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으로 접는 우산

申请号 KR1020020069950 申请日 2002-11-12 公开(公告)号 KR1020040041863A 公开(公告)日 2004-05-20
申请人 윤규석; 发明人 윤규석; 김지훈;
摘要 PURPOSE: An automatically folded umbrella with an improved structure is provided to improve users' convenience so that an umbrella user does not have to fold the umbrella by himself. CONSTITUTION: The automatically folded umbrella includes a fixed upper rib case(20), a middle rib case(30), and a lower rib case(40). Between the middle rib case(30) and the lower rib case(40) is a coil spring(50). Upper ribs(60) of the umbrella are coupled to the upper rib case(20); middle ribs(70) of the umbrella are coupled to the body of the upper ribs(60) and the lower rib case(40); and lower ribs(80) of the umbrella are coupled to the body of the middle ribs(70) and the middle rib case(30). Also, a hook-shaped lock(90) is installed at the upper rib case(20) which is connected to a switch of a handle(100) through a wire rod located inside the ribs. The lock(90) is hooked on a lock hole(31) formed on the body of the middle rib case(30).
权利要求
  • 스프링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접어지는 우산 또는 양산을 구성함에 있어서,우산을 구성하는 중간 살통과 하부살통사이에 코일스프링을 결합하여 우산을 펼 때 스프링이 압축되도록 하고, 우산을 접을 때는 스프링이 복원되도록 상부살을 받치는 중간살의 끝이 하부 살통에 결합되고 중간살을 받치는 하부살의 끝은 중간살통에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펴진 상태에서 중간 살통의 상단부에 록이 걸려 고정되고 손잡이로 연장된 스위치에 의해 록을 풀면 스프링이 팽창하면서 그 힘에 의해 우산살이 접어지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접는 우산.
  • 제1항에 있어서, 우산축(10) 상부에 고정형 상부 살통(20)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 가동형의 중간살통(30)과 하부살통(40)이 설치되며, 중간살통과 하부살통사이에 코일스프링(50)이 결합되며, 상부살통에 상부살(60)이 결합되며, 중간살(70)이 상부살(60)의 몸통부와 하부살통(40)에 결합되며, 하부살(80)이 중간살(70)의 몸통부와 중간살통(30)에 결합되며, 상부살통에 걸고리 형태의 록(90)이 설치되어 우산축 내부에 배치한 와이어 로드(100)에 의해 우산축 하부에 설치된 손잡이(110)의 스위치(120)와 연결되며, 중간살통의 몸통부에 록홈(31)이 형성되어 중간살통이 상부살통에 접할 때 록이 상기 록홈에 걸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접는 우산.
  • 说明书全文

    자동으로 접는 우산{ Auto Folding Umbrella}

    본 발명은 우산 또는 양산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압축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으로 접는 우산 또는 양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우산 또는 양산은 스프링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펼 수 있도록 기능을 갖고 있으며, 일부 모터등의 동력기구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펴고 접을 수 있도록 된 기능의 우산도 제시되고 있으나 구성이 복잡하고 밧데리나 모터등의 무게가 부가됨으로 휴대하여 사용하기에는 지나치게 무거운 단점이 있어 널리 보급되지 못하고 있다.

    스프링에 의한 자동 펴짐 우산은 우산축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살통을 설치하고, 그 하부에 가동형의 중간살통과 하부살통을 설치하고 중간살통과 하부살통사이에 압축코일스프링을 삽입하고, 상부살통에 결합되는 상부살의 몸통부와 중간살통을 중간살로 연결하며, 중간살의 몸통부와 하부살통을 하부살로 연결하고, 우산축의 하부에 하부살통을 걸어 고정하는 록과 록 해제버튼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가동형태의 살통을 우산축하부로 당겨 우산을 접으면 중간살통과 하부살통 사이에 결합된 압축코일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록에 걸려 접어지고, 우산을 펼 때는 버튼스위치를 누르면 록이 해제되면서 압축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자동으로 펴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우산을 펼 때는 자동으로 펴고, 접을 때는 손으로 접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자동 펴짐 우산은 우산을 펼 때는 버튼만 누르면 자동으로 펼쳐짐으로 갑자기 비가 쏟아지거나 차에서 내릴 때 또는 한 손에 물건을 들고 있는 상태에서 우산을 펴고자 할 때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 우산을 접을 때는 한쪽 손은 손잡이를 잡고 다른 한쪽 손은 살통을 잡고 끌어내려주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은 햇볕이 강하거나 우천시 필드에서 골프를 치거나 차를 탈 때 또는 한 손에 물건을 들고 건물에 들어갈 때등 오히려 불편으로 작용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즉, 대개 골프를 칠 경우에는 비나 직사광선을 피하기 위해서 한손에 골프채를 들고 다른 한 손에 우산 또는 양산을 들고 필드를 걷다가 공을 칠 때는 우산 또는 양산을 접거나 지면에 내려놓은 상태에서 샷을 하게 되는데 우산 또는 양산을 접지 않을 경우에는 바람에 날려가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골프채를 놓고 우산 또는 양산을 접어야 하는 불편이 있으며, 우천시 차에 오르거나 건물에 들어갈 때도 동일한 불편이 있었다.

    이와 같은일부 사용자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자동으로 접어지는 구조의 우산 또는 양산을 기 제시한바 있는데, 이것은 우산 또는 양산을 구성하는 중간 살통과 하부살통사이에 인장코일스프링을 결합하여 우산을 펼때 스프링이 인장되도록 하고, 록을 우산축상부에 설치하여 스프링이 인장된 상태에서 중간 살통에 걸리도록 하며, 록은 와이어로드에 손잡이에 형성한 스위치와 연결되도록 하여 스위치에 의해 록을 풀면 인장된 스프링이 수축되면서 그 힘에 의해 우산살이 접어지도록 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일반 우산과 달리 자동으로 접을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그러나 중간살이 중간살통과 상부살의 몸통부에 연결되고, 하부 살이 중간살통의 몸통부와 하부 살통에 연결되며, 하부살통과 중간살통 사이에 인장 코일 스프링이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우산을 펴기 위하여 하부살통을 밀어 올려주면 하부살에 의해 중간살과 상부살이 펴지고 동시에 중간살에 의해 중간살통이 끌어올려지고 스프링은 늘어나는 동작에 의해 우산이 펴지게 됨으로 하부살에 지나치게 큰 힘이 걸리고, 중간살의 몸통부에서 변형이 초래되는 단점이 있으며, 인장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기 위해 중간살통 및 하부살통에 스프링 고정홈을 형성하는 데 따라 제작이 어렵고, 조립과정도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자동으로 접을 수 있는 우산 또는 양산 구조를 제시함에 있어서 우산 또는 양산을 펼때 스프링이 압축되도록 하고, 접을 때는 압축된 스프링이 잠금장치의 해제에 의해 복원되어 자동으로 우산 또는 양산이 접어지는 구조의 자동으로 접는 우산을 제시할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우산의 골조 구조도

    도2는 펴진 상태의 본 발명에 의한 우산의 골조 구조도

    도3은 스프링 결합부의 상세 구조도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에 의한 우산의 골조구조도

    *주요부호의 설명

    10.우산축20.상부살통30.중간살통

    40.하부살통50.코일스프링60.상부살

    70.중간살80.하부살90.록

    100.와이어로드110.손잡이120.스위치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우산을 구성하는 중간 살통과 하부살통사이에 코일스프링을 결합하여 우산을 펼 때 스프링이 압축되도록 하고 우산을 접을 때는 스프링이 복원되도록 상부살을 받치는 중간살의 끝이 하부 살통에 결합되고 중간살을 받치는 하부살의 끝은 중간살통에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펴진 상태에서 중간 살통의 상단부에 록이 걸려 고정되고 손잡이로 연장된 스위치에 의해 록을 풀면 스프링이 팽창하면서 그 힘에 의해 우산살이 접어지도록 하는 구조의 자동으로 접는 우산을제시하고자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한 실시례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우산의 골조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2 및 도3은 펴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본 발명은 우산축(10) 상부에 고정형 상부 살통(20)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 가동형의 중간살통(30)과 하부살통(40)이 설치되며, 중간살통과 하부살통사이에 코일스프링(50)이 결합되며, 상부살통에 상부살(60)이 결합되며, 중간살(70)이 상부살(60)의 몸통부와 하부살통(40)에 결합되며, 하부살(80)이 중간살(70)의 몸통부와 중간살통(30)에 결합되며, 상부살통에 걸고리 형태의 록(90)이 설치되어 우산축 내부에 배치한 와이어 로드(100)에 의해 우산축 하부에 설치된 손잡이(110)의 스위치(120)와 연결되며, 중간살통의 몸통부에 록홈(31)이 형성되어 중간살통이 상부살통에 접할 때 록이 상기 록홈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은 우산을 펼때 중간살통과 하부살통 사이에 결합된 코일 스프링이 압축되고, 상부살통과 중간살통이 접한 상태에서 록에 의해 중간살통이 고정되어 스프링이 압축되고 우산은 펴진 상태가 유지되며, 손잡이의 스위치를 누르면 록이 해제되면서 압축된 스프링이 하부살통을 밀어내고, 링크절을 이루는 상부살, 중간살 및 하부살이 각기 연계되어 자동으로 접어지도록 된 구성된 것이다.

    상기에서 각각의 살통은 일반적인 형태의 우산에 적용되오는 원통형태로서 우산축에 결합되며, 원통외주부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살 고정홈(21)(32)(41)에 각각의 상부살, 중간살, 하부살이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부살은 그 외측으로 씌워지는 우산천의 골조를 구성하여 우산천이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작용을 하고, 중간살은 상기 상부살이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버팀 작용을 하며, 하부 살은 중간살을 지지하고 스프링력을 상부살 및 중간살에 가하여 우산이 접어지도록 하거나 우산을 펴는 작용을 수행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하부살통, 중간살통 및 스프링과 함께 링크절을 이루게 된다.

    코일 스프링은 우산이 접어진 상태에서 우산을 펴기 위하여 하부살통을 밀어 올려주면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중간살통 및 하부살통이 밀려 올라가고, 동시에 상부살, 중간살 및 하부살이 링크절 운동하여 상부살이 펴짐으로서 우산천이 펴지게 된다.

    상기 구조는 스프링의 압축력과 복원력, 즉 압축 코일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우산을 자동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종래 제시된 자동으로 접는 우산의 경우 인장코일스프링을 사용함으로서 스프링의 양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적용된 스프링은 압축 스프링으로서 하부살통 및 중간살통 내부에 적용된 스프링삽입홈(42)(33)에 단지 스프링을 삽입하고 별도로 고정하지 않아도 결합이 이루어져 제작공정이 단순하고 간편해지는 이점을 갖는다.

    록은 우산을 펼친 상태를 지속시키기 위한 것으로 걸고리 형태로 몸통부가 상부살통에 고정되고 일단은 상부살통 외측으로 노출되어 그 끝 부분이 중간살통의 록홈에 걸리도록 하부로 향하고 록의 다른 단부는 우산측내부로 향하여 끝부분에 와이어 로드가 걸리도록 결합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록은 " ┐" 형태의 몸통(91)부 중간에 탄력부(92)를 형성하여 상기 탄력부가 상부살통에 고정되도록 구성함으로서 록의 절첩시 록의 양단에 탄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와이어 로드는 우산축 내부에 삽입되어 그 일단은 록에 걸리고 타단은 손잡이에 형성한 슬라이딩 형태의 스위치에 걸어줌으로서 스위치를 당겨주면 와이어로드에 의해 연결된 록의 하단이 하향으로 내려가고 그 힘에 의해 록이 절첩되어 중간살통을 걸고 있는 록이 풀리도록 하는 작용을 수행한다.

    도4a는 우산을 펼친 상태, 도 4b는 우산을 접는 상태의 골조도를 도시한 것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우산을 펼때 한손으로 우산손잡이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 하부살통을 밀어 올려주면 스프링이 압축하면서 상승하고, 상부살통, 중간살통 및 하부살통 상호간의 이격거리가 감소하고 점차 접근하여 상부살,중간살 및 하부살로 구성되는 링크절운동이 이루어져 우산이 펴지고, 최대로 펴진 상태에서 상부살통과 중간살통이 접촉되고 록이 작용하여 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반대로 접을 때는 손잡이에 있는 스위치를 밀어 내리면 록홈에 걸려 있는 록이 들어 올려져 록이 해제되며, 압축 상태의 스프링이 복원되면서 중간 살통과 하부살통을 서로 밀어 내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그 힘에 의해 중간살과 하부살이 벌어지면서 상부살을 끌어 내림으로서 우산이 접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중간 살통과 하부살통사이에 압축작용을 하는 스프링이 결합됨으로서 인장스프링 사용시 스프링을 고정하는 수단을 생략할 수 있어 구성이 단순해지고, 우산을 펼칠 때 스프링의 압축이 하부살통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이루어지고, 중간살 및 하부살은 상부살을 펴는 작용만 수행함으로서 인장스프링 사용시에 비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우산 또는 양산을 자동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함으로서 골프용 양산등 특수한 경우에서의 사용이 편리하고,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우산이나 양산등에도 적용함으로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