 : 걸고리 40 : 파라솔 받침부

    400 : 받침관 401 : 잠금부

    410 : 받침대 411 : 조립공

    420 : 조립나사

    본 발명은 파라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통풍이 용이하도록 2중 구조로 제작되고, 각종 프레임 및 체결수단을 외력 및 습기에 강한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로 제작하여 전체적인 내구성을 증대시키며, 파라솔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이 개별적으로 분리되도록 제작하여 파라솔의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고, 파라솔 받침부를 나사에 의한 조립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분리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 파라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라솔은 태양광과 비를 막아주는 것으로 사용되며, 여름철 등 에는 태양빛을 차단하여 주어 사용자에게 안락한 휴식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그 주된 기능이다.

    그러나 이러한 파라솔 중 파라솔포가 하나로 구성되는 단층 구조의 경우에는 파라솔의 내부로 전달되는 지열 및 복사열이 상승되면서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파라솔 상단에 정체하기 때문에 그 열에 의해 더위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파라솔의 단층 프레임은 강풍 등의 외기에 쉽게 흔들리며 그 중심을 잡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방안으로 복사열의 방출이 용이하며 외풍에 강한 2중 구조의 파라솔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종래의 2중 구조로 구성되는 파라솔은 파라솔 전체를 지지하는 주축관과 주축관의 상단에 상부 프레임 연결구와 하부 프레임 연결구가 고정 설치되고, 작동 프레임 연결구가 슬라이드 되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프레임 연결구에는 복수 개의 각종 프레임이 고정 설치되고, 작동 프레임이 일정간격 힌지 결합되어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 상단에는 각각 파라솔포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그늘막 중앙부에는 통풍구가 형성되어 있어 지열 및 복사열 등이 쉽게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2중 구조 파라솔은, 주프레임으로 사용되는 살은 철재로 제작되어 습기에 약하여 일정기간 사용 후에는 프레임 및 결합부에 녹이 슬 고 강도가 약해지며, 또한 프레임 및 결합부 전부가 철재로 제작되는 종래의 방식은 중량이 무거워져 이동 및 관리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재질이 가벼우면서도 강성이 높으며, 습도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 FRP(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fiber reinforced plastic)로의 제작이 제시된 바 있었다.

    상기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은 1940년대 초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여 1960년대 이후 유리섬유보다 우수한 탄소섬유가 출현해 플라스틱과 결합함으로써 기존에 사용되던 금속, 세라믹 재료 등을 대체하고 있다. 가볍고, 내구성·내충격성·내마모성 등이 우수하며, 녹슬지 않고, 열에 변형되지 않으며, 가공하기 쉽다는 것이 장점으로 꼽힌다.

    그리하여 현대사회에서 자재, 보트의 몸체, 스키용품, 가정용 욕조, 헬멧, 테니스 라켓, 의자, 항공기 부품 등 생활에 필요한 여러 가지 제품에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파라솔을 구성하려면 유리섬유의 특성상 구멍을 뚫는 것이 매우 힘들며, 설령 천공하더라도 파라솔을 펼치거나 접철할 시 그 힘을 견디지 못하여 파손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파라솔의 조립시 각각의 프레임을 철사 등의 체결수단으로 그룹화시키는 기존의 파라솔 제작방법은 각각의 프레임의 개별적인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일부 프레임만의 파손이나 변형시에도 프레임의 전부를 교체하거나, 이조차도 여의치 않을 시에는 파라솔을 새로이 마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파라솔의 파라솔 프레임과 파라솔포의 결합은 파라솔 프레임 끝을 납작하게 압축시켜 구멍을 뚫은 다음 실로 파라솔포와 파라솔 프레임을 봉합하는 방법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앵커식 금속홀더로 형성하여 이물림식으로 결합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존의 홀더형으로 결합되는 방식은 프레임이 금속홀더에서 이탈되어 파라솔 프레임의 형태가 변형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어 사용자에게 큰 불편을 안게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파라솔 주축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파라솔의 몸체를 지탱하며 소정의 위치에 안착할 수 있게 하는 파라솔의 받침대는 파라솔의 조립시 하부에 고정되어 제작이 완료되므로 파라솔 설치위치의 이동 및 관리가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통풍이 용이하도록 2중 구조로 제작되고, 각종 프레임 및 체결수단을 외력 및 습기에 강한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로 제작하여 전체적인 내구성을 증대시키며, 각종 프레임을 각각의 프레임이 개별적으로 분리되도록 제작하여 파라솔의 보수 및 교체가 용 이하도록 하고, 파라솔 받침부를 나사에 의한 조립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분리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 특징이 있다.

    주요 구성부를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으로 제작하여 녹이 슬 염려가 없고, 외력에 대한 강성의 증대로 절단 및 휨에 의한 프레임의 파손을 최소화하며, 경량이어서 조작 및 관리가 용이하고, 결합 홀더 및 요홈과 결합돌기의 체결에 의한 결합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다수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구성에서 각각의 프레임을 개별적으로 분리할 수 있어 보수 및 결합이 용이한 파라솔을 구현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하부의 파라솔 받침부를 주축관에 고정하지 않고, 나사에 의해 조립 및 분해되도록 구성하여 파라솔의 설치위치의 이동 및 철거가 용이하도록 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파라솔에 관한 것으로, 통풍이 용이하도록 2중 구조로 제작되고, 각종 프레임 및 체결수단을 외력 및 습기에 강한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로 제작하여 전체적인 내구성을 증대시키며, 파라솔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이 개별적으로 분리되도록 제작하여 파라솔의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고, 파라솔 받침부를 나사에 의한 조립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분리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원통형태로 형성된 주축관체(100)와, 상기 주축관체(100) 외주면상에 통과되는 상 · 중 · 하부 프레임 결합허브(110, 120, 130)와, 누름버튼(141)과 걸림쇠(142)가 구비된 파라솔 주축관부(10)와; 끝단부가 상기 프레임 결합허브(110, 120, 130)와 결합되어 방사형으로 배열 결합되는 주프레임(200)과 보조프레임(210), 환기구프레임(240) 및 지지프레임(250)으로 구성되며, 상기 주 · 보조 · 환기구프레임(200, 210, 240)에 설치되어 각각의 프레임(200, 210, 240, 250)을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된 프레임 결합구(220a, 220b, 220c) 및 파라솔포 결합용 홀더(230)로 구성된 프레임부(20)와; 상기 주 및 환기구프레임(200, 240)과 파라솔포를 결속시키는 연결고리(301, 311)가 구비되되, 끈고리(302, 312) 및 걸고리(313)에 의해 주 및 환기구프레임(200, 240)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파라솔포부(30)와, 상기 주축관체(100)의 하부와 결합되는 받침관(400)과, '十'자 형태로 조립되는 받침대(410)로 구성되는 파라솔 받침부(40)로 구성되며, 각종 프레임 및 이들의 결합수단인 프레임 결합관과 프레임 결합구 및 파라솔포 결합용 홀더를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로 제작하여 녹이 슬 염려가 없고 경량이며, 각각의 프레임을 개별적으로 분리할 수 있어 보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한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을 예시도면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a 내지 도 3g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상태를 도시해 주고 있다.

    우선, 파라솔 주축관부(10)의 구성을 살펴보면, 원통형으로 형성된 주축관체(100) 외주면 상·하부에 주프레임(200)과 보조프레임(210) 및 환기구프레임(240)의 일단과 결합되는 상 · 중 · 하부 프레임 결합허브(110, 120, 130)와, 걸림쇠(142)가 형성되어 파라솔 전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원통형으로 형성된 주축관체(100) 최상부에는 각각의 환기구프레임(240)과 결합되는 위치에 결합공(11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111) 양측면에 한 쌍의 결합돌기(112)를 형성한 상부 프레임 결합허브(110)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 프레임 결합허브(110) 하부에는 각각의 주프레임(200)과 결합되는 위치에 결합공(12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121) 양측면에 한 쌍의 결합돌기(113)를 형성한 중부 프레임 결합허브(120)가 구비된다.

    상기 중부 프레임 결합허브(120)의 하부에는 주축관체(100) 외주면상에서 상 · 하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되, 각각의 보조프레임(210)과 결합되는 위치에 결합공(13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131) 양측면에 한 쌍의 결합돌기(132)를 형성하여 보조프레임(210)과 결합되도록 하며, 주축관체(100) 외주면상에서 상 · 하로 슬라이딩하여 프레임이 접철되도록 하는 하부 프레임 결합허브(130)가 구비된다.

    주축관체(100) 외주면의 소정의 위치에 구비된 걸림쇠(142)가 상기 하부 프레임 결합허브(130)의 하단에 구비된 누름버튼(141)의 조작에 의해 걸림 및 해제됨으로써 파라솔의 접고 펴는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프레임부(20)의 구성을 살펴보면, 주프레임(200) 및 보조프레임(210)을 기본 구성으로 하여, 환기구프레임(240)과 지지프레임(250)이 그를 구조적으로 지지하며, 프레임 결합구(220)에 의해 상기 주프레임(200)과 보조프레임(210) 및 환기구프레임(240)과 지지프레임(250)을 결합시키고, 주프레임(200)과 환기구프레임(240)의 끝단에 파라솔포 결합용 홀더(230)를 체결하여 상 · 하부 파라솔포(300, 310)를 결박시킴으로써 전체적인 뼈대가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그 끝단의 양측면에 요홈(201)을 형성하여 상기 중부 프레임 결합허브(120)의 결합돌기(122)에 각각 개별적으로 일단이 고정되어 방사형으로 배치되되, 타단으로 2개의 프레임 결합구(220a, 220b)가 통과되어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고, 그 끝단에는 파라솔포 결합용 홀더(230)를 체결하여 하부 파라솔포(310)를 지지시키는 원통형태의 주프레임(200)이 구비된다.

    또한, 끝단의 양측면에 요홈(211)을 형성하여 상기 하부 프레임 결합허브(130)의 결합돌기(132)에 각각 개별적으로 그 일단이 고정되어 방사형으로 배치되되, 타단은 핀체결공(212)을 형성하여 프레임 결합구(220a)에 결속시켜 상기 주프레임(200)과 결합되어 절첩되는 원통형의 다수개의 보조프레임(210)이 구비된다.

    한편, 그 끝단의 양측면에 요홈(241)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 결합허 브(110)의 결합돌기(112)에 각각 개별적으로 그 일단이 고정되어 방사형으로 배치되되, 타단으로는 프레임 결합구(220c)가 통과되어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고, 그 끝단에는 파라솔포 결합용 홀더(230)를 체결하여 상부 파라솔포(300)를 지지시키는 원통형의 다수개의 환기구프레임(240)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 프레임 결합허브(110) 및 중부 프레임 결합허브(120)의 주축관체(100) 외주면상에서의 이격거리 만큼의 길이로 형성되되, 양단부가 핀(223) 결합에 의해 상기 주프레임(200) 및 환기구프레임(240)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프레임 결합구(220b, 220c)에 결속되고 후술하는 하부 파라솔포(310)의 걸고리(313)를 걸어주는 걸이부(252)를 형성시켜 하부 파라솔포(310)와 체결되게 되는 지지프레임(250)이 구비된다.

    상기 주프레임(200) 및 환기구프레임(240)에 통과되어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되, 한 쌍의 지지덧살(221)에 핀공(222)을 형성시켜 핀(223) 결합에 의해 보조프레임(210)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프레임간(間) 서로 지지하며 접철 가능하게 하는 원통형의 프레임 결합구(220)가 구비된다.

    상기 주프레임(200) 및 환기구프레임(240)의 끝단에 결합되되, 그 머릿부(231)를 몸체부(232)에 비해 단면적을 크게 형성하여 후술하는 상 · 하부 파라솔포(300, 310)의 끈고리(302, 312)가 결박되는 체결공(231a)을 구비하며, 머릿부(231) 하단의 몸체부(232)를 소정각도 일부 절개한 절개홈(232a)을 형성시켜 지지력의 증대시킨 원통형의 파라솔포 결합용 홀더(230)로 구성된다.

    상기 모든 구성은 기존의 2중 구조를 가지는 파라솔과 비슷하나, 구성요소가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제작되며, 다수개의 주프레임 및 보조프레임과 환기구프레임이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 가능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또한, 파라솔포부(3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부 파라솔포(300)는 그 중앙부가 상기 상부 프레임 결합허브(110)에 고정되며, 그 반경이 환기구프레임(240)의 길이에 상응되도록 원형으로 제작되되, 상기 각각의 환기구프레임(240) 끝단과 맞닿는 위치에 끈고리(302)를 구비하여 파라솔포 결합용 홀더(230) 체결공(231a)에 통과되어 결박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하부 파라솔포(310)는 상기 중부 프레임 결합허브(120)에 고정되며, 그 반경이 주프레임(200)의 길이에 상응되도록 원형으로 제작되되 중앙에 통풍을 위한 개방홀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주프레임(200) 끝단과 맞닿는 위치에 끈고리(302)를 구비하여 파라솔포 결합용 홀더(230) 체결공(231a)에 통과되어 결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 · 하부 파라솔포(300, 310)와 주프레임(200) 및 환기구프레임(240)이 맞닿는 연결선상의 소정의 위치에는 지지력을 증대시키고 상기 주프레임(200) 및 환기구프레임(240)이 일련의 위치에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게 하는 연결고리(301, 311)를 형성하여 태양광의 피하고 강우를 막는 파라솔포부(30)를 형성하는 구성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주축관체(100) 하부와 결합되되, 파라솔(1)이 설치위치에 안착되도록 하는 파라솔 받침부(40)의 구성을 살펴보면, 주축관체(100) 하부에 결속되되, 잠금부(401)를 갖는 원통형의 받침관(400)과 상기 받침관(400)의 하부에 결합되되, 몸체 중앙에 형성된 조립공(411)에 조립나사(420)에 의해 십자형태로 안정되게 조립되는 한 쌍의 받침대(410)로 구성되어 파라솔(1) 설치위치의 이동 및 철거가 용이하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주축관체(100)에 상부와 중부 및 하부 프레임 결합허브(110, 120, 130)를 결합하되, 누름버튼(141)이 구비된 걸림부(140)를 하부 프레임 결합허브(130) 하단에 조립하여 일체로 결합되도록 한다.

    그런 후, 프레임부(20)를 조립하는바, 다수개의 주프레임(200) 일단에 형성된 요홈(201)을 상기 중부 프레임 결합허브(120)의 결합공(121) 양측으로 형성된 결합돌기(122)에 끼워지게 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결합하고, 타단으로는 2개의 프레임 결합구(220a, 220b)를 각각의 주프레임(200)에 관통시켜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킨 후, 끝단에 파라솔포 결합용 홀더(230)를 체결한다.

    상기 보조프레임(210)은 그 일단에 형성된 요홈(211)을 상기 하부 프레임 결합허브(130)의 결합공(131) 양측으로 형성된 결합돌기(122)에 끼워지게 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결합하고, 그 타단에 형성된 핀체결공(212)과 상기 주프레임(200)에 고정된 프레임 결합구(220a)에 형성된 핀공(222a)을 핀(223a) 연결하여 주프레 임(200)과 보조프레임(210)이 결합되도록 한다.

    환기구프레임(240)의 조립은 일단이 상부 프레임 결합허브(110)과 결합되며 상부 상기 주프레임(200)의 조립과정과 일치하되, 하나의 프레임 결합구(220c)가 통과된다.

    또한, 지지프레임(250)은 주프레임(200)과 환기구프레임(240)을 연결하는 수단으로 양끝부에 핀체결공(251)을 형성하고 상기 주프레임(200)에 고정되는 프레임 결합구(220b)와 환기구프레임(240)에 고정되는 프레임 결합구(220c)에 형성된 핀공(222b, 222c)에 핀(223b, 223c)에 의한 체결을 함으로써 주프레임(200)과 환기구프레임(240)이 결합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주프레임(200) 상부에 중앙이 개방된 하부 파라솔포(310)를 씌우고 단부에 구비된 걸고리(313)를 지지프레임의 걸이부(252)에 걸어 체결시킨다. 그런 후, 타단에 구비된 끈고리(312)를 상기 파라솔포 결합용 홀더(230)의 체결공(231a)에 관통시켜 박음질하여 결박시킨다. 이때, 주프레임(200)과 하부 파라솔포(310)가 맞닿는 부분 선상의 소정의 위치에 구비된 연결고리(311)로 주프레임(200)을 죄어 메어 주프레임(200)의 경로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부 파라솔포(300)의 결합은 원의 중심이 주축관체(100) 최상단에 위치되게 상부 파라솔포(300)를 씌워 고정수단(미도시)으로 머릿부를 고정한 후 상부 파라솔포(300) 단부에 구비된 끈고리(302)를 상기 파라솔포 결합용 홀더(230)의 체결공(231a)에 관통시켜 박음질하여 결박시킨다. 상기 하부 파라솔포(310)의 결합과정과 동일하게 구비된 연결고리(301)로 환기구프레임(240)을 죄어 메어 경로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의 방법으로 조립된 파라솔을 설치위치에 이동시킨 후 중앙부에 조립공(411)을 갖는 한 쌍의 받침대(410)를 조립나사(420)를 이용하여 받침관(400)에 십자형태로 결합한 파라솔 받침부(40)를 파라솔 주축관체(100) 하단에 조립시키고 잠금부(401)로 완전히 결합시키면 전체적인 조립과정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우선, 파라솔이 펴지는 작동상태는, 걸림부(140)를 손으로 잡고 주축관체(100)를 따라 상승시키면 하부 프레임 결합허브(130)와 결합된 보조프레임(210)이 이에 따라 상승하면서 주축관체(100)와의 결합각이 커지며, 하부 프레임 결합허브(130)의 회동거리와 상응되게 프레임 결합구(220)가 주프레임(200)을 상부로 들어 올려주고, 지지프레임(250)에 의해 주프레임(200)과 연계되는 환기구프레임(240) 또한 상부로 들어 올려지게 되고, 소정의 위치까지 완전히 상승하게 되면, 주축관체(100)의 걸림쇠(142)가 걸림부(140)에 걸리게 되고, 주프레임(200)과 환기구프레임(240)은 주축관체(100)와 직각에 가까운 포물선을 이루게 되어 펴진 상태가 유지되는 구성을 갖는다.

    반면에, 본 구성에 따른 우산이 접히는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걸림부(140)의 누름버튼(141)을 누르게 되면, 걸림쇠(142)가 걸림부(140)의 걸림에서 해제되고, 하부 프레임 결합허브(130)가 주축관체(100)의 하단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주프레임(200)과 환기구프레임(240)이 주축관체(100)와 평행에 가깝게 하강함으로써 접히는 작동과정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주요 구성부를 섬유강화유리플라스틱(FRP)으로 제작하여 녹이 슬 염려가 없고, 외력에 대한 강성의 증대로 절단 및 휨에 의한 프레임의 파손을 최소화하며, 경량이어서 조작 및 관리가 용이하며, 결합 홀더 및 요홈과 결합돌기의 체결에 의한 결합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다수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구성에서 각각의 프레임을 개별적으로 분리할 수 있어 보수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의 파라솔 받침부를 주축관에 고정하지 않고, 나사에 의해 조립 및 분해되도록 구성하여 파라솔의 설치위치의 이동 및 철거가 용이하도록 한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파라솔포와 주프레임의 결합에서 파라솔포 결합용 홀더 머릿부의 단면적을 크게 하여 머릿부 몸체 내에 체결공을 형성하고 그 하부 몸체단면을 소정각도 절개함으로써 체결고리에 의한 체결을 더욱 견고하게 하며 프레임과 파라솔의 결합에서 프레임의 탈락현상을 막아 주프레임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채택하는 이중 파라솔 구조는 지면에서 발생되는 지열 및 복사열등을 외부로 쉽게 배출시켜주며, 또한 강풍이 불 때에도 바람의 교류가 이루어지고, 마찰면이 감소되어 바람의 영향을 적게 받음으로, 외기에 강한 파라솔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